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192A -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 Google Patents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192A
KR20200145192A KR1020190073862A KR20190073862A KR20200145192A KR 20200145192 A KR20200145192 A KR 20200145192A KR 1020190073862 A KR1020190073862 A KR 1020190073862A KR 20190073862 A KR20190073862 A KR 20190073862A KR 20200145192 A KR20200145192 A KR 20200145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ice
movable beam
water
closing device
lo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426B1 (ko
Inventor
정금재
Original Assignee
정금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금재 filed Critical 정금재
Priority to KR1020190073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42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의 물을 상시 및 간헐적 배출을 조절하여 설정 수위를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침전물의 누적을 방지하여 수질 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방지하는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문비의 양단 사이에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수문이 설치되고, 문비의 기립 및 도복하는 것에 의해 설치된 수문의 일단에 형성된 길이 조절 링크 및 캠이 작동되어 별도의 장치없이 수문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문을 통해 상시 및 간헐적으로 협잡물, 침사 및 자갈 등이 배출되어 수질 오염 등의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문을 통해 협잡물, 침사 및 자갈 등이 배출되는 것에 의해 배출구에 협잡물의 협착과 침사 및 자갈의 누적을 방지하여 가동보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문이 문비의 저면에 구비되어 의해 협잡물, 침사 및 자갈 등이 수문 및 수문의 연결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MOVABLE BEAM DEVICE EQUIPPED WITH A WATER 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DISCHARGING LOW-LEVEL WATER}
본 발명은 가동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 등의 수로의 설치된 취수보에 내수를 저수하여 이용하거나 수문을 구성하여 저수량을 조절한다.
강이나 하천을 막아 수위를 상승시켜 용수로를 통해 물을 끌어들이는 구조물을 취수보라 하고, 보의 일부분을 개방하여 수로를 구성하고 개폐하는 수문을 설치하여 취수를 조절한다. 취수보의 형식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된 고정보와 자동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가동보로 구분한다.
고정보는 수문만으로 보의 전체 구간을 형성되고, 가동보는 고무튜브 또는 강재로 구성하여 상류로부터 유입된 유입수의 수위가 상승하면 물의 흐름이 가동보의 상부로 월류 또는 하부로 방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부 월류형과 하부 방류형 2가지 형식이 있으며, 개폐장치는 기계식인 와이어 로프 드럼 방식과 유압 구동 방식으로 구분된다.
가동보는 하부 방류형의 경우 상부에서 떠내려 오는 협잡물이 수문의 상부에 걸려 기계 작동에 문제를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수문 양측에 배설된 축을 중심으로 하류 측으로 전도되는 수문 본체와 수문 본체를 전도 및 기립시키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상부 월류형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상부 월류형 가동보는 설정 수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류로부터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유량에 의하여 저수량이 점점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설정 수위를 초과하게 되며, 설정 수위를 초과한 유입수가 가동보의 상단을 월류해서만 하류측으로 방류되기 때문에 유입수에 포함된 각종 침전물이 누적되어 부영양화 및 오염 물질이 장기간 고임으로써 야기되는 수질 오염 등의 환경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799359호(2008.01.30 공고)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의 물을 상시 및 간헐적 배출을 조절하여 설정 수위를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침전물의 누적을 방지하여 수질 오염 등의 환경문제를 방지하는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는 수로에 설치되며, 일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제 1 브라켓 및 제 2 브라켓이 구비되는 문틀, 일단이 상기 문틀의 제 1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로의 물을 저류하는 문비, 일단이 상기 문비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문비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장치, 상기 문비의 일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되며,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문 및 상기 수문을 상기 문비로부터 개폐하는 수문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이 상기 문틀 상부면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문비의 타면에 결합되는 누수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비는 일단이 문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문비 본체, 상기 문비 본체의 타면에 구비되며, 수로의 물을 저류하는 스킨 플레이트, 상기 스킨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수문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수문을 통해 저층수 및 협잡물을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저층수 및 협잡물의 이동 방향을 유도하는 유도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문은 상기 스킨 플레이트와의 접촉면에 수밀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문 개폐 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 2 브라켓의 제 2 결합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문비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며, 장방향으로의 길이 및 장력의 조절이 가능한 링크 암 및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크 암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 3 결합홀이 형성된 제 1 지점, 상기 수문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 4 결합홀이 형성된 제 2 지점 및 상기 스킨 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제 3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 암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수문을 