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121A -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 - Google Patents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121A
KR20230160121A KR1020220059780A KR20220059780A KR20230160121A KR 20230160121 A KR20230160121 A KR 20230160121A KR 1020220059780 A KR1020220059780 A KR 1020220059780A KR 20220059780 A KR20220059780 A KR 20220059780A KR 20230160121 A KR20230160121 A KR 20230160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way
water
blocking plate
sensitive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성
Priority to KR1020220059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0121A/ko
Publication of KR20230160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12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2Closur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를 따라 유동하는 물의 수량에 따라 수로의 개폐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측면 배수량과 직진 배수량을 상황에 따라 부력방식으로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같은 유체가 흐르는 수로의 측면에 설치하는 측면수문, 상기 측면수문이 설치된 수문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가로방향으로 설치하는 감응형부력부로 구성하여; 수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를 측면방향으로 배수하며 유량에 따라 측면배수 유량과 수로의 순방향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어 제작비용과 시공비용이 저렴하며 별도의 관리인력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Water-sensitive sluices for side agricultural waterways}
본 발명은 관계수로의 측면 배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로를 따라 유동하는 물의 수량에 따라 수로의 개폐 면적을 조절하는 부력로써 물이나 유체를 취급하는 업체, 수문 제작업체, 수문 설치업체 등에 적용가능한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수로 또는 배수로와 같은 관로는 유수의 이송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관로의 분기되는 부분에는 측구를 형성한다.
한편, 측구는 관로에 관통형성되어 관로의 유수를 측구를 통해 외부로 배수하거나, 측구를 통해 관로로 유수를 유입하는 데, 선택적으로 측구로 유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장치의 일례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6781호(2005117공개)의 "농수 조절용 수문"이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농수 조절용 수문은 둑에설치되는 농수 조절용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급수를 위한 급수공이 관통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채널형상의 결합레일과, 상기 결합레일의 일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위치설정홈을 갖는 수문본체와; 상기 수문본체의 결합레일내에서 슬라이딩하며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된 결합가이드와, 상기 결합가이드의 일측에 판면으로 부터 돌출되어 상기 위치설정홈에 걸림결합되는 위치설정돌기를 가지며, 상기 급수공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용수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농수 조절용 수문은 간단한 조작만으로 급수와 배수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급수량을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수량의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 할 수 있었다.
아울러, 수로를 따라 직각 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설치되는 측면 배수용 수문을 이용할 경우 수로를 따라 이동하는 물의 수량을 조절이 어려워 측방향으로 충분하게 물을 배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로를 따라 유동하는 물의 만충되더라도 측면 수문을 개방할 경우 수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속에 의해 측방향 배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수로를 유동하는 유량이 충만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면 배수가 필요로할 경우 적은 수량에 의한 만족할 만한 측면 배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며 수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측면 배수시 부수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수로를 막아서 물의 수량을 확보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수로를 따라 유동하는 물의 수량에 따라 수로의 개폐 면적을 부력구 방식으로 수위에 따라 자동화 방식으로 조절하여 측면배수와 수로를 따라 유동하는 물의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개선된 부력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공개번호 제10-2012-0028649호 등록특허 제10-0372179호 등록특허 제10-22241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를 측면방향으로 배수하며 유량에 따라 측면배수 유량과 수로의 순방향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동력장치나 에너지 공급없이 유체의 유동량에 따라 부력방식으로 감응하여 유체의 흐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체의 유동량에 따른 수위에 대응하여 부구의 위치를 변화시켜 유체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단판의 면적을 증감시켜 수로의 크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구의 