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132B1 - 수동식 급수개폐기 - Google Patents

수동식 급수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132B1
KR101971132B1 KR1020180142438A KR20180142438A KR101971132B1 KR 101971132 B1 KR101971132 B1 KR 101971132B1 KR 1020180142438 A KR1020180142438 A KR 1020180142438A KR 20180142438 A KR20180142438 A KR 20180142438A KR 101971132 B1 KR101971132 B1 KR 101971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base member
guide
wat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춘
채형구
진창호
송봉기
Original Assignee
(주)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닉스 filed Critical (주)엠닉스
Priority to KR1020180142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liding Valve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 급수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경지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급수 또는 배수를 제어하여 농경지 등의 수위를 조절하며 작동레버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수문의 고정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원가를 대폭 낮춘 수동식 급수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식 급수개폐기{Manual type Water Supply Switch}
본 발명은 수동식 급수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경지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급수 또는 배수를 제어하여 농경지 등의 수위를 조절하며 작동레버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수문의 고정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원가를 대폭 낮춘 수동식 급수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할 때에는 많은 양의 농업용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농작물에 대한 농업용수의 공급을 위하여 농경지의 주변에는 농업용수가 흐르는 관개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관개수로와 농경지를 구획하는 둑에는 관개수로로부터 농경지로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곳인 급수로와 농경지로부터 관개수로로 농업용수가 유출되는 곳인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급수로와 배수로를 통해 농경지에 필요한 만큼의 농업용수를 공급하거나 배출함으로써 농사시기에 따라 적절한 양과 수위의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조절하고 있는 것이다.
농업용수를 관개수로에서 농경지로 급수할 때 농경지에 설치한 물막이를 헤쳐 농업용수를 경작지 내로 유입되게 하는 것이 보통이며, 유입되는 농업용수의 유량조절은 물막이의 헤침 정도에 따라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물막이가 흙으로 구성되어 흙이 물살에 씻겨 내려감으로써 농업용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없게 되고, 수로에 흙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가마니 등을 설치할 경우에도 농업용수의 유입량을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관개수로와 농경지를 연결하는 급수로 또는 배수로에 급수개폐기를 설치하여 유입수량 및 유출수량을 조절하고 있다. 이러한 급수개폐기는 수문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방식에 따라 수동식과 기계식, 유압작동식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수동식 급수개폐기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수문을 상하이동시키도록 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수문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기가 어렵고 수문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아 유량을 제어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기계식 급수개폐기는 래크바 또는 스크루바를 이용하여 수문을 상하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수작업 또는 모터를 이용하여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수문이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계식 급수개폐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주기적인 유지 보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비싼 가격으로 인해 규모가 작은 농수로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그리고 유압작동식 급수개폐기는 유압을 이용하여 수문을 상하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정 규모 이상에서는 큰 효과가 있으나 규모가 작은 농수로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48159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1223호 등록특허공보 제10-1027431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147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수동식 급수 개폐기는, 작업자가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농수로 등에 적용될 수 있도록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 보수를 쉽게 하고 수문의 개방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수문부재가 상하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베이스 부재와 도어 플레이트 사이로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문부재가 과다하게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작업자가 레버부재를 일정 정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도어 플레이트와 수문부재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수문 개폐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수문이 닫혔을 때 수문부재가 베이스 부재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수문부재의 유동을 방지하고 수문부재의 흔들림에 따라 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또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동식 