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682B1 - 초절수 양변기 - Google Patents
초절수 양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0682B1 KR101760682B1 KR1020150181960A KR20150181960A KR101760682B1 KR 101760682 B1 KR101760682 B1 KR 101760682B1 KR 1020150181960 A KR1020150181960 A KR 1020150181960A KR 20150181960 A KR20150181960 A KR 20150181960A KR 101760682 B1 KR101760682 B1 KR 1017606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lever
- toilet
- lever shaft
- tra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절수 및 악취 확산을 방지하는 양변기 시스템에 있어서,
변기의 상단에는 칸막이 형의 수조가 형성되어 그 상단에는 변기를 작동하는 레버손잡이와, 상기 레버손잡이와 직각으로 연결되는 레버축이 설치되고, 상기 수조내부에는 레버축이 레버손잡이에 의하여 회전하는 경우 레버축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고정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레버손잡이가 연결된 레버축의 첫단에는 하부에 레버를 연접하여 인공 통 트랩을 연결하고, 둘째단에는 하부에 레버를 연접하여 중앙 볼탑을 연결하고, 그 단부에는 두레박용기을 연결하여 그 이동에 의하여 중앙 볼탑에 장착된 템버와 인공 통 트랩의 작동시간을 동시에 지연하도록 하여 잔류 오물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악취발생을 방지하도록 하고,
수조의 하부에는 변기본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부 내벽에는 75~80도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하여 용수의 수압을 상승하도록 하고,
상기 변기본체의 하단 뒷편에는 담수부에서 배출하는 오물의 배출구와 하수구 사이에 "ㄱ"자형의 인공 통 트랩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변기의 상단에는 칸막이 형의 수조가 형성되어 그 상단에는 변기를 작동하는 레버손잡이와, 상기 레버손잡이와 직각으로 연결되는 레버축이 설치되고, 상기 수조내부에는 레버축이 레버손잡이에 의하여 회전하는 경우 레버축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고정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레버손잡이가 연결된 레버축의 첫단에는 하부에 레버를 연접하여 인공 통 트랩을 연결하고, 둘째단에는 하부에 레버를 연접하여 중앙 볼탑을 연결하고, 그 단부에는 두레박용기을 연결하여 그 이동에 의하여 중앙 볼탑에 장착된 템버와 인공 통 트랩의 작동시간을 동시에 지연하도록 하여 잔류 오물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악취발생을 방지하도록 하고,
수조의 하부에는 변기본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부 내벽에는 75~80도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하여 용수의 수압을 상승하도록 하고,
상기 변기본체의 하단 뒷편에는 담수부에서 배출하는 오물의 배출구와 하수구 사이에 "ㄱ"자형의 인공 통 트랩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수관에서 올라오는 악취나 역류를 신속하고 완벽하게 차단되고, 양변기의 시공이 양호하고, 초미량의 물을 사용하여 수자원부족 해소와 환경보존에 기여하도록 한 것이며, 그 구성은 초절수 및 악취 확산을 방지하는 양변기 시스템에 있어서, 변기의 상단에는 칸막이 형의 수조가 형성되어 그 상단에는 변기를 작동하는 레버손잡이와, 상기 레버손잡이와 레버커버가 직각으로 연결되어 레버축이 설치되고, 상기 수조내부에는 레버축이 레버손잡이에 의하여 회전하고 레버축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고정지지대가 설치되어, 상기 레버손잡이에 연결된 레버축의 첫단에는 하부에 레버를 연접하여 인공 통 트랩을 연결하고, 둘째단에는 하부에 레버를 연접하여 중앙 볼탑을 연결하고, 그 단부에는 두레박용기을 연결하여 그 이동에 의하여 중앙 볼탑에 장착된 템버와 인공 통 트랩의 작동시간을 동시에 지연하도록 하여 잔류 오물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악취발생을 방지하도록 하고, 수조의 하부에는 변기본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 내벽에는 75~80도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하여 용수의 수압을 상승하도록 하고, 상기 변기본체의 하단 뒷편에는 담수공간부에서 배출하는 오물의 배출구와 하수구 사이에 "ㄱ"자형의 인공 통 트랩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오물 세정에 이용하는 세정수 총량(급수 세정수 총량)이 소량 추세로 변화되어 '세정수 총량을 약 6리터 이하'로 사용하는 것을 법제화시켜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기존양변기에 S 트랩이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의 정책실현에 어려움이 뒷따름은 현실로 부각될 것이다. S 트랩 등은 선회류의 생성·사이폰 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높은 수세로 대량(大量)으로 세정수를 급수하는 것이 정착되어 있고, 약 10~15리터 정도의 유량이 소요되어 세정작용이 이루어진다.
