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4256A - 배관 연결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256A
KR20140064256A KR1020120131388A KR20120131388A KR20140064256A KR 20140064256 A KR20140064256 A KR 20140064256A KR 1020120131388 A KR1020120131388 A KR 1020120131388A KR 20120131388 A KR20120131388 A KR 20120131388A KR 20140064256 A KR20140064256 A KR 20140064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flanges
arc portion
press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남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1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4256A/ko
Publication of KR20140064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16L23/10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with a pivoting or swinging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연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연결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배관 연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인접하는 배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호 겹쳐진 상태인 한 쌍의 플랜지의 반경방향 면의 일부를 덮는 원호부; 및 상기 원호부의 폭방향 양단에서 한 쌍의 상기 플랜지의 길이 방향 면으로 연장 구비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연결용 클램프 {CLAMP FOR PIPE CONNECTION}
본 발명은 배관 연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연결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배관 연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배관은 중공의 긴 관으로, 다수의 배관을 연결하여 연통된 중공을 통해 일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액체 또는 기체 등의 물질을 이송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배관은 강재를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강재 재질의 배관은 다수의 도막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를 위해 배관의 양단에는 배관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되는 플랜지가 구비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제1 배관(1)과 제2 배관(2)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배관(1) 및 제2 배관(2)에는 각각 제1 및 제2 플랜지(1a)(2a)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배관(1)과 상기 제2 배관(2)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 플랜지(1a)(2a)를 상호 맞닿은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a)(2a)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홀(1b)(2b)을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3)를 삽입하여 타 방향에서 너트(4)로 고정하여 결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결합 방식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플랜지에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여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복수의 나사결합이 요구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파이프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상기 나사구멍도 많아지므로 자연스럽게 나사결합의 수도 많아지므로 업무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방식으로 배관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클램프 방식의 결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 방식이 간단하여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관 연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는 인접하는 배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호 겹쳐진 상태인 한 쌍의 플랜지의 반경방향 면의 일부를 덮는 원호부; 및 상기 원호부의 폭방향 양단에서 한 쌍의 상기 플랜지의 길이 방향 면으로 연장 구비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에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플랜지의 길이 방향 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에서 상기 가압부의 반경방향 내측단은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는 반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원호부와, 상기 제1 원호부의 폭 방향 양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구비되고 내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1 클램프; 및 반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원호부와, 상기 제2 원호부의 폭 방향 양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구비되고 내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2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프 및 상기 제2 클램프는 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에서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는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원호부와 상기 제2 원호부의 반경방향 외측면에 돌출 구비되는 제1 및 제2 나사결합구에 일 방향에서 동시에 끼움되는 볼트를 타 방향에서 너트가 고정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에서 상기 제2 원호부의 단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 끼움고리를 구비하는 연장끼움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원호부의 반경방향 내측면에는 끼움홀이 구비되어 상기 끼움고리가 끼움결합되며, 타 단부는 상기 제1 원호부와 상기 제2 원호부의 반경방향 외측면에 돌출 구비되는 제1 및 제2 나사결합구에 일 방향에서 동시에 끼움되는 볼트를 타 방향에서 너트가 고정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간단한 방식으로 배관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클램프 방식의 결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결합 방식이 간단하여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의 연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와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와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의 사시도(4a)와 사용상태도(4b, 4c)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의 사시도(5a)와 사용상태도(5b, 5c)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 또는 유사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와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와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40)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40)는 인접하는 배관(10)(20)이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호 겹쳐진 상태인 한 쌍의 플랜지(11)(21)의 반경방향 면의 일부를 덮는 원호부(41) 및 상기 원호부(41)의 폭방향 양단에서 한 쌍의 상기 플랜지(11)(21)의 길이 방향 면으로 연장 구비되는 가압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반경방향은 원을 형성하는 소정 부재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향하거나(외측), 바깥쪽에서 중심을 향하는 방향(내측)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소정 부재의 길이 방향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부재에 있어서 길게 형성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배관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볼트와 너트가 아닌 별도의 클램프(40)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40)는 원 형상이 아니라 반원보다 호의 길이가 작은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1)(21)의 외측단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상기 클램프(40)가 설치되는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원호부(41)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1)(21)의 반경방향 면의 일부를 원주방향으로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원호부(41)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1)(21)의 형상에 상응하는 곡률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42)는 상기 원호부(41)의 폭방향 양단에서 한 쌍의 상기 플랜지(11)(21)의 길이 방향 면으로 연장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42)는 한 쌍의 상기 플랜지(11)(21)의 양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11)(21)를 양쪽에서 가압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42)는 상기 플랜지(11)(21)의 양면에 압입 끼움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가압부(42)는 상기 플랜지(11)(21)의 길이 방향 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21) 사이에는 실링부재(30), 가령,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40)의 가압부(42)의 반경방향 내측단은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는 테이퍼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40)는 한 쌍의 상기 플랜지(11)(21)에 압입끼움되므로 선단부가 상기 플랜지(11)(21)의 반경방향 외측단에 끼움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가압부(42)에 테이퍼부(43)를 구비하여 상기 클램프(40)를 상기 플랜지(11)(21)에 끼우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의 사시도(4a)와 사용상태도(4b, 4c)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40)는 적어도 2개의 조각이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1)(21)의 반경방향 외측단에 소정 간격으로 압입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클램프(40)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1)(21)와 단순한 압입결합에 의한 결합력만이 존재하므로 진동이나 장기 사용에 의해 상기 클램프(40)가 플랜지에서 이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40)를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1)(21)에 압입결합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100)는 제1 및 제2 플랜지(11)(21)의 반경방향 외측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1 클램프(50)와 제2 클램프(60)가 단부에서 상호 결합되어 원 형상을 이루면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한다면 상기 제1 클램프(50)와 제2 클램프(60)가 원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호 당겨주는 힘이 발생하므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100)가 진동이나 장기 사용에 의하더라도 플랜지에서 이탈할 우려가 없다.
