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061B1 - 수문장치 - Google Patents

수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061B1
KR102106061B1 KR1020180042352A KR20180042352A KR102106061B1 KR 102106061 B1 KR102106061 B1 KR 102106061B1 KR 1020180042352 A KR1020180042352 A KR 1020180042352A KR 20180042352 A KR20180042352 A KR 20180042352A KR 102106061 B1 KR102106061 B1 KR 102106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ain
present
air supply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473A (ko
Inventor
원종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원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원산업
Priority to KR1020180042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06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구에 공기를 공급하여 줄 수 있는 공기 공급관을 설치하여 배수능력을 개선할 수 있게끔 발명한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작 핸들(21)을 구비하는 횡형 권양기(20)에 의해 승하강 구동이 이루어지는 구동 샤프트(22) 하단에 커플링(C)으로 연결되는 승강 샤프트(23)를 설치하고, 배수구(35)를 구비하는 지지플레이트(30)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개폐기(32)와 승강 샤프트(23)를 연결하여 승강 샤프트(23)를 따라 개폐기(32)가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하며 배수구(35)를 개폐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가둠 시설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중 폭우 시에 범람의 위험성을 줄여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문장치{water gate}
본 발명은 수문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배수구에 공기를 공급하여 줄 수 있는 공기 공급관을 설치하여 배수능력을 개선할 수 있게끔 발명한 수문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물가둠을 위한 저수지 등과 같은 관제시설에는 필요에 따라 저수된 물을 배수시켜 주기 위한 수문을 설치하는데, 종래의 수문 중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입설되는 지주대 사이에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물막이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물막이를 지주대로부터 분리하여 저수된 물을 배수하여 줄 수 있도록 한 수문이 있다.
상기한 수문은 저수된 물 중에서 상층부의 물에 대한 배수가 이루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저수지 바닥면에 상당한 침전물이 쌓이게 되어 저수지의 수질을 악화시키고 저수량이 줄어들 수밖에 없으며, 그로 인해 저수지 바닥에 대한 준설작업을 수시로 진행하여야 하므로 준설에 따른 비용의 낭비와 저수지 이용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그에 따라 물가둠 시설에 있어 제방에 바닥면과 연결되는 배수관(배수로)을 설치하고 배수관의 선단에 개폐기를 이용해 배수공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수문을 설치하여 배수공을 개방시키면 저수된 물 중에서 하층부의 물에 대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바닥에 침전물이 쌓이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가둠 시설의 제방에 바닥면과 연결되는 배수관(배수로)을 설치하고 배수관의 선단에 설치된 수문의 개폐기를 개방하여 저수된 물을 배수시킬 경우에는 저수된 물의 엄청난 수압으로 인해 배수구에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물가둠 시설의 배수능력 저하는 물가둠 시설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기습적인 집중 폭우가 발생할 시에는 범람의 위험까지 야기할 수 있다.
한편, 물가둠 시설에 저수된 물은 필요에 따라서 농사용으로 끌어 사용할 수 있는데, 농사용으로 사용되는 물은 수온이 높을 경우 농작물의 생육성장에 유리하다. 따라서, 물가둠 시설에 저수된 물을 농사용으로 사용함에 있어서는 햇볕에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한 표면(상층부)의 물부터 순차적으로 끌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문 구조로 야기되는 배수능력의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수문장치에 독립된 형태의 공기 공급관을 설치하여 배수구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압에 의한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문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인바, 본 발명은 물가둠 시설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수문 시공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가둠 시설에 저수된 물을 농사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시에는 햇볕에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한 표면(상층부)의 물부터 순차적으로 끌어 쓸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농작물의 발육생장에 기여할 수 있는 수문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작 핸들을 구비하는 횡형 권양기에 의해 승하강 구동이 이루어지는 구동 샤프트 하단에 커플링으로 연결되는 승강 샤프트를 설치하고, 지지플레이트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개폐기와 승강 샤프트를 연결하여 승강 샤프트를 따라 개폐기가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하며 배수구를 개폐시키도록 구성한 수문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배수구는 지지플레이트 후방으로 신장하는 연장부재에 형성되도록 하고, 중공의 파이프체로 제조되고 상단부에 복수의 통기공을 형성하여서 된 공기 공급관의 하단 연결부를 연장부재에 결합하여 공기 공급관과 연장부재 내부의 배수구가 상호 연통하도록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문장치는 공기 공급관을 이용해 배수구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물의 병목현상을 완화하여 배수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물가둠 시설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중 폭우 시에 범람의 위험성을 줄여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공급관에 부가설비를 추가하여 필요에 따라서 수문장치를 농업용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여 줄 있도록 한 것으로, 물가둠 시설에 저수된 물을 끌어서 농사용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햇볕에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한 표면(상층부)의 물부터 순차적으로 끌어 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수온의 물을 종사에 사용하여 농작물의 발육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등 본 