면적을 유량에 따라 증감시켜 감응 대응력이나 민감도를 조절할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는 물과 같은 유체가 흐르는 수로의 측면에 설치하는 측면수문, 상기 측면수문이 설치된 수문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가로방향으로 설치하는 감응형부력부를 형성하여, 상기 측면수문의 개폐에 따른 수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 유량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측면배수 유동량과 수로의 유동량을 조절하도록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감응형부력부는 수로의 양측단에 마주보게 설치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설치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직교 배치를 이루며 수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 수직 배치로 설치하는 차단판, 상기 차단판의 내측면에 설치하는 부구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는 수로의 양측단 상부면에 설치하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의 내측면에서 수로의 중앙측으로 돌출되어 연결부와 연결하는 회전축을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차단판은 수로의 깊이에 대응하도록 지지부에 설치된 고정차단판, 상기 고정차단판의 하부에 끼움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후 고정하는 이동차단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부구는 내부에 빈공간을 형성하는 통 형상으로 한개 또는 2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부구의 하부 끝단은 차단판과 힌지로 연결되어 수로내 유동량이 적을 경우 회전하여 하부측에 위치하고, 유동량이 많을 경우 회전하여 상부측에 위치하는 것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판의 상부끝단은 지지부의 끝단에 설치하는 회전스톱퍼에 연결 설치하고, 상기 차단판과 지지부를 연결하는 위치복원용 스프링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부구는 차단판에 고정하는 고정부구, 상기 고정부구의 일측면에 노출되며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통 형태로 인출되어 부력면적을 증감하는 가변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를 측면방향으로 배수하며 유량에 따라 측면배수 유량과 수로의 순방향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어 제작비용과 시공비용이 저렴하며 별도의 관리인력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별도의 동력장치나 에너지 공급없이 유체의 유동량에 따라 부력방식으로 감응하여 유체의 흐름량을 조절할 수 있어 유지관리의 편리성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유체의 유동량에 따른 수위에 대응하여 부구의 위치를 변화시켜 유체의 유동량을 간단히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차단판의 면적을 증감시켜 수로의 크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현장여건에 적응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부구의 면적을 유량에 따라 증감시켜 감응 대응력이나 민감도를 조절하여 유량에 제약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이 수로에 설치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의 후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의 부구가 차단판과 힌지로 연결된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의 차단판이 회전스톱퍼로 지지부와 연결된 상태의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의 차단판을 고정차단판과 이동차단판으로 구성된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이동차단판의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의 부구가 고정부구와 가변부구로 형성된 작동사시도,
도 12는 11에 따른 가변부구의 작동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을 회전부를 이용하여 수로에 설치한 시공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이 수로에 설치한 상태에서 측면수로를 개방한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이 수로에 설치한 상태에서 측면수로를 폐쇄한 상태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물과 같은 유체가 흐르는 수로(1)의 측면에 설치하는 측면수문(2), 상기 측면수문(2)이 설치된 수로(1)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가로방향으로 설치하는 감응형부력부(10)로 부력수문(100)을 구성한다.
도 1 내지 도 6,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로(1)는 농경지에 물을 공급하는 관계수로 방식으로 채택하며 종 단면의 형상은 상부가 개방된 디귿자 형태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수문(2)은 수로(1)의 측벽에 연결되는 측면수로(1a)를 개폐하도록 측면수로(1a)의 주변에 설치하는 수문이이드(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수문(4)을 설치하며, 수문(4)의 작동은 인력을 이용하거나 전동방식을 이용하여 작동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부력수문(100)의 감응형부력부(10)는 수로(1)의 양측단에 마주보게 설치하는 회전부(20)를 설치한다.
상기 회전부(20)는 수로(1)의 양측단 상부면에 설치하는 고정몸체(21)를 형성하는데, 상기 고정몸체(21)은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직육면체나 원통형태로 제작한다.
상기 고정몸체(21)의 내측면에서 수로(1)의 중앙측으로 돌출되어 연결부(30)와 연결하는 회전축(22)을 형성하는데, 상기 회전축(22)은 정면에서 투영시 원형 형태이며 상부 일부분이 수평으로 절삭되어 수평면(23)을 형성하여 감응형부력부(10)의 연결부(30)가 올려져 결합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회전부(20)에 설치하는 연결부(30)는 기억자 형태와 역기억자 형태의 브라켓(31)을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수로(1)를 가로지르는 가로프레임(32)의 양끝단 하부면에 용접방식으로 고정한다.
