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539B1 -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 - Google Patents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539B1
KR101936539B1 KR1020180037948A KR20180037948A KR101936539B1 KR 101936539 B1 KR101936539 B1 KR 101936539B1 KR 1020180037948 A KR1020180037948 A KR 1020180037948A KR 20180037948 A KR20180037948 A KR 20180037948A KR 101936539 B1 KR101936539 B1 KR 101936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ollers
plate
right rail
buoya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영
유선주
Original Assignee
송준영
유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준영, 유선주 filed Critical 송준영
Priority to KR1020180037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수로의 유말부에 설치된 수로관의 좌우측 측벽부 내측면에 서로 대향된 상태로 후방으로 상향경사진 대각선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좌우측 레일각관이 구비되고 좌우측 레일각관은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의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후방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레일부와, 좌우측 레일각관 사이에 부합되는 폭을 지닌 수문판이 구비되고 수문판의 좌우양측 끝부분은 좌우측 레일각관의 개구부를 통해 내측에 삽입되면서 후면부가 다수개의 롤러와 맞닿아 구름이동되게 설치되어 수로관의 내측 하부를 수문판이 경사지게 가로막은 상태로 설치되며 수문판의 전면부 상측에는 부력체가 설치되어 있어 수로관에 흐르는 농업용수가 수문판에 의해 가로막혀 일정수위로 저수되도록 하고 저수된 물이 부력체가 설치된 높이까지 수위상승되면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 수문판이 다수개의 롤러를 따라 상승되면서 수로관의 하부를 개방하여 방류되게 하는 개폐수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floodgate device of A buoyant type for a waterway}
본 발명은 농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용수로의 수로관에 설치되어 저수되는 물의 부력에 의한 수로관의 자동 개폐로 저지대인 유말부(流末部)가 일정수위를 유지하면서 농업용수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수로의 유말부에 설치된 수로관의 좌우측 측벽부 내측면에 서로 대향된 상태로 후방으로 상향경사진 대각선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좌우측 레일각관이 구비되고 좌우측 레일각관은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의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후방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레일부와, 좌우측 레일각관 사이에 부합되는 폭을 지닌 수문판이 구비되고 수문판의 좌우양측 끝부분은 좌우측 레일각관의 개구부를 통해 내측에 삽입되면서 후면부가 다수개의 롤러와 맞닿아 구름이동되게 설치되어 수로관의 내측 하부를 수문판이 경사지게 가로막은 상태로 설치되며 수문판의 전면부 상측에는 부력체가 설치되어 있어 수로관에 흐르는 농업용수가 수문판에 의해 가로막혀 일정수위로 저수되도록 하고 저수된 물이 부력체가 설치된 높이까지 수위상승되면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 수문판이 다수개의 롤러를 따라 상승되면서 수로관의 하부를 개방하여 방류되게 하는 개폐수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지에 물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어 농업용수 공급라인을 형성하는 용수로는 농업용지를 개간한 후 개간된 농업용지 등에 농업용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기 용수로는 통상적으로 U자형상의 단면을 이루면서 상부가 개방된 일정길이를 지닌 콘크리트 재질의 수로관을 지중에 매설하고 다수개의 수로관을 전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조립시공하여 농업용수 공급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수로관이 서로 연결조립되어 형성된 용수로는 농지를 가로지르거나 또는 농지주위에 설치되면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에 따라 농업용수가 용수로의 상류부에서 유말부로 자연적으로 흐르도록 설치되고 용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은 수로관의 측벽 하부에 천공된 급수공을 통해 각 농지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로관을 통한 농업용수의 공급시 용수 공급량이 충분한 시기에는 고지대인 상류부나 저지대인 유말부의 토지 모두에 원활한 급수가 이루어지지만 가뭄이나 용수 공급량이 적은 시기에는 상류부에는 원활한 급수가 이루어지나 유말부에는 용수 공급량이 매우 적어 유말부의 토지에 용수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유말부를 흐르는 용수는 수로관에 천공된 급수공의 높이까지 수위가 채워져야만 토지로 공급되나 그 