급수개폐기는, 수로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부에 물이 유동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와; 양측면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문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관통공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문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베이스 부재의 관통공을 막아주는 도어 플레이트와; 베이스 부재와 도어 플레이트 사이로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어 플레이트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수밀고무와; 도어 플레이트가 베이스 부재에 밀착 고정되거나 베이스 부재으로부터 이탈되어 승강되도록 도어 플레이트를 전후 이동시키는 록킹작동수단과; 도어 플레이트를 회전시키거나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가 도어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단부는 수문부재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문부재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이 더 구비되고, 가이드 수단은 베이스 부재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 부재와, 수문부재의 내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베이스 부재의 가이드 부재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상단 부분에 가이드 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이 하나 이상 설치되고, 가이드 부재의 하단부에는 가이드 바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밀고무는 베이스 부재의 관통공에 비해 작은 내경과 도어 플레이트의 직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어 플레이트에 볼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록킹작동수단은 수문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좌우 양측에 록킹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된 원통 형상의 록킹가이드 부재와, 도어 플레이트의 전면에 구비되어 록킹가이드 부재가 삽입되며 외측 단부에 록킹가이드 부재의 록킹돌기가 삽입되는 돌기안내홈이 구비되고 레버부재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수문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록킹가이드 부재의 록킹돌기가 수문 개폐부재의 돌기안내홈에 삽입되면 도어 플레이트가 베이스 부재으로부터 이탈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하고 록킹가이드 부재의 록킹돌기가 수문 개폐부재의 외측면에 접촉되면 도어 플레이트가 베이스 부재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레버부재는 하단부가 수문 개폐부재에 연결되고 수문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캠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어 플레이트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도어 플레이트가 전후 이동되도록 하는 레버몸체와,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레버몸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레버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하단에 하부판이 구비되고, 하부판의 양측에 수문부재에 구비된 가이드 바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수문 개폐장치는 레버부재를 이용하여 도어 플레이트를 회전 및 전후 이동시킬 수 있어 도어 플레이트의 위치 고정이 쉬워지고 수밀 성능이 향상되며 수문을 닫았을 때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문부재의 양측면에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수문부재의 외측면에 돌출부분이 존재하지 않아 수로를 떠다니는 부유물이 걸려 수문이 막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에 구비된 가이드 부재에 수문부재의 가이드 바가 삽입된 상태로 수문부재가 승강하게 되어 수문부재의 움직임이 안정화되고 가이드 부재에 구비된 스토퍼에 가이드 바의 스토퍼판이 접촉되어 수문부재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수문부재의 이동거리가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도어 플레이트의 배면에 결합되는 수밀고무에 의해 수밀성이 향상됨은 물론 수밀고무가 도어 플레이트에 볼팅 방식으로 결합되어 조립이 쉬워지고 수밀고무의 노후시 교체가 쉬워지게 되어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또한, 수문 폐쇄시 베이스 부재의 하부판에 형성된 삽입홀에 수문부재의 가이드 바 하단이 삽입됨에 따라 도어 플레이트의 고정력이 향상됨은 물론 수밀고무의 압착력이 향상되어 누수가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와 하부판 사이에 보강판이 설치됨에 따라 베이스 부재 및 하부판이 보강되고 보강판에 의해 유속이 감소되어 급수로로 물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레버부재의 회전에 따라 록킹작동수단이 작동되어 록킹돌기가 록킹가이드 부재의 돌기안내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도어 플레이트를 전후 이동시키게 되므로 도어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기가 쉬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급수개폐기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급수개폐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작동수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고정수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급수개폐기에서 수문이 닫힌 상태로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급수개폐기에서 수문이 부분 개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급수개폐기에서 수문이 부분 개방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급수개폐기에서 수문이 완전 개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급수개폐기에서 수문이 완전 개방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급수개폐기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급수개폐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작동수단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고정수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급수개폐기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0)와 