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762B1 - 배관 연결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762B1
KR102443762B1 KR1020207024711A KR20207024711A KR102443762B1 KR 102443762 B1 KR102443762 B1 KR 102443762B1 KR 1020207024711 A KR1020207024711 A KR 1020207024711A KR 20207024711 A KR20207024711 A KR 20207024711A KR 102443762 B1 KR102443762 B1 KR 102443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nut
sleeve
diameter
ferrule
joi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142A (ko
Inventor
김병국
Original Assignee
김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국 filed Critical 김병국
Publication of KR2020012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7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the screw-threaded element having at least two axially separated threaded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Dowel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배관 연결을 형성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제1 압축 너트와, 제2 압축 너트와, 제1 압축 너트와 제2 압축 너트 사이의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와, 제1 압축 너트와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 사이의 제1 페룰과, 및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와 제2 압축 너트 사이의 제2 페룰을 포함한다. 제1 압축 너트는 제1 협착부와 제1 나사부를 포함하는데, 제1 협착부는 제1 직경의 제1 내부 캐비티를 가진다. 제2 압축 너트는 제2 협착부와 제2 나사부를 포함하는데, 제2 협착부는 제2 직경의 제2 내부 캐비티를 가진다.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는 제1 및 제2 나사부들에 각각 대응하는 나사부와, 및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캐비티 부와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캐비티 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연결 형성 장치
본원은 2018년 1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가출원 제62/623,25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이는 그 전체로서 이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배관(plumbing)의 관이음(tube fitting)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관들을 연결하는 장치와 그 사용 방법에 관련된다.
배관의 관은 밸브를 통해 유체를 공급받거나 또는 공급하도록 밸브에 연결되거나, 또는 배관의 전체적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다른 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체를 형성하는 전형적인 방법은 관을 수용하기 위해 자유단이 확경된(widened) 다른 관에 관(tube or pipe)을 삽입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라 관이음 몸체(fitting body; 102)를 관(106)에 연결하는 과정(100)을 나타내는 일련의 시각적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설정은 관형 아암(tubular arm; 104)을 포함하는 관이음 몸체(102)에 관련된다. 관형 아암(104)는 제1 자유단(1042)을 가지는 확경부(widened portion; 1044)를 포함한다. 관(106)은 관형 아암(104)에 연결되어 관형 아암(104)의 확경부(1044)의 제1 자유단(1042)에 수납되도록 맞춰진다. 연결 과정(100)은 단계 110에서 시작되는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106)의 제1 종단부(1062)가 제1 자유단(1042)을 통해 관형 아암(104)의 확경부(1044)로 삽입된다. 관형 아암(104)의 제1 자유단(1042)에서의 직경이 관(106)의 직경보다 더 넓어 관형 아암(104)의 확경부(1044)에 관(106)이 쉽게 수용되도록 촉진한다.
단계 120에서, 관(106)이 용접(108) 등의 접합(joining) 또는 융접(fusion) 기법으로 관형 아암(104)에 영구적으로(securely) 연결된다. 용접 접합부(welded joint; 1082)는 도 1b에 도시된 단면도에 더욱 명확히 보인다. 용접(108)은 영구적으로 연결하고(secure the connection) 접합 부품들의 상대 이동을 방지할 뿐 아니라 접합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연결 과정(100)에는 많은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과정(100)은 많은 문제들을 가지는 용접을 사용하는데, 첫 번째 문제는 용접을 수행하는 데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용접이 적절히 이뤄지지 않으면, 용접된 관들에 영구손상의 우려가 있다. 또한 항상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용접에는 안전한 환경(secure environment)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이 과정은 시간 소모적이고 특별한 공구들이 요구된다.
이를 감안하면, 간단하고 시간을 절감하며 가성비가 높고(cost effective) 전술한 문제들을 나타내지 않을 관의 연결에 대한 수요가 당업계에 명백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원가와 시간에서 효율적인 관을 연결하는 개선된 기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장치는 제1 협착부(narrow portion)와 제1 나사부(threaded portion)를 가지는 제1 압축 너트(compression nut)로, 제1 협착부가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내부 캐비티(internal cavity)를 가지는 제1 압축 너트와; 제2 협착부와 제2 나사부를 가지는 제2 압축 너트로, 제2 협착부가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내부 캐비티를 가지는 제2 압축 너트와; 각각 제1 및 제2 나사부들에 대응하는 나사부들과,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캐비티 부(cavity portion)와,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캐비티 부를 포함하는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sleeve fitting body)와; 제1 압축 너트와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 간의 제1 페룰(ferrule)과; 및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와 제2 압축 너트 간의 제2 페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장치는 제1 협착부와 제1 나사부를 가지는 제1 압축 너트로, 제1 협착부가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내부 캐비티를 가지는 제1 압축 너트와; 제2 협착부와 제2 나사부를 가지는 제2 압축 너트로, 제2 협착부가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내부 캐비티를 가지는 제2 압축 너트와; 제1 나사부와 대응하는 제3 나사부와, 제2 나사부에 대응하는 제4 나사부와, 제1 압축 너트를 향해 연장되어 제3 직경을 가지는 제1 단부 대향(end-facing) 내부 캐비티 부와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단부 대향 링형(ring-shaped) 캐비티 부를 형성하는 내부 원통부(inner cylindrical portion)를 가지는 제1 제1 압축 너트와 제2 압축 너트 간의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로, 제1 단부 대향 고리형 캐비티 부가 압축 너트에 대향하고 내부 원통부의 외벽과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의 내벽 사이에 갭(gap)을 포함하고,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단부 대향 캐비티 부를 가지는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와; 제1 압축 너트와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 간의 제1 페룰과; 