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912B1 -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 Google Patents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0912B1 KR102320912B1 KR1020190123766A KR20190123766A KR102320912B1 KR 102320912 B1 KR102320912 B1 KR 102320912B1 KR 1020190123766 A KR1020190123766 A KR 1020190123766A KR 20190123766 A KR20190123766 A KR 20190123766A KR 102320912 B1 KR102320912 B1 KR 1023209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ght door
- door members
- fixing
- frame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2—Clos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수관의 수문을 좌,우측 도어부재를 이용하여 좌,우 양측 슬라이딩 이동방식으로 개폐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개선하여 제초작업시 제초기와 간섭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좌,우측 도어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수문 닫힘 동작시 좌,우측 도어부재를 벽체블록에 밀착시켜 농업 용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좌,우측 도어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농업 용수의 유출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수관의 수문을 좌,우측 도어부재를 이용하여 좌,우 양측 슬라이딩 이동방식으로 개폐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개선하여 제초작업시 제초기와 간섭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좌,우측 도어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수문 닫힘 동작시 좌,우측 도어부재를 벽체블록에 밀착시켜 농업 용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좌,우측 도어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농업 용수의 유출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 재배 지역 등과 같은 농경지 등에는 농업용수가 흐르는 농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농수로에는 농업용수를 해당 농경지로 분배 공급하기 위한 도수관이 관통되어 있다.
상기 농수로부터 농경지로 공급되는 농업용수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농수로에서 도수관을 통하여 농경지로 농업 용수를 급수한 후, 도수관을 닫아주어야 한다.
즉, 농사시기에 따라 농수로부터 도수관을 통하여 농경지에 공급되는 농업용수량을 적절한 양과 수위로 공급되도록 한 후, 도수관의 입구를 별도의 마개수단으로 막아주어야 한다.
이에, 농수로의 도수관을 흙으로 덮어 막거나 헝겊 또는 비닐 등으로 틀어박는 비효율적인 방법을 사용하였지만, 장시간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쉽게 도수관이 개방되어 농경지에 공급된 농업용수가 다시 농수로쪽으로 역류하여 배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농수로의 각 도수관 사방면에 장착되는 수문개폐틀과, 농수로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모터와, 모터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철재 수문 등을 포함하는 수문개폐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문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수문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철재 수문 자체가 상당히 무거워서 고가의 모터 동력이 반드시 필요하여, 철재 수문을 제작할 때 큰 면적의 철판을 구비해야 하고 용접 공정 등이 소요되어 제품 단가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터를 사용하지 않는 기구식 농수로 개폐장치의 경우에는 고정편이 형성된 개폐판을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편을 뒤로 회전시켜 상부에 위치하는 걸이구에 고정하여 배출관으로 농수 등을 송수하는 농수로 개폐장치가 널리 알려져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일반적인 기구식 농수로 개폐장치는 구조가 간단한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농지의 수위가 높은 경우에는 수로측으로 역류하는 문제와 함께, 개폐판과 배출관의 접촉면 사이에 끼워지는 불순물(나무뿌리와 자갈 등)로 인하여 누수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과 접촉이 빈번한 고정편의 부식으로 인하여 개폐기능이 조기에 상실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장착되는 개폐판은 가이드 레일 내에서 상승 및 하강작용을 하면서, 경작지 등에 농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종래 농수로용 급수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종래 개폐장치의 작동은, 승강로드를 가압 및 해제시키는 가압 고정볼트에 의하여 상기 개폐판을 고정 및 해제상태로 유지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농수로용 급수개폐장치의 주요구성부인 가압 고정볼트가, 농수와의 상시 접촉에 의한 부식으로 누수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 농수로 개폐장치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8209호 "농수로 개폐장치"(등록일자 : 2010.08.1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드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배출관으로 유입되는 농업용수량을 조절하는 개폐판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쐐기장치를 부착하되, 상기 쐐기장치는 측면이 삼각형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돌출 쐐기편과, 상기 돌출 쐐기편과 밀착 또는 분리되면서 개폐판과 배출관의 밀착링을 압착 또는 이격시키는 상부 및 하부 쐐기봉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는 승강로드와 손잡이가 수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승강로드와 손잡이가 제초작업시 제초기와 간섭되면서 제초기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개폐판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수로를 개방시킬 경우 상당한 힘이 요구되어 사용자의 근골격계 부상 위험이 있었다.