수문부재(20), 도어 플레이트(30) 및 레버부재(40)로 이루어지며, 수문부재(20)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과, 수문부재(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도어 플레이트(10)를 전후 이동시키는 록킹작동수단 및 수문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수문부재(2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밀폐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 부재(10)는 수로와의 연결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물이 유동하는 관통공(15)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0)의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 수단을 형성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11)가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 부재(10)의 상단 부분에 가이드 부재(11)가 삽입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12)이 하나 이상 설치되고, 가이드 부재(11)의 하단부에는 수문부재(20)에 구비된 가이드 바(21)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3)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수문부재(20)의 이동 거리가 단축됨은 물론 수문부재(20)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0)의 하단에 하부판(16)이 구비되고, 하부판(16)의 양측에 수문부재(20)에 구비된 스토퍼판(22)의 하부로 돌출된 가이드 바(21)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17)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바(21)의 하단에 탄성부재(21')가 구비되어 하부판(16)의 삽입홀(17)에 압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문을 닫았을 때 수문부재(20)의 가이드 바(21) 하단부가 하부판(16)의 삽입홀(17)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도어 플레이트(30)에 구비된 수밀고무(35)의 압착력을 향상시켜 누수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0)와 하부판(16) 사이에 하나 이상의 보강판(14)이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강판(14)은 하부판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베이스 부재(10)에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 베이스 부재(10)의 강도를 보강함과 아울러 유속을 감소시켜 급수로로 물이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수문부재(20)는 양측면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부재(1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문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도어 플레이트(30)와 수밀고무(35)가 수용되는 일정 크기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즉, 수문부재(20)의 양측 단부는 베이스 부재(10)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부측이 막혀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문부재(20)의 내부 양측에는 가이드 수단으로서 베이스 부재(10)의 가이드 부재(11)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 바(21)가 구비되고, 가이드 바(21)의 끝단 부분에는 가이드 부재(11)의 스토퍼(12)에 접촉되는 스토퍼판(22)이 구비된다. 또한, 수문부재(20)의 내측면에는 록킹작동수단을 형성하기 위한 록킹가이드 부재(51)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문부재(20)는 베이스 부재(10)의 가이드 부재(11)에 가이드 바(21)가 삽입되도록 베이스 부재(10)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며, 수문 개폐시 수문부재(20)가 상하로 승강됨에 따라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베이스 부재(10)에 고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리고, 수문부재(2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도어 플레이트(30)와 수밀고무(35)가 구비됨에 따라, 수문부재(20)의 외측면에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수로를 떠다니는 부유물이 걸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어 플레이트(30)는 베이스 부재(10)의 관통공(15)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문부재(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문을 닫았을 때 베이스 부재(10)와의 틈새로 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배면에 수밀고무(35)가 결합된다. 이때, 수밀고무(35)는 베이스 부재(10)의 관통공(15)에 비해 작은 내경과 도어 플레이트(30)의 직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밀고무(35)가 도어 플레이트와 동일한 크기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수밀고무(35)는 도어 플레이트(30)에 볼팅 방식으로 설치됨으로써 조립이 편리하고 노후시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등 유지 보수가 편리해진다. 그리고, 도어 플레이트(30)의 전면에는 록킹작동수단으로서 록킹가이드 부재(51)가 삽입되는 수문 개폐부재(53)가 구비된다.
록킹작동수단은 도어 플레이트(30)가 베이스 부재(10)에 밀착 고정되거나 베이스 부재(10)로부터 이탈되어 승강되도록 도어 플레이트(30)의 회전에 따라 도어 플레이트(30)를 전후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부재(20)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좌우 양측에 록킹돌기(52)가 각각 돌출 형성된 원통 형상의 록킹가이드 부재(51)와, 도어 플레이트(30)의 전면에 구비되어 록킹가이드 부재(51)가 삽입되며 외측 단부에 록킹가이드 부재(51)의 록킹돌기(26)가 삽입되는 돌기안내홈(54)이 구비되고 레버부재(40)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수문 개폐부재(53)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도 3의 (a)와 같이, 록킹가이드 부재(51)의 록킹돌기(52)가 수문 개폐부재(53)의 외측면에 접촉되면 도어 플레이트(30)가 베이스 부재(10) 방향으로 이동되어 베이스 부재(10)에 밀착됨으로써 도어 플레이트(30)가 고정되고, 도 3의 (b)와 같이, 록킹가이드 부재(51)의 록킹돌기(52)가 수문 개폐부재(53)의 돌기안내홈(54)에 삽입되면 도어 플레이트(30)가 베이스 부재(10)로부터 이탈되어 도어 플레이트(30)가 승강될 수 있게 된다.