이하의 용수는 그대로 배수로를 통해 버려져 막대한 양의 농업용수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922874호에서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로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콘크리트 소재의 본체와; 상기 수로를 가로질러 설치되되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높이에 월류공이 형성된 격벽과; 상기 격벽에 상부가 고정핀으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로의 수위 변동에 따라 하부가 상기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월류공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개방을 설정된 각도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고정 결합공이 형성된 제 1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 1결합플레이트와 대향되게 상기 격벽에 설치되고 다수의 회동 결합공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 2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결합공과 상기 회동 결합공을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수로관의 내측면과 바닥면에 별도의 장착홈을 일정깊이로 파내고 상기 장착홈에 도어가 설치된 격벽을 설치해야만 함으로써 기(旣) 설치된 용수로의 수로관에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격벽 내측에 힌지식으로 회동되게 설치된 도어는 유수(流水)의 힘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월류공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어 유수의 흐름이 느리고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유수의 힘이 약해 도어가 제대로 개방되지 않고, 유수의 흐름이 빠르고 수위가 높은 경우에는 도어 및 제1,2결합플레이트에 의해 일정각도로 제한적으로만 개방되는 월류공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보다 격벽에 의해 가로막혀 채워지는 물의 양이 많아 용수로의 측벽을 넘어 농지로 범람하여 농작물이 수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용수로의 유말부(流末部)에 설치된 수로관의 좌우측 측벽부 내측면에 서로 대향된 상태로 후방으로 상향경사진 대각선방향으로 좌우측 레일각관을 고정설치하며 좌우측 레일각관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 전방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개구부를 형성하고 내측 후방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좌우측 레일각관 사이에는 수문판을 설치하되 수문판의 좌우양측 끝부분을 좌우측 레일각관의 개구부를 통해 내측에 삽입하면서 수문판의 후면부가 다수개의 롤러와 맞닿아 구름이동되게 설치하고 수문판의 전면부 상부에는 부력체를 설치하여 수로관에 흐르는 농업용수가 수문판에 의해 가로막혀 일정수위로 저수되면서 저지대인 유말부에도 원활한 농업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저수된 물이 부력체가 설치된 높이까지 수위상승되면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 수문판이 다수개의 롤러를 따라 자연스럽게 상승이동되면서 수로관의 하부를 개방하여 하류로 방류되게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수로에 설치되는 수로관의 좌우측 측벽부 내측면에 서로 대향된 상태로 후방으로 상향경사진 대각선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좌우측 레일각관이 구비되고 좌우측 레일각관은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의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후방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레일부와, 좌우측 레일각관 사이에 부합되는 폭을 지닌 수문판이 구비되고 수문판의 좌우양측 끝부분은 좌우측 레일각관의 개구부를 통해 내측에 삽입되면서 후면부가 다수개의 롤러와 맞닿아 구름이동되게 설치되어 수로관의 내측 하부를 수문판이 경사지게 가로막은 상태로 설치되며 수문판의 전면부 상측에는 부력체가 설치되어 있어 수로관에 흐르는 농업용수가 수문판에 의해 가로막혀 일정수위로 저수되도록 하고 저수된 물이 부력체가 설치된 높이까지 수위상승되면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 수문판이 다수개의 롤러를 따라 상승되면서 수로관의 하부를 개방하여 방류되게 하는 개폐수문부로 구성된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용수로의 유말부(流末部)에 설치된 수로관의 좌우측 측벽부 내측면에 서로 대향된 상태로 후방으로 상향경사진 대각선방향으로 좌우측 레일각관이 고정설치되며 좌우측 레일각관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 전방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 후방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좌우측 레일각관 사이에는 수문판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되 수문판의 좌우양측 끝부분은 좌우측 레일각관의 개구부를 통해 내측에 삽입되면서 수문판의 후면부가 다수개의 롤러와 맞닿아 구름이동되게 설치되고 수문판의 전면부 상부에는 부력체가 설치되어 있어 수로관에 흐르는 농업용수가 