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574A -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 Google Patents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574A
KR20140138574A KR1020140159333A KR20140159333A KR20140138574A KR 20140138574 A KR20140138574 A KR 20140138574A KR 1020140159333 A KR1020140159333 A KR 1020140159333A KR 20140159333 A KR20140159333 A KR 20140159333A KR 20140138574 A KR20140138574 A KR 20140138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riendly
eco
river
elec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2515B1 (ko
Inventor
한상관
한민섭
한지연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riority to KR102014015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515B1/ko
Publication of KR20140138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여 줌과 동시에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들과 양서류들이 하천의 상류와 하류를 자유자재로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대량의 어류를 자연적으로 양식하여 식량의 자급자족을 달성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 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본 발명은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여 줌과 동시에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들과 양서류들이 하천의 상류와 하류를 자유자재로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대량의 어류를 자연적으로 양식하여 식량의 자급자족을 달성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 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특허등록번호10-0763800호로 본 출원인이 등록 받은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시스템과 결합하여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을 보다더 발전시킨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관한 발명이다
주지하다시피, 하천이나 관계용수로에서 논밭으로 향하는 수로의 입구에 하천의 물들이 농경지등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권양기 수문이 구성되며 또한 하천수를 퍼 올려 농경지등에 물의 공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권양기 수문을 설치하고 있다.
즉 이러한 곳에 설치되는 권양기 수문들은 단순히 물을 가두거나 차단하도록 하는 역할을 위해서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공개번호 10-2013-0034656호(도 1 참조)에 공개된 발명의 경우 본 발명자에 의해 창안된 기술로서, 수력으로 전기를 생산 할 때에 높게 저수되는 수압의 낙차를 이용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자에 의해 창안된 공개번호 10-2009-0060985호(도 2 참조)와 공개번호 10-2009-0060983에 의해 구성되는 수문은 단순히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도록 구성된 방식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어도를 자동으로 구성시켜주면서 수시로 변하는 저수량의 수위에 유효 적절하게 대처하여 상시 발전을 할 수가 없는 중대한 결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자에 의해 창안된 기술인 특허 제 10-1233804 호에 의해 구성되는 수문(도 3 참조)은 단순히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는 친환경 공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즉, 종래의 전도식 수문, 부상식 수문, 회전식 수문, 권양기 수문 등은 수위에 따른 저층수의 배출, 하천수의 정화, 생태계 복원을 위한 어도형성, 발전 등이 동시에 가능하지 않아 기능성이 떨어지는 것이었으므로 이러한 수위에 따른 저층수의 배출, 하천수의 정화, 생태계 복원을 위한 어도형성, 발전 등이 동시에 가능한 수문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여 줌과 동시에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들과 양서류들이 하천의 상류와 하류를 자유자재로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대량의 어류를 자연적으로 양식하여 식량의 자급자족을 달성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 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관한 발명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친환경 공법은, 하천의 가로방향으로 바닥부의 기초 콘크리트 위에 설치되는 다수조의 문틀; 상기 문틀의 사이에 개폐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저수공간측 하부에는 제1 저층수유입구가 형성되고, 배출측에는 다단의 제1 저층수배출구가 형성되어 폐쇄된 상태에서 저수공간의 저층수를 배출해주도록 구성된 수문; 상기 수문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승하강하면서 상기 저수공간의 저수위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1 저층수배출구를 통한 저층수의 배출위치를 조절하는 배출높이 조절수단; 상기 수문의 제1 저층수배출구 전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저층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방향을 안내하는 제1 물흐름유도구; 및 상기 수문의 하단부 제1 물흐름유도구 하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물흐름유도구를 통해 안내되는 물과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 전력생산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문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저층수 유도판이 설치되고, 상기 저층수 유도판의 하부에는 물고기의 생태 이동통로를 이루는 어도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높이 조절수단은, 단면상 "
Figure pat00001
"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문과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진 배출량 조절판; 일단은 상기 배출량 조절판의 안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문의 일측에 고정되어 이루어진 다수의 배출량 조절실린더; 및 상기 다수의 배출량 조절실린더 전체에 덧대어져 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지수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량 조절실린더는 상기 수문의 배출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판은 상기 제1 저층수배출구 중 최상부측 제1 저층수 배출구를 넘어 상기 수문의 내부와 상기 수문의 배출측면에 걸쳐지도록 위치되며, 상기 배출량 조절실린더의 피스톤로드는 상기 수문의 배출측면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판 안쪽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량 조절실린더는 상기 수문의 배출측면 내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판은 상기 수문의 배출측면 내하부에서부터 상기 수문의 저수공간측면 내상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량 조절판은 상기 수문의 저수공간측면 내하부에서부터 상기 수문의 배출측면 내상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위치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판의 하부에는 저수량 조절판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면서 상기 저수량 조절판의 하단부는 상기 수문의 저수공간측면 내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저수량 조절판의 중간부에는 상기 수문의 저수공간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전후진 실린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실린더는 상단부가 상기 배출량 조절판에 연결되면서 하단부는 상기 저수량 조절판의 중간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층수 유도판의 중간부에는 배출량 조절실린더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저층수 유도판 위쪽에 단면상 "
Figure pat00002
"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수문과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진 배출량 조절판이 위치되며, 상기 배출량 조절판의 안쪽면에 상기 배출량 조절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배출량 조절실린더와 상기 배출량 조절판이 상기 배출높이 조절수단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친환경 공법은, 하천의 가로방향으로 바닥부의 기초 콘크리트 위에 설치되며, 저수공간 방향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저층수배출구가 형성된 다수조의 문틀; 상기 문틀의 제2 저층수배출구 전위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저층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방향을 안내하는 제2 물흐름유도구; 상기 문틀의 하단부 제2 물흐름유도구 하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물흐름유도구를 통해 안내되는 물과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 전력생산장치; 상기 문틀의 사이에 개폐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저수공간 방향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저층수배출구가 형성된 수문; 및 상기 수문의 제3 저층수배출구 전위에 장착되어 상기 제3 저층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방향을 안내하는 제3 물흐름유도구; 및 상기 수문의 하단부 제3 물흐름유도구 하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물흐름유도구를 통해 안내되는 물과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발생시키는 제3 전력생산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물흐름유도구는 저수공간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문틀의 전면, 상면, 후면까지 일정간격 연속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물흐름유도구의 저수공간측 하단부에는 기초 콘크리트가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며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경사진 형태로 제2 저층수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물흐름유도구는 저수공간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수문의 전면, 상면, 후면까지 일정간격 연속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3 물흐름유도구의 저수공간측 단부에는 제3 저층수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틀의 제2 물흐름유도구 또는 상기 수문의 제3 물흐름유도구는 저수공간의 저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2 