기존 농수로 개폐장치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5752호 "농수로 개폐장치"(등록일자 : 2010.06.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댐 등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과 동시에, 유입 및 차단 기능을 갖는 농수로 개폐장치는, 개폐판을 프레임의 상부고리에 고정시키는 체인과; 상기 개폐판을 일정 각도 내에서 회동시키는 회동힌지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개폐판은 체결볼트로 장착되어 수밀작용을 하는 지수고무를 고정하는 고정원판과; 상기 고정원판을 힌지부의 저면과 용접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대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상기 개폐판이 체인을 걸기 위한 프레임이 상측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앞서와 같이 제초작업시 프레임이 제초기와 간섭되면서 제초기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개폐판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수로를 개방시킬 경우 상당한 힘이 요구되어 사용자의 근골격계 부상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벽체블록의 상측 방향으로 제초작업시 제초기와 간섭되지 않도록 도수관의 수문을 좌,우측 도어부재를 이용하여 좌,우 양측 슬라이딩 이동방식으로 개폐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개선함과 아울러,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좌,우측 도어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문 닫힘 동작시 좌,우측 도어부재를 벽체블록에 밀착시켜 농업 용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좌,우측 도어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농업 용수의 유출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수관이 매립된 벽체블록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너트부재에 의해 상기 벽체블록과 밀착되도록 고정되며, 중앙에 상기 도수관보다 더 큰 직경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블록과 마주보는 후면에 오목한 가이드홈부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홈부의 좌,우측으로 각각 진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서로 간의 간격 조절로 상기 도수관의 수문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좌,우측 도어부재; 및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는 상기 통공의 중심을 향해 서로 마주보는 일측부위가 상기 가이드홈부의 상,하부측에 접촉되고, 일측부위의 높이보다 타측부위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하부가 경사진각도로 형성된 타측 단부에 손잡이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천공된 복수의 결합공과,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공과, 상기 고정공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 중 어느 하나씩에 삽입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측에 후방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기밀수단은 상기 끼움돌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고무 소재의 코팅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의 전면에 배치되는 구름바퀴와, 상기 구름바퀴가 접촉되는 상기 가이드홈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통공의 중심방향인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프레임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더 구비하여서,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가 상기 통공의 중심방향인 내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의 후면이 상기 벽체블록의 전면에 점차적으로 근접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천공된 복수의 결합공과,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공과, 상기 고정공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의 결합공 중 하나씩에 삽입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수관을 개폐하는 개폐구조에서 좌,우측 도어부재를 이용하여 좌,우 양측 슬라이딩 개폐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벽체블록의 상측 방향으로 제초작업시 제초기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힘으로도 도수관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측 도어부재와 가이드홈부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력을 줄일 수 있고 좌,우측 도어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름바퀴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좌,우측 도어부재의 슬라이딩 이동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정공과 결합공에 고정핀을 결합시키는 핀 결합방식으로 좌,우측 도어부재를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좌,우측 도어부재의 좌,우 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좌,우측 도어부재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켜 도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농업 용수의 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도수관이 개방되도록 좌,우측 도어부재가 슬라이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 좌,우측 도어부재에 의해 도수관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b 및 도 4c는 도수관이 일부 개방 및 완전 개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기밀수단의 변형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도수관이 개방되도록 좌,우측 도어부재가 슬라이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 좌,우측 도어부재에 의해 도수관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b 및 도 4c는 도수관이 일부 개방 및 완전 