수문판에 의해 가로막혀 일정수위로 저수되면서 저지대인 유말부에도 원활한 농업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저수된 물이 부력체가 설치된 높이까지 수위상승되면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 수문판이 다수개의 롤러를 따라 상승이동되면서 수로관의 하부를 개방하여 자연스럽게 하류로 방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의 수문판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가 수로관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의 수문판이 수로관의 하부를 가로막아 물이 저수되는 상태의 단면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의 수문판이 수로관에 저수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이동되면서 수로관의 하부가 개방되어 방류되는 상태의 단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의 수문판이 닫혀진 상태의 정단면개략도
도 6은 도 5의 A-A'선의 단면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1)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용수로의 수로관(3)에 설치되어 저수되는 물의 부력에 의한 수로관(3)의 자동 개폐로 저지대인 유말부(流末部)가 일정수위를 유지하면서 농업용수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로서, 용수로의 유말부에 설치된 수로관(3)의 좌우측 측벽부(4) 내측면에 서로 대향(對向)된 상태로 후방으로 상향경사진 대각선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좌우측 레일각관(5)이 구비되고 좌우측 레일각관(5)은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의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개구부(6)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후방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레일부(2)와, 좌우측 레일각관(5) 사이에 부합되는 폭을 지닌 수문판(14)이 구비되고 수문판(14)의 좌우양측 끝부분은 좌우측 레일각관(5)의 개구부(6)를 통해 내측에 삽입되면서 후면부가 다수개의 롤러(7)와 맞닿아 구름이동되게 설치되어 수로관(3)의 내측 하부를 수문판(14)이 경사지게 가로막은 상태로 설치되며 수문판(14)의 전면부 상측에는 부력체(15)가 설치되어 있어 수로관(3)에 흐르는 농업용수가 수문판(14)에 의해 가로막혀 일정수위로 저수되도록 하고 저수된 물이 부력체(15)가 설치된 높이까지 수위상승되면 부력체(15)의 부력에 의해 수문판(14)이 다수개의 롤러(7)를 따라 상승되면서 수로관(3)의 하부를 개방하여 방류되게 하는 개폐수문부(13)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레일부(2)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지대인 용수로의 유말부(流末部)에 설치된 수로관(3)에 고정설치되면서 수문판(14)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분으로, 용수로의 유말부에 설치된 수로관(3)의 좌우측 측벽부(4) 내측면에 서로 대향(對向)된 상태로 후방으로 상향경사진 대각선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좌우측 레일각관(5)이 구비되고 좌우측 레일각관(5)은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의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개구부(6)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후방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되, 상기 좌우측 레일각관(5)은 "ㄷ"자형의 단면을 지닌 일직선형의 각관으로 개구부(6)의 일측끝단 후방에는 전방으로 롤러설치편(8)이 연장형성되어 있어 레일각관(5)의 타측면과 롤러설치편(8) 사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7)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롤러(7)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일부가 롤러설치편(8)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면서 개구부(6)의 내측에 삽입되는 수문판(14)의 후면부가 다수개의 롤러(7)에 맞닿아 구름이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레일각관(5)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30 ~ 60°정도의 각도로 후방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좌우측 레일각관(5)의 하단부는 수로관(3)의 바닥면과 좌우측 측벽부(4) 사이의 경계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된 헌치부(9)에 맞닿게 설치되고 상단부는 수로관(3)의 측벽부(4)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좌우측 레일각관(5) 사이에 설치되는 수문판(14)이 저수되는 농업용수의 부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좌우측 레일각관(5)의 롤러(7)를 따라 대각선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레일각관(5)은 개구부(6)의 반대쪽에 위치된 타측끝단 