저층수유입구 또는 상기 제3 저층수유입구와 인접한 하부위치에는 다수의 하천수 타격장치가 구비되어 저수공간 하층부의 오염된 물질을 상기 하천수 타격장치를 통해 각각 타격하여 잘게 분쇄해줌과 동시에 부상시키고, 상기 부상된 오염물질이 하천수와 함께 상기 제2 저층수유입구 또는 상기 제3 저층수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었다가 상기 제2 저층수배출구 또는 상기 제3 저층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문이 전도식 수문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수문의 제3 물흐름유도구와는 별도로 제4 물흐름유도구가 구비되어 저수공간의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형상을 이루면서 저수공간의 저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3 물흐름유도구와 상기 제4 물흐름유도구의 사이에는 상기 수문의 전도와 상관없이 상기 제3 물흐름유도구와 상기 제4 물흐름유도구 사이의 공간을 누출없이 커버하도록 플렉시블한 이물질유입차단판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른 친환경 공법은, 하천의 가로방향으로 바닥부의 기초 콘크리트 위에 설치되는 다수조의 문틀과, 상기 문틀의 사이에 승하강 가능하게 각각 위치된 다수의 수문과, 상기 수문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된 작동장치 거치대에 구비되어 상기 수문을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작동장치와, 일단부는 상기 수문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작동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수문을 승하강시키는 작동바를 포함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있어서, 저수공간 방향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저층수배출구가 형성된 수문; 상기 수문의 제3 저층수배출구 전위에 장착되어 상기 제3 저층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방향을 안내하는 제3 물흐름유도구; 상기 수문의 하단부 제3 물흐름유도구 하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물흐름유도구를 통해 안내되는 물과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발생시키는 제3 전력생산장치; 상기 수문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등간격 장착되는 다수의 제1 가이드롤러; 상기 문틀의 수문 측면 대향부위에 상기 제1 가이드롤러 높이보다는 넓은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각각 구비되는 제1 가이드부재; 및 상기 수문이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수문의 상단부와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이드롤러의 위치가 상기 제1 가이드부재로부터 빠져나오면 상기 수문이 전방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작동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바의 배면에는 다수의 제2 가이드롤러가 등간격으로 각각 장착되고, 상기 작동장치 거치대와 바닥면 사이에는 지지대가 고정되면서 상기 지지대의 제2 가이드롤러 대응위치에는 상기 제2 가이드롤러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부재가 적어도 상기 제2 가이드롤러의 높이보다는 넓은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등간격으로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이드롤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롤러와 상기 제1 가이드부재 사이의 위치관계와 반대 관계가 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롤러가 상기 제1 가이드부재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수문이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개방될 때 상기 제2 가이드롤러는 상기 제2 가이드부재로 들어가 상기 작동바의 위치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바의 상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잭 작동편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장치의 고장시 상기 잭 작동편과 상기 작동장치의 사이에 끼워져 수동으로 상기 수문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가이드부재 또는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롤러 또는 제2 가이드롤러의 상부 삽입 또는 하부 삽입을 원활히 안내하면서 상기 제1 가이드롤러 또는 제2 가이드롤러를 타이트하게 홀딩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통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하단부가 중앙부에 비해 벌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문은, 부상식 수문, 전도식 수문, 회전식 수문, 권양기식 수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문은 하천의 경사에 따라 다단계로 설치하되, 상기 다단계로 설치된 수문 각 저수공간의 저수위가 상기 각각의 수문 하부와 30~100㎝의 범위로 겹쳐지도록 하여 물고기 또는 하천에서 서식하는 생물들이 하천을 통해 이동시 상류에서 하류로 배출되는 수압의 영향이 적어지도록 하여 하천 생태환경을 도와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천의 경사도에 따라 단계별로 수량센서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천의 경사도에 따라 단계별로 실시간 동영상 촬영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수량센서와 상기 실시간 동영상 촬영 카메라가 종합 컨트롤 원격 제어시스템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종합 컨트롤 원격 제어시스템은 상기 수문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수문 작동장치 및 상기 수문의 개방시 발전을 수행하는 전력생산장치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량센서와 상기 실시간 동영상 촬영 카메라로부터 신호가 실시간으로 수신되면 상기 종합 컨트롤 원격 제어시스템에 기입력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하천수의 수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하천수의 수량에 따라 상기 수문을 원격으로 개폐 제어하며, 상기 수문의 개방시 발생되는 전기를 전기 수요처에 직접 송전토록 하거나, 각각의 수문으로부터 생산되는 전기가 축전장치에 축전되도록 하여 전기 수요처에 원격으로 자동 배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천의 전단면 전폭에 걸쳐서 다단계로 설치되는 수문에 설치되는 배출높이 조절수단을 통해 저수공간의 저수위를 조절하여 하천으로부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수량에 따라 유기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되고, 저층수의 배출위치를 보다 높게 조절할 수 있어 낙폭에 따른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양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수문 또는 문틀의 저층수 배출구 전위에 물흐름 유도구를 각각 설치하고, 물흐름 유도구 아래쪽에 전력생산장치를 배치한 것이므로 저층수를 전량 전력생산장치측으로 유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문의 폐쇄시에도 상시 저수공간의 저층수를 배출함과 동시에 퇴적오니와 같은 이물질을 같이 배출해줄 수 있어 하천수를 별도의 화학 약품없이도 자연 정화시킬 수 있으며, 수문 또는 문틀의 하부측에는 상시 어도가 항상 형성되는 것이므로 물고기들과 하천에 서식하는 생물들이 하천의 상류와 하류로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짐으로써 자연 생태계를 자연적으로 유지 시켜주거나 복원시킬 수 있게 된다.
권양기 수문이 승하강과 함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경우 정전과 같은 긴급상황에서 예비전력 또는 수동으로 수문을 들어올리기만 하면 수문이 전방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될 수 있어 긴급상황을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저층수를 상시 배출하도록 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 시켜주도록 구성되는 이러한 수문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면 아무리 많은 물을 가두어두더라도 저장된 물이 자연적으러 정화 되면서 오염이 가중 되지 않기 때문에 저수공간 전체 모두에 대용량의 물을 가두어 둘 수가 있고, 물을 가두어 둠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하천 인근의 산과 들에는 수분의 함유량이 높은 상태의 토질을 유지하여 식물 생육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숲속에서 살고 있는 미생물들의 번식을 촉진하여줌으로써 이들을 매개체로 삶고 있는 산에서 자라나는 나무들의 성장을 촉진하여 주는 동시에 산불을 사전에 예방하여주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가뭄에 따른 토지의 사막화를 막아주는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사막을 옥토로 바꾸어주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개번호 10-2013-0034656 에 따라 구성되는 발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공개번호 10-2009-0060985 에 따라 구성되는 수질정화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등록 발명특허 제10-01233804호에 따라 구성되는 수질정화 시스템의 구성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의 예시도.
도 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의 예시도.
도 22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의 예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의 예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의 예시도.
도27은 본 발명 제6의 실시 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의 예시도
도 28은 본 발명 제 7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수문 시스템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은, 도면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천의 가로방향으로 바닥부의 기초 콘크리트(50) 위에 설치되는 다수조의 문틀(210) 사이에 수문(220)이 개폐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수문(220)의 저수공간측 하부에는 제1 저층수유입구(221)가 형성되며, 수문(200)의 배출측에는 다단의 제1 저층수배출구(222)가 형성되어 ?쇄된 상태에서 저수공간의 저층수를 배출해주도록 구성된다.
수문(220)의 내부에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승하강하면서 저수공간의 저수위를 조절하거나, 제1 저층수배출구(222)를 통한 저층수의 배출위치를 조절하는 배출높이 조절수단(230)이 설치되며, 수문(220)의 제1 저층수배출구(222) 전위에는 제1 저층수배출구(222)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방향을 안내하는 제1 물흐름유도구(223)가 장착된다.
또한, 수문(220)의 하단부 제1 물흐름유도구(223) 하부 위치에는 제1 물흐름유도구(223)를 통해 안내되는 물과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 전력생산장치(250)가 설치된다.
또한, 수문(220)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저층수 유도판(225)이 설치될 수 있고, 저층수 유도판(225)의 하부에는 물고기의 생태 이동통로를 이루는 어도(226)가 형성된다.