및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와 제2 압축 너트 간의 제2 페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압축 너트는 제5 나사부와 제1 협착부의 일부를 가지는 종단부(end portion)와, 및 제5 나사부에 대응하는 제6 나사부와 제1 협착부의 나머지 부분을 가지는 맞물림 부(engaging portion)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장치는 종단부와 맞물림 부 간에 링(ring)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들이 더 자세히 이해될 수 있도록, 위에 간단히 요약된 본 발명의 더 구체적인 설명을, 그 일부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만을 도시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동일한 개념 내의 다른 마찬가지로 유효한 실시예들로 확장되는 본 발명의 범위의 한정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효익 및 이점들은 이하의 설명 및 도면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인데,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전체 도면들에 걸쳐 유사한 구조를 지칭하고, 도면에서: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관이음 몸체를 관에 연결하는 방법을 보이는 일련의 시각적 단계들을 도시하고;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관이음 몸체의 관형 아암과 관의 단면의 용접 접합부를 도시하며;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을 형성하는 장치를 도시하고;
도 2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2a의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을 형성하는 장치를 도시하고;
도 3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을 형성하는 장치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을 형성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련의 시각적 단계들을 도시하며;
도 6a-6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배관 연결을 형성하는 일련의 시각적 단계들을 도시하고;
도 7a-7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배관 연결을 형성하는 일련의 시각적 단계들을 도시하며;
도 8a-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배관 연결을 형성하는 일련의 시각적 단계들을 도시하고;
도 8d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8a-8c의 콜렛을 도시하고;
도 9a-9e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를 사용하여 배관 연결을 형성하는 일련의 시각적 단계들을 도시하며; 그리고
도 9f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9a의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를 도시한다.
본 발명이 이 명세서에 실시예들과 예시적 도면들을 사용하는 예를 통해 설명되지만, 당업계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설명된 도면 또는 도면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구성요소들을 축척대로 표현하려 의도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들은 도시의 편의상 어떤 도면들에는 도시되지 않았는데, 이러한 생략이 어떤 방식으로건 개괄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면과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본 발명을 개시된 특정한 형태로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반대로 본 발명은 모든 변형, 등가물, 대체물들을 첨부된 청구항에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괄할 것이다.
이하의 정의들은 일반적 정의로서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그 용어들만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들을 더 잘 이해하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이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은 이 명세서와 관련 분야의 맥락에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이 명세서에 그렇게 규정되지 않은 한 이상적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 의미(sense)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추가적 용어들이 이하에 규정된다. 뿐만 아니라, 이 명세서에 규정 및 사용되는 모든 정의들은 특정한 용어의 의미에 의심이 없는 한 사전적 정의, 참조로 포함된 문헌들에서의 의미, 및/또는 규정된 용어들의 일상적 의미들에 우선하며, 의심이 있는 경우 일반적 사전적 정의 및/또는 그 용어의 일반적 용법이 우선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다음 용어들이 이하에 정의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폴리머 재질(polymer material)"은 유기분자들(8개 이상의 유기분자들)의 긴 연쇄(chain)를 가지는 자연발생 또는 인공의 재질로, 이러한 분자들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이 재질에 원하는 특성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관(tube)"는 중공의(hollow) 도관(conduit)이다. 관은 적절한 폴리머 재질 또는 복합 재질(composite material)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관은 대략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일시적 체결(temporary fastening)"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나사, 볼트, 클립, 스냅 및 훅(snap and hook) 등의 쉽게 분리 또는 교체 가능한 어떤 체결구(fastener)를 사용하여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영구적 체결(secure fastening)"은 리벳 또는 접착제 등 비교적 교체되기 어려운 체결구를 사용하여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관이음 몸체(fitting body)"는 금속, 폴리머 재질 또는 복합 재질로 구성된 중공의 몸체 부재이다. 관이음은 그 개방단에서의 나사 등의 체결 구조(fastening arrangement)를 가질 수 있다. 체결 구조는 관이음 몸체가 관을 서비스 밸브, 다른 관 등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하면서 인터페이스(interface)로 기능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페룰(ferrule)"은 관의 외면에 동축으로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페룰은 대략 원추형 형상 및/또는 대략 원추형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관이 관이음 몸체와 결합되었을 때, 페룰은 압축 하에서 관 외면에 맞물려 관과 관이음 몸체 간에 누설방지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압축 너트(compression nut)"는 페룰의 최대 직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지는 너트이다. 압축 너트는 압축 너트의 내면에 나사부가 구비된다. 이 나사부는 관과 관이음 몸체 간의 누설방지 조립을 제공하도록 페룰(들)을 압축하기 위해 관이음 몸체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배관 연결(plumbing connection)"은 공급 배관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배관 응용에 자주 사용되는 관이음에 관을 연결하기 위해 복수의 관들을 동축 직렬로 연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콜렛(collet)"은 개방단 밖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세그먼트(segment)들로 구성되는 띠(band)이다. 콜렛은 대략 원통형의 내면을 가지며 원추형 외면을 가질 수 있다. 콜렛은 금속, 플라스틱. 또는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콜렛의 외면에 압력이 인가되면 복수의 세그먼트들이 축소되어 유연한 관의 유연한 외면을 파지(grip)하는 반면, 압력이 해제되면 복수의 세그먼트들이 대략 원래의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유연한 관 외면을 해방한다.