전후방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장착편(10)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장착편(10)에는 앙카볼트(11)가 관통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수로관(3)의 측벽부(4) 내측면에 좌우측 레일각관(5)이 맞닿은 상태에서 복수개의 장착편(10)을 통해 앙카볼트(11)로 관통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좌우측 레일각관(5)은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끝단 전방에 각각 누름바(12)가 끼움설치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누름바(12)는 일정길이를 지닌 직선형의 바(bar)형태로 높은 탄력성을 지닌 합성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누름바(12)의 일측은 수문판(14)의 전면부 좌우양측에 맞닿은 상태로 후방으로 일정하게 누름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수로관(3)을 따라 흐르는 농업용수의 물살이나 수압에 의해 수문판(14)의 어느 한쪽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거나 좌우측 레일각관(5)의 롤러(7)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개폐수문부(13)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3)에 저수되는 농업용수의 부력에 의해 승강되면서 수로관(3)의 하부를 개폐하는 부분으로, 상기 좌우측 레일각관(5) 사이에 부합되는 폭을 지닌 수문판(14)이 구비되고 수문판(14)의 좌우양측 끝부분은 좌우측 레일각관(5)의 개구부(6)를 통해 내측에 삽입되면서 후면부가 다수개의 롤러(7)와 맞닿아 구름이동되게 설치되어 수로관(3)의 내측 하부를 수문판(14)이 경사지게 가로막은 상태로 설치되며 수문판(14)의 전면부 상측에는 부력체(15)가 설치되어 있어 수로관(3)에 흐르는 농업용수가 수문판(14)에 의해 가로막혀 일정수위로 저수되도록 하고 저수된 물이 부력체(15)가 설치된 높이까지 수위상승되면 부력체(15)의 부력에 의해 수문판(14)이 다수개의 롤러(7)를 따라 상승되면서 수로관(3)의 하부를 개방하여 방류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문판(14)은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의 합성수지재질 또는 경량성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좌우측 레일각관(5) 사이의 내측에 부합되는 폭을 지니고 있으며 수문판(14)의 설치높이는 좌우측 레일각관(5) 사이에 대각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수문판(14)의 하단부는 자중에 의해 수로관(3)의 바닥면에 맞닿고 상단부는 측벽부(4) 높이의 1/2 ~ 2/3 정도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어 저지대인 유말부의 수로관(3)에 설치된 수문판(14)에 의해 용수로를 따라 흘러내리는 농업용수가 가로막혀 수문판(14)의 전방에 일정수위로 저수되면서 저수된 물은 수로관(3)의 측벽부(4) 하부에 천공된 급수공(16)을 통해 저지대의 농지에도 원활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문판(14)은 좌우양측끝부분 상,하부에 가이드롤러(17)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가이드롤러(17)는 좌우측 레일각관(5)의 내측 타측면에 밀착되게 맞닿아 구름이동되도록 되어 있어 좌우측 레일각관(5) 사이에서 수문판(14)의 좌우유동을 방지하면서 수문판(14)의 승강작동시 수로관(3)을 따라 흐르는 농업용수의 물살이나 수압에 의해 수문판(14)의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승강작동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15)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내부가 빈 통형상으로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판(14)의 전면부 상부에 좌우로 가로지른 상태로 고정설치되어 수문판(14)에 의해 수로관(3)의 하부가 가로막힌 상태에서 수로관(3)의 내측에 저수되는 농업용수의 부력에 부력체(15)가 물위에 부유되면서 수문판(14)을 상승시키도록 되어 있되, 상기 수문판(14)이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수문판(14)의 전방에 저수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수문판(14)의 좌우양측끝부분이 후방에 위치된 좌우측 레일각관(5)의 롤러(7)에 밀착되게 맞닿은 상태에서 저수되는 농업용수에 의한 부력체(15)의 부유시 수문판(14)이 다수개의 롤러(7)에 의해 구름이동되어 자연스럽게 상승이동되면서 수로관(3)의 하부를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부력체(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압축스티로폼 등과 같은 충진재(18)가 전체적으로 가득 채워진 상태로 충진되어 있어 물위로 부유되는 나뭇가지나 각종 부유물에 의한 부력체(15)의 손상시 내부에 충진된 충진재(18)에 의해 부력체(15)의 내부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력체(15)의 부력 감소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문판(14)은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 좌우양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좌우측 가이드브라켓(19)이 서로 대향되게 고정설치되어 있고 좌우측 가이드브라켓(19)은 "ㄱ"자형상의 단면을 지닌 일정길이를 지닌 