상기 브라켓(31)은 회전부(20)의 회전축(22)에 올려져 볼트(33)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세로단(31a)과 직각으로 연결된 가로단(31b)에 다수개의 볼트홀(31c)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30)와 직교 배치를 이루며 수로(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하는 지지부(40)를 형성하는데, 한 쌍의 사각프레임 형태로써 브라켓(31)의 세로단(31a)과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상기 지지부(40)의 끝단에 수직 배치로 설치하는 차단판(50)을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데, 상기 차단판(50)는 금속판 형태로써 정면에서 투영시 사각판 형태로써 하부 양끝단은 경사지게 모따기단(5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차단판(50)의 형태는 수로(1)의 종단면 형태에 따라 대응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50)의 내측면에 설치하는 부구(60)를 형성하는데, 상기 부구(60)는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며 사각통형상, 원형통형상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부구(60)는 내부에 빈공간을 형성하는 통 형상으로 한개 또는 2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차단판(50)의 후방에 볼트나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며 본 발명에서는 2개로 구성하였으나 1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구(60)의 하부 끝단은 차단판(50)과 힌지(61)로 연결되어 수로(1)내 유동량이 적을 경우 회전하여 하부측에 위치하고, 유동량이 많을 경우 회전하여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판(50)의 상부끝단은 지지부(40)의 끝단에 설치하는 회전스톱퍼(53)에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50)과 지지부(40)를 연결하는 위치복원용 스프링(54)을 설치하여, 수로(1)를 따라 유동하는 유량이 많거나 유속이 빠를 경우 부구(60)의 부력에 의해 상승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전단계에서 차단판(50)을 경사지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판(50)은 수로(1)의 깊이에 대응하도록 지지부(40)에 설치된 고정차단판(51)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차단판(51)의 하부에 끼움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후 고정하는 이동차단판(52)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차단판(51)은 단독으로 채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동차단판(52)은 고정차단판(51)의 외측으로 끼워져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고정은 볼트를 이용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구(60)는 차단판(50)에 고정하는 고정부구(62)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구(62)의 일측면에 노출되며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통 형태로 인출되어 부력면적을 증감하는 가변부구(63)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구(62)에서 가변부구(63)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며 상호 접촉면에는 유체가 유입되지 못다도록 실링구조를 채택하여 제작한다.
상기 고정부구(62)와 가변부구(63)의 체적 비교는 약 1:0.9~0.7 비율을 지니며 가변부구(63)의 체적이 고정부구(62)의 체적보다 작게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부력수문(100)은 측면수문(2)의 개폐에 따른 수로(1)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 유량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측면배수 유동량과 수로의 유동량을 조절가능한 간편한 구조 및 원리로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부력수문(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수문(100)은 측면수문(2)이 설치된 지점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 후방쪽에 약1.5~2미터 지점에 한 쌍의 회전부(20)를 수로(1)의 내측 측벽면에 회전축(22)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한다.