레버부재(40)는 도어 플레이트(30)를 회전시키거나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가 도어 플레이트(30)에 연결되며 상단부는 수문부재(2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레버부재(40)는 하단부가 수문 개폐부재(53)에 연결되고 수문부재(2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홈(25)의 캠면(26)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어 플레이트(3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도어 플레이트(30)가 전후 이동되도록 하는 레버몸체(41)와,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레버몸체(41)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4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동식 급수개폐를 이용하여 수문을 개폐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문을 폐쇄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40)를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켜 기울게 함으로써 수문 개폐부재(53)에 형성된 돌기안내홈(54)으로부터 록킹가이드 부재(51)의 록킹돌기(52)가 빠져나와 수문 개폐부재(53)의 외측 단부에 올려지도록 한다. 이때, 레버부재(40)의 레버몸체(41)는 수문부재(2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25)의 캠면(26) 중 베이스 부재(10)에 근접한 직선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어 플레이트(30)가 베이스 부재(10) 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록킹돌기(52)에 의해 수문 개폐부재(53)와 도어 플레이트(30)가 베이스 부재(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어 플레이트(30)의 배면에 설치된 수밀고무(35)가 베이스 부재(10)에 밀착되면서 베이스 부재(10)와 도어 플레이트(30) 사이로 물이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이때, 수문부재(20)의 가이드 바(21) 하단부가 베이스 부재(10)의 하부판(16)에 형성된 삽입홀(17)에 삽입됨으로써 수문부재(20)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어 플레이트(30)에 의한 수밀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농업용수의 공급 또는 배출을 위하여 수문을 개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6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40)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켜 수직하게 함으로써, 록킹돌기(52)가 돌기안내홈(5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레버부재(40)의 레버몸체(41)가 가이드 홈(25)의 캠면(26) 중 베이스 부재(10)로부터 이격된 곡면부를 따라 이동하여 베이스 부재(10)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게 되므로, 록킹돌기(52)가 돌기안내홈(54)에 삽입됨과 아울러 수문 개폐부재(53)와 도어 플레이트(30)가 베이스 부재(1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 플레이트(30)에 결합된 수밀고무(35) 역시 베이스 부재(10)로부터 분리되어 물이 유입될 수 있게 되고, 작업자가 레버부재(40)를 들어올려 베이스 부재(10)의 관통공(15)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베이스 부재(10)에 구비된 관통공(15)의 개도에 따라 레버부재(40)를 들어올리는 높이를 결정한다. 도어 플레이트(30)와 레버부재(40)가 원하는 높이까지 레버부재(40)가 들어올려지면 도 7과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40)를 다시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켜 경사지게 배치한다. 이에 따라, 도어 플레이트(30)가 베이스 부재(10)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수밀고무(35)가 베이스 부재(10)에 밀착됨으로서 도어 플레이트(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0)의 관통공(15)이 부분 개방된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0)의 관통공(15)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 부재 11 : 가이드 부재
12 : 고정 브래킷 13 : 스토퍼
14 : 보강판 15 : 관통공
16 : 하부판 17 : 삽입홀
20 : 수문부재 21 : 가이드 바
21' : 탄성부재 22 : 스토퍼판
25 : 가이드홈 26 : 캠면
30 : 도어 플레이트 35 : 수밀고무
40 : 레버부재 41 : 레버몸체
42 : 손잡이 50 : 록킹작동수단
51 : 록킹가이드 부재 52 : 록킹돌기
53 : 수문 개폐부재 54 : 돌기안내홈

Claims (7)

  1. 수로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부에 물이 유동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문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관통공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문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베이스 부재의 관통공을 막아주는 도어 플레이트와;
    베이스 부재와 도어 플레이트 사이로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어 플레이트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수밀고무와;
    도어 플레이트가 베이스 부재에 밀착 고정되거나 베이스 부재으로부터 이탈되어 승강되도록 도어 플레이트를 전후 이동시키는 록킹작동수단과;
    도어 플레이트를 회전시키거나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가 도어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단부는 수문부재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되,
    록킹작동수단은 수문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좌우 양측에 록킹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된 원통 형상의 록킹가이드 부재와, 도어 플레이트의 전면에 구비되어 록킹가이드 부재가 삽입되며 외측 단부에 록킹가이드 부재의 록킹돌기가 삽입되는 돌기안내홈이 구비되고 레버부재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수문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록킹가이드 부재의 록킹돌기가 수문 개폐부재의 돌기안내홈에 삽입되면 도어 플레이트가 베이스 부재로부터 이탈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하고 록킹가이드 부재의 록킹돌기가 수문 개폐부재의 외측면에 접촉되면 도어 플레이트가 베이스 부재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급수개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문부재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이 더 구비되고,
    가이드 수단은 베이스 부재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 부재와, 수문부재의 내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베이스 부재의 가이드 부재에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급수개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의 상단 부분에 가이드 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이 하나 이상 설치되고,
    가이드 부재의 하단부에는 가이드 바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급수개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밀고무는 베이스 부재의 관통공에 비해 작은 내경과 도어 플레이트의 직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어 플레이트에 볼팅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급수개폐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레버부재는 하단부가 수문 개폐부재에 연결되고 수문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캠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어 플레이트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도어 플레이트가 전후 이동되도록 하는 레버몸체와,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레버몸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레버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급수개폐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의 하단에 하부판이 구비되고, 하부판의 양측에 수문부재에 구비된 가이드 바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급수개폐기.
