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811A - 친환경 다목적 댐 - Google Patents
친환경 다목적 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5811A KR20160095811A KR1020150017235A KR20150017235A KR20160095811A KR 20160095811 A KR20160095811 A KR 20160095811A KR 1020150017235 A KR1020150017235 A KR 1020150017235A KR 20150017235 A KR20150017235 A KR 20150017235A KR 20160095811 A KR20160095811 A KR 201600958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m
- water
- prevented
- contaminated
- auxili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02B8/026—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6—Spillways; Devices for dissipation of energy, e.g. for reducing eddies also for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本)댐(3)과 보조(補助)댐(4)을 이격시켜 이중으로 설치하되 본댐(3) 하부에 배수구(6)를 설치하고, 보조댐(4)의 하부에 복수의 수문(9)을 형성하여 하천(강)으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이나 슬러지(16) 등이 하천 바닥으로 침전되거나 퇴적되지 않고 바로 방류(放流)되도록 함으로써, 수질오염과 심층수오염 및 녹조발생이 방지되고, 토사유출이 방지되며, 홍수가 조절되고, 정화된 용수를 취수할 수 있으며, 낙하수 또는 흐름수를 이용하여 터빈(21)(23)을 회전시켜 발전(發電)에도 이용할 수 있는 다목적 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질이 정화되고 수질오염이 방지되는 다목적 댐(Multipurpose Dam)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本)댐과 보조(補助)댐을 이격시켜 이중으로 설치하되 본댐의 하부에 배구수를 설치하고 보조댐 하부에 복수의 수문을 형성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이나 슬러지 등이 하천(강) 바닥으로 침전되거나 퇴적되지 않고 바로 방류(放流)되도록 함으로써, 수질오염과 심층수 오염 및 녹조발생이 방지되고, 토사유출이 방지되며, 홍수가 조절되고, 정화된 용수를 취수할 수 있으며, 발전(發電)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Dam)은 산간계곡이나 하천을 횡단하여 저수, 토사유출방지, 취수, 홍수 또는 붕괴 등을 방지하고, 수력발전 또는 상수원, 농업용수 등 각종 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물의 유입은 자유로우나 유출은 어렵게 만들어 물을 가둬 놓는 형태이다.
이들 댐은 자연적인 물의 흐름을 인위적으로 무리하게 막아 물을 가둔 형태이며, 수문과 여수로는 물론, 도수로에도 주로 표층수만 월류(越流)하여 흘러나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심층수는 담수가 시작된 순간부터 고이기 시작한 채 흐르지 못해 호저는 물보다 비중이 높은 각종 오염물질이 일방적으로 흘러들어 쌓이고 썩으면서 수질이 크게 나빠지고 자정능력(自淨能力)이 상실되며, 특히 심층수는 부영양화현상(富營養化現象)으로 상수(식수)는 물론 농업용수, 공업용수로도 부적합하여 인류의 건강이 크게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댐의 구조와 성격상 이제까지 저수원의 수질오염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 뿐 아니라, 수질보존, 생태계보존 등 환경보전(環境保全)에 대한 고려도 감안되지 않아 여러 문제점이 동반하여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수질오염이 방지되는 다목적 댐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本)댐과 보조(補助)댐의 이중 댐 구조에 의해 1차 오염물질이 방류되면서 심층수의 오염이 방지되고, 취수, 저수, 홍수조절, 토사유출방지, 수력발전, 교량 등의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댐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하천을 가로 질러 이격 설치되는 본댐(3)과 보조댐(4), 본댐(3)과 보조댐(4)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로(5), 본댐(3)과 보조댐(4)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보(8), 본댐(3)의 상부에 구성되는 제1, 2, 3, 4방류부(10)(11)(12)(13), 보조댐(4)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문(9)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댐(3)의 하부에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배구수(6)를 가진 배수관(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댐(3)의 상부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소정폭(w1)의 제1 방류부(10), 제1 방류부(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소정폭(w2)과 소정 높이(h5)의 제2 방류부(11), 제2 방류부(1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소정폭(w3)과 소정 높이(h5)의 제3 방류부(12), 제3 방류부(1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소정폭(w3)과 소정 높이(h5)의 제4 방류부(13), 제4 방류부(13)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본댐(3)의 상단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수관(6) 입구에 