바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위치조절공(20)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부력체(15)는 좌우양측끝부분에 각각 플랜지부(21)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좌우측 플랜지부(21)가 좌우측 가이드브라켓(19)의 내측 부합되게 삽입되어 상하 위치조절되면서 위치조절공(20)에 체결되는 체결볼트(22)에 의해 부력체(15)의 플랜지부(21)가 관통체결되어 용수로를 따라 공급되는 농업용수량이나 수위 등에 따라 부력체(15)의 상하 위치가 임의로 조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1)를 농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용수로의 수로관(3)에 설치하여 저수되는 물의 부력에 의한 수로관(3)의 자동 개폐로 용수로의 저지대인 유말부(流末部)가 일정수위를 유지하면서 농업용수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3)의 좌우측 측벽부(4)의 내측면에 각각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대각선방향으로 레일각관(5)을 서로 대향되게 고정설치하되, 좌우측 레일각관(5)의 타측끝단 전후방에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장착편(10)에 앙카볼트(11)를 관통체결하여 수로관(3)의 측벽부(4) 내측면에 좌우측 레일각관(5)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좌우측 레일각관(5)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 전방을 따라 형성된 개구부(6)에 수문판(14)의 좌우양측을 삽입하여 수문판(14)의 하단부가 수로관(3)의 바닥면에 맞닿은 상태로 수문판(14)에 의해 수로관(3)의 내측 하부가 가로막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지대인 상류부에서 용수로를 따라 흘러내리는 농업용수가 저지대인 유말부의 수로관(3)에 설치된 수문판(14)에 막혀 일정수위로 저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문판(14)에 의해 농업용수의 흐름이 가로막혀 수로관(3)의 전방 내측에 일정량의 농업용수가 저수되면 수로관(3)의 측벽부(4)에 천공된 급수공(16)을 통해 저지대의 농지에도 농업용수가 원활하게 공급되고, 수로관(3)에 저수되는 물이 수문판(14)의 부력체(15)가 설치된 높이까지 수위상승되면 농업용수의 부력에 부력체(15)가 물위에 부유되면서 수문판(14)을 상승시키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판(14)이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수문판(14)의 전방에 저수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수문판(14)의 좌우양측끝부분이 후방에 위치된 좌우측 레일각관(5)의 롤러(7)에 밀착되게 맞닿은 상태에서 저수되는 농업용수에 의한 부력체(15)의 부유시 수문판(14)이 다수개의 롤러(7)를 따라 구름이동되어 자연스럽게 상승이동되면서 수로관(3)의 하부를 개방시킴으로써 저수된 물을 하류로 방류시키게 되고, 농업용수의 방류로 수위가 낮아지면 수문판(14)의 자중에 의해 수문판(14)이 하강이동되면서 하단부가 수로관(3)의 바닥면에 맞닿아 다시 물을 저수하여 저지대의 농지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1. 자동개폐수문장치 2. 베이스레일부
3. 수로관 4. 측벽부
5. 레일각관 6. 개구부
7. 롤러 8. 롤러설치편
9. 헌치부 10. 장착편
11. 앙카볼트 12. 누름바
13. 개폐수문부 14. 수문판
15. 부력체 16. 급수공
17. 가이드롤러 18. 충진재
19. 가이드브라켓 20. 위치조절공
21. 플랜지부 22. 체결볼트

Claims (5)

  1. 용수로의 유말부에 설치된 수로관(3)의 좌우측 측벽부(4)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게 고정설치되는 좌우측 레일각관(5)이 구비되고 좌우측 레일각관(5)은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의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개구부(6)가 형성되며 내측 후방에는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레일부(2)와, 좌우측 레일각관(5) 사이에 부합되는 폭을 지닌 수문판(14)의 좌우양측 끝부분은 좌우측 레일각관(5)의 개구부(6)를 통해 내측에 삽입되면서 후면부가 다수개의 롤러(7)와 맞닿아 구름이동되게 설치되어 수로관(3)의 내측 하부를 수문판(14)이 경사지게 가로막은 상태로 설치되며 수문판(14)의 전면부 상측에는 부력체(15)가 설치되어 수로관(3)에 흐르는 농업용수가 수문판(14)에 의해 가로막혀 저수되면서 부력체(15)의 설치높이까지 수위상승되면 부력체(15)의 부력으로 수문판(14)이 다수개의 롤러(7)를 따라 상승되어 수로관(3)의 하부를 개방하는 개폐수문부(13)로 구성되되, 상기 좌우측 레일각관(5)은 개구부(6)의 일측끝단 후방에 전방으로 롤러설치편(8)이 연장형성되어 레일각관(5)의 타측면과 롤러설치편(8) 사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롤러(7)가 설치되며 다수개의 롤러(7)는 전방 일부가 롤러설치편(8)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좌우측 레일각관(5)은 30 ~ 60°의 각도로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수문판(14)은 전면부 좌우양측에 각각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위치조절공(20)이 천공된 좌우측 가이드브라켓(19)이 대향되게 고정설치되고 부력체(15)는 좌우양측끝부분에 플랜지부(21)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좌우측 