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570B1 -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570B1
KR102348570B1 KR1020210112143A KR20210112143A KR102348570B1 KR 102348570 B1 KR102348570 B1 KR 102348570B1 KR 1020210112143 A KR1020210112143 A KR 1020210112143A KR 20210112143 A KR20210112143 A KR 20210112143A KR 102348570 B1 KR102348570 B1 KR 102348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ng
snap ring
tube portion
elb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연
김식
Original Assignee
굿비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굿비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굿비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2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본 발명은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갖는 소켓 본체(110), 상기 소켓 본체의 내주면 중앙에 형성된 경계링(111), 상기 소켓 본체(110)의 내주면 양 측에 마련되어 스냅링의 외주면 부위가 삽입되는 스냅링 외부 삽입홈(112), 상기 소켓 본체(110)의 양 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출링부(113), 상기 돌출링부의 표면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며 그 표면에는 결합홈(114a)이 마련된 시트부(114), 상기 시트부의 내향측에 형성되는 스토핑 링부(115),를 포함하는 파이프 소켓(100); 상기 소켓 본체(110)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관부(210), 상기 제1 삽입관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제1 노출관부(220)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삽입관부(210)는 그 단부가 상기 경계링(111)의 일측에 밀착될 때까지 소켓 본체(110)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며, 그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오링홈(211)과 스냅링의 내주면 부위가 삽입되는 제1 스냅링 내부 삽입홈(2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노출관부(220)의 단부측 외주면에는 제1 숫나사부(221)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제1 드레인 엘보우관(200); 상기 소켓 본체(110)의 타측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관부(310), 상기 제2 삽입관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제2 노출관부(320)로 구성되되, 상기 제2 삽입관부(310)는 그 단부가 상기 경계링(111)의 타측에 밀착될 때까지 소켓 본체(110)의 타측 내부로 삽입되되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삽입관부(31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며, 그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오링홈(311)과 스냅링의 내부면 부위가 삽입되는 제2 스냅링 내부 삽입홈(3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노출관부(320)의 단부측 외주면에는 제2 숫나사부(321)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 상기 시트부(114) 상에 안착되되, 그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홈(114a)에 끼움되는 결합돌기(410)가 마련된 소켓링(400); 상기 스냅링 외부 삽입홈(112)과 제1 스냅링 내부 삽입홈(212) 사이 및 상기 스냅링 외부 삽입홈(112)과 제2 스냅링 내부 삽입홈(312) 사이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제1, 2 드레인 엘보우관(200,300)이 파이프 소켓(100)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500); 상기 제1, 2 드레인 엘보우관(200,300)의 제1, 2 오링홈(211,311)에 각각 요입되는 오링(600);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dual elbow type irrigation gate}
본 발명은 농경지에 물을 대거나 또는 농경지로부터 물을 빼기 위한 수로 역할을 하는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에 관련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파이프 소켓을 사이에 두고 그 양 쪽으로 상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관이 설치됨으로써 농경지로의 입수량 및 농경지로부터의 출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설치각도 또한 조절이 가능하여 설치상 편의성이 제공되는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에 관한 것이다.
논과 같은 담수 농경지는 그 둘레에 물을 가두기 위한 둑이 있고, 둑에는 담수 농경지의 안쪽으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취수 물꼬와 농경지 안쪽의 담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 물꼬가 설치된다. 이들 취수 물꼬와 배수 물꼬는 취수로 또는 배수로와 연결된다.
관련 선행문헌 중 하나인 공개실용신안 제1999-1639호(선행문헌 1)에서는 담수 농경지의 안쪽과 바깥쪽을 연결하는 수문을 만들고, 이 수문을 수위조절판으로 개폐시키는 물꼬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물꼬는 수문을 갖는 물꼬본체와, 물꼬본체의 수문에 힌지 결합되는 수위 조절판과, 물꼬본체의 양측 고정벽에 구성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수위조절판을 회전시켜 수위조절판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후크걸림구를 가이드레일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되는 복수의 후크걸림홈에 걸리게 함으로써 수위조절판의 열림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선행문헌 1에 개시된 배수물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위조절판 회전부위와 물꼬본체의 양 측 고정벽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겨서 이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게 되며, 여름철 뜨거운 태양열에 의한 열화작용으로 플라스틱 회전부재 또는 양 측 고정부재가 변형되면서 개폐작동이 원활치 않을 수 있다.
