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208Y1 -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 - Google Patents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208Y1
KR200375208Y1 KR20-2004-0030741U KR20040030741U KR200375208Y1 KR 200375208 Y1 KR200375208 Y1 KR 200375208Y1 KR 20040030741 U KR20040030741 U KR 20040030741U KR 200375208 Y1 KR200375208 Y1 KR 200375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ate
auxiliary
water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기공
Priority to KR20-2004-0030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2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05Y2600/322Rotary motion around a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수지의 여수로에 설치되는 전도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전도 게이트의 문비 하측으로 보조 문비를 설치하여 문비가 전도되기 시작할 때부터 어도를 타고 물고기가 보조 문비를 통하여 올라 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심층수를 배출하여 부용화를 방지하도록 하는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문비가 하측을 중심으로 상측이 눕혀지는 전도 게이트에 있어서, 문비의 하측에 물고기가 통과하는 보조 문비를 설치하되 상기 보조 문비의 배면으로 링크 형태의 어도를 설치하고, 문비의 상측 내부에는 상기 보조 문비를 부력을 이용하여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력구를 설치하므로서 이우어지는 것으로, 문비를 넘치는 물에 의해 부력구가 상승하면서 보조문비를 열어 심층수를 배출시키는 한편 링크 형태로 설치된 어도를 통하여 물고기가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Overturnable automatic watergate that fish way is formed}
본 고안은 저수지의 여수로에 설치되는 전도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전도 게이트의 문비 하측으로 보조 문비를 설치하여 문비가 전도되기 시작할 때부터 어도를 타고 물고기가 보조 문비를 통하여 올라 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심층수를 배출하여 부용화를 방지하도록 하는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저수지 또는 하천의 여수로에는 하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눕혀지거나 세워지도록 하므로서 물을 담수시키거나 방류시키는 전도 게이트를 설치하고 있으나, 물을 방류시키기 위하여 전도 게이트의 문비를 눕혀준 상태에서는 물이 전도 게이트의 문비 상측으로 흘러내리게 되어 물고기가 자유롭게 상류로 이동할 수 있으나, 문비를 세워서 고정시키거나 어느 정도 눕혀진 상태에서는 물고기가 문비를 뛰어 넘을 수 없어 물고기의 이동이 차단되는 것이었다.
특히 호우시나 장마철에 문비를 눕혀 물을 방류시켜야 할 경우 문비를 충분히 눕혀준 상태에서만 물고기가 이동할 수 있고, 문비가 어느 정도만 눕혀져 최소한의 물을 방류시킬 경우 즉 문비가 눕혀져 물이 충분한 수위를 유지하며 방류되지 않고 문비를 일부만 눕혀 방류 량만 증가시킬 경우 물고기는 아직 세워져 있는 문비를 타고 넘을 수가 없어 물고기가 상류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도 게이트에 어도를 설치하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기존의 어도는 계단 형태로 제작하여 물고기가 계단을 타고 문비를 넘도록 되어 있어 물고기가 타고 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게 된다.
그리고 문비에 의해 물이 담수될 경우 하부에 위치하는 심층수는 부용화가 진행되어 수질이 나빠지게 되므로, 문비가 눕혀져 방류가 이루어질 때 표층수와 함께 심층수를 방출시키지 못하면 부용화로 인하여 수질이 악화되는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전도 게이트의 문비 하측을 통하여 심층수를 배출시켜 부용화를 방지하도록 하는 한편 물고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문비가 완전히 세워지거나 완전히 눕혀진 상태에서는 물고기의 이동을 차단하고 문비가 눕혀지는 동안에는 전도 게이트의 하측을 통하여 물고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문비가 하측을 중심으로 상측이 눕혀지는 전도 게이트에 있어서, 문비의 하측에 물고기가 통과하는 보조 문비를 설치하되 상기 보조 문비의 배면으로 링크 형태의 어도를 설치하고, 문비의 상측 내부에는 상기 보조 문비를 부력을 이용하여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력구를 설치하므로서 이우어지는 것으로, 문비를 넘치는 물에 의해 부력구가 상승하면서 보조문비를 열어 심층수를 배출시키는 한편 링크 형태로 설치된 어도를 통하여 물고기가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여수로에 설치된 문비(11)의 하부를 중심으로 경사지게 세워지거나 바닥에 눕혀지게 하므로서 물을 담수하거나 방류시키는 전도 게이트(10)에 있어서, 상기 문비(11)의 하측으로 보조 문비(40)를 설치하되 상기 보조 문비(40)는 문비(11)를 넘치는 물의 부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조 문비(40)에는 링크형 어도(50)를 설치하므로서 구성된다.