배출높이 조절수단(230)은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면상 "
Figure pat00003
"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수문(220)과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진 배출량 조절판(231)과, 일단은 배출량 조절판(231)의 안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타단은 수문(220)의 일측에 고정되어 이루어진 다수의 배출량 조절실린더(232)와, 다수의 배출량 조절실린더(232) 전체에 덧대어져 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지수판(미도시)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배출량 조절실린더(232)는 수문(220)의 저수공간측면에 연결되고, 배출량 조절판(231)은 제1 저층수배출구(222) 중 최상부측 제1 저층수 배출구(222)를 넘어 수문(220)의 내부와 수문(220)의 배출측면에 걸쳐지도록 위치되며, 배출량 조절실린더(232)의 피스톤로드는 수문(220)의 배출측면에서 배출량 조절판(231) 안쪽에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구성으로서, 배출량 조절실린더(232)는 수문(220)의 배출측면 내하부에 연결되고, 배출량 조절판(231)은 수문(220)의 배출측면 내하부에서부터 수문(220)의 저수공간측면 내상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위치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 배출량 조절판(231)은 수문(220)의 배출측면 내하부에서부터 수문(220)의 저수공간측면 내상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위치되고, 배출량 조절판(231)의 하부에는 저수량 조절판(233)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면서 저수량 조절판(233)의 하단부는 수문(220)의 저수공간측면 내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저수량 조절판(233)의 중간부에는 수문(220)의 저수공간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전후진실린더(23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배출량 조절실린더(232)는 상단부가 배출량 조절판(233)에 연결되면서 하단부는 저수량 조절판(233)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저층수 유도판(225)의 중간부에는 배출량 조절실린더(232)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저층수 유도판(225) 위쪽에 단면상 "
Figure pat00004
"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수문(220)과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진 배출량 조절판(231)이 위치되며, 배출량 조절판(231)의 안쪽면에 배출량 조절실린더(232)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배출량 조절실린더(232)와 배출량 조절판(231)이 배출높이 조절수단(230)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수문(220)을 폐쇄시키면 하천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차오르면서 저수공간을 형성해주게 되며, 수문(220)의 저수공간측 하부에는 제1 저층수유입구(221)가 형성되어 있고, 수문(220)의 배출측에는 다단의 제1 저층수배출구(222)가 형성되어 있어 수문(220)이 폐쇄된 상태에서 저수공간의 저층수가 제1 저층수유입구(221)를 통해 수문(220) 내부로 유입되었다가 수문(220)의 제1 저층수배출구(2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수문(220)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저층수 유도판(225)이 설치되고, 저층수 유도판(225)의 하부에는 물고기의 생태 이동통로를 이루는 어도(226)가 형성되어 있어 수문(220)의 제1 저층수유입구(221), 어도(226), 제1 저층수배출구(222)를 통해 수문(220)의 저수공간측면과 배출측면으로 통로가 형성됨으로써 저층수의 배출은 물론 이를 통해 물고기 등이 수문 위치를 기준으로 하류와 상류를 마음대로 오갈 수 있게 됨으로써 하천의 생태계를 유지 및 복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문(220)의 내부에는 배출량 조절판(231), 배출량 조절실린더(232) 등으로 이루어진 배출높이 조절수단(23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출량 조절실린더(232)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배출량 조절판(231)이 승하강하면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배출량 조절판(231)의 승하강에 따라 저수공간의 저수위를 조절할 수 있어 하천으로부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수량에 따라 홍수, 범람 등의 재해에 대해 유기적인 대처가 가능해지게 되며, 저수공간으로의 유입수량에 따라 배출량 조절판(231)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저층수가 배출될 수 있는 제1 저층수배출구(222)의 개수, 저층수의 배출높이를 조절해줌으로써 저승수 배출시의 안정성을 도모하거나, 저층수 배출시의 낙폭에 따른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량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출량 조절판(231)은 수문(220)의 저수공간측면 내하부에서부터 수문(220)의 배출측면 내상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위치되고, 배출량 조절판(231)의 하부에는 저수량 조절판(233)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면서 저수량 조절판(233)의 하단부는 수문(220)의 배출측면 내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저수량 조절판(233)의 중간부에는 수문(220)의 배출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전후진실린더(23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배출량 조절실린더(232)는 상단부가 배출량 조절판(231)에 연결되면서 하단부는 저수량 조절판(233)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경우, 저수공간으로의 유입수량에 따라 배출량 조절실린더(232)를 통해서는 배출량 조절판(231)을 승하강시켜 저층수의 배출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전후진실린더(235)를 통해서는 저수량 조절판(233)을 전후진 회전시키면서 수문(220) 내부의 배출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저층수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 맞게 보다 다양하게 저층수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1 저층수배출구(222)의 전위에는 제1 물흐름유도구(223)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물흐름유도구(223)의 하부 위치에는 제1 전력생산장치(250)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1 저층수배출구(222)를 통해 배출되는 저층수는 다른 장소로 비산되지 않고 제1 물흐름유도구(223)를 통해 하방향으로 전량 안내되며, 이러한 배출되는 물이 전량 제1 전력생산장치(250)와 접촉되면서 제1 전력생산장치(250)를 회전시켜줌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적용되는 수문은, 부상식 수문, 반원형 수문,로프식 수문,전도식 수문, 회전식 수문, 권양기식 수문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당해 업자가 작동방식을 달리 구성하여 본 발명 제 1의 실시 예를 이용한 구성들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은, 도면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천의 가로방향으로 바닥부의 기초 콘크리트(50) 위에 설치되는 다수조의 문틀(210)에 저수공간 방향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저층수배출구(211)가 형성되고, 문틀(210)의 제2 저층수배출구(211) 전위에는 제2 저층수배출구(21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방향을 안내하는 제2 물흐름유도구(212)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문틀(210)의 하단부 제2 물흐름유도구(212) 하부 위치에는 제2 물흐름유도구(212)를 통해 안내되는 물과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 전력생산장치(260)가 설치되는 것이다.
물론, 문틀(210)의 사이에 개폐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수문(220)에도 저수공간 방향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저층수배출구(227)가 형성되고, 수문(220)의 제3 저층수배출구(227) 전위에는 제3 저층수배출구(227)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방향을 안내하는 제3 물흐름유도구(228)가 장착되며, 수문(220)의 하단부 제3 물흐름유도구(228) 하부 위치에는 제3 물흐름유도구(228)를 통해 안내되는 물과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발생시키는 제3 전력생산장치(27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제2 물흐름유도구(212)는 저수공간 위치를 기준으로 문틀(210)의 전면, 상면, 후면까지 일정간격 연속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제2 물흐름유도구(212)의 저수공간측 하단부에는 기초콘크리트(50)가 하천 바닥 보다도 더 깊게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기초콘크리트(50)상단부에는 경사진 형태로 제2 저층수유입구(213)가 형성되고, 제3 물흐름유도구(228)는 저수공간 위치를 기준으로 수문(220)의 전면, 상면, 후면까지 일정간격 연속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제3 물흐름유도구(228)의 저수공간측 단부에는 제3 저층수유입구(229)가 형성된다.