개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기밀수단의 변형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수관(20)이 매립된 벽체블록(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볼트(100)와; 상기 고정볼트(100)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너트부재(400)에 의해 상기 벽체블록(10)과 밀착되도록 고정되며, 중앙에 상기 도수관(20)보다 더 큰 직경의 통공(205)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블록(10)과 마주보는 후면에 오목한 가이드홈부(210)가 형성된 프레임(200)과; 상기 가이드홈부(210)의 좌,우측으로 각각 진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서로 간의 간격 조절로 상기 도수관(20)의 수문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좌,우측 도어부재(310,320); 및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를 상기 프레임(20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도수관(20)이 매립된 상태의 벽체블록(10)은 상기 도수관(20)의 주위에 프레임(200)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볼트(100)가 복수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200)은 중앙에 통공(205)이 형성된 사각형 단면 구조로서, 각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고정볼트(100)가 관통되도록 연결공(207)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부재(400)는 상기 프레임(200)의 연결공(207)을 관통하여 전방측으로 돌출된 고정볼트(100)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200)을 벽체블록(10)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200)은 통공(205)의 중심이 상기 도수관(2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고정볼트(100)와 너트부재(400)에 의해 벽체블록(10)에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200)의 통공(205)은 상기 도수관(2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200)은 후면에 오목한 가이드홈부(210)가 상기 통공(205)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가이드홈부(210)는 상기 프레임(200)의 후면측에 후방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는 상기 가이드홈부(210)의 좌,우 양측에서 진입되고,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312,322)이 서로 밀착됨에 따라 상기 도수관(20)의 유로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전면 상,하측에는 구름바퀴(610)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 구름바퀴(610)는 상기 가이드홈부(210) 내로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가 진입할 경우 상기 가이드홈부(210)의 내측면과 접촉되면서 구름 운동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는 대향면(312,322)의 반대편인 양 외측의 타측 부위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15,325)가 구비된다.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312,322)에는 도수관(20)으로부터 유입되는 농업 용수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도록 기밀수단(500)이 마련된다.
상기 기밀수단(500)은 상기 좌측 도어부재의 대향면(312)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510)과, 상기 우측 도어부재의 대향면(322)에 돌출되고 상기 수용홈(510) 내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끼움돌부(520)로 구성된다.
상기 끼움돌부(520)는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대향면(312,322)들이 면접촉될 경우, 상기 수용홈(510) 내에 진입된다.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상기 통공(205)의 중심을 향해 서로 마주보는 일측부위가 상기 가이드홈부(210)의 상,하부측에 접촉되고, 일측부위의 높이보다 타측부위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하부가 경사진각도로 형성된 타측 단부에 손잡이(315,325)가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일측부위가 상기 가이드홈부(210)의 상,하부측에 접촉되고 타측부위가 상기 가이드홈부(210)의 상,하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와 상기 가이드홈부(210)의 접촉부위가 최소화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는 상기 가이드홈부(210)의 좌,우측에서 각각 진입된 후에 상기 통공(205)의 중심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도수관(20)의 유로 개방을 위해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를 상기 가이드홈부(210)의 양 외측으로 슬라이딩동작시킬 때,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와 가이드홈부(210)의 접촉부위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슬라이딩 동작을 최소한의 힘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700)은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천공된 복수의 결합공(710)과, 상기 프레임(2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공(720)과, 상기 고정공(720)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710) 중 어느 하나씩에 삽입되는 고정핀(7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700)은 상기 고정핀(730)을 상기 프레임(200)의 고정공(720)을 통해 상기 좌측 도어부재의 결합공(710) 중 하나와 상기 우측 도어부재의 결합공(710) 중 하나에 각각 삽입시키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슬라이딩 동작이 완료된 후에 좌,우측 도어부재(310,32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구름바퀴(610)가 접촉되는 상기 가이드홈부(210)의 내측면에는 상기 프레임(200)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통공(205)의 중심방향인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프레임(200)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된 경사면(620)을 더 구비한다.