이와 더블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7292호로 변기용 접속유닛이 공개된 접속유닛은, 변기 배출구에 탄성 시일재가 장착되어 결합하면서 양측 고정부가 형성되어 변기와 나사못으로 고정되고, 저면의 플랜지 접합부에 플랜지가 결합되어 바닥 배수구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유닛은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작업능률 저하로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나사못으로 변기와 고정부가 고정될 때, 나사못이 관통되도록 변기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변기 배출구에 결합한 접속유닛의 저면이 바닥면에 밀착될 때 수평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접속유닛이 편심을 일으켜 변기 배출구에 결합하기 때문에 접합력이 균일하지 못하여 누수 발생과 오동작으로 세정수가 낭비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20-2010-0007500( 2010.07.23 공개)호에 기재된 고안은 변기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사이를 연결하는 변기용 배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 변기 설치 시 시공상의 편의를 도모하고 누수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변기용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고, 배수 트랩이 배수관 내로 끼워 넣어지고, 상기 배수 트랩은 바닥에 나사못으로 고정되고, 상기 배수 트랩은 취부 볼트와 취부 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배수 트랩은 유입구 양 측면에 취부 볼트 삽입공이 있으며, 변기의 배출구가 배수 트랩의 유입구에 끼워지면서 취부 볼트가 변기의 취부 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배수 트랩과 변기는 고정 너트와 삼각패킹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 나, 이 발명은 시공상의 편의성 도모 및 누수에 대한 안정성은 가능할지라도 체결 후 노후 부품을 교환 내지 수리할 경우 유지보수비 증가, 역류하는 냄새차단과 오물를 신속하게 배출하는데 어려움이 내재된 것으로 사료됩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분리식 트랩을 채용한 변기는 외관을 개선하면 설치작업성이 나쁘고, 설치작업성을 개선하면 외관이 좋지 않은 점에서 기술의 한계성과 그에 따른 양변기 상품성 저하를 동시에 극복할 수 있도록 기존의 S 트랩을 사용하지 않고, 인공 통 트랩을 사용하여 수려한 미관과 신속하고 간단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시 작업성 향상과 유지보수성이 아주 양호하고, 수조의 핸들조작에 의해 오물과 용수가 담수부와 인공 통 트랩을 통해 동시 작동하는데 시간 지연수단의 배출 지연으로 잔재물 누적이 없고, 신속하고 청결하게 세정함과 동시에 역류나 악취도 신속하게 차단하여 위생적인 주변환경을 구현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조작용 손잡이 회전에 의하여, 양변기 수조에 장착된 중앙볼탑, 시간지연조절장치, 인공 통 트랩 등의 작동구가 두(2) 부위 이상 확장될 경우, 작동구인 레버축 신장에 따라 그 작동력도 동반하여 상승하는데 각 부위에 따라 작동하는 힘의 방향이 일원화되지 않고 서로 상이하고, 단부에 있어서도 편심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지지력 부족으로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개선하여 작동구와 연결된 레버축 지지가 견고하면서 균등력을 갖도록 하여 각 작동구가 오작동 없이 원활하게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의 크기와 작동구의 작동력의 크기가 상이함과 더블어 단부에도 편심이 작용하면, 다수의 지지대를 설치하지 않고 1개의 고정지지대 설치에 의하여 쉽게 설치/제거 가능하여 유지보수 및 작업성이 향상되고, 수조의 외형을 변형하지 않고 원형대로 보존하면서 미관을 수려하게 유지하고, 폭 가변에 의하여 레버축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면, 초절수 및 악취 확산을 방지하는 양변기 시스템에 있어서,
변기의 상단에는 칸막이 수조가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변기를 작동하는 레버손잡이와, 상기 레버손잡이와 레버커버가 직각으로 연결되어 레버축이 설치되고, 상기 수조내부에는 레버축이 레버손잡이에 의하여 회전하고, 레버축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고정지지대가 설치되어, 상기 레버손잡이에 연결된 레버축의 첫단에는 하부에 레버를 연접하여 인공 통 트랩을 연결하고, 둘째단에는 하부에 레버를 연접하여 중앙 볼탑을 연결하고, 그 단부에는 두레박용기을 연결하여 중앙 볼탑에 장착된 템버와 인공 통 트랩의 작동시간을 동시에 지연하도록 하여 잔류 오물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악취발생을 방지하도록 하고,
수조의 하부에는 변기본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부 내벽에는 75~80도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하여 용수의 수압을 상승하도록 하고,
상기 변기본체의 하단 뒷편에는 담수부에서 배출하는 오물의 배출구와 하수구 사이에 "ㄱ"자형의 인공 통 트랩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축의 첫단에는 레버를 연접하고 그 단부에는 와이어 또는 체인을 사용하여 인공 통 트랩의 일측에 설치된 레버를 상하로 개폐하도록 하여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레박용기는 레버축과 연결되어 상부는 개방되고 그 내부에는 용수를 담아 배출할 수 있는 원형 내지 타원형의 용기이며, 상부에 설치된 레버축과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레박용기는 용수를 담아 배출하기 위하여 측벽과 하면에 시간지연조절장치를 하나 또는 다수개 설치하고, 용수의 인입 및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시간지연조절장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레박용기의 좌우측에는 