또한, 문틀(210)의 제2 물흐름유도구(212) 또는 수문(220)의 제3 물흐름유도구(228)는 저수공간의 저면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저층수유입구(212) 또는 제3 저층수유입구(229)와 인접한 하부위치에는 다수의 하천수 타격장치(300)가 구비되어 저수공간 하층부로 유입되는 오염된 물질분자들을 하천수 타격장치(300)와 공기 분사장치(600)를 통해 각각 타격하여 잘게 분쇄해줌과 동시에 부상시키고, 부상된 오염물질분자들이 하천수와 함께 제2 저층수유입구(213) 또는 제3 저층수유입구(229)를 통해 유입되었다가 제2 저층수배출구(211) 또는 제3 저층수배출구(227)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는 전도식 수문,반원형 수문, 로프식 수문, 부상식 수문, 회전식 수문, 권양기 수문 등 다양한 수문이 모두 적용가능하며, 수문이 전도식 수문에 적용되는 경우 수문(220)의 제3 물흐름유도구(228)와는 별도로 제4 물흐름유도구(280)가 구비되어 저수공간의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형상을 이루면서 저수공간의 저면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제3 물흐름유도구(228)와 제4 물흐름유도구(280)의 사이에는 수문(220)의 전도와 상관없이 제3 물흐름유도구(228)와 제4 물흐름유도구(280) 사이의 공간을 누출없이 커버하도록 플렉시블한 이물질유입차단판(281)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수문(220)을 폐쇄시키면 하천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차오르면서 저수공간을 형성해주게 되며, 다수조의 문틀(210)에는 저수공간 방향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저층수배출구(211)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문틀(210) 사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각각의 수문(220)에도 저수공간으로부터 그 반대방향으로 통하도록 제3 저층수 배출구(227)가 형성되어 있어 저수공간의 저층수는 제2 저층수유입구(213)로 유입된 후 제2 저층수배출구(211)와 제3 저층수배출구(227)를 통해 저수공간으로부터 수문(220)의 반대방향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퇴적오니와 같은 이물질이 같이 배출되어 하천수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문틀(210)의 제2 저층수배출구(211_와 수문(220)의 제3 저층수배출구(227)는 수문(220)의 저수공간측과 배출측을 연결시키는 통로를 이루게 되어 저층수의 배출은 물론 이를 통해 물고기 등이 수문 위치를 기준으로 하류와 상류를 마음대로 오갈 수 있게 됨으로써 하천의 생태계를 유지 및 복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저층수배출구(211)의 전위에는 제2 물흐름유도구(212)가 형성되어 있고, 제2 물흐름유도구(212)의 하부 위치에는 제2 전력생산장치(260)가 장착되어 있고, 또 제3 저층수배출구(227)의 전위에는 제3 물흐름유도구(228)가 형성되어 있고, 제3 물흐름유도구(228)의 하부 위치에는 제3 전력생산장치(270)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2 저층수배출구(211)와 제3 저층수배출구(227)를 통해 배출되는 저층수는 다른 장소로 비산되지 않고 제2 물흐름유도구(212)와 제3 물흐름유도구(228)를 통해 하방향으로 전량 안내되며, 이러한 배출되는 물이 전량 제2 전력생산장치(260) 및 제3 전력생산장치(270)와 접촉되면서 제2 전력생산장치(260)와 제3 전력생산장치(270)를 회전시켜줌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2 물흐름유도구(212)는 저수공간 위치를 기준으로 문틀(210)의 전면, 상면, 후면까지 일정간격 연속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제2 물흐름유도구(212)의 저수공간측 하단부에는 경사진 형태로 제2 저층수유입구(213)가 형성되어 있고, 제3 물흐름유도구(228)는 저수공간 위치를 기준으로 수문(220)의 전면, 상면, 후면까지 일정간격 연속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제3 물흐름유도구(228)의 저수공간측 단부에는 제3 저층수유입구(229)가 형성되어 있어 저수공간의 수위가 제2 물흐름유도구(212)의 상단부 높이 또는 제3 물흐름유도구(228)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아지는 경우 저수공간의 저층수가 사이펀 원리에 의해 제2 저층수유입구(213) 또는 제3 저층수유입구(229)를 통해 문틀(210) 또는 수문(220) 내부로 유입되었다가 각각의 제2 물흐름유도구(212) 또는 제3 물흐름유도구(228)를 통해 수문(220) 너머로 배출될 수 있으며, 저층수의 배출과 동시에 저수공간 하층부의 퇴적오니와 같은 이물질이 저층수와 같이 배출되어 수문의 폐쇄시에도 하천수를 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제2 물흐름유도구(212)와 제3 물흐름유도구(228)를 통해 배출되는 저층수를 제2 전력생산장치(260)와 제3 전력생산장치(270)측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어 효율적인 전력생산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문틀(210)의 제2 물흐름유도구(212) 또는 수문(220)의 제3 물흐름유도구(228)는 저수공간의 저면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저층수유입구(213) 또는 제3 저층수유입구(229)와 인접한 하부위치에는 다수의 하천수 타격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어 저수공간 하층부에 있는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된 물질분자들을 하천수 타격장치(300)와 공기 분사장치(600)를 통해 각각 타격하여 잘게 분쇄해줌과 동시에 부상시킬 수 있고, 부상된 오염물질은 하천수와 함께 제2 저층수유입구(213) 또는 제3 저층수유입구(229)를 통해 문틀(210) 또는 수문(220) 내부로 유입되었다가 제2 저층수배출구(211) 또는 제3 저층수배출구(228)를 통해 문틀(210) 또는 수문(220) 너머로 배출될 수 있어 효율적인 전기 생산은 물론 효율적인 수질정화 작용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전도식 수문에 적용되는 경우 수문의 전도에 따라 제3 물흐름유도구(228)의 위치 역시 달라지게 되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이를 개선할 수 있도록 수문(220)의 제3 물흐름유도구(228)와는 별도로 제4 물흐름유도구(280)가 구비되고, 제3 물흐름유도구(228)와 제4 물흐름유도구(280)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이물질유입차단판(281)이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수문(220)의 전도와 상관없이 제3 물흐름유도구(228)와 제4 물흐름유도구(280)의 사이 공간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저수공간의 저층수와 이물질을 제4 물흐름유도구(280)와 제3 물흐름유도구(228)를 통해 수문(220) 너머로 배출시킬 수 있어 수문(220)의 종류와 상관없이 효율적인 전기 생산은 물론 효율적인 수질정화 작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수문은, 부상식 수문, 반원형 수문,로프식 수문,전도식 수문, 회전식 수문, 권양기식 수문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당해 업자가 작동방식을 달리 구성하여 본 발명 제 2의 실시 예를 이용한 구성들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제3 실시예]
도 22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은, 도면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천의 가로방향으로 바닥부의 기초 콘크리트(50) 위에 설치되는 다수조의 문틀(210)과, 문틀(210)의 사이에 승하강 가능하게 각각 위치된 다수의 수문(220)과, 수문(22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된 작동장치 거치대(311)에 구비되어 수문(220)을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작동장치(310)와, 일단부는 수문(220)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작동장치(310)에 연결되어 수문(220)을 승하강시키는 작동바(312)를 포함한 권양기 수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수문(220)에는 저수공간 방향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저층수배출구(227)가 형성되고, 수문(220)의 제3 저층수배출구(227) 전위에는 제3 저층수배출구(227)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방향을 안내하는 제3 물흐름유도구(228)가 장착되며, 수문(220)의 하단부 제3 물흐름유도구(228) 하부 위치에는 제3 물흐름유도구(228)를 통해 안내되는 물과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발생시키는 제3 전력생산장치(27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수문(220)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제1 가이드롤러(321)가 등간격 장착되고, 문틀(210)의 수문(220) 측면 대향부위에는 제1 가이드롤러(321) 높이보다는 넓은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제1 가이드부재(322)가 각각 구비되며, 수문(220)이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수문(220)의 상단부와 힌지(313)를 통해 작동바(312)가 연결되어 제1 가이드롤러(321)의 위치가 제1 가이드부재(322)로부터 빠져나오면 수문(220)이 전방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작동바(312)의 배면에는 다수의 제2 가이드롤러(323)가 등간격으로 각각 장착되고, 작동장치 거치대(311)와 바닥면 사이에는 지지대(330)가 고정되면서 지지대(330)의 제2 가이드롤러(323) 대응위치에는 제2 가이드롤러(323)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부재(331)가 적어도 제2 가이드롤러(323)의 높이보다는 넓은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등간격으로 각각 구비되며, 제2 가이드롤러(323)와 제2 가이드부재(331)는 제1 가이드롤러(321)와 제1 가이드부재(322) 사이의 위치관계와 반대 관계가 되도록 위치되어 제1 가이드롤러(321)가 제1 가이드부재(322)로부터 빠져나와 수문(220)이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개방될 때 제2 가이드롤러(323)는 제2 가이드부재(331)로 들어가 작동바(312)의 위치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작동바(312)의 상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잭 작동편(351)이 형성되고, 작동장치(310)의 고장시 잭 작동편(351)과 작동장치(310)의 사이에 끼워져 수동으로 수문(220)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잭(350)이 더 구비된다.
또한, 제1 가이드부재(322) 또는 제2 가이드부재(331)는, 제1 가이드롤러(321) 또는 제2 가이드롤러(323)의 상부 삽입 또는 하부 삽입을 원활히 안내하면서 제1 가이드롤러(321) 또는 제2 가이드롤러(323)를 타이트하게 홀딩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통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하단부가 중앙부에 비해 벌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수문(220)을 폐쇄시키면 하천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차오르면서 저수공간을 형성해주게 되며, 각각의 수문(220)에는 저수공간으로부터 그 반대방향으로 통하도록 제3 저층수배출구(227)가 형성되어 있어 저수공간의 저층수는 이러한 제3 저층수배출구(227)를 통해 저수공간으로부터 수문(220)의 반대방향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퇴적오니와 같은 이물질이 같이 배출되어 하천수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수문(220)의 제3 저층수배출구(227)는 수문(220)의 저수공간측과 배출측을 연결시키는 통로를 이루게 되어 저층수의 배출은 물론 이를 통해 물고기 등이 수문 위치를 기준으로 하류와 상류를 마음대로 오갈 수 있게 됨으로써 하천의 생태계를 유지 및 복원시킬 수 있게 된다.