설치되고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갑문(7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류수(15a)가 낙하 충돌하면서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되는 충돌수단(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돌수단(18)은, 충돌수단(18) 하부에 연결되는 기둥(19), 기둥(19) 하부에는 연결되고 본댐(3) 하류 지반에 매설되는 기초부(19a), 충돌수단(18)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엠보싱(18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류수(15a)가 낙하하는 본댐(3)의 바깥측에 설치되는 전기 발전용 터빈(21), 배수로(5)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전기 발전용 터빈(23), 전기 발전용 터빈(23) 하부에 설치되는 경사 유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本)댐(3)과 보조(補助)댐(4)의 이중 댐 구조에 의해 오염물질 등이 우선 방류되면서 심층수의 오염이 방지되고, 녹조가 정화되거나 발생하지 않으며, 침전물의 퇴적이 방지되며, 또한 취수, 저수, 홍수조절, 토사유출방지, 수력발전, 교량 등의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댐(3)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는 배수구(6)에 의해 하천(강)으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이나 슬러지(16) 등이 우선 방류되면서 침전이나 퇴적이 방지되므로 수질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류수(15a)가 낙하하는 부분에 충돌수단(18)이 설치되어 낙하하는 방류수(15a)가 충돌하면서 물분자가 파괴되어 수질을 정화하고 주변과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다량의 음이온(20)이 발생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충돌수단(18)은 하부에 기둥(19)이 연결되고, 기둥(19) 하부에는 본댐(3) 하류 지반에 매설되는 기초부(19a)가 연결되며, 상부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 또는 엠보싱(18a)을 형성함으로써 낙하 방류수(15a)와 충돌 방류수(15b)에 의해 더욱 많은 량의 음이온(20)이 발생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낙하수 또는 흐름수로 터빈(21)(23)을 회전시켜 발전(發電)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갑문(7a)을 배수구(6)에 설치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평면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본댐 정면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보조댐 정면도.
도 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6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7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8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평면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본댐 정면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보조댐 정면도.
도 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6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7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8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다목적 댐(1)의 단면 구성도로, 본(本)댐(3)과 보조(補助)댐(4)이 하천(강)을 가로 질러 이중으로 설치된다.
본댐(3)은 상부에 구성되는 제1, 2, 3, 4의 다단 방류부(10)(11)(12)(13)를 통하여 담수 및 오염되지 않은 물(15)이 자연 방류되고, 자연 방류되는 물(15a)은 보조댐(4)은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문(9)을 통하여여 상승 방류된다.
본댐(3)의 하부에 구성되는 소정 크기의 배구수(6)를 가진 배수관(7)을 통하여 하천(강)으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이나 슬러지 등이 우선 방류되면서 오염이나 퇴적이 방지되어 수질오염이 방지되며, 녹조가 정화되거나 발생되지 않고, 또한 깨끗한 취수관(25)을 통하여 오염되지 않은 물(15)을 취수할 수 있으며, 홍수가 조절되고, 토사유출이 방지되며, 수력발전이 가능하고, 교량을 설치하여 교통에 일조하는 등의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보조댐(4)은 하천으로 유입되는 물(15)은 하부에 설치되는 수문(9)을 통하여 본댐(3)과 보조댐(4) 사이의 배수로(5)로 유입된 다음 본댐(3) 상부의 제1, 2, 3, 4방류부(10)(11)(12)(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2, 3, 4방류부(10)(11)(12)(13)를 지나 본댐(3) 하류로 방류된다.
본 발명에서 물이 1차 방류되는 제1 방류부(10)에는 본댐(3)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주둥이(10a)를 형성하여 방류수(15a)가 낙하할 때 본댐(3) 외벽에 충돌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기적으로 본댐(3) 외벽 손상이 방지된다.
본댐(3)과 보조댐(4)은 소정의 이격거리(L)로 평행하도록 설치되며, 본댐(3)은 담수된 물(15)로부터 작용되는 큰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 및 설치되고, 보조댐(4)은 하부에 복수의 수문(9)이 형성되어 본댐(3)으로 방류되는 물(15)이 하천 바닥(2) 근처의 하부로 이동시켜 배출되게 유도함으로써 큰 압력이 작용되지 않는다.