걸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걸고리 내부에는 걸고리중심축을 설치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지지대는 수조의 좌측 및 우측에 밀폐압박부를 형성하여 지지축에 하중이 작용하여도 기밀성과 견고성을 갖도록 한 것이며, 상기 밀폐압박부 사이에는 지지축이 견고하게 지지하고, 상기 지지축의 중앙에는 레버축을 좌우로 감싸면서 지지하는 걸고리를 형성하고, 좌측 및 우측 밀폐압박부를 견고하게 지지조정하는 조절부를 지지축 사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인공 통 트랩은 양변기의 하단 뒷부분에 설치되고, 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는 담수부를 통하여 담수된 용수와 오물이 혼합된 오염물을 공급받아 신속하게 배출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덮기 위한 커버가 안착되고, 측면은 수직면을 형성한 측벽과 회전지지대를 안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지지대가 안착된 공간의 하단 측벽에는 오염물을 공급받아 배출하는 개수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경사벽을 통하여 일측으로 집중된 오염물을 배수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측면에는 몸체와 연결하는 갈고리가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개수구의 덮개(템버)를 개폐하는 마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의 힘에의한 누수 및 냄새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수구의 덮개(템버)를 개폐하는 마개는 원판형이고, 전면중앙에는 단턱을 가진 기둥을 형성하고, 그 단턱 둘레의 내부에는 버섯형의 볼록한 원호의 돌부를 안착함으로써 단턱 둘레 사이에 홈부가 형성되며, 후면중앙에 돌기면에 자석이 내장되어 다수의 리브 형성으로 외측 단부의 자석과 일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개의 외측 단부에는 연결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홈부를 형성하여 회전지지대에 연결하도록 하며, 마개의 전면중앙에 형성된 버섯형의 볼록한 원호의 돌부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 시일부재를 결합하여 밀착시 정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자석을 매립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일부재는 링 형상의 시일 몸체와 상기 시일 몸체의 외측으로 단차를 가진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내외부에 리브를 형성하여 강도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개개폐시 접속 또는 해체되는 것으로 마개의 전면에 형성된 자석을 감싼 돌기부와 상호 결합하는 구성으로 몸체의 개수구 인근벽면에 자석이 안착된 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의 개수구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내부에는 홈부가 있는 원통형의 인입부가 연접되고, 상기 인입부에 대향의 원터치걸고리를 설치하여 보강삽입부의 걸림부 단부와 연결하는 보강플랜지를 일체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의 S 트랩을 채용한 변기는 외관을 개선하면 설치작업성이 나쁘고, 설치작업성을 개선하면 외관이 좋지 않은 기술의 한계성과 그에 따른 변기의 상품성 저하를 동시에 극복하고, 이에 더하여 미관을 개선하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공 통트랩 설치시 좁은 장소에서 자유롭고 쉽게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유동로(流動路)에 잔재물이 누적 내지 적체된 경우에도 수시로 뚜껑을 개폐하여 확인점검이 가능하고, 초보자의 경우에도 손쉽게 처리가 가능하여 유지보수성이 아주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담수부를 거쳐 배수구 측으로 오염물이 통과할 때 여러 방향으로 절곡된 각도를 형성하지 않고 인공 통 트랩을 통해 일시에 유선 흐름으로 자연배수가 되도록 하여 잔재물 누적이 없고 신속하고 청결하게 세정함과 동시에 역류나 악취도 신속하게 차단하여 위생적인 주변환경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작용 손잡이 회전에 의하여, 양변기 수조에 장착된 중앙볼탑, 시간지연조절장치, 인공통트랩 등의 작동구가 2 부위 이상 확장될 경우, 작동구인 레버축 길이가 늘어나고 작동력도 동반 상승하는데 각 부위에 따라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서로 상이한 것이고, 단부에 있어서는 편심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지지력 부족으로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개선하여 작동구와 연결된 레버축 지지가 견고하면서 균등력을 갖도록 하여 각 작동구 스스로가 원활하게 작동하여 오작동 없이 정상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수조의 크기와 작동구의 작동력의 크기가 상이함과 더불어 단부에도 편심이 작용하면, 다수의 지지대를 설치하지 않고 1개의 고정지지대에 의하여 쉽게 설치/제거 가능하여 유지보수 및 작업성이 향상되고, 수조의 외형을 변형하지 않고 폭 가변에 의하여 레버축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의 수조를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의 수조에 손잡이와 레버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의 수조에 고정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인공통트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양변기의 인공통트랩의 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양변기의 인공통트랩의 연결부재와 시일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보강플랜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보강삽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회전지지대의 