이 설명 전체에 사용된 바와 같이, "~수 있다(may)"는 강제적 의미(즉 해야 한다(must))가 아니라 허용적 의미(즉 할 가능성이 있다(potential to))의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한(a 또는 an)"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를 의미하고, "복수(plurality)"라는 용어는 "둘 이상(two or more)"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이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와 어법들은 설명의 목적만으로 사용된 것이며 그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는(comprising)," "가지는(having)," "포함하는(containing)," 또는 "포함하는(involving)," 등의 용어들과 및 그 변형은 그 뒤에 열거된 주제와, 등가물, 및 기재되지 않은 추가적 주제를 확장하고 포괄할 것을 의도한 것이며, 다른 첨가물, 구성요소, 수치, 또는 단계들을 배제할 것을 의도한 것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적용 가능한 법적 목적으로 "including" 또는 "containing"라는 용어들과 동의어로 간주된다. 문헌, 행위, 재질, 장치, 기사(article) 등에 대한 어떤 논의는 본 발명의 맥락을 제공할 목적만으로 이 명세서에 포함된다. 이 모든 사항들은 종래기술 기반 또는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 공통적인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를 암시하거나 표현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 여러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는데, 첨부된 도면들에 사용된 참조 번호들은 이 설명 전체에서 유사한 부재들에 대응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 명세서에 제공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철저하고 완전하게 개시되고 당업계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수치적 값과 범위들은 설명된 구현예들의 다양한 국면(aspect)들을 위해 제공된다. 이 값과 범위들은 단지 예로 취급되어야 하며, 청구항들의 범위를 한정할 것을 의도한 것이 아니다. 또한, 여러 재질들은 구현예들의 여러 국면(facet)들에 적절하다고 인식된 것들이다. 이 재질들은 예시로 취급되어야 하며, 동일한 목적에 기능할 수 있는 다른 재질들에 대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의도한 것이 아니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배관 연결을 형성하는 장치(200)를 도시한다. 이 장치(200)는 서로 (그 사이에 갭(gap)을 남기고) 소정의 간격으로 동축(coaxially) 연결된 종단부(end portion; 2020)와, 제1 압축 너트(compression nut)(2021)와,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sleeve fitting body; 2022)와, 및 제2 압축 너트(2023)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유지 링(retaining ring)(2041)과, 제2 유지 링(2042)과, 및 제3 유지 링(2043)들이 선택적 특징부로 갭들에 구비될 수 있다. 종단부(2020)는 도 7의 종단부(705)와 유사하다. (도 6a-6c, 및 도 8a-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압축 링(2021) 역시 종단부로 기능한다. 유지 링(2041-2043)들은 종단부(2020)와, (제1) 압축 너트(2021)와,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 및 제2 압축 너트(2023)의 각각 사이의 갭을 유지하여, 유지 링(2041-2043)들에 의해 갭들을 유지하면서 장치가 관(106)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제1 유지 링(2041)과, 제2 유지 링(2042)과, 및 제3 유지 링(2043)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압축 너트(2021),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 및 제2 압축 너트(2023)들은 제1 압축 너트(2021),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 및 제2 압축 너트(2023) 중의 어느 것이 조여지기(tightened) 전에 분리(disengage)되어야 한다.
제1 유지 링(2041)과, 제2 유지 링(2042)과, 및 제3 유지 링(2043)의 각각은 각각 상부에 절개부(cut portion)를 가지는 대략 원형 단면(profile)을 가진다. 이 절개부는 유지 링들과 동일 재질의 각 부재(2044, 2045, 2046)들로 연결되어 대략 준(semi) 원형 단면을 가진다. 장치(200)가 사용될 때는 제1 유지 링(2041)과, 제2 유지 링(2042)과, 및 제3 유지 링(2043)들이 폐기된다는 점에 주목 바란다.
도 2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2a의 장치(20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페룰(2061)이 제1 압축 너트(2021)와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 사이에 동축으로 구비되어 이들에 둘러싸이고, 제2 페룰(2062)이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와 제2 압축 너트(2023) 사이에 동축으로 구비되어 이들에 둘러싸인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0)는 압축 너트들이 순차적으로 조여질 수 있도록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장치(200)의 일체화된 구성요소들은 장치(200)가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압축 너트, 페룰, 링들)을 사용하여 조립되어야 할 때 발생될 수 있는 부품의 어떤 망실이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체로 제조된 장치(200)는 일정한 간격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압축 너트가 회전할 때의 페룰의 손상 등으로부터 일체형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300)에서, 제1 유지 링(2041)과, 제2 유지 링(2042)과, 및 제3 유지 링(2043)의 각각은 복수의 원형 및 평탄부(circular & flat portion; 2047, 2048, 2049)들과 개방부(open portion)를 포함하는 단면을 가진다.
도 4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유지 링(2041)과, 제2 유지 링(2042)과, 및 제3 유지 링(2043) 대신에 제거시 장치(400)에 접착제를 남기지 않는 비접착성 테이프(nonadhesive tape; 205)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압축 너트(2021)와,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와, 및 제2 압축 너트(2023)의 간격은 각 나사부들(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음)의 깊이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장치(400)가 사용되지 않을 때는) 테이프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205)는 두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부분은 (설치 동안) 제거 가능하고 다른 부분은 제거 가능하지 않다. 제거 가능하지 않은 부분은 장치(400) 및 제조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따른, 배관 연결의 형성에 장치(200)를 사용하는 과정의 일련의 시각적 단계들을 도시한다. 장치(200)는 관(tube 또는 pipe)(506)을 관이음 몸체(502)에 직렬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압축 너트(2021)와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 및 제2 압축 너트(2023)들이 장치가 제자리에 유지되도록 페룰들에 압력을 인가할 목적으로 기능하는 동안, 장치(200)의 한 쌍의 페룰(도시 안 됨)들이 관(506)과 관이음 몸체(502) 간에 누설방지 금속 대 금속 조립을 제공한다.