상기 이격거리(L)는 본댐(3)과 보조댐(4)의 규모(크기)에 따라 상이하지만 배수로(5)로 유입되는 대형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나 준설 등을 위하여 작업자나 작업도구가 자연스럽게 드나들 수 있는 크기, 이를테면 1 ~ 10m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댐(3)과 보조댐(4)은 복수의 연결보(8)로 연결되어 평행으로 지지된다. 상기 연결보(8)는 수류(水流)에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소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되며, 따라서 본댐(3)과 보조댐(4)이 평행으로 유지되고, 본댐(3)과 보조댐(4) 사이에는 소정의 폭, 이를테면 1 ~ 10m 정도의 이격거리(L)를 갖는 배수로(5)가 형성된다.
본댐(3) 또는 보조댐(4)에는 작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다리(17)가 수직으로 부착 설치되어 배수로(5)의 청소, 수리 또는 준설 작업 등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댐(3)과 보조댐(4)의 상부에 교량을 구축하여 차량이나 보행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교량은 본댐(3)과 보조댐(4)의 상부를 기초로 하거나, 또는 본댐(3) 또는 보조댐(4)을 기초로 하여 피로티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본댐(3) 주변, 또는 본댐(3)이나 본댐(3)과 보조댐(4) 주변에 조명수단(조명장치)을 설치하여 야간이나 어두울 때 댐 주변 경관을 미려하게 살리거나 자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낙하하는 방류수(15a)를 조명하는 조명수단을 설치하여 방류수의 낙하 경관을 미려하게 사릴거나 자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조댐(4)의 저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문(9)에 의해 담수된(댐이나 하천으로 유입되는) 물(15)이 본댐(3)의 제1, 2, 3, 4방류부(10)(11)(12)(13)를 통하여 진공압으로 방류된다.
상기 본댐(3)과 보조댐(4)의 기초부(3a)(4a)는 하천 바닥(2)에 매설 지지되며, 본댐(3)과 보조댐(4)의 측부는 댐이 설치되는 양옆 계곡으로 파고 들어가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도 3은 본댐(3)의 정면 예시도로, 본댐(3)의 상부 가운데 부분에 소정폭(w1)의 가장 낮은 제1 방류부(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 방류부(10)의 양측에는 소정폭(w2)과 소정 높이(h5)의 제2 방류부(11)가 각각 구성되고, 상기 제2 방류부(11)의 양측에도 소정폭(w3)과 소정 높이(h5)의 제3 방류부(12)가 각각 구성되고, 상기 제3 방류부(12)의 양측에도 소정폭(w3)과 소정 높이(h5)의 제4 방류부(13)가 각각 구성되고, 상기 제4 방류부(13)의 양측에는 본댐(3)의 상단부(14)가 각각 구성된다.
본댐(3)의 하부 중앙에는 소정 크기(d)의 배수구(6)가 형성된 배수관(7)이 설치되어 하천(강)으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이나 슬러지(16) 등이 우선 방류되면서 침전이나 퇴적이 방지되므로 수질오염이 방지된다.
상기 배수관(7)의 높이(h2)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이나 슬러지(16a) 등이 우선 방류되면서 하천 바닥 부분에 침전되거나 퇴적되지 않으면서 토사 유출이 방지되는 높이가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관(7)은 비산화 금속관이나, 비금속관, 콘크리트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7) 입구에는 도 1과 같이 도시안된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갑문(7a)을 설치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수량이 적은 경우 배수구(6)를 폐쇄시키거나 닫는 방법으로 배수구(6)의 크기(d)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하천으로 유입되는 수량이 많거나 각종 이물질이나 슬러지(16) 유입량이 많을 경우 배수구(6)를 개방시키는 여는 방법으로 배수구(6)의 크기(d)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댐(3)에 저수 및 담수되는 물(15)의 수질오염이 방지되며, 녹조가 발생하지 않는 등 깨끗한 상태의 물이 본댐(3)에 저수 및 담수되며, 취수관(25)을 통하여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15)을 취수한 다음 상수(식수), 농업용수, 공업용수 등의 각종 용수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댐(3)의 기초부(3a)는 소정 깊이(h1)로 매설되어 충분한 지지력이 유지되고, 제1 방류부(10)의 높이(h2+h3)는 본댐(3)의 전체 높이(h2+h3+h4)의 80% 전후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본댐(3) 상류에 저수 및 담수되는 물(15)의 수위(水位)가 본댐(3) 높이의 80% 전후 높이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담수량(저수량)과 자연방류가 달성되며, 홍수 때 수문 조절이 필요없다.