작동에 따라 개수구의 덮개를 개폐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1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터치걸고리를 보강플랜지에 결합 전/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의 수조를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의 수조에 손잡이와 레버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의 수조에 고정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인공통트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양변기의 인공통트랩의 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양변기의 인공통트랩의 연결부재와 시일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보강플랜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보강삽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회전지지대의 작동에 따라 개수구의 덮개를 개폐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1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터치걸고리를 보강플랜지에 결합 전/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와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와 운용자 의도 및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를 내리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의 수조를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의 수조에 손잡이와 레버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초절수 양변기의 수조에 고정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1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인공통트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초절수 양변기(1000)는 오수관에서 올라오는 악취나 역류를 신속하고 완벽하게 차단되고, 양변기 시공이 양호하고, 초절수의 물을 사용하게 함으로써 수자원부족 해소와 환경보존에 기여하는 초절수 및 악취 확산을 방지하는 양변기 시스템에 있어서, 변기의 상단에는 칸막이(310) 형의 수조(300)가 형성되어 그 상단에는 변기를 작동하는 레버손잡이(320)와, 상기 레버손잡이(320)와 직각으로 연결되는 레버축(330)이 설치되고, 상기 수조(300)내부에는 레버축(330)이 레버손잡이(320)에 의하여 회전하는 경우 레버축(330)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고정지지대(340)가 설치되며, 상기 레버손잡이(320)가 연결된 레버축(330)의 첫단에는 하부에 레버(331)를 연접하여 인공 통 트랩(500)을 연결하고, 둘째단에는 하부에 레버(332)를 연접하여 중앙 볼탑(미도시)을 연결하고, 그 단부에는 두레박용기(350)을 연결하여 중앙 볼탑(미도시)에 장착된 템버와 인공 통 트랩(500)의 작동시간을 동시에 지연하도록 하여 잔류 오물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악취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레버축(330)의 첫단에는 레버(331)를 연접하고 그 단부에는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을 사용하여 인공 통 트랩(500)의 일측에 설치된 레버(50)를 상하로 연결하여 세정하는데 이를 세부적으로 보면, 상기 레버손잡이(320)가 연결된 레버축(330)의 첫단에는 제1 힌지부(331-1)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레버(331)가 연접되고, 상기 레버의 단말부에는 결착구(333)를 형성하여 체인 내지 로프로 인공 통 트랩(500)을 연결하여 개폐가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축(330)의 둘째단에는 레버(332)를 연접하고 그 단부에는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을 사용하여 중앙 볼탑(미도시)을 연결하는데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둘째단에는 제2 힌지부(332-1)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레버(332)가 연접되고, 상기 레버(332)의 단말부에는 결착구(332)를 형성하여 체인 내지 로프로 중앙 볼탑을 연결하여 개폐가 이루어진다.
수조(300)의 하부에는 변기본체(6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기본체(600)의 담수부 내벽에는 75~80도의 경사각(410)을 유지하도록 하여 용수의 수압을 상승하도록 하여 소량의 물로 세정력을 향상하도록 한다.
상기 변기본체(600)의 하단 뒷편에는 담수부에서 배출하는 오물의 배출구와 하수구 사이에 "ㄱ"자형의 인공 통 트랩(500)을 설치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레버축(330)의 첫단에는 레버(331)를 연접하고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을 사용하여 인공 통 트랩(500)의 일측에 설치된 레버(50)를 상하로 연결하여 개폐하도록 하고,
상기 레버축(330)의 둘째단에는 레버(332)를 연접하고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을 사용하여 중앙 볼탑(미도시)을 연결하고, 그 단부에는 두레박용기(350)을 연결하여 중앙 볼탑(미도시)에 장착된 템버와 인공 통 트랩(500)의 작동시간을 동시에 지연하도록 하여 잔류 오물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악취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두레박용기(350)는 레버축(330)과 연결되어 상부는 개방되고 그 내부에는 용수를 담아 배출할 수 있는 원형 내지 타원형의 용기이며, 상부에 설치된 레버축(330)과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335)를 갖는 것이다.