플랜지부(21)는 좌우측 가이드브라켓(19)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위치조절되면서 체결볼트(22)가 위치조절공(20)을 통해 플랜지부(21)에 관통체결되어 부력체(15)의 상하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레일각관(5)은 일측끝단 전방에 각각 누름바(12)가 끼움설치되되, 상기 누름바(12)는 탄력성을 지닌 합성고무나 합성수지재질로 일측이 수문판(14)의 전면부에 맞닿아 수문판(14)을 후방으로 누름지지하면서 수문판(14)의 좌우양측이 좌우측 레일각관(5)의 롤러(7)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판(14)은 좌우측 레일각관(5) 사이에 설치되어 하단부가 수로관(3)의 바닥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단부는 측벽부(4) 높이의 1/2 ~ 2/3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며, 수문판(14)의 좌우양측끝부분 상,하부에는 가이드롤러(17)가 각각 설치되고 각 가이드롤러(17)는 좌우측 레일각관(5)의 내측 타측면에 맞닿아 구름이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
  5. 삭제
KR1020180037948A 2018-04-02 2018-04-02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 KR101936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948A KR101936539B1 (ko) 2018-04-02 2018-04-02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948A KR101936539B1 (ko) 2018-04-02 2018-04-02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539B1 true KR101936539B1 (ko) 2019-01-08

Family

ID=6502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948A KR101936539B1 (ko) 2018-04-02 2018-04-02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5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193B1 (ko) * 2020-01-31 2020-08-25 주식회사 한길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
CN112360193A (zh) * 2020-10-29 2021-02-12 余华云 一种水池放水自停的装置
CN114794178A (zh) * 2022-02-25 2022-07-29 安徽恒元食品机械有限公司 油条胚条表面自动刷水设备及刷水方法
CN115475810A (zh) * 2022-10-27 2022-12-16 湖州中江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蚕框、蚕盘专用的清洗槽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3124A (ja) * 2013-02-26 2014-09-08 Ami Sumio フロート式止水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3124A (ja) * 2013-02-26 2014-09-08 Ami Sumio フロート式止水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193B1 (ko) * 2020-01-31 2020-08-25 주식회사 한길 농업용수 수문판 회전용 기능성 자동개폐수문장치
CN112360193A (zh) * 2020-10-29 2021-02-12 余华云 一种水池放水自停的装置
CN114794178A (zh) * 2022-02-25 2022-07-29 安徽恒元食品机械有限公司 油条胚条表面自动刷水设备及刷水方法
CN114794178B (zh) * 2022-02-25 2023-03-03 安徽恒元食品机械有限公司 油条胚条表面自动刷水设备及刷水方法
CN115475810A (zh) * 2022-10-27 2022-12-16 湖州中江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蚕框、蚕盘专用的清洗槽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539B1 (ko) 용수로용 부력식 자동개폐수문장치
US5460462A (en) Liquid and flood water barrier wall forming-apparatus
KR100909485B1 (ko) 유압권양수문
CN207904880U (zh) 一种水库坝体结构
CN214628801U (zh) 自动灌溉水位控制装置
JPS6149013A (ja) 浮函式防潮水門
KR100662861B1 (ko) 수로와 물받이블럭의 수문개폐장치
CN105756179A (zh) 一种污水流量可控及拦渣防倒灌截流井
KR100597464B1 (ko) 수문을 구비한 고무댐
KR20110002487U (ko) 농업용 급수 개폐기
KR101971420B1 (ko) 데크로드의 출입 차단 장치
KR101257344B1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CN213815497U (zh) 可伸缩悬浮式管道警示桩
JP4008188B2 (ja) 水田の用排水管理システム
KR101001588B1 (ko) 무전원 오뚝이형 자동수문
CN205557473U (zh) 一种远程控制型防洪堤坝闸门
US3293862A (en) Overflow fishway
CN212993808U (zh) 一种种鸭自动喂水装置
KR102064133B1 (ko) 댐의 보조 수문장치.
KR100647352B1 (ko) 다단 전도식 수문시스템
KR100296343B1 (ko) 유동식 수문
KR100902780B1 (ko) 수압조절 가능한 연동형 이중 맨홀뚜껑
CN218711930U (zh) 一种塑胶跑道缝隙式排水施工装置
KR20160013363A (ko) 인양식 수문장치의 문틀 플레이트
CN218508480U (zh) 一种兼具蓄水功能的挡土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