또한, 수위조절판이 회전하면서 수문의 하부로부터 개방되기 때문에 배수압이 커서 수위조절판의 열림각도를 조절하기가 쉽지 않고, 수위조절판을 닫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다.
또한, 가이드레일에 흙이나 덤불 등의 이물질이 끼게 되면 수위조절판의 후크걸림구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기 어렵고, 장시간 사용하면 후크걸림구가 마모되어 후크걸림구가 가이드레일의 후크걸림홈에서 이탈되어 수문이 쉽게 개방되는 문제도 있다.
또 다른 선행문헌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9382호(선행문헌 2)는 담수 농격지의 둑에 설치되어, 담수 농격지에 담수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물관용 수동 배수물꼬로서, 둑에 매립 설치되는 물꼬 몸체와, 상기 담수 농경지의 안쪽과 바깥쪽을 연결하도록 물꼬 몸체에 관통 설치되는 배수관과, 배수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담수 농경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배수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되, 유입부와 연결부가 소정걱도를 이루는 엘보우형 유입관을 포함하고, 엘보우형 유입관의 회전 각도에 따라 유입부의 높이가 담수 농경지의 수위보다 높거나 낮게 조절되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선행문헌 2는 물꼬 몸체가 구비되어 있어서 구성이 복잡하고 볼륨이 커서 설치가 난해하고, 배수관이 직관형으로 되어 각도 조절이 어려운 구조여서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설치상 제약이 따른다.
문헌 1 :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1639호 문헌 2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9382호 문헌 3 : 등록특허공보 제10-175771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파이프 소켓을 사이에 두고 그 양 쪽으로 상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관을 연결 설치함으로써 농경지로의 입수량 및 농경지로부터의 출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설치각도 또한 조절이 가능하여 설치상 편의성이 제공되는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갖는 소켓 본체(110), 상기 소켓 본체의 내주면 중앙에 형성된 경계링(111), 상기 소켓 본체(110)의 내주면 양 측에 마련되어 스냅링의 외주면 부위가 삽입되는 스냅링 외부 삽입홈(112), 상기 소켓 본체(110)의 양 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출링부(113), 상기 돌출링부의 표면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며 그 표면에는 결합홈(114a)이 마련된 시트부(114), 상기 시트부의 내향측에 형성되는 스토핑 링부(115),를 포함하는 파이프 소켓(100); 상기 소켓 본체(110)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관부(210), 상기 제1 삽입관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제1 노출관부(220)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삽입관부(210)는 그 단부가 상기 경계링(111)의 일측에 밀착될 때까지 소켓 본체(110)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며, 그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오링홈(211)과 스냅링의 내주면 부위가 삽입되는 제1 스냅링 내부 삽입홈(2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노출관부(220)의 단부측 외주면에는 제1 숫나사부(221)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제1 드레인 엘보우관(200); 상기 소켓 본체(110)의 타측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관부(310), 상기 제2 삽입관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제2 노출관부(320)로 구성되되, 상기 제2 삽입관부(310)는 그 단부가 상기 경계링(111)의 타측에 밀착될 때까지 소켓 본체(110)의 타측 내부로 삽입되되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삽입관부(31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며, 그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오링홈(311)과 스냅링의 내부면 부위가 삽입되는 제2 스냅링 내부 삽입홈(3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노출관부(320)의 단부측 외주면에는 제2 숫나사부(321)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 상기 시트부(114) 상에 안착되되, 그 내주면에는 상기 시트부(114)에 안착되는 결합돌기(410)가 마련된 소켓링(400); 상기 스냅링 외부 삽입홈(112)과 제1 스냅링 내부 삽입홈(212) 사이 및 상기 스냅링 외부 삽입홈(112)과 제2 스냅링 내부 삽입홈(312) 사이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제1, 2 드레인 엘보우관(200,300)이 파이프 소켓(100)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500); 상기 제1, 2 드레인 엘보우관(200,300)의 제1, 2 오링홈(211,311)에 각각 요입되는 오링(600);을 포함하는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2 노출관부(220,320)중 적어도 어느 한 노출관부의 숫나사부(221,321)에 체결되는 메쉬캡(710); 원판(721)에 상기 메쉬캡(710)의 메쉬구멍(711)과 연통되는 복수의 수구(水口)(722)가 형성된 채, 상기 