이후, 상기 수로(1)의 가로폭과 깊이에 맞게 설계 및 제작한 감응형부력부(10)의 연결부(30)의 브라켓(31)의 가로단(31b)을 회전축(22)의 수평면(23)에 올려 놓은 다음 볼트(33)를 볼트홀(31c)에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50)은 수로(1)의 내측으로 위치시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과 수직 배치를 이루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차단판(50)이 고정차단판(51)과 이동차단판(52)으로 이루어진 경우 수로(1)의 내부공간 바닥에 접촉할 수 있도록 고정차단판(51)에 고정된 이동차단판(52)을 조립을 해제시킨 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차단판(51)에 고정함으로써 수로(1)의 크기에 따라 차단판(50)의 면적을 조절하여 차단할 유체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로(1)를 따라 유체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측면수로(1a)를 개방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수로(1)를 유동하는 유체의 수위가 상승할 경우 부구(60)의 부력의 작용력이 부구(60) -> 차단판(50) -> 지지부(40) -> 연결부(30) -> 회전부(20)로 전달되어 회전부(20)를 기준으로 차단판(50)이 수로(1)의 상부로 상승하면서 수로(1)를 따라 유체가 원활히 유동하도록 차단기능을 일부 해제함으로써 유체의 수로(1)를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수로(1)에 형성된 측면수로(1a)를 측면수문(2)으로 개방하였을 때 차단판(50)에 의해 직진 배수량을 차단하는 동시에 차단판(50)의 후방으로 발생하는 와류로 인하여 측면수로(1a)의 배수 용량을 증대시키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부구(60)의 하부 끝단이 차단판(50)과 힌지(61)로 연결된 경우에는 수로(1)내 유동량이 적을 경우 회전하여 하부측에 위치하고, 유동량이 많을 경우 회전하여 상부측에 위치하면서 유체의 수위에 따라 감응하여 부구(60)의 부력 지점을 조정할 수 있어 차단판(50)의 개폐를 유량에 제약없이 작동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차단판(50)의 상부끝단을 지지부(40)의 끝단에 회전스톱퍼(53)로 연결된 경우에는 수로(1)내 유동량이 적을 경우 스프링(54)의 텐션에 의해 회전하여 하부측에 위치하고, 유동량이 많거나 유속이 빠를 경우 차단판(50)이 회전스톱퍼(53)를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상부측에 위치하면서 유체의 유량에 따라 차단판(50)의 개폐를 자동화방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부구(60)가 고정부구(62)와 가변부구(63)로 이루어진 경우 수로(1)내 유량이 적을 경우 가변부구(63)를 고정부구(62)에 삽입하여 부력면적을 감소시키며 반다로 유량이 많을 경우 가변부구(63)를 고정부구(62)에서 인출시켜 부력면적을 증대시켜 유량에 따라 부구(60)의 부력능력을 조정할 수 있어 차단판(50)의 개폐를 유량에 제약없이 작동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감응형부력부(10)는 측면수문(2)을 개방할 경우 수로(1)를 유동하는 유량이 측면수로(1a)를 통해 배수되어 유량이 감소되더라도 차단판(50)에 의해 수로(1)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을 차단과 동시에 모아지도록 하여 유량을 증대시켜 측면배수량을 증대시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감응형부력부(10)는 측면수문(2)을 개방한 상태에서 차단판(50)의 차단작용으로 수로(1)내 유량이 만충될 경우 부구(60)의 부력에 의해 차단판(50)이 상부로 회전하여 유체의 유동 공간이 확복되어 유체가 수로(1)를 범람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부력수문(100)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수로 2 : 측면수문
3 : 수문이이드 4 : 수문
10 : 감응형부력부 20 : 회전부
21 : 고정몸체 22 : 회전축
23 : 수평면
30 : 연결부 31 : 브라켓
31a : 세로단 31b : 가로단
31c : 볼트홀 32 : 가로프레임
33 : 볼트
40 : 지지부
50 : 차단판 51 : 고정차단판
52 : 이동차단판 53 : 회전스톱퍼
54 : 스프링 55 : 모따기단
60 : 부구 61 : 힌지
62 : 고정부구 63 : 가변부구
100 : 부력수문

Claims (7)

  1. 물과 같은 유체가 흐르는 수로(1)의 측면에 설치하는 측면수문(2),
    상기 측면수문(2)이 설치된 수로(1)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가로방향으로 설치하는 감응형부력부(10)를 형성하여,
    상기 측면수문(2)의 개폐에 따른 수로(1)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 유량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측면배수 유동량과 수로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형부력부(10)는 수로(1)의 양측단에 마주보게 설치하는 회전부(20),
    상기 회전부(20)에 설치하는 연결부(30),
    상기 연결부(30)와 직교 배치를 이루며 수로(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하는 지지부(40),
    상기 지지부(40)의 끝단에 수직 배치로 설치하는 차단판(50),