개폐하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홀 및 제 3 결합홀은 장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은 상기 제 3 지점에 형성된 제 5 결합홀에 슬라이드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문비의 양단 사이에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수문이 설치되고, 문비의 기립 및 도복하는 것에 의해 설치된 수문의 일단에 형성된 길이 조절 링크 및 캠이 작동되어 별도의 장치없이 수문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문을 통해 상시 및 간헐적으로 협잡물, 침사 및 자갈 등이 배출되어 수질 오염 등의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문을 통해 협잡물, 침사 및 자갈 등이 배출되는 것에 의해 배출구에 협잡물의 협착과 침사 및 자갈의 누적을 방지하여 가동보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문이 문비의 저면에 구비되어 의해 협잡물, 침사 및 자갈 등이 수문 및 수문의 연결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의 문비가 기설정된 각도로 기립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문비가 도복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비를 도 1보다 기설정된 각도만큼 더 기립하여 수문을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 장치를 조절하여 수문을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표시된 A의 배면도
도 6은 도 4에 표시된 B의 확대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의 문비가 기설정된 각도로 기립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문비가 도복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비를 도 1보다 기설정된 각도만큼 더 기립하여 수문을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 장치를 조절하여 수문을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표시된 A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표시된 B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1)는 문비(200)의 회전을 통해 별도의 구동 장치 없이 수문(40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시 및 간헐적으로 협잡물, 침사 및 자갈 등을 배출하여 수질 오염 등의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1)는 문틀(100), 문비(200), 각도 조절 장치(300), 수문(400), 수문 개폐 장치(500) 및 누수방지판(600)을 포함할 수 있다.
문틀(100)은 수로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제 1 브라켓(110) 및 제 2 브라켓(12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문틀(100)은 상부면에 누수방지판(60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제 1 브라켓(110)은 문틀(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문비(20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 1 결합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브라켓(120)은 문틀(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결합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결합홀(121)은 링크 암(51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결합홀(121)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링크 암(51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문(400)의 개폐가 용이할 수 있다.
문비(200)는 일단이 문틀(100)의 일측에 구비된 제 1 브라켓(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수로의 물을 저류할 수 있다. 또한, 문비(200)는 기립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수문(40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출구(230) 통해 저층수 및 협잡물을 배출할 수 있다. 문비(200)는 문비 본체(210), 스킨 플레이트(220), 배출구(230) 및 유도깃(240)을 포함할 수 있다.
문비 본체(210)는 일단이 문틀(10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브라켓(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각도 조절 장치(300)에 의해 기립될 수 있다. 문비 본체(210)는 일측에 스킨 플레이트(2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도 조절 장치(300)에 의해 기립하여 수로의 물을 저류할 수 있다.
또한, 문비 본체(210)는 수평보(H) 및 수직보(V)를 교차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수평보(H) 및 수직보(V) 만으로 형성하지 않고, 패널을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스킨 플레이트(220)는 문비 본체(210)의 타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문비 본체(210)의 기립에 의해 일측에 수로의 물을 저류할 수 있다. 스킨 플레이트(220)의 일측에 저류된 물은 수문(400)의 개폐에 의해 스킨 플레이트(220)에 구비된 배출구(230)로 상시 및 간헐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230)는 스킨 플레이트(2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되는 수문(40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배출구(230)는 스킨 플레이트(220)의 일측에 저류된 물 뿐만 아니라 협잡물, 침사 및 자갈 등과 같이 수로에 저류된 물의 유통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230)는 스킨 플레이트(22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종래의 가동보에 구비된 스크린 형상의 배출 통로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인 협잡물, 침사 및 자갈 등이 배출 통로에 협착되어 물의 유통을 방해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유도깃(240)은 배출구(230)를 통해 배출되는 저층수 및 협잡물의 이동 방향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층수 및 협잡물이 저층수 배출 통로(700)로 유도되어 하류로 이동할 수 있다. 유도깃(240)을 통해 저층수 및 협잡물을 저층수 배출 통로(700)로 유도하는 것에 의해 협잡물이 축적되어 가동보 장치(1)의 고장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가동보의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각도 조절 장치(300)는 일단이 문비(20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문비(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문비(200)를 회전시켜 기립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로의 물을 저류할 수 있다.
여기서, 각도 조절 장치(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나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로 한정하지 않고, 와이어 드럼식 권양기, 도르래를 이용한 장치 등 문비(200)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대체할 수 있다.