즉, 상기 경사면(620)은 상기 가이드홈부(210)의 내측면에 좌,우측 양측 테두리로부터 상기 통공(205)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프레임(200)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상대적으로 상기 프레임(200)의 좌,우측 양측 테두리부위 두께가 상기 프레임(200)의 통공(205) 테두리 두께보다 더 얇은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가 상기 통공(205)의 중심방향인 내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200)의 부위별 두께 차에 해당하는 두께만큼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후면이 상기 벽체블록(10)의 전면에 점차적으로 근접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620) 중 프레임(200)의 가장 두꺼운 부위에 구름바퀴(610)가 위치할 경우, 상기 경사면(620)으로부터 구름바퀴(610)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이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후면을 벽체블록(10)에 밀착시키고,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후면과 도수관(20)과의 틈새 간극을 최소화함으로써,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닫힘동작시 도수관(20)으로부터 공급되는 농업용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가 양 외측으로 슬라이딩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름바퀴(610)가 프레임(200)의 좌,우 양측단과 근접된 위치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구름바퀴(610)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이 해소되면서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후면과 벽체블록(10)의 밀착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평상시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대향면(312,322)들이 서로 면접촉되도록 닫힘동작될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도어부재(310,320)가 도수관(20)의 출구를 폐쇄하게 되어 도수관(20)을 통해 공급되는 농업용수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700)의 고정핀(730)을 상기 고정공(720)을 통해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결합공(710)에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좌,우측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구름바퀴(610)는 경사면(620) 중 프레임(200)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부위에 접촉되고,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후면을 벽체블록(10)의 전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한 도수관(20)의 개방동작은 사용자가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손잡이(315,325)를 파지한 상태로 외측으로 당기면, 대향면(312,322)이 각각 서로 멀어지면서 상기 끼움돌부(520)가 수용홈(51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대향면(312,322) 간격에 따라 상기 도수관(20)의 일부가 개방되어 농업 용수의 유출량을 조절하거나,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대향면(312,322)들 간격이 상기 도수관(20)이 완전 개방되어 농업 용수를 농수로측에 최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도수관(20) 개방을 위한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위치는 앞서 설명한 고정수단(700)에 의해 고정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농업 용수의 유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도수관(20)을 개폐하는 개폐구조에서 좌,우측 도어부재(310,320)를 이용하여 좌,우 양측 슬라이딩 개폐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벽체블록(10)의 상측 방향으로 제초작업시 제초기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힘으로도 도수관(20)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와 가이드홈부(210)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력을 줄일 수 있고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름바퀴(610)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슬라이딩 이동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정공(720)과 결합공(710)에 고정핀(730)을 결합시키는 핀 결합방식으로 좌,우측 도어부재(310,320)를 프레임(200)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좌,우 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켜 도수관(20)을 통해 공급되는 농업 용수의 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 기밀수단의 변형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기밀수단(500)은 앞서 설명한 수용홈(510)부와 끼움돌부(520)외에, 상기 끼움돌부(52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자체 탄성을 갖는 고무소재로 구성된 코팅부(525)가 더 구비된 것이다.
상기 코팅부(525)는 상기 끼움돌부(520)와 수용홈(510)의 결합시 상기 수용홈(510)의 내측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끼움돌부(520)와 수용홈(510) 사이의 "ㄷ"자형의 틈새 간극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도수관(20)의 농업용수 유출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벽체블록 20 : 도수관
100 : 고정볼트 200 : 프레임
205 : 통공 207 : 연결공
210 : 가이드홈부 310,320 : 좌,우측 도어부재
312,322 : 대향면 315,325 : 손잡이
400 : 너트부재 500 : 기밀수단
510 : 수용홈 520 : 끼움돌부
525 : 코팅부 610 : 구름바퀴
620 : 경사면 700 : 고정수단
710 : 결합공 720 : 고정공
730 : 고정핀
100 : 고정볼트 200 : 프레임
205 : 통공 207 : 연결공
210 : 가이드홈부 310,320 : 좌,우측 도어부재
312,322 : 대향면 315,325 : 손잡이
400 : 너트부재 500 : 기밀수단
510 : 수용홈 520 : 끼움돌부
525 : 코팅부 610 : 구름바퀴
620 : 경사면 700 : 고정수단
710 : 결합공 720 : 고정공
730 : 고정핀
Claims (5)
- 도수관(20)이 매립된 벽체블록(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볼트(100)와;
상기 고정볼트(100)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너트부재(400)에 의해 상기 벽체블록(10)과 밀착되도록 고정되며, 중앙에 상기 도수관(20)보다 더 큰 직경의 통공(205)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블록(10)과 마주보는 후면에 오목한 가이드홈부(210)이 형성된 프레임(200)과;