과정(500)은 단계 510a 및 510b에서 시작되는데, 관(506)이 (캐비티(cavity; 507)를 통해) 장치(200)를 관통한다. 이어서 단계 520에서 관(506)의 일단이 관이음 몸체(502)에 삽입된다. 관이음 몸체(502)는 관(506)을 수납하는 소정 깊이의 확경부(widened portion; 5042)를 더 포함하는 관형 아암(tubular arm; 504)을 가진다. 관형 아암(504)은 확경부(5042)의 존재 때문에 계단 구조(step-structure)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확경부(5042)는 소정 깊이 너머의 관(506)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해 관형 아암(504)의 소정 깊이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확경부(5042)의 소정 깊이 너머의 관형 아암(504)의 내경은 관(506)의 외경보다 더 작을 것이다. 관(506)이 소정 깊이까지 삽입되고 나면, 관(506)은 더 삽입될 수 없다.
단계 530에서, (이완(loosen) 상태에 있는) 장치(200)는 관이음 몸체(502)의 관형 아암(504)고 관(506)의 연결부(joint)(즉 관형 아암(504) 상에서 확경부(5042)가 시작되는 계단 점)를 향해 미끄러져 들어가고, 제1 압축 너트(2021)와 제2 압축 너트(2023)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렌치(508)들을 사용하여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에 순차적으로 체결된다. 제1 압축 너트(2021)를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에 체결하면 제1 페룰(2061)이 관형 아암(504)의 확경부(5042)에 대해 압착되고, 제2 압축 너트(2023)를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에 체결하면 (제2) 페룰(2062)이 관(506)에 대해 압착됨으로써 장치(및 관(506))를 관이음 몸체(502)에 고정하여 누설방지 밀봉을 형성한다. 이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1 압축 너트(2021)가 두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이 실시예는 뒤에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압축 너트(2021)가 단일 부재일 수 있다.
단계 540에서, 하나 이상의 렌치(508)들이 분리되면 영구적 연결(secure connection)이 완료된다.
도 6a-6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200)를 사용하여 배관 연결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제1 종단부(2032)는 관이음 몸체(502)(도시 안 됨)를 향해 대향하고 제2 종단부(2034)는 관이음 몸체(502) 반대쪽을 향해 대향하는 것에 주목 바란다. 단계 610(도 6a)에서, 관(506)이 관이음 몸체(502)(도시 안 됨)의 관형 아암(504)으로 삽입된다. 도 6a-6c에 도시된 단면도들에서 볼 수 있다시피,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는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의 캐비티의 내면 상에 계단부(step portion; 602)를 포함한다. 계단부(602)는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의 나사부의 단부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한다. 제1 압축 너트(2021)의 가장 좁은 부분들과, 제1 페룰(2061)과, 및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의 계단부(602) 까지)의 내경들은 각각 관형 아암(504)의 확경부(5042)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더 크다. 또한 제1 압축 너트(2021)의 가장 좁은 부분들(계단부(602)로부터 관이음 몸체(5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대향하는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의 단부까지)과, 제2 페룰(2062)과, 및 제2 압축 너트(2023)의 내경들은 각각 확경부(5042)의 외경보다 더 작고 관(506)의 외경과 유사하거나 더 크다. 도 6a-6c에서 볼 수 있듯,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의 각 단부에서의 캐비티의 내벽은 대응 페룰(2061/2062)의 경사부(angled portion)와 맞물릴 수 있도록 확개된다(flared). 계단부(602)는 관형 아암(504)의 확경부(602)가 소정 깊이 너머로 더 삽입되지 않도록 방지한다(마찬가지로 장치(200)가 관이음 몸체(502)를 향해 더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계단부(602)의 소정 깊이는, 제1 압축 너트(2021)가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에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장치(200)의 제1 단부(2032)로부터 계단부(602)까지의 거리가 확경부(5042)의 길이와 대략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단계 620(도 6b)에서, (이완 상태에 있는) 장치(200)는 계단부(602)가 관형 아암(504)의 확경부(5042)의 개방단과 접촉하도록 관형 아암(504)을 향해 미끄러진다. 이때, 장치(200)는 관이음 몸체(502)를 향해 더 미끄러질 수 없다.
단계 630(도 6c)에서, 제1 압축 너트(2021) 및 제2 압축 너트(2023)가 각각 체결되어 각각 제1 및 제2 페룰(2061, 2062) 상에 압력을 인가한다. 그러면 제1 페룰(2061)이 관형 아암(504)의 외면 상에 압력을 인가하여 내방으로 제1 인입부(dent)를 형성하고, 제2 페룰(2062)이 관(506)의 외면에 압력을 인가하여 내방으로 제2 인입부(608)를 형성한다. 이 인입부 형성(indenting)은 장치, 및 이에 따른 관형 아암(504) 및 관(506)의 연결부가 고정되어(fixed and immovable) 영구적 연결(secure connection)의 형성 및 누설 방지를 보장한다.