문비(11)는 여수로를 가로질러 고정된 고정 프레임(13)에 하측을 힌지(14)로 결합시켜 회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문비(11)는 기립각이 배면쪽으로 예각을 갖도록 설치되며, 문비(11)의 정면 하부에는 누수 차단판을 설치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문비(11)는 도시되지 아니한 작동실에서 수위에 따라 유압 장치를 작동시켜 세워주거나 눕혀지게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문비(11)의 상측에 유수 유입구(21)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 문비(11)의 내측으로 부력실(20)을 설치하되 상기 부력실(20)의 내부에는 부력구(25)를 설치하여 유수 유입구(21)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부력구(25)가 상승될 수 있도록 하고, 문비(11)의 하측 정면에는 보조 문비(40)를 설치하되 상기 보조 문비(40)는 상기 부력구(25)가 상승할 때 열리고 부력구(25)가 하강 할 때 닫히도록 하며, 상기 보조 문비(40)의 배면에는 링크형 어도(50)를 설치하여 보조 문비(40)가 열렸을 때 링크형 어도(50)를 타고 물고기가 문비(11)의 정면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문비(1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공간부(12)에는 최상측의 배면쪽으로 유수 유입구(21)를 설치하되 상기 유수 유입구(21)는 문비(1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는 한편 걸림망을 설치하여 문비(11)를 타고 넘치는 물만 유수 유입구(21)로 들어 갈 수 있도록 하고, 이물질은 걸림망에 걸려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 공간부(12)의 하측에는 부력실(20)을 형성하되 상부 공간부(12)로 유입된 물이 부력실(20)로 이동하도록 유수통로(22)를 형성하고, 부력실(20)의 하부에는 유수 배출구(28)를 형성하는 한편 유수 배출구(28)의 하부에는 역수 방지변(29)을 설치하며, 내부에 부력구(25)를 설치한다.
상기 부력구(25)에는 로드(30)가 관통되어 고정되고, 상기 로드(30)의 상부는 고정환(26)을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환(26)은 U자 형의 가이드(27)에 끼워져 부력구(25)가 상하 이동될 때 고정환(26)이 가이드(27)를 타고 상하 이동되게 하므로서, 부력구(25)가 안정된 상태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로드(30)는 하부로 돌출되어 링크대(31)의 장홈에 힌지 결합되게 하며, 상기 링크대(31)의 타단은 문비(11)에 힌지(32)로 결합되게 한다.
상기 링크대(31)는 힌지(32)에 결합되는 동시에 작동대(33)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작동대(33)는 힌지로 작동간(34)과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작동간(34)이 타단은 보조 문비(40)의 배면에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보조 문비(40)는 문비(10)의 정면에 힌지(41)로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부력구(25)로 로드(30)를 상승시키면 링크대(31)가 작동대(33)를 당기게 되고, 작동대(33)는 작동간(34)을 당겨 보조 문비(40)가 힌지(41)를 중심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하며, 부력구(25)가 하강하면 상기와 반대로 보조 문비(40)가 닫히게 된다.