    상기 차단판(50)의 내측면에 설치하는 부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0)는 수로(1)의 양측단 상부면에 설치하는 고정몸체(21),
    상기 고정몸체(21)의 내측면에서 수로(1)의 중앙측으로 돌출되어 연결부(30)와 연결하는 회전축(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50)은 수로(1)의 깊이에 대응하도록 지지부(40)에 설치된 고정차단판(51),
    상기 고정차단판(51)의 하부에 끼움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후 고정하는 이동차단판(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60)는 내부에 빈공간을 형성하는 통 형상으로 한개 또는 2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부구(60)의 하부 끝단은 차단판(50)과 힌지(61)로 연결되어 수로(1)내 유동량이 적을 경우 회전하여 하부측에 위치하고, 유동량이 많을 경우 회전하여 상부측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
  6.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50)의 상부끝단은 지지부(40)의 끝단에 설치하는 회전스톱퍼(53)에 연결 설치하고,
    상기 차단판(50)과 지지부(40)를 연결하는 위치복원용 스프링(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
  7.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60)는 차단판(50)에 고정하는 고정부구(62),
    상기 고정부구(62)의 일측면에 노출되며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통 형태로 인출되어 부력면적을 증감하는 가변부구(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
KR1020220059780A 2022-05-16 2022-05-16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 KR20230160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780A KR20230160121A (ko) 2022-05-16 2022-05-16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780A KR20230160121A (ko) 2022-05-16 2022-05-16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121A true KR20230160121A (ko) 2023-11-23

Family

ID=8897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780A KR20230160121A (ko) 2022-05-16 2022-05-16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012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179B1 (ko) 2000-08-03 2003-02-17 한상관 수문의 개폐장치 구성방법
KR20120028649A (ko) 2010-09-15 2012-03-23 주식회사 세일 월류 수압 회피기능을 갖는 수문
KR102224142B1 (ko) 2019-06-18 2021-03-08 주식회사 창성 관로 측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179B1 (ko) 2000-08-03 2003-02-17 한상관 수문의 개폐장치 구성방법
KR20120028649A (ko) 2010-09-15 2012-03-23 주식회사 세일 월류 수압 회피기능을 갖는 수문
KR102224142B1 (ko) 2019-06-18 2021-03-08 주식회사 창성 관로 측구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131B1 (ko)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51063B1 (ko) 펌프용 제진기 및 이를 이용한 제진기 일체형 펌프 게이트
CN212153641U (zh) 一种可调节截流量和溢流高度的截流井
KR100514555B1 (ko) 혼합형 수문장치
JPH04203112A (ja) 海水逆流防止自動制御ゲート
KR101106890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CN104878832A (zh) 反向下游水力自动闸门
KR20230160121A (ko) 측면 농수로용 수량 감응형 수문
KR100662861B1 (ko) 수로와 물받이블럭의 수문개폐장치
KR101075941B1 (ko) 수문조절장치
KR200395621Y1 (ko) 가변유량 자동 수문
KR102064133B1 (ko) 댐의 보조 수문장치.
KR101428633B1 (ko) 부력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101322010B1 (ko) 수문장치
JP4115380B2 (ja) ピアレス型ゲート
KR20210048828A (ko) 무동력 자동수문
KR200377423Y1 (ko) 수압차를 이용한 자동개폐식 하천 배수문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JP3613619B2 (ja) 水位追従型フロート式魚道ゲート
KR200217658Y1 (ko) 자동보 수문장치
KR102608883B1 (ko)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장스팬타입의 전도식 가동보
KR102634487B1 (ko) 도시 침수 방지를 위한 빗물 유입 유도장치
JP7424625B2 (ja) 分水トラフの水門装置
JP3500508B2 (ja) 制水用複合ゲート
KR101133928B1 (ko) 수문 개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