도 7a-7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200)을 사용하여 배관 연결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압축 너트(2021)는 두 부분들, 종단부(end portion; 705)(도 2a-5에 종단부(2020)로 도시됨)와 맞물림 부(engaging portion; 706)를 포함한다. 종단부는 제1 단부(2032)에 위치하고,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와의 체결에 사용되는 제1 압축 너트(2021)의 나사부를 가지는 맞물림 부(706)의 대응 나사부에 맞물리는 나사부를 가진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종단부(705)와 맞물림 부(706)의 내경은 동일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0)는 제1 압축 너트(2021) 밑의 종단부(705)와 맞물림 부(706) 사이에 고무링(rubber ring; 702)을 더 포함한다. 단계 710(도 7a)에서, 관(506)이 관이음 몸체(도시 안 됨)의 관형 아암(504)에 삽입된다. 단계 720(도 7b)에서, 계단부(602)가 관형 아암(504)의 확경부(5042)에 접촉하도록 (이완 상태에 있는) 장치(200)가 관(506)과 관형 아암(504)의 연결부를 향해 미끄러진다. 이 시점에서, 장치(200)는 관이음 몸체(502)(도시 안 됨)를 향해 더 미끄러져 들어갈 수 없다. 단계 730(도 7c)에서, 제1 압축 너트(2021)의 종단부(705)는 맞물림 부(706)에 체결되어 고무링(702)에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고무링(702)이 관형 아암(504)의 외면을 향해 밀리게 된다. 그러면 고무링이 연결부(즉 관형 아암(504)이 확경부(5042)가 되는 계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장치(200)가 관이음 몸체(5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단계 740(도 7d)에서, 고무링(702)이 관형 아암(504)의 연결부에 접촉(conform to)하는데, 연결부는 관형 아암(502)의 외면에 경사진 계단 구조(slanted step-structure)를 가지며, 여기서 관형 아암(504)의 외경이 변화된다. 단계 750(도 7e)에서,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가 제1 압축 너트(2021)의 맞물림 부(706)에 체결되어 제1 페룰(2061)에 압력을 인가하고, 제2 압축 너트(2023)가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에 체결되어 제2 페룰(2062)에 압력을 인가한다.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의 맞물림 부(706)에 체결하면, 고무링(702)이 제1 압축 너트(2021)의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를 향한 이동을 방지하므로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가 관이음 몸체(502)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는 것에 주목 바란다. 도 7d-7e에서 볼 수 있듯,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의 계단부(602)와 확경부(5042)의 개방단 간의 갭은 계단(740 및 750) 사이에서 감소된다. 이 이동이 제1 페룰(2061) 상에 내측 압력을 유발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 압축 너트(2023)를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를 향해 이동시키면, 제2 페룰(2062)에 내측 압력이 유발된다. 그러면 제1 페룰(2061)이 관형 아암(504)의 확경부(5042)에 압력을 인가하여 제1 인입부(607)를 형성하고, 제2 페룰(2062)이 관(506) 상에 압력을 인가하려 내측 방향으로 제2 인입부(608)를 형성한다. 이 인입부 형성은 장치(200) 및 이에 따른 관형 아암(504) 및 관(506)의 연결부는 고정(fixed and immovable)되어 영구적 연결의 형성 및 누설방지를 보장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 아암(504)에 대향하는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의 나사부의 단부로부터 계단부(602)의 소정 깊이는 확경부(5042)의 길이가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로부터 폐쇄 상태(즉 종단부(705)가 맞물림 부(706)에 완전히 체결되고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가 제1 압축 너트(2021)의 맞물림 부(706)에 완전히 체결된 때)에서의 제1 압축 너트(2021)의 종단부(705)와 맞물림 부(706) 간의 갭까지의 거리에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도 8a-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200)를 사용하여 배관 연결을 형성하는 일련의 시각적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8a-8d는 도 7a-7e의 대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고무링(702)이 콜렛(collet; 802)으로 대체되었고 그 실시예는 도 8d에 도시되어 있다. 콜렛(802)은 콜렛(802)의 분할 단부(segmented end portion; 804)가 관이음 몸체(502)(도시 안 됨)를 대향하도록 제1 페룰(2061)과 직렬로 구비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페룰(2061)과 콜렛(802)을 포함하는 단일 조합의 페룰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810(도 8a)에서, 관(506)이 관이음 몸체(502)(도시 안 됨)의 관형 아암(504)의 확경부(5042)에 삽입되고 난 후, 계단부(602)가 관형 아암(504)의 확경부(5042)의 개방단에 도달하도록 장치(200)가 관(506) 및 관형 아암(504)의 연결부를 향해 미끄러진다. 이 시점에서, 장치(200)는 관이음 몸체(502)를 향해 더 미끄러질 수 없다. 단계 820(도 8b)에서, 제1 압축 너트(2021)가 체결되어 콜렛(802)의 분할 단부(804) 상에 압력을 인가한다. 이 압력은 제1 압축 너트(2021)가 체결되어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분할 단부(804)가 관형 아암(504)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압축한다.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는 렌치 등의 툴을 사용하여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단계 830(도 8c)에서, 제1 압축 너트(2021)가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에 체결되면서, 제1 압축 너트의 내면의 경사부로부터의 내측 압력에 의해, 제1 페룰(2061)의 분할 단부(804)가, 확경부(5042)가 관형 아암(504)에서 시작되는 연결부의 경사부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가 제1 페룰(2061) 상에 압력을 인가하여, 제1 페룰(2061)이 관형 아암(504)의 확경부(5042)의 외면에 압력을 인가하여 제1 인입부(607)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압축 너트(2023)의 체결은 제2 페룰(2062)에 내측 압력을 유발하여 도 6c 및 7e에 관해 전술한 바와 같이 관(506)의 외면 상에 압력을 인가하여 제2 인입부(608)를 형성한다. 이 인입부 형성은 장치(200) 및 이에 따른 관형 아암(504) 및 관(506)의 연결부의 고정을 보장한다. 이에 따라 연결 부품들의 어떤 유동이나 관(506)의 누설이 방지되는 영구적 연결이 형성된다.