상기 두레박용기(350)는 레버축(330)의 회전에 따라 용수를 담아 배출하기 위하여 측벽과 하면에 시간지연조절장치(351)를 하나 또는 다수개 설치하고, 용수의 인입 및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시간지연조절장치(351)를 회전하여 가변하는 것이다. 상기 두레박용기(350)의 좌우측에는 걸고리(353)를 형성하고 상기 걸고리(353) 내부에는 걸고리중심축(352)을 설치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수가 담겨진 상태의 담수부(400)에 사용자가 오물을 투하하게 되면, 오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수조에 부착된 레버의 손잡이(320)를 작동하면 담수부(400)에 담긴 오물이 먼저 배출됨과 동시에 수조(300) 내에 장착된 중앙볼탑(미도시)의 템버와 인공 통 트랩(500)의 템버가 열리면서 담수부(400)에 담긴 오물이 즉시 충분히 빠져나가고 시간차 즉, 레버축(330)의 단부에 연결된 두레박용기(350)가 회전부(335)에 의하여 회전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조(300)내부에 채워진 용수 속에 잠겨 시간지연조절장치(351)의 내부에 용수가 유입되어 두레박용기(350) 내에 용수가 가득 찬 상태에서 수조 바닥의 수직 위치에 근접할 때까지 정지해 있다가 배출수단에 의하여 수조의 수위가 하강하여 시간조절장치에 근접하게 되면 용수가 누수되어 하중(무게)이 작아지면서 종료되는 것이며, 지속시간은 3~7초 동안 원위치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시차를 이룬다. 그 후의 과정은 수조(300)의 용수가 유입되면서 담수부에 세척수가 내려와 청정(淸淨)하게 세정(洗淨)한 후 인공통 트랩(500)을 통해 배수구(30)로 배출하면 레버의 손잡이(320)가 원위치로 복귀하고 수조(300)내의 중앙볼탑(미도시)의 템버와 인공통 트랩(500) 템버가 닫히면 인공 통트랩(500)의 자석(73)에 의하여 누수 및 역류, 악취 등을 신속하게 차단하여 위생적인 주변환경을 구현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두레박용기(350)의 시간지연장치(351)는 중앙볼탑의 템버와 인공 통 트랩의 폐쇄에 따라 수조 내에 용수가 채워지면 바닥과 측면의 내부에 천공된 구멍에 의하여 용수가 유입되어 두레박용기에 가득 채워져 차후 레버축(330)의 회전에 의한 시간지연 작업에 재활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대(340)는 수조(300)의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 설치할 수 있고, 레버축(330)의 지지 및 회전운동을 하는데 견고하게 지지 된다. 상기 고정지지대(340)의 좌측 및 우측에는 밀폐압박부(341)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는 지지축(342)에 의하여 레버축(330) 지지 및 회전운동시 하중이 작용하여도 견고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밀폐압박부(341)의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좌측 및 우측의 밀폐압박부(341)에 연결된 지지축(342) 사이 중앙에는 레버축(330)을 좌우로 감싸면서 지지하는 걸고리(343)를 형성하고, 좌측 및 우측 밀폐압박부(341)를 견고하게 지지조정하는 조절부(344)를 지지축(342) 사이에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인공 통 트랩(500)은 양변기의 하단 뒷부분에 설치되고, 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는 담수부(400)를 통하여 담수된 용수와 오물이 혼합된 오염물을 공급받아 신속하게 배출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덮기 위한 커버가 안착되고, 측면은 수직면을 형성한 측벽과 회전지지대(50)를 안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지지대(50)가 안착된 공간의 하단 측벽에는 오염물을 공급받아 배출하는 개수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경사벽을 통하여 일측으로 집중된 오염물을 배수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 상부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측면에는 몸체와 연결하는 갈고리가 형성된 커버(20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의 인공 통트랩(500)은, 상기 양변기의 수조(300)를 통하여 용수가 담수부에 담겨진 상태에서 오물을 투하하면, 그 오물을 세정하기 위하여 담수부(400)를 거쳐 배수구 측으로 신속하게 세정함과 동시에 배수구로 통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역류나 악취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초절수(회당 총 물사용량이 약 3L) 만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양변기의 수조(300)에 용수가 담수부(400)에 담겨진 상태에서 오물을 투하하면, 그 오물을 세정하기 위하여 담수부(400)를 거쳐 배수구(30) 측으로 신속하게 세정함과 동시에 배수구(30)로 통과함으로써 역류와 악취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몸체(100)는 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그 내부에는 담수부(400)를 통하여 담수된 용수와 오물이 혼합된 오염물을 공급받아 신속하게 배출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어 개구부를 덮기 위한 커버(200)가 안착하고, 측면은 수직면을 형성한 측벽(40)을 형성하고, 그 측벽 일측에는 돌출된 단부 공간을 형성하여 회전지지대(50)를 안착시키는 공간으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회전지지대(50)가 안착된 공간의 하단 측벽(40)에는 담수부(400)에서 공급되는 오염물을 공급받아 배출하는 개수구(60)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40) 타측에는 수직면 하부 개수구(60)를 통하여 진입된 오염물을 신속하게 배수하는 경사벽(41)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경사벽(41)을 통하여 일측으로 집중된 오염물을 배수하는 것이고, 상기 몸체(100) 상부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측면에는 몸체와 연결하기 위한 걸고리(210)가 형성된 커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의 상부 외측에는 커버(200)의 측면 걸고리(210)와 상호 결착하도록 돌부(10)가 형성되어 개폐가 가능하며, 수조(300)의 핸들조작에 의하여 용수가 담수부(400)를 거쳐 배수구(30) 측으로 오염물이 통과할 때 개수구(60)와 유동로(流動路) 등에 잔재물이 누적 내지 적체된 경우에도 수시로 점검하여 뚜껑을 개폐하여 확인점검 및 보수가 가능하고, 일반인도 이를 확인하여 쉽게 제거 및 점검처리가 가능하여 유지보수성이 아주 양호하다.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개수구(60)의 덮개(템버)를 개폐하는 마개(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의 힘에 의해 누수및 냄새를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개수구(60)의 덮개(템버)를 개폐하는 마개(70)는 원판형으로, 전면의 중앙에는 단턱을 가진 기둥을 형성하고 그 단턱 둘레의 내부에는 버섯형의 볼록한 원호의 돌부(71)를 안착함으로써 단턱둘레 사이에 홈부(72)가 형성되고, 하단 중앙단부에는 자석(73)을 안착하여 둥굴게 감싼 돌기부(74)가 형성된 것이고, 후면 중앙에는 돌기면을 형성하고 상기 돌기면(75)을 중심으로 다수의 리브(76)를 형성하여 외측단부의 자석과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마개(70)의 외측 단부에는 연결부재(80)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홈부(81)를 형성하여 회전지지대(50)에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리브(82)를 형성하여 강도 증가와 무게를 감축하도록 한다.
