KR100987707B1 - 징검다리가 구비된 수문 - Google Patents

징검다리가 구비된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707B1
KR100987707B1 KR1020090040500A KR20090040500A KR100987707B1 KR 100987707 B1 KR100987707 B1 KR 100987707B1 KR 1020090040500 A KR1020090040500 A KR 1020090040500A KR 20090040500 A KR20090040500 A KR 20090040500A KR 100987707 B1 KR100987707 B1 KR 100987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stepping
elastic
leg
wate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천
김학인
Original Assignee
보은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은군 filed Critical 보은군
Priority to KR1020090040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흐름을 막거나 유량을 조절하는 수문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회동식 수문에 일체로 설치된 징검다리를 건너면서 산책을 즐기거나 물속에서 물고기가 헤엄치는 모습을 감상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친수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수변구역에 최대한 근접하여 각종 어류, 수서 동·식물, 곤충, 조류를 직접 관찰하면서 생태체험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수문의 개방시 수문을 받쳐주는 받침대는 자동으로 접철되면서 수문의 개폐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징검다리가 구비된 수문에 관한 것이다.
징검다리, 수문, 받침대, 접철, 꺾임방지대, 탄성, 바이어스

Description

징검다리가 구비된 수문{Floodgate with stepping stones}
본 발명은 사람이 건널 수 있는 징검다리가 일체로 구비된 회동식 수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문이 닫힌 상태에서 수문에 일체로 설치된 징검다리를 받침대가 안정적으로 받쳐주어 징검다리를 안전하게 건널 수 있으며, 상기 수문의 개방시에는 수문과 연동하여 받침대가 자동으로 접철되면서 수문의 개폐작동에 따른 원활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징검다리 및 받침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징검다리가 구비된 수문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은 물의 흐름을 막거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한 문으로서, 주로 강이나 하천, 저수지, 댐 등의 수로에 설치된다.
상기 수문은 과거에는 수동으로 일일이 개폐를 행하는 구조가 대부분이었으나, 최근 들어 자동으로 개폐를 행할 수 있는 수문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수문은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압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방이 이루어지고 유량의 감소시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폐쇄가 이루어지는 자동 수문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수문은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폐쇄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되어 특허결정된 「특허등록 제845142호 명칭 무전원 중력식 자동수문」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선등록 발명은 수문의 개폐작동을 별도의 전원 및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흐르는 물의 유량 및 유체의 압력으로 작동하는 실린더기구만을 이용하여 무전원 상태에서 자동으로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등록 발명을 포함하는 여타 모든 회동식 수문은 물을 담수함으로써 각종 물고기나 식물, 곤충 등이 서식하는 자연적인 생태환경을 조성함에도 이를 적극 활용하지 못하고, 단지 물을 담수하거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었다.
따라서, 주민들에게 환경친화적인 친수공간 및 생태체험공간으로 다가설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문이 흐르는 물의 담수 및 유량조절의 기능만을 수행함을 탈피하여 주민들이 수문의 상단에 수평상으로 펼쳐지도록 설치된 징검다리를 건너면서 산책을 즐길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친수공간 및 생태체험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문의 상단에 징검다리의 일측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징검다리의 타측 저면에 지지륜이 하단부에 부착된 받침대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받침대의 전방에는 받침대의 꺾임을 방지하는 꺾임방지대를 징검다리의 저면에 일체로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지지륜을 콘크리트 바닥면에 가압상태로 탄력 지지하면서 징검다리를 건널 때 받침대의 꺾임을 방지하는 탄성 바이어수단을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문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펼쳐지는 징검다리가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징검다리를 건너면서 산책을 즐기거나 물속에서 물고기가 헤엄치는 모습을 감상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친수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물속에 서식하는 각종 어류, 수서 동·식물, 곤충, 조류를 직접 관찰하면서 생태체험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징검다리는 수문의 개방시 징검다리를 받쳐주는 받침대가 수문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접철됨으로써 수문의 개폐작동이 원활하면서도 징검다리 및 받침대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하단부의 회동축(2)을 기점으로 상하로 선회하면서 개폐작동하는 수문(1)에 있어서,