도 9a-9e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켓형(socket-style)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를 사용하여 연결을 형성하는 일련의 시각적 단계들을 도시한다. 이제 한 실시예에 따른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 예시적 실시예가 도 9f에 도시된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는 관을 서비스 밸브, 다른 관 등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면서 인터페이스로 작용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는,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의 단면에서 볼 때 내부 원통부(inner cylindrical portion; 901)가 역시 관이음 몸체(502)를 향해 연장되는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의 나사붙이(threaded) 개방단과 동축이 되도록 관이음 몸체(502)(도시 안 됨)의 관형 아암(504)을 향해 연장되는 내부 원통부(901)를 가진다. 역시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는 관(506)이 장치(900)를 관통(pass through)하도록 하지 않는데, 이는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를 가지는 장치(200)가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를 대체한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원통부(901)는 도 9a-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의 나사붙이 개방단보다 더 연장된다.
단계 910(도 9a)에서, 관형 아암(504)과,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 대신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를 가지는) 장치(200)와, 및 관(506)은 모두 서로 분리된다. 장치(200)는 또한 이완 상태에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제1 단부(2032)는 관이음 몸체(502)(도시 안 됨)를 향해 대향하는 방향을 가지고, 제2 단부(2034)는 관이음 몸체(502)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가진다. 장치(200)는 도 5의 단계 510a 및 도 6a의 단계 610 이전과 같이 이완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단계 920(도 9b)에서, 관형 아암(504)의 확경부(5042)는, 관형 아암(504)의 확경부(5042)의 벽이 관형 아암(504)에 대향하는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의 나사붙이 개방단과 내부 원통부(901) 사이에 삽입되도록, 내부 원통부(901)를 가지는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의 개방단과 맞물린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확경부(5042)는 갭(903)의 깊은 단부에 도달하기까지 삽입된다. 내부 원통부(901)와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의 나사붙이 개방단의 내벽 간의 갭(903)의 가장 좁은 부분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아암(504)의 확경부(5042)에 넉넉히(snugly) 수용되도록 설정된 폭을 가진다.
도 9b-9e에 도시된 단면도들에서 볼 수 있듯,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는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의 캐비티의 내면 상에 계단부(902)를 포함한다. 계단부(902)는 갭(903)의 깊은 단부(즉 확경부(5042)가 갭(903)에 삽입될 수 있는 가장 먼 점)와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의 확개부(flared portion) 간의 깊이에 위치한다. 관형 아암(504)을 대향하는 제1 압축 너트(2021)의 9제1 단부(2032)에서의) 가장 좁은 부분과, 제1 페룰(2061), 및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의 나사부의 (계단부(902)까지의) 내경들은 각각 관형 아암(504)의 확경부(5042)의 외경과 유사하거나 더 크다.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의 내부 원통부(901)의 외경은 관형 아암(504)의 확경부(5042)를 폐쇄하거나 넉넉히 맞도록 관형 아암(504)의 확경부(5042)의 내경과 유사하거나 더 작다. 또한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의 가장 좁은 부분(계단부(602)로부터 관이음 몸체(5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대향하는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2022)의 단부까지)과, 제2 페룰(2062)과, 및 제2 압축 너트(2023)의 내경들은 각각 확경부(5042)의 외경보다 더 작고 관(506)의 외경과 유사하거나 더 크다. 도 9a-9e에서 볼 수 있듯,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의 각 단부에서의 캐비티의 내경은 대응 페룰(2061/2062)의 경사부의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확개된다. 계단부(902)는 관(506)이 소정 깊이 너머로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찬가지로 장치(200)가 관이음 몸체(502)로 더 깊이 또는 더 멀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부(901)의 길이(즉 관형 아암(504)에 대향하는 원통부(901)의 단부로부터 갭(903)의 깊은 단부까지의 거리)는 확경부(5042)의 길이에 기반하여 설정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부(901)의 길이는, 제1 압축 너트(2021)가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에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장치(900)의 제1 단부(2032)로부터 갭(903)의 깊은 단부까지의 거리가 확경부(5042)의 길이에 대략 일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단계 930(도 9c)에서, 제1 압축 너트(2021)가 체결되어 제1 페룰(2061) 상에 압력을 인가한다. 그러면 제1 페룰(2061)은 관형 아암(504)의 (아마도 확경부(5042)의) 외면 상에 압력을 인가하여 내측 방향으로 제1 인입부(907)를 형성한다. 이 인입부 형성은 장치(900), 및 이에 따른 관형 아암(504)과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의 원통부(901)의 연결부가 영구적 연결의 형성 및 누설방지를 보장한다.
단계 940(도 9d)에서, 관(506)이 관형 아암(504)에서 먼 쪽을 대향하는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의 개방단에 삽입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506)은 관(506)의 삽입된 개방단이 계단부(902)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된다.