상기 마개(70)의 전면 중앙에 형성된 원기둥 위의 단턱 둘레의 내부에 버섯형의 볼록한 원호 돌부(71) 사이에 형성된 홈부(72)에 시일부재(78)를 결합하여 밀착시 정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비틀림 변형 등이 발생할 경우에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자석을 매립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시일부재(78)의 재질은 유연성이 있고, 탄성이 우수하고, 인성이 길게 유지되며, 용수와 오물이 혼합된 오염물에 대하여 내구성이 있는 재질 즉, 예시로 실리콘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합성수지재 등을 사용하도록 하고, 필요시 접착재를 사용하여 접합력을 향상하도록 한다.
상기 시일부재(78)는 링 형상의 시일몸체(78-1)와, 상기 시일몸체(78-1)의 외측으로 단차(78-2)를 가진 결합부(78-3)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78-3)의 내측과 외측에는 리브(78-4)를 형성하여 강도를 증가한 것이다.
마개(70) 개폐시 접속/해체되는 것으로 마개의 전면에 형성된 자석(73)을 감싼 돌기부(74)와 상호 결합하는 구성으로, 몸체(100)의 개수구(60) 인근 벽면에 자석(73-1)이 안착된 돌부(74-1)가 형성되어 상호 간에 강력한 자력에 의하여 결합이 장기간 유지되도록 한다.
몸체(100)의 개수구(60)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내부에는 홈부((61-1)가 있는 원통형의 인입부(61)가 개수구(60)의 인접된 측벽(40)과 연접된다. 이로 인하여 인입부(61)의 입구와 양변기의 담수부 출구 사이에 보강플랜지(65)가 상호 결합되어 담수부에 담겨진 용수와 오물의 오염물을 공급하는 주는 파이프의 중간매개체로써 활용된다.
상기 원통형의 인입부(61) 내측에 삽입하는 구성이며, 인입부 내측에 형성된 홈부(61-1)에 끼워지는 돌기부(62-1)가 형성되고, 그 단부에는 인입부와 경계를 이루는 걸림부(62-2)가 있는 보강삽입부(62)로 구성되어 결합한다. 상기 보강삽입부(62)는 인입부(61)의 홈부(61-1)과 돌기부(62-1)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착되어 강도를 증가함과 동시에 마개(70)에 연결된 시일부재(78)와도 견고하면서도 밀접하게 접속고정되어 악취나 역류를 방지한다.
상기 인입부(61)의 외측에 대향의 지지대(63-1)를 상하로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63-1)의 일측에 천공된 구멍에 핀(63-2)을 사용하여 걸고리(63-3)를 좌우로 이동하여 사용되는 원터치걸고리(63)를 설치하여 보강삽입부(62)의 걸림부(62-2) 단부와 연결되는 보강플랜지(65)를 단시간에 일체로 쉽고 간편하게 결합 내지 해체가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유지 보수에서도 용이하게 처리되고, 비숙련된 작업자의 경우에도 원활한 작업이 가능한 점이 있다.
상기 보강플랜지(65)의 구성은 우측에는 입구홀(65-1)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플랜지(65-2)가 형성되고 좌측으로는 출구홀(6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홀(65-1)의 개방된 단부에는 단턱(미도시)이 형성되어 양변기의 담수부(400)의 출구와 연결되어 고정되며, 그 출구홀(65-3)은 인입부(61)와 접속하는 보강삽입부(62)의 걸림부(62-2) 단부에 접속되고 그 출구홀(65-3)의 내측에는 홈부(65-4)가 형성된 단턱부(65-5)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65-4)에 시일(65-6)을 삽입하여 이동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견고하게 밀착고정하므로 악취를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플랜지의 둘레를 따라 리브(65-7)를 설치함으로써 강도를 증가하도록 하였다.