메쉬캡(710)의 상측에 회전이 불가한 상태로 안착 설치되는 고정수구판(720); 및 원판(731)에 상기 고정수구판(720)의 수구(72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복수의 수구(水口)(732)가 형성된 채, 상기 고정수구판(720)의 상측에 축핀(P)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 설치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고정수구판(720)의 수구(722)의 개구 크기를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회전수구판(7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삽입관부(210)의 단부에는 고정홈(213)이 마련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경계링(111)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홈(213)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11a)가 마련되어, 상기 제1 드레인 엘보우관(200)의 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소켓을 사이에 두고 그 양 쪽으로 상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엘보우관이 설치됨으로써 농경지로의 입수량 및 농경지로부터의 출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농수로 등에 매립된 파이프에 본 발명에 따른 물꼬장치를 연결할 때, 매립된 파이프가 경사지게 설치된 경우 그 각도에 맞게 엘보우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경사진 파이프에 대하여 맞춤 연결이 가능하다. 따라서, 파이프의 매립각도에 관계없이 용이한 연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의 제1 설치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의 제2 설치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는 소켓링을 사이에 두고 그 양 쪽에 드레인 엘보우관을 각각 연결하고, 두 개의 드레인 엘보우관을 회전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하나의 드레인 엘보우관은 고정하고 다른 하나의 엘보우관을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드레인 엘보우관의 회전 각도에 따라 농경지로의 급수량 및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는 파이프 소켓(100), 제1 드레인 엘보우관(200),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 소켓링(400), 스냅링(500) 및 오링(600)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 소켓(100)은 상기 제1, 2 드레인 엘보우관(200)의 연결을 위한 매개관으로서,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갖는 소켓 본체(110)와, 상기 소켓 본체의 내주면 중앙에 형성된 경계링(111)과, 상기 소켓 본체의 내주면 양 측에 마련되어 상기 스냅링(500)의 외주면 부위가 삽입되는 스냅링 외부 삽입홈(112)과, 상기 소켓 본체(110)의 양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출링부(113)와, 상기 돌출링부의 표면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며 그 표면에 결합홈(114a)이 마련된 시트부(114)와, 상기 시트부의 내향측에 형성되는 스토핑 링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핑 링부(115)는 상기 시트부(114)의 결합홈(114a)에 안착되는 스냅링(500)이 파이프 소켓(100)의 길이방향 중심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드레인 엘보우관(200)은 상기 소켓 본체(110)의 일측 내부로 삽관되는 제1 삽입관부(210)와, 상기 제1 삽입관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채 농지와 농수로 사이를 연결하는 파이프(P)에 연결되는 제1 노출관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삽입관부(210)는 상기 소켓 본체(110)의 일측 내부에 끼워진 채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노출관부(220)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삽입관부(2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노출관부(220)의 설치각도를 수평 또는 상향 구배 또는 하향 구배지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상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관부(210)는 그 단부가 상기 경계링(111)의 일측면에 밀착될 때까지 소켓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며, 그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오링홈(211)과 상기 스냅링(500)의 내주면 부위가 삽입되는 제1 스냅링 내부 삽입홈(21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노출관부(220)의 단부측 외주면에는 제1 숫나사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숫나사부(221)는 후술될 메쉬캡(710)의 결합을 위해 필요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1 노출관부(220)가 급수관의 역할을 할 경우 매쉬캡이 결합될 수 있으나 배수관의 역할을 할 경우에는 매쉬캡이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삽입관부(210)의 단부에는 고정홈(213)이 마련되고, 이와 애응되는 상기 경계링(111)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홈(213)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11a)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드레인 