도 3의 (h4)는 제1 방류부(10)에서 본댐(3)의 상단부(14) 까지의 높이로 본댐(3) 전체 높이(h2+h3+h4)의 20% 전후 높이이다.
우천이나 강설 등에 의해 댐이나 하천(강)으로 유입되는 수량이 많아지는 경우, 물(15)의 수위가 상승되면서 제1 방류부(10)을 통한 소정 폭(w1), 또는 제1 방류부(10)와 제2 방류부(11)를 통한 소정 폭(w1+w2+w2), 또는 제1 방류부(10)와 제2 방류부(11) 및 제3 방류부(12)를 통한 소정 폭(w1+w2+w2+w3+w3), 또는 제1 방류부(10)와 제1 방류부(11)와 제2 방류부(12) 및 제3 방류부(13)를 통한 전체 폭(w4)으로 자연 방류된다.
본 발명에서 제1 방류부(10), 제2 방류부(11), 제3 방류부(12), 제4 방류부(13)는 오염되지 않은 물(15)이 월류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높낮이가 조절되는 갑문이 설치되어 담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보조댐(4)의 정면 예시도로, 보조댐(4)의 하부에 소정 높이(h6)와 소정 폭(w5)의 수문(9)이 복수로 형성되어 본댐(3) 상류에 담수된 물(15)이 상기 수문(9)을 지나기 위하여 하강 통과 한다음 배수로(5)를 따라 다시 상승하여 제1, 2, 3, 4방류부(10)(11)(12)(13)를 통하여 자연 방류(放流)되며, 하천으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이나 슬러지(16) 등은 하천 바닥(2)으로 침전되거나 퇴적되지 않고 수문(9)을 지나 본댐(3) 하부의 배수구(6)을 통하여 자연 배수되며, 따라서 침전물이나 퇴적물 등에 의한 수질오염이나 심층수오염 및 녹조발생 등이 방지되며, 토사유출이 방지되고 홍수가 조절되며, 정화된 용수는 취수구(24) 및 취수관(25)을 통하여 취수한 다음 상수(식수)나 농업용수, 공업용수 등의 각종 용수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시 수문(9)의 크기는 본댐(3)과 보조댐(4)의 규모(크기) 및 방류량 등에 따라 충분한 크기와 개수로 설정된다.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로, 방류수(15a)가 낙하하는 부분에 충돌수단(18)을 설치하여 낙하하는 방류수(15a)가 충돌하면서 물분자가 파괴되도록 함으로써 다량의 음이온(20)이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충돌수단(18)은 하부에 기둥(19)이 연결되고, 기둥(19) 하부에는 본댐(3) 하류 지반에 매설되는 기초부(19a)가 연결되며, 상부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 또는 엠보싱(18a)을 형성함으로써 낙하 방류수(15a)와 충돌 방류수(15b)에 의해 더욱 많은 량의 음이온(20)이 발생된다. 상기 음이온(20)은 주변 수질을 정화할 뿐 아니라, 주변과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게 된다. (15c)는 충돌 이후 본댐(3) 하류에 위치하는 방류수이다.