상기 수문(1)의 상단부에 제1 힌지축(1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징검다리(10)와; 상기 제1 힌지축(11)의 타측 징검다리(10)의 저면에 제2 힌지축(2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 지지륜(23)이 부착된 받침대(20)와; 상기 받침대(20)의 전방에 인접한 채 징검다리(10)의 저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받침대(20)가 전방으로 꺾임을 방지하는 꺾임방지대(3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회동식 수문(1), 즉 고정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하단부에 형성된 회동축(2)을 기점으로 상하로 선회하면서 개폐작동하는 회동식 수 문(1)에 징검다리(10)가 일체로 구비되고, 이 징검다리(10)를 받쳐주는 받침대(20)는 수문(1)의 개폐작동시 자동으로 접철되거나 펼쳐지면서 수문(1)의 개폐작동에 어떠한 지장도 주지 않음을 특징적인 요지로 한다.
이와 같은 수문(1)의 상단부에는 징검다리(10)가 제1 힌지축(1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징검다리(10)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디딤돌(12)이 등간격으로 이격 설치됨으로써 상기 디딤돌(12)을 따라 징검다리(10)를 건널 수 있게 된다.
상기 징검다리(10)의 일측은 수문(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반면, 타측에는 징검다리(10)가 하부로 쳐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20)가 연결 설치된다.
즉 상기 받침대(20)는 회동기점인 제1 힌지축(11)의 타측 징검다리(10)의 저면에 제2 힌지축(2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콘크리트 바닥면(3)에 안착되는 지지륜(23)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받침대(20)는 수문(1)이 닫힌 상태에서는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받침대(20)를 안정적으로 받쳐주어 징검다리(10)의 통행이 가능하면서도 수문(1)이 개방될 때에는 후방으로 자동 접철된다.
그리고 받침대(20)의 전방에 인접하여 받침대(20)가 전방으로 꺾임을 방지하는 꺾임방지대(30)가 징검다리(10)의 저면에 일체로 부착된다.
이러한 꺾임방지대(30)는 받침대(20)가 전방으로 꺾임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도 3과 같이 수문(1)이 닫힌 상태에서는 받침대(20)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수문(1)이 개방되는 과정에서는 징검다리(10)가 하강함과 동시에 받침 대(20)가 전방으로 꺾이지 않고 후방으로 자동 접철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대(20)는 수문(1)이 닫힌 상태에서는 꺾임방지대(30)에 의해 전방으로 꺾임 방지되지만 징검다리(10)를 보행자가 거닐 때 지지륜(23)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받침대(20)가 접철될 우려가 있는바 이를 방지하여야만 징검다리(10)가 하부로 주저앉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륜(23)이 안착되는 콘크리트 바닥면(3)은 후방 상향으로 가면서 경사진 경사로(40)로 형성됨으로써 지지륜(23)은 수문(1)이 개방되지 않는 이상 후방으로 접철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수문(1)이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4와 같이 하단부가 받침대(20)에 밀착되면서 징검다리(10)가 하향으로 쳐짐을 방지하는 스토퍼(50)가 상기 징검다리(10)의 저면에 추가로 일체화 부착됨으로써 상기 징검다리(10)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콘크리트 바닥면(3)에 접촉하여 파손됨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받침대(20)의 하단부에 지지륜(23)이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지지륜(23)을 콘크리트 바닥면(3)에 가압상태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 바이어스수단(60)이 받침대(20)의 하측에 구비됨으로써 평상시 보행자가 징검다리(10)를 거닐 때 받침대(20)가 후방으로 접철됨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탄성 바이어스수단(60)의 기술구성은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탄성 부재 삽입부(61-1)가 형성된 탄력지지구(61)가 지지륜(23)의 상단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탄력지지구(61)의 상부 외측에는 탄성하우징(62)이 끼움 결합되되 이 탄성하우징(62)의 상단에는 받침대(2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돌부(62-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 삽입부(61-1) 및 탄성하우징(62)의 내부에는 지지륜(23)을 콘크리트 바닥면(3)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부재(63)가 내재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 삽입부(61-1)의 바닥면 중앙에는 탄성조절축(64)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탄성조절축(64)은 결합돌부(62-1)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채 조절너트(65)가 조립된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조절너트(65)를 조여주거나 풀어줌에 따라 탄력지지구(61)는 탄성부재(63)의 탄성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탄성력의 조절이 완료된 후 결합돌부(62-1)를 받침대(2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하여 일체화 조립함으로써 지지륜(23)을 콘크리트 바닥면(3)에 가압상태로 탄력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문 및 징검다리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문 및 징검다리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문 개방시 징검다리를 받쳐주는 받침대의 접철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문 개방시 받침대가 접철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받침대 및 꺾임방지대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탄성 바이어스수단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7는 본 발명 탄성 바이어스수단의 탄성 조절상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문 10: 징검다리
12: 디딤돌 20: 받침대
23: 지지륜 30: 꺾임방지대
40: 경사로 50: 스토퍼
60: 탄성 바이어스수단 61: 탄력지지구
62: 탄성하우징 63: 탄성부재

Claims (5)