제1 클램프(50)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원호부(51)와, 상기 제1 원호부(51)의 폭 방향 양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구비되고 내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가압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52)의 내측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는 테이퍼부(5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53)의 경사각은 제1 및 제2 플랜지(11)(21)의 외측면 경사각과 동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클램프(60)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원호부(61)와, 상기 제2 원호부(61)의 폭 방향 양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구비되고 내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는 제2 가압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부(62)의 내측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는 테이퍼부(6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63)의 경사각은 제1 및 제2 플랜지(11)(21)의 외측면 경사각과 동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50)(60)는 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원 형상으로 제1 및 제2 플랜지(11)(21)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클램프(50)의 단부,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원호부(51)의 단부에는 반경방향 내측면에 끼움홀(55)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클램프(60)의 단부,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 원호부(61)의 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 후크 형상의 끼움고리(66)를 구비하는 연장끼움구(65)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끼움고리(66)가 상기 끼움홀(55)에 끼움되면서 걸림되어 상기 제1 클램프(50)와 상기 제2 클램프(60)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원호부(51)의 단부에는 반경방향 내측면에 안내홈(5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내홈(56)은 상기 연장끼움구(65)가 상기 제2 원호부(61)에서 연장되는 부분이 안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연장끼움구(65)의 끼움고리(66)가 상기 끼움홀(55)에 걸림되면서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원호부(51) 및 상기 제2 원호부(61)의 반경방향 내측면은 동일한 원의 호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돌출되는 부분 없이 매끄러운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50)(60)의 다른 단부는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50)(60)는 타 단부에 상기 제1 원호부(51)와 상기 제2 원호부(61)의 반경방향 외측면에 돌출 구비되는 제1 및 제2 나사결합구(54)(6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일 방향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나사결합구(54)(64)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끼움되는 볼트(90)를 타 방향에서 너트(60)가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100)는 상기 볼트(90)에 결합되는 너트(60)를 조임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50)(60)가 상호 연결되어 형성하는 원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가압부(52)(62)가 자연스럽게 제1 및 제2 플랜지(11)(21)의 외측면을 타고 내려갈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100)는 간단한 나사결합에 의해 더욱 강도 높은 배관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의 사시도(5a)와 사용상태도(5b, 5c)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40)는 적어도 2개의 조각이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1)(21)의 반경방향 외측단에 소정 간격으로 압입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클램프(40)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1)(21)와 단순한 압입결합에 의한 결합력만이 존재하므로 진동이나 장기 사용에 의해 상기 클램프(40)가 플랜지에서 이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40)를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11)(21)에 압입결합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200)는 제1 및 제2 플랜지(11)(21)의 반경방향 외측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1 클램프(70)와 제2 클램프(80)가 단부에서 상호 결합되어 원 형상을 이루면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한다면 상기 제1 클램프(70)와 제2 클램프(80)가 원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호 당겨주는 힘이 발생하므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200)가 진동이나 장기 사용에 의하더라도 플랜지에서 이탈할 우려가 없다.