발명은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문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파절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세하는 수문장치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문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파절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문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7 [A],[B]는 도 6에 표시된 Z부를 발췌하여 그 구성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문장치(1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작 핸들(21)을 구비하는 횡형 권양기(20)에 의해 승하강 구동이 이루어지는 구동 샤프트(22) 하단에 커플링(C)으로 연결되는 승강 샤프트(23)를 설치하고, 지지플레이트(30)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개폐기(32)와 승강 샤프트(23)를 연결하여 승강 샤프트(23)를 따라 개폐기(35)가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하며 배수구(35)를 개폐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개폐기(32)에 구비된 제1 고정 브라켓(31A)을 통과하는 승강 샤프트(23)의 하단부를 제2 고정브라켓(31B)으로 통과시켜 고정하고, 상기 개폐기(32)는 양측에 마련되는 슬라이드 부재가 지지플레이트(30)과 가이드 블럭(33) 사이에 개재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이드 블럭(33)을 볼트결합하여 개폐기(32)가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하며 배수구(35)를 개폐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0)에 마련되는 배수구(35)는 지지플레이트(30) 후방으로 신장하는 연장부재(34) 내부에 형성되도록 하고, 중공의 파이프체로 제조되고 상단부에 복수의 통기공(41)을 형성하여서 된 공기 공급관(40)의 하단 연결부(42)를 연장부재(34)에 결합하여 공기 공급관(40)과 연장부재(34) 내부에 형성되는 배수구(35)가 상호 연통하도록 구성한다.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가둠 시설의 제방(W) 외벽에 횡형 권양기(20)를 고정하여 설치하고, 횡형 권양기(20)의 구동 샤프트(22)와 커플링(C)으로 연결되는 승강 샤프트(23)를 제방 외벽에 고정한 지지 브라켓(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횡형 권양기(20)의 조작 핸들(21)을 정,역회전시키면 구동 샤프트(22)와 연결된 승강 샤프트(23)가 승하강 구동하면서 지지플레이트(3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기(32)가 배수구(35)를 개폐시켜 저수된 물을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 파이프로 이루어진 공기 공급관(40)의 하단 연결부(42)를 연결부재(34)에 결합하여 공기 공급관(40)과 연결부재(34) 내부의 배수구(35)가 연통하도록 한 것으로, 배수구(35)를 개폐시켜 배수작업이 진행될 시에 공기 공급관(40)을 통해 배수구(35)에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고, 배수구(35)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배수공(31)을 통해 배수되는 물의 병목현상을 완화하여 배수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물가둠 시설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능력을 확보함으로써 집중 폭우 시에 범람의 위험성을 줄여줄 수 있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문장치(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핸들(21)을 구비하는 횡형 권양기(20)에 의해 승하강 구동이 이루어지는 구동 샤프트(22) 하단에 커플링(C)으로 연결되는 승강 샤프트(23)를 설치하고, 지지플레이트(30)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개폐기(32)와 승강 샤프트(23)를 연결하여 승강 샤프트(23)를 따라 개폐기(35)가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하며 배수구(35)를 개폐시키도록 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0)에 마련되는 배수구(35)는 지지플레이트(30) 후방으로 신장하는 연장부재(34)에 형성되도록 하고, 중공의 파이프체로 제조되고 상단부에 복수의 통기공(41)을 형성하여서 된 공기 공급관(40)의 하단 연결부(42)를 연장부재(34)에 결합하여 공기 공급관(40)과 연장부재(34) 내부의 배수구(35)가 상호 연통하도록 수문장치(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34)에 결합되는 공기 공급관(40)에는 복수의 분기관(43)을 설치하고, 각 분기관(43)의 단부에 개폐수단(44)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서 분기관(43)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44)은 필요에 따라서 분기관(43)을 개방시켜 공기 공급관(40)내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거나 분기관(43)을 폐쇄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수단(44)은 분기관(43)에 결합되는 플랜지부(441)와, 상기 플랜지부(441)에 힌지결합되는 커버체(442)로 구성하고, 플랜지부(441)와 커버체(442) 간에 공지된 구성의 클램프를 설치하여 커버체(442)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개폐수단(44)은 분기관(43)을 개방하거나 폐쇄시켜 줄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면 충분하다 할 것인바, 분기관(43) 단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분기관(43) 단부에 결합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는 밀폐캡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나사결합방식으로 분기관(43)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구성을 개폐수단(44)으로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할 경우 공기 공급관(40)의 분기관(43)에 설치된 개폐수단(44)을 개방하여 분기관(43)을 통해 유입된 물이 공기 공급관(40)을 경유하게 하여 배수구(35)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 공기 공급관(40)을 이용하여 수문장치(10)를 농업용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공급관(40)에 설치된 분기관(43)을 통해 저수된 물을 배출시켜 줄 수 있는데, 분기관(43)이 상단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므로 상단에 위치한 분기관(43)부터 순차적으로 개폐수단(44)을 열어 주면 표면(상층부)의 물부터 순차적으로 배출하여 농업용 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문장치(10)는 물가둠 시설에 저수된 물을 끌어서 농사용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햇볕에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한 표면(상층부)의 물부터 순차적으로 끌어 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수온의 물을 농사에 사용하게 할 수 있어 농작물의 발육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는 것임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수문 20: 횡형 권양기
21: 조작 핸들 22: 구동 샤프트
23: 승강 샤프트 30: 지지플레이트
32: 개폐기 33: 가이드 블럭
34: 연장부재 35: 배수구
40: 공기 공급관 41: 통기공
42: 하단 연결부
B :지지 브라켓 C : 커플링
W : 제방