단계 950(도 9e)에서, 제2 압축 너트(2023)의 내부 나사부가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3022)의 개방단의 대응 외부 나사부에 체결되어 제2 페룰(3022)에 압력을 인가한다. 그러면 제2 페룰(2062)은 관(506)의 외면에 압력을 인가하여 관(506)의 외면에 압력을 인가하여 내측 방향으로 제2 인입부(908)를 형성한다. 이 인입부 형성은 관(506)과 소켓형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의 누설방지 연결부를 보장한다.
단계 920 및 940이 도시된 순서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데 주목 바란다. 예를 들어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940 및 950이 단계 930 및 940에 앞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이점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하고 가성비가 높으며(cost-effective)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고, 시간을 절감하고 전문가의 감독이나 안전한 환경을 요구하지 않는 복수의 관들(tubes/pipes) 또는 관(tube/pipe)을 관이음 몸체에 연결하는 해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관을 손상시킬 염려가 없이 누설방지를 보장한다.
이 실시예들에 대한 여러 가지 변경들이 이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당업계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 명세서에 여러 실시예들에 연계된 원리들은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보인 실시예들에 한정될 것을 의도한 것이 아니라 이 명세서에 개시 또는 암시된 원리들과 신규하고 발명적인 특징들에 일치하는 최광의의 범위를 제공할 것을 의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본 발명과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다른 대안, 변경, 및 변형들을 포괄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6)

  1. 관과, 상기 관을 수납하는 소정 깊이의 확경부를 더 포함하는 관형 아암을 가지는 관이음 몸체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 협착부와 제1 나사부를 포함하는 제1 압축 너트로, 상기 제1 압축 너트의 가장 좁은 부분인 상기 제1 협착부가 제1 직경의 제1 내부 캐비티를 가지는 상기 제1 압축 너트와;
    제2 협착부와 제2 나사부를 포함하는 제2 압축 너트로, 상기 제2 압축 너트의 가장 좁은 부분인 상기 제2 협착부가 제2 직경의 제2 내부 캐비티를 가지는 상기 제2 압축 너트와;
    상기 제1 압축 너트와 상기 제2 압축 너트 사이의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와;
    상기 제1 압축 너트와 상기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 사이의 제1 페룰; 및
    상기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와 상기 제2 압축 너트 사이의 제2 페룰;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가:
    상기 제1 나사부에 대응하는 제3 나사부 및 상기 제2 나사부에 대응하는 제4 나사부와;
    상기 제1 직경을 가지는 제1 캐비티 부 및 상기 제2 직경을 가지는 제2 캐비티 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의 내면 상에는,
    상기 확경부가 소정 깊이 너머로 더 삽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의 단부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하는 계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압축 너트의 가장 좁은 부분들, 상기 제1 페룰, 및 상기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의 상기 계단부 까지의 내경들은 각각 상기 관형 아암의 확경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더 크며, 상기 계단부로부터 상기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대향하는 상기 슬리이브 관이음 몸체의 단부까지, 상기 제2 페룰, 및 상기 제2 압축 너트의 내경들은 각각 상기 확경부의 외경보다 더 작고 상기 관의 외경과 유사하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 너트가:
    제5 나사부와 상기 제1 협착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종단부와; 및
    상기 제5 나사부에 대응하는 제6 나사부와 상기 제1 협착부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하는 맞물림 부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부와 상기 맞물림 부 사이에 링을 더 포함하는 배관 연결 형성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7024711A 2018-01-29 2018-12-19 배관 연결 형성 장치 KR102443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23254P 2018-01-29 2018-01-29
US62/623,254 2018-01-29
US15/979,975 US11396963B2 (en) 2018-01-29 2018-05-15 Device for making plumbing connections and a method of use thereof
US15/979,975 2018-05-15
PCT/US2018/066438 WO2019147361A1 (en) 2018-01-29 2018-12-19 A device for making plumbing connections and a method of us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142A KR20200123142A (ko) 2020-10-28
KR102443762B1 true KR102443762B1 (ko) 2022-09-15

Family

ID=6739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711A KR102443762B1 (ko) 2018-01-29 2018-12-19 배관 연결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396963B2 (ko)
EP (1) EP3746666A4 (ko)
JP (1) JP2021513035A (ko)
KR (1) KR102443762B1 (ko)
CN (1) CN111684163A (ko)
AU (1) AU2018404855A1 (ko)
CA (1) CA3087680A1 (ko)
MX (1) MX2020007895A (ko)
WO (1) WO2019147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547B1 (ko) * 2021-03-23 2022-03-03 김준홍 키 블럭을 갖는 커플러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237A (en) * 1910-01-29 1912-06-18 Delta Star Electric Co Pipe-joint.