수문(220)의 제3 저층수배출구(227) 전위에는 제3 물흐름유도구(228)가 형성되어 있고, 제3 물흐름유도구(228)의 하부 위치에는 제3 전력생산장치(270)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3 저층수배출구(227)를 통해 배출되는 저층수는 다른 장소로 비산되지 않고 제3 물흐름유도구(228)를 통해 하방향으로 전량 안내되며, 이러한 배출되는 물이 전량 제3 전력생산장치(270)와 접촉되면서 제3 전력생산장치(270)를 회전시켜줌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정전과 같은 긴급상황일 때 수동으로 잭(250)을 구동하면 작동바(312)의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잭 작동편(351)이 상승하면서 수문(220)의 작동바(312)를 상방향으로 견인하게 되고, 작동바(312)를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수문(220)이 상승하면서 수문(220) 양측에 장착된 다수의 제1 가이드롤러(321)가 문틀(210)의 제1 가이드부재(322)로부터 빠져나오면 수문(220)은 저수공간으로부터 작용되는 수압에 의해 작동바(312)의 힌지(313)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방될 수 있게 되며, 이와 동시에 작동바(312)의 배면에 각각 장착된 다수의 제2 가이드롤러(323)는 지지대(330)에 구성된 제2 가이드부재(331)의 안쪽으로 들어가 작동바(312)의 위치를 견고히 지지해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수문(220)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제시한다.
[제4 실시예]
도 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은, 수문을 하천의 경사에 따라 다단계로 설치하는 것으로, 다단계로 설치된 수문(220)에 의해 저수되는 각 저수공간의 저수위의 표면 수위가 각각의 수문(220) 하부와 30~200㎝의 범위로 겹쳐지도록 하여 물고기 또는 하천에서 서식하는 어류들과 생물들이 하천을 통해 상,하류로 이동시 상류에서 하류로 배출되는 수압의 영향이 적어지도록 하여 하천 생태환경을 도와주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220'는 수문(220)과 저수위가 겹쳐진 부위를 나타낸다.
여기에 적용되는 수문(220)은 전도식 수문, 부상식 수문, 회전식 수문, 권양기 수문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대상이 되는 수문(220)을 어느 하나만 선택하여 시공하거나, 개개의 수문(220)을 상하 인접하도록 교호로 배치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다단계로 설치된 수문(220)에 의해 저수되는 각 저수공간의 저수위의 표면 수위가 각각의 수문(220) 하부와 30~200㎝의 범위로 겹쳐지게 되어 이러한 겹쳐지는 부위를 통해 물고기 등의 생물이 수문 위치를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수문(220) 각 저수공간의 저수위가 각각의 수문(220) 하부 겹쳐지는 부위에서는 수압의 영향을 덜받게 되므로 물고기 또는 하천에서 서식하는 생물들이 하천을 통해 이동이 더욱 자유롭게 되어 하천 생태환경을 더욱 양호하게 유지 및 복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에 다단계로 설치되는 상기 수문(220)의 상류부분 저수 수위 끝 지점 부근에 대규모 하천수를 저수하도록 구성되는 댐(600)을 축조하여 다량을 하천수를 저수하여 놓은 상태에서 하천에 다단계로 설치되는 상기 다단계 수문(220)의 내부로 댐(600)의 내부에 저수하여 놓은 하천수를 연속적으로 유입시켜주어 대량의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다단계 전력 생산 시스템을 구성할수가 있다.
즉 하천에 다단계로 설치되는 상기 다단계 수문(220)의 상류부분에 대규모 하천수를 저수하여 놓을 수 있는 댐(600)을 구축하여 놓게 되면 대량을 하천수를 다단계로 설치되는 상기 다단계 수문(220)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하천수를 공급하여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여 주는 작용 효과를 발생 시킨디.
이와 같이 하천의 상류 부분에 대규모 하천수를 저수하여 놓을 수 있는 댐(600)을 축조 하여 주게 되면 종래에 버려 지다시피 하던 하천수가 현대 생활에 절대적으로 필요로하는 에너지를 연속적으로 생산하여주는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제시한다..
[제5 실시예]
도 2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은, 도면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합 컨트롤 원격 제어시스템(360)을 통해 하천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량에 따라 수문(220)의 모든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천의 경사도에 따라 단계별로 수량센서(361)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천의 경사도에 따라 단계별로 실시간 동영상 촬영 카메라(362)가 설치되고, 수량센서(361)와 실시간 동영상 촬영 카메라(362)가 종합 컨트롤 원격 제어시스템(360)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종합 컨트롤 원격 제어시스템(360)은 수문(22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수문 작동장치 및 수문(220)의 개방시 발전을 수행하는 전력생산장치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태에서 수량센서(361)와 실시간 동영상 촬영 카메라(362)로부터 신호가 종합 컨트롤 원격 제어시스템(360)에 실시간으로 수신되면 종합 컨트롤 원격 제어시스템(360)에 기입력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하천수의 수량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계산된 하천수의 수량에 따라 수문 작동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수문(220)의 개폐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합 컨트롤 원격 제어시스템(360)을 통해 수문(220)의 개방시 전력생산장치를 통해 발생되는 전기를 전기 수요처(363)에 직접 송전토록 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수문(220) 개방시 전력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되는 전기가 축전지(365)에 축전되도록 하여 이를 전기 수요처(363)에 원격으로 자동 배분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제시한다.
[제6 실시예]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실시 예를 변형 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또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27은 본 발명 제6의 실시 예에 따른 수문 시스템의 예시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기존 하천에 기초콘크리트(502)와 결합하여 하천수를 저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언체 콘크리트 (501)에 다수개의 제2 저층수배출구(211)를 구성하여 줌과 함께;
상기 언체콘크리트 (501) 상면과 전면과 후면에 제2 물흐름유도구(212)와 제2 저층수유입구(213)를 ㄷ자 형태로 구성하여줌과 함께;
상기 언체콘크리트 (501)의 후면부에 제2전력 생산장치(260)를 구성하여 주어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언체 콘크리트(501)을 이용한 전력 생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문틀(50)과 언체콘크리트 (501)에 다수개의 제2 저층수배출구(211)를 구성하여 주는 이유는 배출되는 저수수위가 낮아져도 항상 전기를 생산하기 위함이다
[제7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실시 예를 변형 시켜서 전기를 생산하는 또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8은 본 발명 제 7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수문 시스템의 예시도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기촌 하천에 형성된 하천 바닥 보다도 1m~20m 정도의 깊이로 더 깊게 준설하고;
준설한 준설토를 선별하여 모래, 자갈과 흙을 분리한후 분리해낸 모래자갈과 흙을 돌망태 또는 포대등을 이용하여 하천제방의 양쪽 제방의 높이를 기존의 제방 높이 보다도 더 높게 재 설치 한후 하천 바닥에 기촌 콘크리트(50)를 설치 할 때에 상류부분은 상류 부분으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하류부분은 밋밋하게 타설하고 삼각 수문(1000)의 기초좌대(294)부분은 돌출되도록 구성하되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기초좌대(294)의 하단부에 물고기의 이동통로 역활을 하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과 퇴적오니들을 배출하여 주는 어도 겸용 저층부 배출구(297)를 구성하여 줌과 함께;
상기 기초좌대(294)의 상부에 삼각 수문(1000)을 구성하여 줌과 함께;
상기 삼각 수문(1000)의 후면부에 후면 물흐름유도판(295)을 흰지 결합하여 구성한후 하단부에는 ㅠ자 형태로 후면 어도통로(299)를 결합하여 구성하여 줌과 함께;
상기 후면 물흐름유도판(290)의 하단부에 자동 덮게(293)를 흰지(296) 구성하여 줌과 함께;
상기 후면 물흐름유도판(295)의 하단 상부에는 제4 전력 생산장치(298)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삼각 수문(1000)과 후면 물흐름유도판(295)의 상부에 구성되는 전면 물흐름유도구(330)와 후면 물흐름 유도구(290)가 상단부 지수판(292)과 결합되어 저수공간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수문(1000)의 전면부분과 상기 후면 물흐름유도판(295)의 후면부 전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으로 이격되도록 제4 저층수 유입구(329)와 후면 저층수 배출구(291)를 구성하여 줌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삼각 수문(1000)의 내부에 하천수를 가득 저수하여 놓게 되면 상기 기초좌대(294)의 하단부를 통하여 물고기들과 양서류와 같은 생물들이 하천의 상류와 하류를 자유자재로 왕복하여 번식능력을 향상 시키도록 작용하여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줌과 함께;
저수해 놓은 하천수를 압박하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4 저층수 유입구(329)를 통과한 하천수가 상기 후면 저층수 배출구(291)를 통하여 하천의 하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상기 제 4전력 생산장치(298)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여 일상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도록 구성되는 어도 겸용 전력 생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제시한다.