Claims (2)

  1. 조작 핸들(21)을 구비하는 횡형 권양기(20)에 의해 승하강 구동이 이루어지는 구동 샤프트(22) 하단에 커플링(C)으로 연결되는 승강 샤프트(23)를 설치하고, 지지플레이트(30)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개폐기(32)와 승강 샤프트(23)를 연결하여 승강 샤프트(23)를 따라 개폐기(32)가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하며 배수구(35)를 개폐시키도록 구성한 수문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0)에 마련되는 배수구(35)는 지지플레이트(30) 후방으로 신장하는 연장부재(34) 내부에 형성되도록 하고, 중공의 파이프체로 제조되고 상단부에 복수의 통기공(41)을 형성하여서 된 공기 공급관(40)의 하단 연결부(42)를 연장부재(34)에 결합하여 공기 공급관(40)과 연장부재(34) 내부의 배수구(35)가 상호 연통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연장부재(34)에 결합되는 공기 공급관(40)에는 복수의 분기관(43)을 설치하고, 각 분기관(43)의 단부에 개폐수단(44)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서 분기관(43)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장치.
  2. 삭제
KR1020180042352A 2018-04-10 2018-04-10 수문장치 KR102106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352A KR102106061B1 (ko) 2018-04-10 2018-04-10 수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352A KR102106061B1 (ko) 2018-04-10 2018-04-10 수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473A KR20190118473A (ko) 2019-10-18
KR102106061B1 true KR102106061B1 (ko) 2020-05-04

Family

ID=6846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352A KR102106061B1 (ko) 2018-04-10 2018-04-10 수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541A (ko) 2021-04-22 2022-10-31 (주)한성기계설비 우수한 기밀성과 높은 수명을 보장하는 수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8321A (zh) * 2020-01-13 2020-05-22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进水口快速闸门通气孔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745A (ja) * 2000-09-19 2002-03-27 Sato Tekko Co Ltd 選択取水ゲート
KR100744165B1 (ko) * 2006-02-28 2007-08-01 이청규 급수 조절기
JP5841950B2 (ja) * 2010-12-27 2016-01-13 薫 橋詰 水門扉の昇降開閉装置
KR101788194B1 (ko) * 2016-02-25 2017-10-20 주식회사 진원산업 배수능력이 개선된 수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377U (ko) * 1999-02-22 2000-09-25 이청규 수문권양기의 수문 개폐레버와 구동샤프트의 결합구조
KR20160013364A (ko) * 2014-07-25 2016-02-04 (주)금강이엔지 인양식 수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745A (ja) * 2000-09-19 2002-03-27 Sato Tekko Co Ltd 選択取水ゲート
KR100744165B1 (ko) * 2006-02-28 2007-08-01 이청규 급수 조절기
JP5841950B2 (ja) * 2010-12-27 2016-01-13 薫 橋詰 水門扉の昇降開閉装置
KR101788194B1 (ko) * 2016-02-25 2017-10-20 주식회사 진원산업 배수능력이 개선된 수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541A (ko) 2021-04-22 2022-10-31 (주)한성기계설비 우수한 기밀성과 높은 수명을 보장하는 수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473A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061B1 (ko) 수문장치
KR101209244B1 (ko) 농수로용 수문개폐구
US10233602B2 (en) Resevoir dredging assembly
KR101324671B1 (ko) 설치구조를 개선시킨 수문용 게이트 펌프
CN205530386U (zh) 一种具有泄水孔管的地下工程用水压控制系统
CN205422723U (zh) 盾构机排浆管的防堵装置
CN111472331A (zh) 水位管理设备和农田灌溉排水系统
KR101788194B1 (ko) 배수능력이 개선된 수문장치
KR200450776Y1 (ko) 농수로용 급수개폐장치
KR101437644B1 (ko) 수문장치
KR20060109710A (ko) 유압식 전도 수문
KR101976669B1 (ko)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
CN104313932B (zh) 碎竹片蒸煮装置
CN110804762B (zh) 蚕茧渗透装置
KR102152509B1 (ko) 저수지의 취수 및 배수용 수문장치
KR101040996B1 (ko) 육상에서 어류를 양식하기 위한 양어장
CN207538155U (zh) 一种分流井及其泵提升装置
KR20180022168A (ko) 수문장치
KR100779448B1 (ko) 가축분뇨 액비저장조의 침전물제거장치
CN206157883U (zh) 一种下水道污泥挖提机
KR102320912B1 (ko)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CN104452387B (zh) 碎竹蒸煮的实现方法
KR101387699B1 (ko) 배수로 슬러지 준설 재활용 설비와 준설 재활용 공법
CN103850221B (zh) 可调式多功能多级堰板
CN111632417A (zh) 一种带有过滤组件的厨房污水阀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