  1. 하단부의 회동축(2)을 기점으로 상하로 선회하면서 개폐작동하는 수문(1)에 있어서,
    상기 수문(1)의 상단부에 제1 힌지축(1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징검다리(10)와;
    상기 제1 힌지축(11)의 타측 징검다리(10)의 저면에 제2 힌지축(2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 지지륜(23)이 부착된 받침대(20)와;
    상기 받침대(20)의 전방에 인접한 채 징검다리(10)의 저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받침대(20)가 전방으로 꺾임을 방지하는 꺾임방지대(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가 구비된 수문.
  2. 제 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바닥면(3)은 수문(1)이 닫힌 상태에서 징검다리(10)를 보행자가 거닐 때 지지륜(23)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받침대(20)가 접철됨을 방지하도록 후방 상향으로 가면서 경사진 경사로(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가 구비된 수문.
  3. 제 1항에 있어서,
    징검다리(10)는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디딤돌(12)이 이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가 구비된 수문.
  4. 제 1항에 있어서,
    징검다리(10)의 저면에는 수문(1)이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받침대(20)에 밀착되면서 징검다리(10)가 하향으로 쳐짐을 방지하는 스토퍼(50)가 일체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가 구비된 수문.
  5. 제 1항에 있어서,
    받침대(20)의 하측에는 지지륜(23)을 콘크리트 바닥면(3)에 가압상태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 바이어스수단(60)이 추가로 구비되는 한편;
    상기 탄성 바이어스수단(60)은 지지륜(23)의 상단에 일체로 부착되고,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탄성부재 삽입부(61-1)가 형성된 탄력지지구(61)와;
    상기 탄력지지구(61)의 상부 외측에 끼움 결합된 채 상단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62-1)가 받침대(2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탄성하우징(62)과;
    상기 탄성부재 삽입부(61-1) 및 탄성하우징(62)의 내부에 내재되어 지지 륜(23)을 콘크리트 바닥면(3)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부재(63)와;
    상기 탄성부재 삽입부(61-1)의 바닥면 중앙에 일체로 부착되고, 결합돌부(62-1)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채 조절너트(65)가 조립된 탄성조절축(6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징검다리가 구비된 수문.
KR1020090040500A 2009-05-09 2009-05-09 징검다리가 구비된 수문 KR100987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500A KR100987707B1 (ko) 2009-05-09 2009-05-09 징검다리가 구비된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500A KR100987707B1 (ko) 2009-05-09 2009-05-09 징검다리가 구비된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7707B1 true KR100987707B1 (ko) 2010-10-13

Family

ID=4313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500A KR100987707B1 (ko) 2009-05-09 2009-05-09 징검다리가 구비된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7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4750A (zh) * 2015-02-10 2015-06-03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双翻转闸门结构
KR101534193B1 (ko) * 2014-11-26 2015-07-13 (주) 신창테크 가변형데크를 포함하는 가변형징검다리 가동보
CN108316254A (zh) * 2018-04-04 2018-07-24 张�杰 一种模块化钢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577B1 (ko) 2004-06-25 2005-03-14 이월용 하부 배출식 교량 겸용 수문
KR200398148Y1 (ko) 2005-07-25 2005-10-11 한상관 유압식 2단 수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577B1 (ko) 2004-06-25 2005-03-14 이월용 하부 배출식 교량 겸용 수문
KR200398148Y1 (ko) 2005-07-25 2005-10-11 한상관 유압식 2단 수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193B1 (ko) * 2014-11-26 2015-07-13 (주) 신창테크 가변형데크를 포함하는 가변형징검다리 가동보
CN104674750A (zh) * 2015-02-10 2015-06-03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双翻转闸门结构
CN108316254A (zh) * 2018-04-04 2018-07-24 张�杰 一种模块化钢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0608B2 (ja) 津波避難用装置
KR100987707B1 (ko) 징검다리가 구비된 수문
CN201962783U (zh) 水闸式地漏
KR101033835B1 (ko) 애완동물용 수중러닝머신
KR100918452B1 (ko) 유속 저감수 살수기능을 갖는 수문 일체형 어도
KR100918451B1 (ko) 수문 일체형 어도
KR20110002487U (ko) 농업용 급수 개폐기
CN201679082U (zh) 一种雨水井防臭装置
CN107620496A (zh) 一种简易无水冲集便式移动厕所的节能洁净系统
KR101971420B1 (ko) 데크로드의 출입 차단 장치
CN207692655U (zh) 不锈钢自动冲洗宠物厕所
KR101582592B1 (ko) 수압 자중식 수문
KR101001588B1 (ko) 무전원 오뚝이형 자동수문
KR101257344B1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KR101112426B1 (ko) 친환경 생태보호 기능을 갖는 수로관
KR101121740B1 (ko) 어도형 전도각도의 조절 가능한 전도 수문
KR101653040B1 (ko) 사계절용 바다 풀장
JP2003166228A (ja) シラスウナギ用魚道システム
CN208965519U (zh) 鱼腹式可调节溢流堰
KR100891028B1 (ko) 축사용 급수기
KR101008462B1 (ko) 치어류 이동용 어도 장치
KR20150057142A (ko) 조립식 수상가옥
CN213724784U (zh) 跳远场地
CN202559485U (zh) 一种节水马桶
CN107771683A (zh) 不锈钢自动冲洗宠物厕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