상기 몸체의 측면 타측에 돌출된 단부 공간에 형성된 회전지지대(50)는 원형 또는 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ㄱ'자 형상 중 '-'자 형상은 몸체의 측면 타측에 돌출된 단부 공간에 안착되고 그 중앙에는 마개(70)의 연결부재(80)를 연결하고, 좌우 양측 단부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 안착 회전하도록 하고, 마개(70)의 연결부재(80) 후면이 돌출된 단부 공간과 접속하여 회전지지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몸체의 측면 타측에 돌출된 단부 공간 내부에 돌기부(81)를 형성하여 회전지지대(50)가 이동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지지대(50)는 몸체의 측벽(40) 상단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하고 이동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지지대(53)를 다수개 설치하도록 한다.
몸체(100)의 측면 타측에 돌출된 단부 공간에 형성된 회전지지대(50)의 단부 일측에는 무게추(51)를 부착하여 상기 개수구(60)의 덮개(템버)를 개폐하는 마개(70)가 쉽게 차단하도록 하중을 가하는 기능을 하도록 하고, 타측에는 급수볼탑(미도시)과 중앙볼탑(미도시)을 작동하는 회전축(미도시)에 연결된 삼각지지부(미도시)와 끈(로프)에 의하여 회전지지대의 연결부(52)가 상호 연결되고, 하중의 변화량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하로 이동하여 회전지지대에 부착된 마개가 개수구의 덮개를 개폐하도록 하는 것이며, 배수구로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역류나 악취를 차단하도록 하여 청결하고 안락한 주변환경 조성으로 상쾌한 기분으로 용변을 마치고 나올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0: 초절수 양변기 100: 몸체
200: 커버 300 : 수조
400: 담수부 500: 인공 통 트랩
600: 변기본체
200: 커버 300 : 수조
400: 담수부 500: 인공 통 트랩
600: 변기본체
Claims (13)
- 초절수 및 악취 확산을 방지하는 양변기 시스템에 있어서,
변기의 상단에는 칸막이 수조가 형성되어 그 상단에는 변기를 작동하는 레버손잡이와, 상기 레버손잡이와 레버커버가 직각으로 연결되어 레버축이 설치되고, 상기 수조내부에는 레버축이 레버손잡이에 의하여 회전하고 레버축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고정지지대가 설치되어, 상기 레버손잡이에 연결된 레버축의 첫단에는 하부에 레버를 연접하여 인공 통 트랩을 연결하고, 둘째단에는 하부에 레버를 연접하여 중앙 볼탑을 연결하고, 그 단부에는 두레박용기을 연결하여 중앙 볼탑에 장착된 템버와 인공 통 트랩의 작동시간을 동시에 지연하도록 하여 잔류 오물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악취발생을 방지하도록 하고,
수조의 하부에는 변기본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부 내벽에는 75~80도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하여 용수의 수압을 상승하도록 하고,
상기 변기본체의 하단 뒷편에는 담수부에서 배출하는 오물의 배출구와 하수구 사이에 "ㄱ"자형의 인공 통 트랩을 설치하며,
상기 두레박용기는 용수를 담아 배출하기 위하여 측벽과 하면에 시간지연조절장치를 하나 또는 다수개 설치하고, 용수의 인입 및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시간지연조절장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축의 첫단에는 레버를 연접하고 그 단부에는 와이어 또는 체인을 사용하여 인공 통 트랩의 일측에 설치된 레버를 상하로 개폐하도록 하여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레박용기는 레버축과 연결되어 상부는 개방되고 그 내부에는 용수를 담아 배출할 수 있는 원형 내지 타원형의 용기이며, 상부에 설치된 레버축과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레박용기의 좌우측에는 걸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걸고리 내부에는 걸고리중심축을 설치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대는 수조의 좌측 및 우측에 밀폐압박부를 형성하여 지지축에 하중이 작용하여도 기밀성과 견고성을 갖도록 한 것이며, 상기 밀폐압박부 사이에는 지지축이 견고하게 지지하고, 상기 지지축의 중앙에는 레버축을 좌우로 감싸면서 지지하는 걸고리를 형성하고, 좌측 및 우측 밀폐압박부를 견고하게 지지조정하는 조절부를 지지축 사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인공 통 트랩은 양변기의 하단 뒷부분에 설치되고, 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는 담수부를 통하여 담수된 용수와 오물이 혼합된 오염물을 공급받아 신속하게 배출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덮기 위한 커버가 안착되고, 측면은 수직면을 형성한 측벽과 회전지지대를 안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지지대가 안착된 공간의 하단 측벽에는 오염물을 공급받아 배출하는 개수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경사벽을 통하여 일측으로 집중된 오염물을 배수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측면에는 몸체와 연결하는 갈고리가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개수구의 덮개(템버)를 개폐하는 마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자석의 힘에 의한 누수 및 냄새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수구의 덮개(템버)를 개폐하는 마개는 원판형이고, 전면중앙에는 단턱을 가진 기둥을 형성하고, 그 단턱 둘레의 내부에는 버섯형의 볼록한 원호의 돌부를 안착함으로써 단턱 둘레 사이에 홈부가 형성되며, 후면중앙에 돌기면에 자석이 내장되어 다수의 리브 형성으로 외측 단부의 자석과 일체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외측 단부에는 연결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홈부를 형성하여 회전지지대에 연결하도록 하며, 마개의 전면중앙에 형성된 버섯형의 볼록한 원호의 돌부 사이에 형성된 홈부에 시일부재를 결합하여 밀착시 정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자석을 매립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재는 링 형상의 시일 몸체와 상기 시일 몸체의 외측으로 단차를 가진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내외부에 리브를 형성하여 강도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절수 양변기 - 제10항에 있어서,