상기 삼각 수문의 내부에 구성되는 수문 개폐장치는 매우 다양하게 공지돠어 있음으로 상기 삼각 수문을 개폐 시켜주는 기계장치의 상세한 구조 도면 제시는 생략한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수문 개폐장치는 매우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음으로 수문 개폐 장치의 상세한 구조도면 제시는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수문의 작동은, 부상식 수문, 반원형 수문,로프식 수문,전도식 수문, 회전식 수문,삼각형 수문, 권양기식 수문 등 하천에 설치하여 물을 저수하도록 다양한 작동방식으로 구성되는 모든 방식의 수문에 다양하게 결합 시켜서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당해 업자가 작동방식을 달리 구성하여 본 발명 각각의 실시 예를 이용한 구성들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문틀 이라함은 하천 바닥에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에 의해 구성되는 에프런 상부에 돌출된 언체의 형태로 구성되어 하천수를 저수하도록 구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칭한다.
기초콘크리트와 결합하여 구성되는 언체와 문틀의 내부와 외부에 제2 저층수배출구와 제2 물흐름유도구 와 제2 저층수유입구 등을 변경 구성하여 전기를 생산하거나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도록 변경 구성한 것 모두가 당해 업자라면 얼마든지 변경 구성이 가능함으로 이러한 구성들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제1 저층수유입구와 제2 저층수유입구와 제3 저층수유입구와 제4 저층수 유입구와 어도 겸용 저층부 배출구를 개폐 시켜서 배수량을 조절하는 구조물은 매우 다양하게 변경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제1 저층수유입구와 제2 저층수유입구와 제3 저층수유입구와 제4 저층수 유입구와 어도 겸용 저층부 배출구를 개폐 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설물을 이용한 변경 구성들은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210 : 문틀 211 : 제2 저층수배출구
212 : 제2 물흐름유도구 213 : 제2 저층수유입구
220 : 수문 221 : 제1 저층수유입구
222 : 제1 저층수배출구 223 : 제1 물흐름유도구
225 : 저층수 유도판 226 : 어도
227 : 제3 저층수배출구 228 : 제3 물흐름유도구
229 : 제3 저층수유입구 230 : 배출높이 조절수단
231 : 배출량 조절판 232 : 배출량 조절실린더
233 : 저수량 조절판 235 : 전후진실린더
250 : 제1 전력생산장치 260 : 제2 전력생산장치
270 : 제3 전력생산장치 280 : 제4 물흐름유도구
281 : 이물질유입차단판 290:후면 물흐름유도판
291:후면 저층수 배출구 292:상단부 지수판
293:자동 덮게 294: 기초좌대
295:후면 물흐름유도판 296:흰지 297: 어도 겸용 저층부 배출구 298:제4 전력생산장치 299: 후면 어도통로 300 : 하천수 타격장치 310 : 작동장치 311 : 작동장치 거치대 312 : 작동바 321 : 제1 가이드롤러
322 : 제1 가이드부재 313 : 힌지
323 : 제2 가이드롤러 330 : 지지대
331 : 제2 가이드부재 350 : 잭
351 : 잭 작동편 360 : 종합 컨트롤 원격 제어시스템
361 : 수량센서 362 : 실시간 동영상 촬영 카메라
363 : 전기 수요처 365 : 축전지
501:언체콘크리트 문틀 502: 기초콘크리트
600: 공기 분사장치

Claims (21)

  1. 하천의 가로방향으로 바닥부의 기초 콘크리트 위에 설치되는 다수조의 문틀;
    상기 문틀의 사이에 개폐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저수공간측 하부에는 제1 저층수유입구가 형성되고, 배출부 측에는 다단의 제1 저층수배출구가 형성되어 폐쇄된 상태에서 저수공간의 저층수를 배출해주도록 구성된 수문;
    상기 수문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승하강하면서 상기 저수공간의 저수위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1 저층수배출구를 통한 저층수의 배출위치를 조절하는 배출높이 조절수단;
    상기 수문의 제1 저층수배출구 전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저층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방향을 안내하는 제1 물흐름유도구; 및
    상기 수문의 하단부 제1 물흐름유도구 하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물흐름유도구를 통해 안내되는 물과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 전력생산장치를 구성하여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저층수 유도판이 설치되고, 상기 저층수 유도판의 하부에는 물고기의 생태 이동통로를 이루는 어도를 형성하여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어도 겸용 친환경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높이 조절수단은,
    단면상 "
    Figure pat00005
    "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문과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진 배출량 조절판;
    일단은 상기 배출량 조절판의 안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문의 일측에 고정되어 이루어진 다수의 배출량 조절실린더; 및
    상기 다수의 배출량 조절실린더 후면부 전체에 덧대어져 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지수판을 포함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어도 겸용 친환경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 조절실린더는 상기 수문의 배출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판은 상기 제1 저층수배출구 중 최상부측 제1 저층수 배출구를 넘어 상기 수문의 내부와 상기 수문의 배출측면에 걸쳐지도록 위치되며,
    상기 배출량 조절실린더의 피스톤로드는 상기 수문의 배출측면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판 안쪽에 연결하여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어도 겸용 친환경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 조절실린더는 상기 수문의 배출측면 내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판은 상기 수문의 배출측면 내하부에서부터 상기 수문의 저수공간측면 내상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위치되는 배출량 조절판을 이용하여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도록 어도 겸용 친환경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 조절판은 상기 수문의 저수공간측면 내하부에서부터 상기 수문의 배출측면 내상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위치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판의 하부에는 저수량 조절판이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면서 상기 저수량 조절판의 하단부는 상기 수문의 저수공간측면 내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저수량 조절판의 중간부에는 상기 수문의 저수공간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전후진실린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실린더는 상단부가 상기 배출량 조절판에 연결되면서 하단부는 상기 저수량 조절판의 중간부에 연결하여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어도 겸용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층수 유도판의 중간부에는 배출량 조절실린더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저층수 유도판 위쪽에 단면상 "
    Figure pat00006
    "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수문과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진 배출량 조절판이 위치되며, 상기 배출량 조절판의 안쪽면에 상기 배출량 조절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배출량 조절실린더와 상기 배출량 조절판이 상기 배출높이 조절수단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어도 겸용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8. 하천의 가로방향으로 바닥부의 기초 콘크리트 위에 언체 형태로 설치되며, 저수공간 방향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저층수배출구가 형성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언체 형태로 구성되는 문틀;
    상기 문틀의 제2 저층수배출구 전위 즉 전면과 후면과 상면위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저층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방향을 안내하는 커버 형태로 구성되는 제2 물흐름유도구;
    상기 문틀의 하단부 제2 물흐름유도구 하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물흐름유도구를 통해 안내되는 물과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발생시키는 제2 전력생산장치;
    상기 문틀의 사이에 개폐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저수공간 방향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저층수배출구가 형성된 수문; 및
    상기 수문의 제3 저층수배출구 전위에 장착되어 상기 제3 저층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방향을 안내하는 제3 물흐름유도구; 및
    상기 수문의 하단부 제3 물흐름유도구 하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물흐름유도구를 통해 안내되는 물과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발생시키는 제3 전력생산장치를 포함하여서 구성하여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어도 겸용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물흐름유도구는 저수공간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문틀의 전면, 상면, 후면까지 일정간격 연속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물흐름유도구의 저수공간측 하단부에는 기초 콘크리트가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기초콘크리트 상면에 경사진 형태로 제2 저층수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물흐름유도구는 저수공간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수문의 전면, 상면, 후면까지 일정간격 연속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 물흐름유도구의 저수공간측 단부에는 제3 저층수유입구를 구성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어도 겸용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하천에 설치되는 상기 문틀에 구성되는 제2 물흐름유도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수문에 구성되는 제3 물흐름유도구는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주는 물질새치기 작용을 연속적을 발휘하도록 하천 바닥 보다도 1m~20m 더 깊게 구성되는 저수공간의 저면까지 연장 구성되며;
    상기 제2 저층수유입구 또는 상기 제3 저층수유입구와 인접한 하부위치에는 다수의 하천수 타격장치와 공기 분사장치가 구비되어 저수공간 하층부로 모아지는 오염된 물질분자들을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잘게 분쇄해줌과 동시에 하천수의 상층부로 부상시켜서 자연적으로 정화시키거나, 상기 부상된 오염물질분자가 비중이 무거운 하천수와 희석되면서 상기 제2 저층수유입구 또는 상기 제3 저층수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었다가 상기 제2 저층수배출구 또는 상기 제3 저층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어도 겸용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이 전도식 수문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수문의 제3 물흐름유도구와는 별도로 제4 물흐름유도구가 구비되어 저수공간의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형상을 이루면서 저수공간의 저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3 물흐름유도구와 상기 제4 물흐름유도구의 사이에는 상기 수문의 전도와 상관없이 상기 제3 물흐름유도구와 상기 제4 물흐름유도구 사이의 공간을 누출없이 커버하도록 플렉시블한 이물질유입차단판을 고정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어도 겸용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12. 하천의 가로방향으로 바닥부의 기초 콘크리트 위에 설치되는 다수조의 문틀과, 상기 문틀의 사이에 승하강 가능하게 각각 위치된 다수의 수문과, 상기 수문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된 작동장치 거치대에 구비되어 상기 수문을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작동장치와, 일단부는 상기 수문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작동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수문을 승하강시키는 작동바를 포함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있어서,