US1665346A (en) * 1926-06-28 1928-04-10 Harry W Clarke Pipe connection
US2233214A (en) * 1938-05-28 1941-02-25 Tube Patents Ltd Means for coupling together pipes, tubular bodies, and the like
US3056617A (en) * 1959-07-24 1962-10-02 Max E Snoddy High pressure fitting
US3265414A (en) * 1964-07-10 1966-08-09 Reid Sealed pipe joint
IL26692A (en) * 1966-10-14 1970-03-22 Rand M Tube and pipe connectors
JPS481115U (ko) * 1971-05-31 1973-01-09
US3679239A (en) * 1971-06-25 1972-07-25 Mcdonald Mfg Co A Y Compression coupling for plastic pipe
FR2171506A5 (ko) 1972-02-03 1973-09-21 Berberian Vartan
NL7314624A (en) 1973-10-24 1975-04-28 Beul & Co Fa Geb Plastic tube-metal tube connection - with conical support tube, clamping ring, metal sealing ring and sleeve nut
GB2036904B (en) * 1978-12-02 1983-05-25 Glynwed Tubes & Fittings Pipe fittings
FR2600399B1 (fr) * 1986-06-19 1989-03-24 Piaton Jacques Elements de raccords pour tuyauterie
DE8715620U1 (ko) 1987-11-25 1988-03-10 Homa Gesellschaft Fuer Hochstrom-Magnetschalter V. Vollenbroich Gmbh & Co Kg, 4330 Muelheim, De
DE4106378A1 (de) * 1991-02-28 1992-09-10 Hewing Gmbh Anschlussvorrichtung fuer kunststoffrohre und verfahren zum anschliessen eines kunststoffrohres
JPH0512883U (ja) * 1991-07-31 1993-02-19 エヌテイエヌ株式会社 管継手
US5388871A (en) * 1992-05-22 1995-02-14 Kakizaki Manufacturing Co., Ltd. Fittings with box nuts
KR200156985Y1 (ko) * 1997-03-28 1999-09-15 권윤노 복합관용 원터치식 관연결구
US6027294A (en) 1999-01-25 2000-02-22 Newby; John C. Double nut thread friction locking safety cap device with opposing threads with a captured spring or spring lock washer
JP4253073B2 (ja) * 1999-05-21 2009-04-08 株式会社堀場製作所 ガス測定用のパイプ接続用コネクタ
JP3506669B2 (ja) * 2000-12-04 2004-03-15 株式会社オンダ製作所 継 手
US7267372B2 (en) * 2001-10-11 2007-09-11 Pi-Thon Designs, Inc. Tube connector
CN1271361C (zh) * 2002-12-21 2006-08-23 Kulm控股股份公司 螺纹式管接头
US20050035594A1 (en) * 2003-08-13 2005-02-17 Kiely Kenneth M. Weatherproof compression connecting assembly for securing electrical metal tubing
US20060138771A1 (en) * 2004-12-27 2006-06-29 Carrier Corporation Braze-free connector for joining a pair of flow lines
CA2623218C (en) * 2005-10-12 2013-11-26 Philmac Pty Ltd. A pipe coupling adapted for sealing the end of a pipe
US20090230678A1 (en) * 2008-03-14 2009-09-17 Krohn Kenneth P Compression fitting adjustment system
CN101275733B (zh) * 2008-05-06 2011-08-31 黄建聪 卡凸式管道连接件
KR101155350B1 (ko) * 2009-12-08 2012-06-11 (주)로커스 냉매용 이종 파이프 결합을 위한 피팅장치
JP5758640B2 (ja) * 2011-02-04 2015-08-05 株式会社フロウエル チューブ継手
US9470347B1 (en) * 2011-06-08 2016-10-18 AGS I-Prop., LLC Fluid line connector
US20130181445A1 (en) 2012-01-17 2013-07-18 Swagelok Company Fitting for jacketed conduits
JP5329000B1 (ja) * 2012-04-27 2013-10-30 ナスコフィッティング株式会社 管継手、閉鎖バルブ及び弛緩用工具
WO2013162006A1 (ja) 2012-04-27 2013-10-31 ナスコフィッティング株式会社 管継手及び閉鎖バルブ
CN103075592B (zh) * 2013-01-19 2015-03-11 哈尔滨工程大学 机械自适应管道连接器
US9787070B2 (en) * 2013-10-31 2017-10-10 Bridgeport Fittings, Inc. Raintight compression connector and raintight compression coupler for securing electrical metallic tubing or rigid metallic conduit
WO2015187958A1 (en) * 2014-06-04 2015-12-10 Parker-Hannifin Corporation Compression fitting with torque nut
JP2017223277A (ja) * 2016-06-15 2017-12-21 井上スダレ株式会社 管継手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142A (ko) 2020-10-28
JP2021513035A (ja) 2021-05-20
WO2019147361A1 (en) 2019-08-01
AU2018404855A1 (en) 2020-07-30
EP3746666A1 (en) 2020-12-09
US20190360618A1 (en) 2019-11-28
CN111684163A (zh) 2020-09-18
CA3087680A1 (en) 2019-08-01
US11933432B2 (en) 2024-03-19
EP3746666A4 (en) 2021-10-20
US11396963B2 (en) 2022-07-26
MX2020007895A (es) 2020-10-16
US20220307632A1 (en)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3124B2 (en) Pre-assembled coupling assembly with flexible hose adapter
AU2014290275B2 (en) Fittings having arcuate stiffness ribs
CN102635741B (zh) 张力夹
US10578234B2 (en) Coupling having arcuate stiffness ribs
CA3018105C (en) Push-to-connect fitting device, arrangement and method
US20070052239A1 (en) Stop assembly for pipe couplings
TW201730470A (zh) 轉接頭之連接器
GB2551696A (en) Hoses and hose adaptors
TW202206735A (zh) 電性導管裝配件和組合件
KR20130052967A (ko) 파이프 연결구
KR102443762B1 (ko) 배관 연결 형성 장치
JP5269178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CA3053648C (en) Assembly of a flexible tube and a fitting body and a method thereof
WO2015151584A1 (ja) 狭所配管用継手
US6991269B2 (en) Means for connecting two pipe elements end-to-end
US20210180731A1 (en) Method for assembling a tube and a fitting body
RU2594847C1 (ru)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