마개개폐시 접속 또는 해체되는 것으로 마개의 전면에 형성된 자석을 감싼 돌기부와 상호 결합하는 구성으로 몸체의 개수구 인근벽면에 자석이 안착된 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 제12항에 있어서,
몸체의 개수구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내부에는 홈부가 있는 원통형의 인입부가 연접되고, 상기 인입부에 대향의 원터치걸고리를 설치하여 보강삽입부의 걸림부 단부와 연결하는 보강플랜지를 일체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 양변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1960A KR101760682B1 (ko) | 2015-12-18 | 2015-12-18 | 초절수 양변기 |
PCT/KR2016/014614 WO2017105066A1 (ko) | 2015-12-18 | 2016-12-13 | 초절수 양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1960A KR101760682B1 (ko) | 2015-12-18 | 2015-12-18 | 초절수 양변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3263A KR20170073263A (ko) | 2017-06-28 |
KR101760682B1 true KR101760682B1 (ko) | 2017-08-03 |
Family
ID=5905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1960A KR101760682B1 (ko) | 2015-12-18 | 2015-12-18 | 초절수 양변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0682B1 (ko) |
WO (1) | WO201710506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010537A1 (en) * | 2018-11-23 | 2022-01-13 | Erman USTA | A toilet waste water drain structure that saves water by eliminating the requirement for a reservoir |
CN110468928A (zh) * | 2019-08-23 | 2019-11-19 | 李贵臣 | 一种用于卫生便器的节水、易冲洗、除异味装置 |
KR102291165B1 (ko) * | 2020-11-25 | 2021-08-17 | 김정헌 |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4091B1 (ko) * | 2008-09-22 | 2012-07-12 | 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 절수, 탈취 및 소음저감 양변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56652A (ja) * | 1998-03-13 | 1999-09-21 | Rinfuoosu Kogyo Kk | 節水型水洗便器兼用簡易水洗便器 |
KR200189623Y1 (ko) * | 1999-11-11 | 2000-07-15 | 이홍석 | 양변기의 저수 및 배출 구조. |
KR200271548Y1 (ko) * | 2001-11-20 | 2002-04-10 | 정홍기 | 절수형 양변기 |
KR20140083494A (ko) * | 2012-12-26 | 2014-07-04 | 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 초 초절수 탈취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
-
2015
- 2015-12-18 KR KR1020150181960A patent/KR10176068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12-13 WO PCT/KR2016/014614 patent/WO201710506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4091B1 (ko) * | 2008-09-22 | 2012-07-12 | 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 절수, 탈취 및 소음저감 양변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3263A (ko) | 2017-06-28 |
WO2017105066A1 (ko) | 2017-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012753B2 (ja) |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 |
KR101760682B1 (ko) | 초절수 양변기 | |
KR101291612B1 (ko) |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 |
KR101757620B1 (ko) |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 |
KR100562898B1 (ko) |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 |
KR200448852Y1 (ko) | 욕실바닥용 배수트랩의 봉수트랩 | |
KR100846664B1 (ko) | 하수역류방지구 | |
US20060218712A1 (en) | Flush valve with adjustable overflow tube and method for installing a toilet valve | |
KR102291165B1 (ko) |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 |
KR101198705B1 (ko) |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배수 트랩 | |
JP4729082B2 (ja) | 公共桝用逆流防止装置及び公共桝 | |
WO2013170527A1 (zh) | 节水座便器 | |
KR100784857B1 (ko) | 유티 오수받이 | |
KR20010110970A (ko) | 절수용 변기 | |
KR101674159B1 (ko) | 욕조 배수장치 | |
KR20210034840A (ko) | 양변기 단부 세척기 또는 이를 포함한 양변기 | |
KR101789012B1 (ko) | 유연성 트랩 | |
KR20110017056A (ko) | 싱크볼의 배수유닛 | |
KR20140083494A (ko) | 초 초절수 탈취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 |
KR200374754Y1 (ko) | 개량 좌변기 | |
KR101529967B1 (ko) | 세면수 재활용 좌변기시스템 | |
KR101453013B1 (ko) | 직수형 절수양변기 | |
KR20100002133U (ko) | 세면기용 배수 트랩 | |
KR20100011172U (ko) | 세면대 배수관용 배수트랩 | |
KR200330363Y1 (ko) |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