    저수공간 방향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저층수배출구가 형성된 수문;
    상기 수문의 제3 저층수배출구 전위에 장착되어 상기 제3 저층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배출방향을 안내하는 제3 물흐름유도구;
    상기 수문의 하단부 제3 물흐름유도구 하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물흐름유도구를 통해 안내되는 물과의 접촉을 통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발생시키는 제3 전력생산장치;
    상기 수문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등간격 장착되는 다수의 제1 가이드롤러;
    상기 문틀의 수문 측면 대향부위에 상기 제1 가이드롤러 높이보다는 넓은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각각 구비되는 제1 가이드부재; 및
    상기 수문이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수문의 상단부와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이드롤러의 위치가 상기 제1 가이드부재로부터 빠져나오면 상기 수문이 전방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작동바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어도 겸용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의 배면에는 다수의 제2 가이드롤러가 등간격으로 각각 장착되고, 상기 작동장치 거치대와 바닥면 사이에는 지지대가 고정되면서 상기 지지대의 제2 가이드롤러 대응위치에는 상기 제2 가이드롤러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부재가 적어도 상기 제2 가이드롤러의 높이보다는 넓은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등간격으로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이드롤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롤러와 상기 제1 가이드부재 사이의 위치관계와 반대 관계가 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롤러가 상기 제1 가이드부재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수문이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개방될 때 상기 제2 가이드롤러는 상기 제2 가이드부재로 들어가 상기 작동바의 위치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어도 겸용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의 상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잭 작동편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장치의 고장시 상기 잭 작동편과 상기 작동장치의 사이에 끼워져 수동으로 상기 수문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잭을 이용하여 재해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어도 겸용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 또는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롤러 또는 제2 가이드롤러의 상부 삽입 또는 하부 삽입을 원활히 안내하면서 상기 제1 가이드롤러 또는 제2 가이드롤러를 타이트하게 홀딩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통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하단부가 중앙부에 비해 벌어진 수문 사이를 통하여 비상시에 저장된 하천수가 자연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수문을 이용하여 재해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여 주면서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어도 겸용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16.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은, 부상식 수문, 전도식 수문, 회전식 수문,반원형 수문,로프 작동식 수문, 권양기식 수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어도 겸용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17. 제 1 항, 제 8 항,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은 하천의 경사에 따라 다단계로 설치하되, 상기 다단계로 설치된 수문 각 저수공간의 저수위 표면수위가 상기 각각의 수문 하부와 30~200㎝의 범위로 저수수위가 겹쳐지도록 하여 물고기 또는 하천에서 서식하는 생물들이 하천의 상,하류로 이동시 상류에서 하류로 배출되는 수압과 저수된 하천수 사이에서 발생되는 와류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와류의 형태로 감소되어 배출되는 작아진 수압을 이용하여 하천에 서식하는 물고기들과 생물들의 하천 생태환경을 도와주도록 구성된 친환경 다단 저수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주는 어도 겸용 친황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18. 제 1 항, 제 8 항,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천에 다단계로 설치되는 상기 수문의 상류부분 저수 수위 끝 지점 부근에 대규모 하천수를 저수하도록 구성되는 댐을 축조하여 다량을 하천수를 저수하여 놓은 상태에서 하천에 다단계로 설치되는 다단계 수문의 내부에 댐에 저수하여 놓은 하천수를 연속적으로 유입시켜주어 대량의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다단계 전력 생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어도 겸용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19. 제 1 항, 제 8 항,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천의 경사도에 따라 단계별로 수량센서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천의 경사도에 따라 단계별로 실시간 동영상 촬영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수량센서와 상기 실시간 동영상 촬영 카메라가 종합 컨트롤 원격 제어시스템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종합 컨트롤 원격 제어시스템은 상기 수문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수문 작동장치 및 상기 수문의 개방시 발전을 수행하는 전력생산장치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량센서와 상기 실시간 동영상 촬영 카메라로부터 신호가 실시간으로 수신되면 상기 종합 컨트롤 원격 제어시스템에 기입력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 연산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하천수의 수량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하천수의 수량에 따라 상기 수문을 원격으로 개폐 제어하며, 상기 수문의 개방시 발생되는 전기를 전기 수요처에 직접 송전토록 하거나, 각각의 수문으로부터 생산되는 전기가 축전장치에 축전되도록 하여 전기 수요처에 원격으로 자동 배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종합 컨트롤 원격 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어도 겸용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20. 제 1 항, 제 8 항,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존 하천에 기초콘크리트와 결합하여 설치되어 있는 언체콘크리트에 제2 저층수배출구를 구성하여 줌과 함께;
    상기 언체콘크리트 상면과 전면과 후면에 ㄷ자 형태로 제2 물흐름유도구와 제2 저층수유입구를 구성하여줌과 함께;
    상기 언체콘크리트 후면부에 전력 생산장치를 구성하여 주어 전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어도 겸용 전력 생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21. 하천을 준설하고 기초 콘크리트를 설치하고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전도 되도록 구성되는 삼각 전도 수문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있어서,
    기촌 하천에 형성된 하천 바닥 보다도 1m~20m 정도의 깊이로 더 깊게 준설하고;
    준설한 준설토를 선별하여 모래, 자갈과 흙을 분리한후 분리해낸 모래자갈과 흙을 돌망태 또는 포대등을 이용하여 하천제방의 양쪽 제방의 높이를 기존의 제방 높이 보다도 더 높게 재 설치 한후 하천 바닥에 기촌 콘크리트를 설치 할 때에 상류부분은 상류 부분으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하류부분은 밋밋하게 타설하고 삼각 수문의 기초좌대 부분은 돌출되도록 구성하되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기초좌대의 하단부에 물고기의 이동통로 역활을 하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과 퇴적오니들을 배출하여 주는 어도 겸용 저층부 배출구를 구성하여 줌과 함께;
    상기 기초좌대의 상부에 삼각 수문을 구성하여 줌과 함께;
    상기 삼각 수문의 후면부에 후면 물흐름유도판을 흰지 결합하여 구성한후 하단부에는 ㅠ자 형태로 후면 어도통로를 결합하여 구성하여 줌과 함께;
    상기 후면 물흐름유도판의 하단부에 자동 덮게를 흰지 구성하여 줌과 함께;
    상기 후면 물흐름유도판의 하단 상부에는 제4 전력 생산장치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삼각 수문과 후면 물흐름유도판의 상부에 구성되는 전면 물흐름유도구와 후면 물흐름 유도구가 상단부 지수판과 결합되어 저수공간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수문의 전면부분과 상기 후면 물흐름유도판의 후면부 전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으로 이격되도록 제4 저층수 유입구와 후면 저층수 배출구를 구성하여 줌과 함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상기 삼각 수문의 내부에 하천수를 가득 저수하여 놓게 되면 상기 기초좌대의 하단부를 통하여 물고기들과 양서류와 같은 생물들이 하천의 상류와 하류를 자유자재로 왕복하여 번식능력을 향상 시키도록 작용하여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줌과 함께;
    저수해 놓은 하천수를 압박하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4 저층수 유입구를 통과한 하천수가 상기 후면 저층수 배출구를 통하여 하천의 하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작용을 발휘함과 동시에 상기 제 4전력 생산장치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하여 일상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도록 구성되는 어도 겸용 전력 생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을 특징으로 하는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1020140159333A 2014-11-16 2014-11-16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친환경 발전시스템 KR101522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333A KR101522515B1 (ko) 2014-11-16 2014-11-16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친환경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9333A KR101522515B1 (ko) 2014-11-16 2014-11-16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친환경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574A true KR20140138574A (ko) 2014-12-04
KR101522515B1 KR101522515B1 (ko) 2015-05-26

Family