수문(400)은 문비(200)의 일면 즉, 스킨 플레이트(220)의 타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수문(400)은 문비(20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협잡물에 의해 수문(400) 및 수문(400)의 연결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문(400)은 배출구(230)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스킨 플레이트(220)와 접촉되는 면에 수밀 부재(41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밀 부재(410)는 고무 재질과 같이 스킨 플레이트(220)와 수문(400)사이에서 수밀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으며, 고무로 한정하지 않고, 수밀할 수 있는 재질이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수문(400)은 타단이 캠(520)의 제 2 지점(522)에 구비된 제 4 결합홀(522a)에 결합될 수 있으며, 문비(200)의 각도에 따라 링크 암(510)이 회전하여 캠(520)을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문(400)이 개방되어 배출구(230)를 통해 저층수 및 협잡물을 배출할 수 있다.
수문 개폐 장치(500)는 문틀(100)의 제 2 브라켓(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수문(400)을 문비(200)의 스킨 플레이트(220)로부터 개폐할 수 있다. 수문 개폐 장치(500)는 링크 암(510) 및 캠(520)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암(510)은 일단이 제 2 브라켓(120)의 제 2 결합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문비(200)의 기립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링크 암(510)은 장방향으로 길이 및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길이 및 장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문비(200)의 각도에 따른 수문(400)의 개폐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링크 암(510)의 길이를 기설정된 길이보다 짧게 하는 경우, 문비(200)의 기립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보다 작아야 수문(400)이 개방될 수 있으며, 링크 암(510)의 길이를 기설정된 길이보다 길게 하는 경우, 문비(200)의 기립 각도가 기설정된 각도보다 커야 수문(400)이 개방될 수 있다.
캠(520)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링크 암(510)의 타단 및 수문(40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 캠(520)은 링크 암(510)의 회전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력을 수문(400)의 타단으로 전달하여 수문(400)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캠(520)은 링크 암(51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는 제 1 지점(521), 수문(40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는 제 2 지점(522) 및 스킨 플레이트(2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제 3 지점(5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점(521)은 링크 암(51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으며, 링크 암(510)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 3 결합홀(52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결합홀(521a)은 링크 암(510)의 회전이 용이할 수 있도록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점(522)은 수문(40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으며, 수문(400)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 4 결합홀(52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지점(523)은 스킨 플레이트(2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제 5 결합홀(52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5 결합홀(523a)에는 제 3 지점(523)이 스킨 플레이트(2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라이드 부재(523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캠(5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각 형상 또는 원형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대체되는 형상에 따라 링크 암(510) 및 수문(400)이 결합되고, 스킨 플레이트(220)를 따라 슬라이딩 하는 지점의 개수도 변동될 수 있다.
누수방지판(600)은 일단이 문틀(100)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이 문비(200)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문비(200) 타면은 스킨 플레이트(220)가 구비되는 면 일 수 있다.
누수방지판(600)은 문비(200)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굴곡되어 문비(20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문틀(100)과의 틈새(공간)를 통해 수로의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문비(200)의 회전에 따라 굴곡될 수 있으면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일 수 있다.
저층수 배출 통로(700)는 수문(400)의 개방에 의해 배출구(230)를 통해 유도깃(240)을 따라 배출되는 저층수 및 협잡물이 배출되는 통로일 수 있으며, 협잡물에 의해 가동보 장치(1)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도깃(240)을 통해 저층수 및 협잡물을 따로 배출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100 : 문틀
110 : 제 1 브라켓
111 : 제 1 결합홀
120 : 제 2 브라켓
121 : 제 2 결합홀
200 : 문비
210 : 문비 본체
220 : 스킨 플레이트
230 : 배출구
240 : 유도깃
300 : 각도 조절 장치
400 : 수문
410 : 수밀 부재
500 : 수문 개폐 장치
510 : 링크 암
520 : 캠
521 : 제 1 지점
521a : 제 3 결합홀
522 : 제 2 지점
522a : 제 4 결합홀
523 : 제 3 지점
523a : 제 5 결합홀
523b : 슬라이드 부재
600 : 누수방지판
700 : 저층수 배출 통로
H : 수평보
V : 수직보

Claims (7)

  1. 수로에 설치되며, 일측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제 1 브라켓 및 제 2 브라켓이 구비되는 문틀;
    일단이 상기 문틀의 제 1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로의 물을 저류하는 문비;
    일단이 상기 문비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상기 문비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장치;
    상기 문비의 일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구비되며,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문; 및
    상기 수문을 상기 문비로부터 개폐하는 수문 개폐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문틀 상부면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문비의 타면에 결합되는 누수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비는
    일단이 문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문비 본체,
    상기 문비 본체의 타면에 구비되며, 수로의 물을 저류하는 스킨 플레이트,