상기 가이드홈부(210)의 좌,우측으로 각각 진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서로 간의 간격 조절로 상기 도수관(20)의 수문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좌,우측 도어부재(310,320); 및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를 상기 프레임(20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700);을 구비하며,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는 상기 통공(205)의 중심을 향해 서로 마주보는 일측부위가 상기 가이드홈부(210)의 상,하부측에 접촉되고, 일측부위의 높이보다 타측부위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하부가 경사진 각도로 형성된 타측 단부에 손잡이(315,325)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고정수단(700)은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천공된 복수의 결합공(710)과, 상기 프레임(2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공(720)과, 상기 고정공(720)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710) 중 어느 하나씩에 삽입되는 고정핀(7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부(210)는 상기 프레임(200)의 후면측에 후방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312,322)에 기밀수단(500)이 더 구비되며,
상기 기밀수단(500)은 상기 좌측 도어부재의 대향면(312)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510)과,
상기 우측 도어부재의 대향면(322)에 돌출되고 상기 수용홈(510) 내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끼움돌부(5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밀수단(500)은 상기 끼움돌부(52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고무 소재의 코팅부(525)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전면에 배치되는 구름바퀴(610)와,
상기 구름바퀴(610)가 접촉되는 상기 가이드홈부(210)의 내측면에는 상기 프레임(200)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통공(205)의 중심방향인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프레임(200)의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된 경사면(620)을 더 구비하여서,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가 상기 통공(205)의 중심방향인 내측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좌,우측 도어부재(310,320)의 후면이 상기 벽체블록(10)의 전면에 점차적으로 근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3766A KR102320912B1 (ko) | 2019-10-07 | 2019-10-07 |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3766A KR102320912B1 (ko) | 2019-10-07 | 2019-10-07 |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1660A KR20210041660A (ko) | 2021-04-16 |
KR102320912B1 true KR102320912B1 (ko) | 2021-11-04 |
Family
ID=75743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3766A KR102320912B1 (ko) | 2019-10-07 | 2019-10-07 |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091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57946A (zh) * | 2022-03-15 | 2022-06-24 | 黄河水利委员会黄河水利科学研究院 | 一种闸门限位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2295Y1 (ko) * | 2009-09-04 | 2012-09-04 | 장관 | 농업용 급수 개폐기 |
KR101862780B1 (ko) * | 2016-08-03 | 2018-05-30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양방향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5752B1 (ko) | 2010-02-04 | 2010-06-24 | 장영진 | 농수로 개폐장치 |
KR100978209B1 (ko) | 2010-03-23 | 2010-08-25 | 장영진 | 농수로 개폐장치 |
-
2019
- 2019-10-07 KR KR1020190123766A patent/KR102320912B1/ko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2295Y1 (ko) * | 2009-09-04 | 2012-09-04 | 장관 | 농업용 급수 개폐기 |
KR101862780B1 (ko) * | 2016-08-03 | 2018-05-30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양방향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1660A (ko) | 2021-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9244B1 (ko) | 농수로용 수문개폐구 | |
KR102320912B1 (ko) |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 |
KR200450776Y1 (ko) | 농수로용 급수개폐장치 | |
KR20140114601A (ko) | 실링장치를 구비한 하천용 수문 | |
KR101370040B1 (ko) | 복식 문비 | |
KR101786925B1 (ko) |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 |
KR20180120439A (ko) |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 | |
KR200462295Y1 (ko) | 농업용 급수 개폐기 | |
KR100922874B1 (ko) | 수로관 | |
KR101025254B1 (ko) | 농업용 배수장치 | |
KR200425877Y1 (ko) |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 |
KR102348570B1 (ko) |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 |
KR102393318B1 (ko) | 용수 조절이 가능한 농수로 수문 개폐장치 | |
KR20090129127A (ko) | 관개수로용 수문 | |
KR101971132B1 (ko) | 수동식 급수개폐기 | |
KR101677041B1 (ko) | 슬라이드밸브를 이용한 수차단 개폐장치 | |
JP2002250024A (ja) | 水 門 | |
KR20120015475A (ko) |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 |
KR102106061B1 (ko) | 수문장치 | |
KR101968576B1 (ko) | 농수로용 수문개폐장치 | |
KR102283653B1 (ko) |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 |
US20180066764A1 (en) | Fast acting valve | |
KR200392567Y1 (ko) | 개수로의 문비개폐 조절장치 | |
KR20110085506A (ko) | 농수로용 수문개폐구 | |
KR200248781Y1 (ko) | 농수로용 급수밸브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