ID=5245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333A KR101522515B1 (ko) 2014-11-16 2014-11-16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친환경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5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811A (ko) * 2015-02-04 2016-08-12 최영환 친환경 다목적 댐
KR20200098148A (ko) * 2019-02-12 2020-08-20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친환경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기생산수단 및 하천수 정화수단
KR102187983B1 (ko) * 2020-09-19 2020-12-08 한상관 녹조를 발생시키지 못하도록 작용하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이용하여 친환경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인공양어장 기능을 발휘시켜서 어족자원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대형 빗물 저류조 역활을 수행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하여 주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하천, 강에 흐르는 하천수와 호수, 댐, 저수지에 저수되어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작용하는 녹조 발생 방지용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공법
KR20200145192A (ko) * 2019-06-21 2020-12-30 정금재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KR102219449B1 (ko) * 2020-11-14 2021-02-26 한상관 친환경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어족자원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녹조 발생을 방지시켜 주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친환경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대형 빗물 저류조 역활을 수행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하여 줌과 동시에 하천, 강, 호수, 댐, 저수지에 저수되어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
KR20240114731A (ko) 2024-07-07 2024-07-24 한상관 녹조 발생 방지용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대형 빗물 저류조 기능과 산불진화용 빗물저류조 기능을 발휘시킴과 동시에 홍수피해 방지용 빗물저류조 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하천, 강,호수, 댐, 저수지,하구언에 저수되어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 시키면서 3중 양수 공법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745B1 (ko) 2021-06-08 2021-10-29 주남수 수력발전을 하기 위해 가동보의 수문 고정축을 회전시키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876A (ko) * 2011-05-05 2011-06-08 한상관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우선적으로 배출되는 저수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는 수질정화 시스템
KR101389570B1 (ko) * 2011-05-26 2014-05-07 한상관 저수지, 호수, 석호 또는 댐의 주변에 구성되어 있는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서 흘러들어오는 하천수와 오염물질들을 역방향으로 수집하여 정화하는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20120093131A (ko) * 2012-08-03 2012-08-22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주면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권양기 수문의 구성방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이물질제거용 권양기 수문
KR20130067480A (ko) * 2013-03-20 2013-06-24 한민섭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는 주는 저층수 배출통로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배출함과 동시에 물질분자별로 자동 분리되는 중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2유입구와 4개의 배출구로 오염된 하천수를 분리 배출시키는 공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친환경 수질정화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811A (ko) * 2015-02-04 2016-08-12 최영환 친환경 다목적 댐
KR20200098148A (ko) * 2019-02-12 2020-08-20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친환경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전기생산수단 및 하천수 정화수단
KR20200145192A (ko) * 2019-06-21 2020-12-30 정금재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KR102187983B1 (ko) * 2020-09-19 2020-12-08 한상관 녹조를 발생시키지 못하도록 작용하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이용하여 친환경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인공양어장 기능을 발휘시켜서 어족자원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대형 빗물 저류조 역활을 수행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하여 주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하천, 강에 흐르는 하천수와 호수, 댐, 저수지에 저수되어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하천수가 되도록 작용하는 녹조 발생 방지용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공법
KR102219449B1 (ko) * 2020-11-14 2021-02-26 한상관 친환경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어족자원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녹조 발생을 방지시켜 주도록 작용하는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친환경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대형 빗물 저류조 역활을 수행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하여 줌과 동시에 하천, 강, 호수, 댐, 저수지에 저수되어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
KR20240114731A (ko) 2024-07-07 2024-07-24 한상관 녹조 발생 방지용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대형 빗물 저류조 기능과 산불진화용 빗물저류조 기능을 발휘시킴과 동시에 홍수피해 방지용 빗물저류조 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하천, 강,호수, 댐, 저수지,하구언에 저수되어 있는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 시키면서 3중 양수 공법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515B1 (ko)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515B1 (ko)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친환경 발전시스템
KR101579302B1 (ko) 자동 어도 겸용 퇴적오니 배출통로를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살려 내면서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 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권양기 수문
KR20190016432A (ko)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자연 형성시키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CN104975648A (zh) 合流制地下初期雨水调蓄池
KR20140016407A (ko) 어도 겸용 퇴적오니 배출통로가 구비되는 2중 작동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하천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40033194A (ko)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줌과 동시에 전기를 생산하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는 자연 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
KR100822300B1 (ko)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CN204753798U (zh) 合流制地下初期雨水调蓄池
KR20140005834A (ko)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 시키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이용하여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40019452A (ko) 대용량의 하천수를 저수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 시키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이용하여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JP2012046937A (ja) 砂防ダムの取水機構
KR20140024036A (ko) 수질 정화기 겸용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40006747A (ko) 어도를 항상 형성시킴과 동시에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40025564A (ko) 자동 어도 겸용 수질정화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다기능 자동보 작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40016219A (ko) 대용량의 하천수를 다단계로 저수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 시키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구성하여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100957070B1 (ko)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KR20140032517A (ko) 하천수를 다단계로 저장하여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자연생태계를 살려내는 자연 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
CN106592748A (zh) 水下初雨调蓄利用系统
RU2694189C2 (ru)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приема воды из горных и предгорных рек для малых ГЭС
KR20150007271A (ko) 어도가 구성되는 친환경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줌과 동시에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 친화적인 수질정화 친환경 공법
KR101142291B1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하는 수문 시스템
KR20140025566A (ko) 다단계로 구성되는 자동어도와 하천생태계 복원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RU10947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водоемов от нефти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KR20140009597A (ko) 하천수가 발생시키는 자연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 시키면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를 구성하여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20140006752A (ko) 하천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어도 기능을 발휘하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들을 우선적으로 배출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