상기 보조 문비(40)는 전방에 이물질 투입을 방지하는 스크린(42)이 설치되어 보조 문비(42)가 개방되더라도 이물질이 보조 문비(40)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보조 문비(40)의 개방시 스크린(42)에 걸려 과도하게 열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보조 문비(40)의 배면 쪽으로 문비(11)의 배면에 링크형 어도(50)를 설치하며, 상기 링크형 어도(50)는 수 개의 어도(50)가 힌지(51)(52)로 결합되어 링크 형태를 갖추도록 하는 것으로, 문비(11)가 세워지거나 눕혀질 때 어도(50)가 힌지(51)(52)부위에서 꺽이면서 문비(11)의 이동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
상기 어도(50)는 사각판 형태의 바닥판(55) 양쪽으로 측면판(56)을 고정시키되 바닥판(55)을 가로질러 오름턱(57)을 형성시키고, 상기 오름턱(57)은 물고기가 물살의 영향으로부터 쉬게 하기 위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시킴이 타당하며, 보조 문비(40)의 개방시 심층수가 보조 문비(40)를 통하여 방류되는 한편 링크형 어도(50)를 타고 흘러내리도록 하므로서 물고기가 링크형 어도(50)를 타고 이동하여 보조 문비(40)를 통하여 올라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서 전도 게이트(10)의 문비(11)를 작동시켜 힌지(14)를 중심으로 세워주거나 눕혀주는 과정은 기존 방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문비(11)가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는 물이 문비(11)를 넘치지 않게 되므로 본 고안은 작동하지 않게 되며, 집중 호우와 같이 물이 수위가 높아질 경우 수위를 낮추기 위하여 문비(11)를 서서히 일정각도로 낮추어 주게 되고, 이 같이 문비(11)를 눕혀줄 때 보조문비(40)가 개방되어 심층수를 배출시키는 한편 링크형 어도(50)를 통하여 물고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문비(11)가 눕혀지기 시작하여 담수된 물이 문비(11)의 상부를 타고 흘러내리면 일부의 물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유수 유입구(21)를 통하여 문비(11)의 내측 상부 공간부(12)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유수 유입구(21)에는 걸림망을 설치하여 이물질이 상부 공간부(12)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유수 유입구(21)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은 유수 통로(22)를 통하여 부력실(20)을 채우게 되며, 이때 부력실(20)로 유입된 물은 유수 배출구(28)를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나 배출구(28)로 배출되는 물의 량이 유수 유입구(21)를 통하여 유입되는 량보다 적게 하면 물은 부력실(20)에 채워지게 된다.
물이 부력실(20)을 채우게 되면 부력구(25)는 수위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부력구(25)에 고정된 로드(30)를 상측으로 당겨주게 되며, 이때 부력구(25)는 상측에 고정된 고정환(26)이 가이드(27)에 끼워져 있어 가이드(27)를 타고 이동하게 된다.
부력구(25)로 로드(30)를 당기게 되면 로드(30)는 링크대(31)를 상부로 당겨주게 되고, 이때 로드(30)는 링크대(31)의 장홈에 힌지 결합되므로 로드(30)로 링크대(31)를 당겨줄 수 있게 된다.
상기 링크대(31)가 상부로 당겨지게 되면 작동대(33)를 문비(11)쪽으로 밀게 되고 작동대(33)는 작동간(34)을 보조 문비(40)쪽으로 밀게 되어 보조 문비(40)가 열리게 되며, 열려진 보조 문비(40)는 스크린(42)에 걸치는 각도까지만 열리게 되고, 보조 문비(40)가 열리면 심층수가 보조 문비(40)를 통하여 배출되어 부용화의 진행을 방지하게 된다.