도 7,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로, 도 7과 같이 본댐(3)의 바깥측에 전기 발전용 터빈(21)을 설치하여 방류수(15a)에 의해 터빈(21)이 한쪽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발전기를 구동시켜 전력(電力)을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고, 도 8은 배수로(5)의 소정 위치에 전기 발전용 터빈(23)을 설치하여 배수로(5)를 따라 상승 방류되는 물흐름에 의해 터빈(21)이 한쪽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발전기를 구동시켜 전력(電力)을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도 8에서 배수로(5)에 설치되는 전기 발전용 터빈(23)의 하부에 경사 유도판을 설치하여 수문(9)을 통과하여 배수로(5)를 따라 상승하는 방류수가 전기 발전용 터빈(23)에 효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본(本)댐(3)과 보조(補助)댐(4)의 이중 댐 구조에 의해 자연 방류되면서 1차 오염물질, 오염심층수 정화와, 상수(음용수) 공업용수 등의 각종 용수의 취수, 저수, 홍수조절, 토사유출방지, 수력발전, 교량 등의 다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다목적 댐
(2)--하천 바닥
(3)--본(本)댐 (3a)(4a)--기초부
(4)--보조(補助)댐 (5)--배수로
(6)--배수구 (7)--배수관
(8)--연결보 (9)--수문
(10)(11)(12)(13)--방류부 (14)--본댐의 상단부
(15)--본댐의 상류 물 (17)--사다리
(24)--취수구 (25)--취수관
(L)--이격거리 (h1)--깊이
(h2)(h3)(h4)(h5)(h6)--높이 (w1)(w2)(w3)(w4)(w5)--폭
(3)--본(本)댐 (3a)(4a)--기초부
(4)--보조(補助)댐 (5)--배수로
(6)--배수구 (7)--배수관
(8)--연결보 (9)--수문
(10)(11)(12)(13)--방류부 (14)--본댐의 상단부
(15)--본댐의 상류 물 (17)--사다리
(24)--취수구 (25)--취수관
(L)--이격거리 (h1)--깊이
(h2)(h3)(h4)(h5)(h6)--높이 (w1)(w2)(w3)(w4)(w5)--폭
Claims (7)
- 하천을 가로 질러 이격 설치되는 본댐(3)과 보조댐(4);
본댐(3)과 보조댐(4)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로(5);
본댐(3)과 보조댐(4)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보(8);
본댐(3)의 상부에 구성되는 제1, 2, 3, 4방류부(10)(11)(12)(13);
보조댐(4)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문(9);
을 포함하는 수질오염이 방지되는 다목적 댐. - 청구항 1에 있어서:
본댐(3)의 하부에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배구수(6)를 가진 배수관(7);
을 더 포함하는 수질오염이 방지되는 다목적 댐.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본댐(3)의 상부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소정폭(w1)의 제1 방류부(10);
제1 방류부(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소정폭(w2)과 소정 높이(h5)의 제2 방류부(11);
제2 방류부(1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소정폭(w3)과 소정 높이(h5)의 제3 방류부(12);
제3 방류부(1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소정폭(w3)과 소정 높이(h5)의 제4 방류부(13);
제4 방류부(13)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본댐(3)의 상단부(14);
를 더 포함하는 수질오염이 방지되는 다목적 댐.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배수관(6) 입구에 설치되고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갑문(7a);
을 더 포함하는 수질오염이 방지되는 다목적 댐.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방류수(15a)가 낙하 충돌하면서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되는 충돌수단(18);
을 더 포함하는 수질오염이 방지되는 다목적 댐. - 청구항 5에 있어서:
충돌수단(18)은,
충돌수단(18) 하부에 연결되는 기둥(19);
기둥(19) 하부에는 연결되고 본댐(3) 하류 지반에 매설되는 기초부(19a);
충돌수단(18)의 상부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엠보싱(18a);
을 포함하는 수질오염이 방지되는 다목적 댐.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본댐(3)의 바깥측에 설치되는 전기 발전용 터빈(21);
배수로(5)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전기 발전용 터빈(23);
전기 발전용 터빈(23) 하부에 설치되는 경사 유도판;
을 더 포함하는 수질오염이 방지되는 다목적 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7235A KR101709908B1 (ko) | 2015-02-04 | 2015-02-04 | 친환경 다목적 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7235A KR101709908B1 (ko) | 2015-02-04 | 2015-02-04 | 친환경 다목적 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5811A true KR20160095811A (ko) | 2016-08-12 |
KR101709908B1 KR101709908B1 (ko) | 2017-02-24 |
Family
ID=56714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7235A KR101709908B1 (ko) | 2015-02-04 | 2015-02-04 | 친환경 다목적 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990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055925A (zh) * | 2019-03-18 | 2019-07-26 | 黄河水利委员会黄河水利科学研究院 | 一种多沙河流大中型水库汛期蓄水排沙分离系统 |