엘보우관(200)이 파이프(P)에 연결된 상태에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213)은 후술될 제2 삽입관부에도 형성될 수 있으나,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은 수위 조절을 위해 회전되어야 함을 감안하여 상기 경계링(111)의 타측면에는 고정돌기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은 상기 소켓 본체(110)의 타측 내부로 삽관되는 제2 삽입관부(310)와, 상기 제2 삽입관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제2 노출관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삽입관부(310)는 상기 소켓 본체(110)의 타측 내부에 끼워진 채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노출관부(3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노출관부(320)가 급수하는 급수관의 역할을 하는 경우 경사각도에 따라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삽입관부(310)는 그 단부가 상기 경계링(111)의 타측면에 밀착될 때까지 소켓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며, 그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오링홈(311)과 상기 스냅링(500)의 내주면 부위가 삽입되는 제2 스냅링 내부 삽입홈(31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노출관부(320)의 단부측 외주면에는 제2 숫나사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숫나사부(321)는 후술될 메쉬캡(710)의 결합을 위해 필요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3 노출관부(320)가 급수관의 역할을 할 경우 매쉬캡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은 입수량 또는 배수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그 직경이 상기 제1 드레인 엘보우관(200)과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이에 맞춰서 상기 제1, 2 드레인 엘보우관(200,300)이 각각 연결되는 파이프 소켓(100)의 양 쪽 관경도 같거나 다를 수 있음은 예측 가능할 것이다.
상기 소켓링(400)은 상기 파이프 소켓(100)의 돌출링부(113) 상에 마련된 함몰형의 시트부(114) 상에 안착되되, 그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홈(114a)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41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소켓링(400)은 파이프 소켓(100)의 내부로 흙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파이프 소켓(100)의 양 쪽으로 상기 제1 드레인 엘보우관(200)과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을 끼워 넣거나 빼낼 때 벌어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죔쇠 역할을 한다.
상기 스냅링(500)은 제1 스냅링 외부 삽입홈(112)과 제1 스냅링 내부 삽입홈(212) 사이와, 상기 스냅링 외부 삽입홈(112)과 제2 스냅링 내부 삽입홈(312) 사이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 2 드레인 엘보우관(200,300)이 파이프 소켓(100)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탈거(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링(600)은 상기 제1, 2 드레인 엘보우관(200,300)의 제1, 2 오링홈(211,311)에 각각 요입되어, 상기 파이프 소켓(100)의 내주면과 제1, 2 드레인 엘보우관(200,300)의 외주면 사이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드레인 엘보우관에 각각 2개씩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설치공간에 따라 그 갯수는 가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는 상기 제1, 2 노출관부(220,320) 중 적어도 어느 한 노출관부의 숫나사부(221,321)에 체결되는 메쉬캡(7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는 원판(721)에 상기 메쉬캡(710)의 메쉬구멍(711)과 연통되는 복수의 수구(水口)(722)가 형성되며, 상기 메쉬캡(710)의 상측에 회전이 불가한 상태로 안착 설치되는 고정수구판(7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는 원판(731)에 상기 고정수구판(720)의 수구(72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복수의 수구(水口)(732)가 형성된 채, 상기 고정수구판(720)의 상측에 축핀(P)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 설치되는 회전수구판(7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구판(730)은 축핀(P)을 중심으로하는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고정수구판(720)의 수구(722)의 개구 크기를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제2 노출관부(320)를 통해 농수가 유입된다고 할 때, 농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메쉬캡(710)은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을 통해 농지의 우렁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의 설치예이다.