즉 문비(11)의 하측에 설치된 보조 문비(40)가 열리면 표층수가 배출되지 않고 심층수가 보조 문비(40)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심층수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부용화를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보조 문비(40)는 문비(11)가 눕혀지기 시작하여 부력실(20)에 물이 채워지면 열리게 되는 것으로, 심층수의 배출과 함께 링크형 어도(50)를 타고 올라오는 물고기가 보조 문비(40)를 통하여 상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보조 문비(40)의 배면에는 링크형 어도(50)가 설치되어 있게 되며, 상기 링크형 어도(50)를 통하여 보조 문비(4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 흐르게 되고, 링크형 어도(50)를 채운 채로 물이 흐르게 되므로 물고기는 링크형 어도(50)를 타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링크형 어도(50)는 힌지(51)(52)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각각의 어도(50)는 바닥판(55)의 양측에 측면판(56)이 설치되어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바닥판(55)에는 일정 간격으로 오름턱(57)을 지그 재그 형태로 설치하여 물고기가 어도(50)를 타고 오를 때 쉬어 가면서 오를 수 있도록 한다.
보조 문비(40)가 열리게 되면 보조 문비(40)를 통하여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어도()를 타고 흐르게 되고, 상기 어도(40)를 타고 물이 흐르게 되므로 물고기는 어도를 타고 올라가 보조 문비(40)를 통하여 상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문비(11)가 눕혀지기 시작하여 어느 정도 눕혀지면 유수 배출구(28)에 설치된 역수 방지변(29)이 자중에 의하여 유수 배출구(28)를 닫아주게 되므로, 부력실(20)에 채워진 물은 거꾸로 유수 유입구(21)를 통하여 빠지게 되어 부력구(25)의 부력이 서서히 감소되어 로드(30)를 당기는 힘이 약해지므로 보조문비(40)는 서서히 닫히게 되고, 문비(11)가 완전히 눕혀졌을 때 보조문비(40)도 완전히 닫히게 되며, 이때에는 어도(50)를 통한 물고기의 이동이 중단되고 눕혀진 문비(11)의 상부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문비(11)가 어느 정도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 보조 문비(40)를 통하여 심층수를 배출시키는 한편 어도(50)와 함께 물고기를 이동시키는 것이고, 문비(11)가 완전히 세워져 있는 경우와 완전히 눕혀진 경우는 보조문비(40)를 닫아주게 된다.
본 고안의 유수 유입구(21), 부력실(20), 보조문비(40), 어도(50)는 문비(1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문비(11)의 길이가 길면 일정 간격으로 수 개를 설치하도록 한다.
부력실(20)에 설치된 부력구(25)는 여러 개를 설치하여 보조 문비(40)를 열어주는 충분한 부력을 갖도록 하고, 로드(30)는 유수 배출구(28)와 다른 장소에 설치하여 유수 배출구(28)가 역수 방지변(29)에 의해 막혀지는 것이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링크형 어도(50)는 문비(11)가 세워지거나 눕혀질 때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되어 문비(11)의 이동에 하등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전도 게이트의 문비 하측으로 보조 문비를 설치하되 상기 보조 문비는 문비를 타고 넘치는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열어 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문비의 배면에는 링크형 어도를 연결하여 문비가 눕혀지기 시작하면 보조 문비를 통하여 심층수를 배출시킴으로서 부용화를 방지하는 한편 링크형 어도를 통하여 물고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문비가 눕혀지기 시작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부력구가 하강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부력구가 상승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
도 6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문비가 눕혀지는 과정을 보인 측단면도
도 9은 본 고안의 문비가 완전히 눕혀진 상태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어도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도 게이트 11 : 문비
20 : 부력실 21 : 유수 유입구
25 : 부력구 28 : 유수 배출구
29 : 역수 방지변 30 : 로드
31 : 링크대 33 : 작동대
34 : 작동간 40 : 보조 문비
50 : 링크형 어도 55 : 바닥판
56 : 측면판 57 : 오름턱

Claims (6)

  1. 여수로를 가로막아 문비(11)를 설치하고, 상기 문비(11)의 하부를 중심으로 상측을 회동시켜 담수와 배수가 이루어지는 전도 게이트(10)에 있어서,