KR1020180142438A 2018-11-19 2018-11-19 수동식 급수개폐기 KR101971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438A KR101971132B1 (ko) 2018-11-19 2018-11-19 수동식 급수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438A KR101971132B1 (ko) 2018-11-19 2018-11-19 수동식 급수개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132B1 true KR101971132B1 (ko) 2019-04-22

Family

ID=66283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438A KR101971132B1 (ko) 2018-11-19 2018-11-19 수동식 급수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866B1 (ko) * 2022-10-28 2023-02-23 김성경 기어 구동식 급수 조절 게이트
KR102596179B1 (ko) * 2023-05-24 2023-10-30 차상율 농로용 수로 개폐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7620A (ja) * 2000-09-25 2002-04-02 Maezawa Ind Inc 制水扉及びその不断水設置工法
KR20090011476U (ko) 2008-05-07 2009-11-11 한중기반산업 주식회사 농수로용 급수개폐장치
KR101027431B1 (ko) 2010-11-19 2011-04-11 서영숙 페달식 농수로용 급수 개폐장치
KR20130101407A (ko) * 2012-03-05 2013-09-13 임용빈 핸들없는 풋 분수문
JP2014034864A (ja) * 2012-08-10 2014-02-24 Masaaki Suzuki 分水口ゲート
KR101748159B1 (ko) 2016-11-21 2017-06-19 주식회사 무영 농수로용 급수개폐기
KR20180111223A (ko) 2017-03-31 2018-10-11 유재성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급수 개폐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7620A (ja) * 2000-09-25 2002-04-02 Maezawa Ind Inc 制水扉及びその不断水設置工法
KR20090011476U (ko) 2008-05-07 2009-11-11 한중기반산업 주식회사 농수로용 급수개폐장치
KR101027431B1 (ko) 2010-11-19 2011-04-11 서영숙 페달식 농수로용 급수 개폐장치
KR20130101407A (ko) * 2012-03-05 2013-09-13 임용빈 핸들없는 풋 분수문
JP2014034864A (ja) * 2012-08-10 2014-02-24 Masaaki Suzuki 分水口ゲート
KR101748159B1 (ko) 2016-11-21 2017-06-19 주식회사 무영 농수로용 급수개폐기
KR20180111223A (ko) 2017-03-31 2018-10-11 유재성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급수 개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866B1 (ko) * 2022-10-28 2023-02-23 김성경 기어 구동식 급수 조절 게이트
KR102596179B1 (ko) * 2023-05-24 2023-10-30 차상율 농로용 수로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132B1 (ko) 수동식 급수개폐기
CN103140636A (zh) 排水阀装置以及具备该装置的清洗水水箱装置
CN204781211U (zh) 一种防漏水的进水阀组件
JP2004353407A (ja) 水位調整水門
KR200462295Y1 (ko) 농업용 급수 개폐기
CN109196172A (zh) 用于冲水箱的排水阀和具有排水阀的冲水箱
KR20180111223A (ko)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급수 개폐기
KR20180120439A (ko)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
KR20180112397A (ko) 우수토실의 유량제어용 게이트밸브
KR102283653B1 (ko)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KR102320912B1 (ko)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US4028748A (en) Valve seat of a flush valve used in flush tanks and the like
KR102393318B1 (ko) 용수 조절이 가능한 농수로 수문 개폐장치
CN104488668A (zh) 浮力开关及包括该浮力开关的水田自动灌溉机构
US4266304A (en) Flush tank water saver
RU2584313C1 (ru) Двухъярусная дренажная система
KR102340470B1 (ko) 농수로용 물꼬
KR200487024Y1 (ko) 회전식 수문장치
US4002521A (en) Method of forming, mounting and using flush valves for flush tanks and the like
JP2002034362A (ja) 水田の用排水管理システム
KR20150142561A (ko) 논물 수위 조절장치
KR200248973Y1 (ko) 수로관의 용수 유입장치
KR102425348B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101787647B1 (ko) 수로용 물 주입장치
KR200243333Y1 (ko) 플로터 직결형 급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