먼저, 도 5에서 보듯이, 제1 드레인 엘보우관(200)은 농수로와 농지를 연결하는 수로 파이프(P)의 일단(농지쪽 또는 농수로쪽 중 어느 한 쪽)에 관이음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의 회전각도에 따라 농지로의 입수, 농지로부터의 출수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드레인 엘보우관(200)은 제1 삽입관부(210)를 수로 파이프(P)에 끼움 결합하고, 제1 노출관부(220)는 적절하게 회전시켜서 이에 연결된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부연하면, 수로 파이프(P)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을 경우라도 이에 끼워지는 제1 삽입관부(210)를 기준으로 제1 노출관부(2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에 연결되는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의 상하위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의 설치예는 농지 내의 물을 외부로 적절하게 출수하면서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드레인 엘보우관(200)을 수로 파이프(P)의 농지측 단부에 끼움 결합한 후,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을 세우게 되면 제2 드레인 엘보우관의 출수구가 농지 내의 물수위 보다 높게 되어 농지의 물이 외부로 출수되지 않는 반면,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을 바닥면으로 눕히게 되면 그 출수구가 농지 내의 물수위 보다 낮게 되어 농지의 물이 외부로 출수된다. 이때, 도 6의 아래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의 눕힘각도를 적절한 경사각도로 조절하게 되면 제2 드레인 엘보우관의 상단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물은 외부로 배수되고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의 상단에 보다 낮게 위치하는 물은 농지 내에 잔류하게 되어 농지 내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7의 설치예는 농지로의 입수량을 제어하기 위한 형태로서,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의 눕힘각도에 따라 농수로와의 높낮이 차에 의해 물이 논으로 공급되며, 상기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의 상측에 설치된 회전수구판(730)을 조작하여 구멍의 개도 면적을 조절하게 되면 논으로 유입되는 물을 양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가 농지쪽에 설치된 것 만을 설명하였으나, 농지쪽과 농수로쪽 양 쪽에 모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게 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파이프 소켓 111 : 경계링
112 : 스냅링 외부 삽입홈 113 : 돌출링부
114 : 시트부 115 : 스토핑 링부
200 : 제1 드레인 엘보우관 210 : 제1 삽입관부
220 : 제1 노출관부 300 : 제2 드레인 엘보우관
310 : 제2 삽입관부 320 : 제2 노출관부
400 : 소켓링 500 : 스냅링
600 : 오링 710 : 매쉬캡
720 : 고정수구판 730 : 회전수구판

Claims (3)

  1. 원형 파이프 형상을 갖는 소켓 본체(110), 상기 소켓 본체의 내주면 중앙에 형성된 경계링(111), 상기 소켓 본체(110)의 내주면 양 측에 마련되어 스냅링의 외주면 부위가 삽입되는 스냅링 외부 삽입홈(112), 상기 소켓 본체(110)의 양 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돌출링부(113), 상기 돌출링부의 표면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며 그 표면에는 결합홈(114a)이 마련된 시트부(114), 상기 시트부의 내향측에 형성되는 스토핑 링부(115),를 포함하는 파이프 소켓(100);
    상기 소켓 본체(110)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관부(210), 상기 제1 삽입관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제1 노출관부(220)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삽입관부(210)는 그 단부가 상기 경계링(111)의 일측에 밀착될 때까지 소켓 본체(110)의 일측 내부로 삽입되며, 그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오링홈(211)과 스냅링의 내주면 부위가 삽입되는 제1 스냅링 내부 삽입홈(2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노출관부(220)의 단부측 외주면에는 제1 숫나사부(221)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제1 드레인 엘보우관(200);
    상기 소켓 본체(110)의 타측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관부(310), 상기 제2 삽입관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곡된 제2 노출관부(320)로 구성되되, 상기 제2 삽입관부(310)는 그 단부가 상기 경계링(111)의 타측에 밀착될 때까지 소켓 본체(110)의 타측 내부로 삽입되되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삽입관부(31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며, 그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오링홈(311)과 스냅링의 내부면 부위가 삽입되는 제2 스냅링 내부 삽입홈(3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노출관부(320)의 단부측 외주면에는 제2 숫나사부(321)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제2 드레인 엘보우관(300);
    상기 시트부(114) 상에 안착되되, 그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홈(114a)에 끼움되는 결합돌기(410)가 마련된 소켓링(400);