    상기 문비(11)의 상부 내측에 문비(11)를 타고 넘치는 물이 유수 유입구(21)로 유입되어 채워지는 부력실(20)을 설치하고, 문비(11)의 정면 하측으로 보조 문비(40)를 설치하여 담수된 물이 보조 문비(4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부력실(20)에는 부력구(25)를 설치하되 상기 부력구(25)에는 로드(30)를 연결하고, 상기 로드(30)의 상하 이동에 의해 문비(11)에 설치된 보조 문비(40)가 개폐되게 설치하며, 상기 보조 문비(40)의 배면에는 링크형 어도(50)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문비(11)의 상측에 형성된 상부 공간부(12)의 최상측 배면으로 유수 유입구(21)를 설치하고, 상기 유수 유입구(21)로 유입된 물이 부력실(20)에 채워지며, 상기 부력실(20)의 하부에는 유수 배출구(28)를 설치하고, 부력실(20)에 설치된 부력구(25)는 로드(30)에 고정되는 한편 상부에 고정환(26)을 고정시켜 가이드(27)를 타고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유수 배출구(28)에는 역수 방지변(29)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로드(30)의 하단은 링크대(31)의 장홈에 힌지 결합시키고, 상기 링크대(31)의 타단은 문비(11)의 배면에 힌지로 결합하되 작동대(33)와 링크대(31)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작동대(33)에는 작동간(34)을 힌지로 결합시키고, 상기 작동간(34)의 타단은 보조 문비(40)에 힌지로 결합시키며, 보조 문비(40)는 문비(11)의 정면에 힌지(41)로 결합되어 로드(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유수 유입구(21)에는 걸림망을 설치하고, 보조 문비(40)의 전면에는 스크린(42)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
  6. 제1항에 있어서, 링크형 어도(50)는 힌지(51)(52)를 이용하여 문비(11)의 배면과 여수로에 설치되고, 하나의 어도(50)는 바닥판(55)의 양측으로 측면판(56)을 고정시키는 한편 바닥판(55)의 상부에 오름턱(57)을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
KR20-2004-0030741U 2004-10-30 2004-10-30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 KR200375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741U KR200375208Y1 (ko) 2004-10-30 2004-10-30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741U KR200375208Y1 (ko) 2004-10-30 2004-10-30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208Y1 true KR200375208Y1 (ko) 2005-03-11

Family

ID=43677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741U KR200375208Y1 (ko) 2004-10-30 2004-10-30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2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192A (ko) * 2019-06-21 2020-12-30 정금재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192A (ko) * 2019-06-21 2020-12-30 정금재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KR102205426B1 (ko) * 2019-06-21 2021-01-19 정금재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196B1 (ko) 보의 상류 측 수중에 위치하여 수위 변동시에도 어류의 이동이 연중 가능한 어도
KR101067610B1 (ko) 힌지형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KR20110028097A (ko)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CN113622372B (zh) 一种隐藏式防洪门
KR200375208Y1 (ko) 어도가 형성된 전도 게이트
KR101033015B1 (ko)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439225B1 (ko) 수로 개폐형 협잡물 제진장치
KR101302203B1 (ko)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KR101971420B1 (ko) 데크로드의 출입 차단 장치
KR20100057110A (ko) 수문조절장치
EP1852554A2 (en) Fish pass
KR200246774Y1 (ko) 수문 개폐장치
JP2552616B2 (ja) 魚道装置の制御ゲートおよびその集魚装置
KR20120046851A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KR100807744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JPH057727U (ja) 魚道装置
KR200460117Y1 (ko) 다 목적용 보
KR200449044Y1 (ko) 수문장치
KR200250205Y1 (ko) 수직 상승 수문
KR101009369B1 (ko) 수세식변기용 절수기
KR101954249B1 (ko) 다중구조 하천수 유입방지장치
KR20050097099A (ko) 슬라이드형 수문
KR200215796Y1 (ko) 중력 자동 수문
KR100658823B1 (ko) 안전스크린이 구비된 양축이 상하 작동되는 겸용 자동수문
KR100930685B1 (ko) 하수배출형 부표식 자동수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