KR20200002084A (ko) | 2018-06-29 | 2020-01-08 | 김형주 | 무전력 양수 및 소수력발전 시스템 |
CN112176961A (zh) * | 2020-09-18 | 2021-01-05 | 吉林松江河水力发电有限责任公司 | 一种多功能水坝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6442U (ko) * | 2007-12-24 | 2009-06-29 |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 부유물질 여과 기능을 갖는 중력식 사방댐 |
KR200462598Y1 (ko) | 2010-12-16 | 2012-09-27 | 대한민국 | 담수위 조절형 토사유출 저감 물꼬 |
KR20130021959A (ko) * | 2011-08-24 | 2013-03-06 | 이원규 | 지진해일 차단용 해안 구조물 |
KR20130051635A (ko) * | 2011-11-10 | 2013-05-21 | 이명우 | 수로 개폐장치 |
KR20130053120A (ko) | 2011-11-15 | 2013-05-23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양수를 이용한 소수력발전 장치 및 그 방법 |
KR101384971B1 (ko) | 2013-06-25 | 2014-04-16 | 김혜봉 | 녹조 사전 탐지, 예측 및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
KR20140138574A (ko) * | 2014-11-16 | 2014-12-04 | 한상관 |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
-
2015
- 2015-02-04 KR KR1020150017235A patent/KR1017099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6442U (ko) * | 2007-12-24 | 2009-06-29 |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 부유물질 여과 기능을 갖는 중력식 사방댐 |
KR200462598Y1 (ko) | 2010-12-16 | 2012-09-27 | 대한민국 | 담수위 조절형 토사유출 저감 물꼬 |
KR20130021959A (ko) * | 2011-08-24 | 2013-03-06 | 이원규 | 지진해일 차단용 해안 구조물 |
KR20130051635A (ko) * | 2011-11-10 | 2013-05-21 | 이명우 | 수로 개폐장치 |
KR20130053120A (ko) | 2011-11-15 | 2013-05-23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양수를 이용한 소수력발전 장치 및 그 방법 |
KR101384971B1 (ko) | 2013-06-25 | 2014-04-16 | 김혜봉 | 녹조 사전 탐지, 예측 및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
KR20140138574A (ko) * | 2014-11-16 | 2014-12-04 | 한상관 |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대량의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시스템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2084A (ko) | 2018-06-29 | 2020-01-08 | 김형주 | 무전력 양수 및 소수력발전 시스템 |
CN110055925A (zh) * | 2019-03-18 | 2019-07-26 | 黄河水利委员会黄河水利科学研究院 | 一种多沙河流大中型水库汛期蓄水排沙分离系统 |
CN110055925B (zh) * | 2019-03-18 | 2021-06-29 | 黄河水利委员会黄河水利科学研究院 | 一种多沙河流大中型水库汛期蓄水排沙分离系统 |
CN112176961A (zh) * | 2020-09-18 | 2021-01-05 | 吉林松江河水力发电有限责任公司 | 一种多功能水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9908B1 (ko) | 2017-0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56506B2 (ja) | ダム、河川、取水路の沈砂収集装置 | |
JP5149485B2 (ja) | 塵芥除去装置 | |
KR20130021598A (ko) |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 |
CN105804200B (zh) | 一种分片截流在线处理排放系统 | |
KR101709908B1 (ko) | 친환경 다목적 댐 | |
KR100973347B1 (ko) | 부유성 오물 수거장치 | |
CN207944527U (zh) | 雨水收集系统 | |
Sumi et al. | Comprehensive sediment management strategies in Japan: Sediment bypass tunnels | |
KR101267377B1 (ko) |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
CN107514045A (zh) | 下凹式绿地 | |
CN201850643U (zh) | 一种截流深井自虹吸水力清淤装置 | |
KR101085199B1 (ko) | 하천 지류의 부유물 제거 및 여과 시스템 | |
KR100749718B1 (ko) | 오염된 하천수만을 선별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오염물질 선별 처리시스템 | |
CN205012454U (zh) | 一种截流井 | |
KR101403882B1 (ko) |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 | |
RU2576964C1 (ru) | Устье дренажного коллектора | |
JP4634492B2 (ja) | 地下貯留槽 | |
CN108301487A (zh) | 雨水收集系统 | |
CN204996184U (zh) | 一种可提高有机废水出水质量的二次沉淀池系统 | |
KR200406307Y1 (ko) | 하천 정화 구조물 | |
KR100721897B1 (ko) | 하천 정화 구조물 | |
KR101379795B1 (ko) |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일시 저류조 | |
JP4384111B2 (ja) | 越流水の除塵装置 | |
KR20110073414A (ko) | 조립식 싸이폰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수질 정화 시스템 | |
KR20050004456A (ko) | 물추와 지렛대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수문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