    상기 스냅링 외부 삽입홈(112)과 제1 스냅링 내부 삽입홈(212) 사이 및 상기 스냅링 외부 삽입홈(112)과 제2 스냅링 내부 삽입홈(312) 사이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제1, 2 드레인 엘보우관(200,300)이 파이프 소켓(100)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500);
    상기 제1, 2 드레인 엘보우관(200,300)의 제1, 2 오링홈(211,311)에 각각 요입되는 오링(600);
    을 포함하는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 노출관부(220,320)중 적어도 어느 한 노출관부의 숫나사부(221,321)에 체결되는 메쉬캡(710);
    원판(721)에 상기 메쉬캡(710)의 메쉬구멍(711)과 연통되는 복수의 수구(水口)(722)가 형성된 채, 상기 메쉬캡(710)의 상측에 회전이 불가한 상태로 안착 설치되는 고정수구판(720); 및
    원판(731)에 상기 고정수구판(720)의 수구(72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복수의 수구(水口)(732)가 형성된 채, 상기 고정수구판(720)의 상측에 축핀(P)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 설치되어,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고정수구판(720)의 수구(722)의 개구 크기를 조절하거나 차단하는 회전수구판(7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관부(210)의 단부에는 고정홈(213)이 마련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경계링(111)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홈(213)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11a)가 마련되어, 상기 제1 드레인 엘보우관(200)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KR1020210112143A 2021-08-25 2021-08-25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KR102348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143A KR102348570B1 (ko) 2021-08-25 2021-08-25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143A KR102348570B1 (ko) 2021-08-25 2021-08-25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570B1 true KR102348570B1 (ko) 2022-01-07

Family

ID=7935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143A KR102348570B1 (ko) 2021-08-25 2021-08-25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5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404B1 (ko) * 2022-06-28 2022-11-10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국소배기장치용 암후드 조립체
KR102624976B1 (ko) 2023-05-16 2024-01-15 굿비비 주식회사 각도조절형 물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639U (ko) 1997-06-20 1999-01-15 한원교 물꼬
KR200429382Y1 (ko) 2006-07-24 2006-10-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물관리용 수동 배수물꼬
KR101757717B1 (ko) 2017-03-22 2017-07-26 (주)지금강이엔지 가요성의 주름관이 적용된 물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639U (ko) 1997-06-20 1999-01-15 한원교 물꼬
KR200429382Y1 (ko) 2006-07-24 2006-10-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물관리용 수동 배수물꼬
KR101757717B1 (ko) 2017-03-22 2017-07-26 (주)지금강이엔지 가요성의 주름관이 적용된 물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404B1 (ko) * 2022-06-28 2022-11-10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국소배기장치용 암후드 조립체
KR102624976B1 (ko) 2023-05-16 2024-01-15 굿비비 주식회사 각도조절형 물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570B1 (ko) 듀얼 엘보우형 물꼬장치
KR101146131B1 (ko)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6669B1 (ko)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
KR200390630Y1 (ko) 부표식 자동 차단밸브
JP2008237135A (ja) 地下灌漑システム
CN207776030U (zh) 一种进水量自动调节的限流阀
KR101354105B1 (ko) 복수개의 급수구를 갖는 부동급수전
CN207776027U (zh) 一种坐便器止水阀
KR101744152B1 (ko) 핸들식 급수조절장치
KR102624976B1 (ko) 각도조절형 물꼬장치
KR20010008334A (ko) 관로 및 수로용 자동개폐수문
JP2000166402A (ja) 傾斜地水田における用水管理システム
CN207130834U (zh) 具有反虹吸管安装特征的通气弯管
KR101624229B1 (ko) 수밀 조절 가능 방식의 플랩 밸브
CN207776047U (zh) 一种坐便器的桶体
JP6644930B1 (ja) 竪管式水平水閘に設置される弁
JP4192204B2 (ja) 排水桝
KR200333348Y1 (ko) 하수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KR200322595Y1 (ko) 우오수받이의 유입/출구 위치조정장치
KR100762411B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2중 힌지식 자동수문
JP5761684B2 (ja) ボールタップ
KR200243333Y1 (ko) 플로터 직결형 급수밸브
JP2024031186A (ja) 逆流抑止継手
KR200420164Y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비
KR102273215B1 (ko) 이동 가능한 이동판을 갖는 밸브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