    상기 스킨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수문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수문을 통해 저층수 및 협잡물을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저층수 및 협잡물의 이동 방향을 유도하는 유도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은 상기 스킨 플레이트와의 접촉면에 수밀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 개폐 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 2 브라켓의 제 2 결합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문비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며, 장방향으로의 길이 및 장력의 조절이 가능한 링크 암 및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크 암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 3 결합홀이 형성된 제 1 지점, 상기 수문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 4 결합홀이 형성된 제 2 지점 및 상기 스킨 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제 3 지점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 암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수문을 개폐하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홀 및 제 3 결합홀은 장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제 3 지점에 형성된 제 5 결합홀에 슬라이드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KR1020190073862A 2019-06-21 2019-06-21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KR102205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862A KR102205426B1 (ko) 2019-06-21 2019-06-21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862A KR102205426B1 (ko) 2019-06-21 2019-06-21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192A true KR20200145192A (ko) 2020-12-30
KR102205426B1 KR102205426B1 (ko) 2021-01-19

Family

ID=7408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862A KR102205426B1 (ko) 2019-06-21 2019-06-21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4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822B1 (ko) * 2021-06-11 2022-01-20 덕상이엔지 주식회사 하단 배출기능과 실린더 부가 분리 기능을 갖는 가동보
CN115140789A (zh) * 2022-08-31 2022-10-04 浙江蓝景科技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海洋云仓船舶污染物储存预处理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749A (ja) * 2003-06-16 2005-01-06 Howa Mach Ltd 防水扉装置
KR200375208Y1 (ko) * 2004-10-30 2005-03-11 주식회사 금성기공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
KR100799359B1 (ko) 2007-08-03 2008-0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KR101405099B1 (ko) * 2013-11-20 2014-06-11 주식회사 수경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KR101405096B1 (ko) * 2013-11-20 2014-06-11 주식회사 수경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KR20140138574A (ko) * 2014-11-16 2014-12-04 한상관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101557744B1 (ko) * 2015-04-01 2015-10-06 하서산업 주식회사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수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749A (ja) * 2003-06-16 2005-01-06 Howa Mach Ltd 防水扉装置
KR200375208Y1 (ko) * 2004-10-30 2005-03-11 주식회사 금성기공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
KR100799359B1 (ko) 2007-08-03 2008-0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KR101405099B1 (ko) * 2013-11-20 2014-06-11 주식회사 수경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KR101405096B1 (ko) * 2013-11-20 2014-06-11 주식회사 수경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KR20140138574A (ko) * 2014-11-16 2014-12-04 한상관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101557744B1 (ko) * 2015-04-01 2015-10-06 하서산업 주식회사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수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822B1 (ko) * 2021-06-11 2022-01-20 덕상이엔지 주식회사 하단 배출기능과 실린더 부가 분리 기능을 갖는 가동보
CN115140789A (zh) * 2022-08-31 2022-10-04 浙江蓝景科技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海洋云仓船舶污染物储存预处理装置
CN115140789B (zh) * 2022-08-31 2022-11-18 浙江蓝景科技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海洋云仓船舶污染物储存预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426B1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426B1 (ko)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KR101557744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수문
KR100757950B1 (ko) 사이펀 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
KR101302203B1 (ko)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KR101405099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DE2506126B2 (de) Regenueberlaufbauwerk
KR101405096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WO2008004202A2 (en) System for preventing overflows
DE19509970C2 (de) Klappe zum Absperren eines oben offenen Gerinnes
DE3922481A1 (de) Vorrichtung zur regelung des durchflusses durch kanaele, insbesondere abwasserkanaele
KR102064133B1 (ko) 댐의 보조 수문장치.
KR101025819B1 (ko) 회전수문에 설치되는 어도
DE3937685A1 (de) Rueckstauwehr an vorflutern
KR200392599Y1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20090116227A (ko) 언주높이를 낯추고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수문장치와 이의설치방법
CN209066393U (zh) 一种可倾式闸门
KR100778151B1 (ko) 부력식 어도
EP2283188A1 (de) Verfahren zum spülen eines unterhalb eines hindernisses verlegten abwasserkanals und hierbei verwendete spülanlage
KR20120046851A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KR102352822B1 (ko) 하단 배출기능과 실린더 부가 분리 기능을 갖는 가동보
JPS5817912A (ja) 転倒ゲ−トの排砂装置
KR102436458B1 (ko) 어류 안내구조를 갖는 하천용 어도블럭
KR200192044Y1 (ko) 부상식 개폐장치를 가진 자동보수문
KR101565081B1 (ko) 가동보 수문
CN220416399U (zh) 管道防倒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