제1 클램프(70)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원호부(71)와, 상기 제1 원호부(71)의 폭 방향 양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구비되고 내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가압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72)의 내측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는 테이퍼부(7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73)의 경사각은 제1 및 제2 플랜지(11)(21)의 외측면 경사각과 동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클램프(80)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원호부(81)와, 상기 제2 원호부(81)의 폭 방향 양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구비되고 내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는 제2 가압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부(82)의 내측면은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는 테이퍼부(8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83)의 경사각은 제1 및 제2 플랜지(11)(21)의 외측면 경사각과 동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70)(80)는 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원 형상으로 제1 및 제2 플랜지(11)(21)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70)(80)는 단부에서 상호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회전이 자유롭도록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70)(80)는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79)에 의해 상호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연결바(79)는 양단에 각각 나사홀(79a)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70)(80)의 단부에도 상기 나사홀(79a)에 상응하는 나사홀(75)(85)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연결바(79)의 나사홀(79a)과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70)(80)의 나사홀(75)(85)를 동시에 관통하면서 결합되는 볼트(78)에 의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5의 (a)에서 보듯이,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70)(80)의 단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70)(80)의 양측면에 각각 나사끼움 등에 의해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연결바(79)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한다면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70)(80)는 상대 회전할 수 있으므로 클램프의 사용이 매우 편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70)(80)의 다른 단부는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70)(80)는 타 단부에 상기 제1 원호부(71)와 상기 제2 원호부(81)의 반경방향 외측면에 돌출 구비되는 제1 및 제2 나사결합구(74)(8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일 방향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나사결합구(74)(84)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끼움되는 볼트(90)를 타 방향에서 너트(60)가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200)는 상기 볼트(90)에 결합되는 너트(60)를 조임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70)(80)가 상호 연결되어 형성하는 원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가압부(72)(82)가 자연스럽게 제1 및 제2 플랜지(11)(21)의 외측면을 타고 내려갈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200)는 간단한 나사결합에 의해 더욱 강도 높은 배관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제1 배관
11: 제1 플랜지
20: 제2 배관
21: 제2 플랜지
30: 실링부재
40, 100, 200: 배관 연결용 클램프

Claims (6)

  1. 인접하는 배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호 겹쳐진 상태인 한 쌍의 플랜지의 반경방향 면의 일부를 덮는 원호부; 및
    상기 원호부의 폭방향 양단에서 한 쌍의 상기 플랜지의 길이 방향 면으로 연장 구비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플랜지의 길이 방향 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결합되는 배관 연결용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반경방향 내측단은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는 배관 연결용 클램프.
  4. 반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원호부와, 상기 제1 원호부의 폭 방향 양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구비되고 내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1 클램프; 및
    반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원호부와, 상기 제2 원호부의 폭 방향 양단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구비되고 내측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하는 제2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프 및 상기 제2 클램프는 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원 형상을 이룰 수 있는 배관 연결용 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는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원호부와 상기 제2 원호부의 반경방향 외측면에 돌출 구비되는 제1 및 제2 나사결합구에 일 방향에서 동시에 끼움되는 볼트를 타 방향에서 너트가 고정하여 결합되는 배관 연결용 클램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호부의 단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 끼움고리를 구비하는 연장끼움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원호부의 반경방향 내측면에는 끼움홀이 구비되어 상기 끼움고리가 끼움결합되며,
    타 단부는 상기 제1 원호부와 상기 제2 원호부의 반경방향 외측면에 돌출 구비되는 제1 및 제2 나사결합구에 일 방향에서 동시에 끼움되는 볼트를 타 방향에서 너트가 고정하여 결합되는 배관 연결용 클램프.
KR1020120131388A 2012-11-20 2012-11-20 배관 연결용 클램프 KR20140064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388A KR20140064256A (ko) 2012-11-20 2012-11-20 배관 연결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388A KR20140064256A (ko) 2012-11-20 2012-11-20 배관 연결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256A true KR20140064256A (ko) 2014-05-28

Family

ID=5089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388A KR20140064256A (ko) 2012-11-20 2012-11-20 배관 연결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42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450A (ko) 2014-09-01 2016-03-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클램프 조립체 및 그것을 이용한 배기관 연결구조
WO2021108997A1 (zh) * 2019-12-03 2021-06-10 镇江福泰克流体技术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的立式液下泵
KR20220070732A (ko) * 2020-11-23 2022-05-31 강희양 배관연결클램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450A (ko) 2014-09-01 2016-03-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클램프 조립체 및 그것을 이용한 배기관 연결구조
WO2021108997A1 (zh) * 2019-12-03 2021-06-10 镇江福泰克流体技术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的立式液下泵
KR20220070732A (ko) * 2020-11-23 2022-05-31 강희양 배관연결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324B1 (ko) 각을 이루어 배향된 공동을 갖는 커플링
KR101037586B1 (ko) 이탈방지 압륜용 피복 강관
CA2789398A1 (en) Coupling having angularly oriented key surfaces
JP6023106B2 (ja) 反転型アゴを備えたクリンプフィッティング
WO2019209806A1 (en) Snap-on tube and pipe support clamp
US20120299294A1 (en) Multilayer annular clamp
KR101508659B1 (ko) 배관용 조인트 장치
KR101089350B1 (ko) 결속용 클램프
KR20140064256A (ko) 배관 연결용 클램프
KR101431591B1 (ko) 파형 강관의 연결장치
KR100943986B1 (ko)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KR101211494B1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1181414B1 (ko) 상하수도관용 신축이음장치
KR20140072571A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0922314B1 (ko) 관 연결구
RU160908U1 (ru) Соединение фланцево-хомутовое
KR20160079880A (ko) 2개의 파이프라인을 동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장치를 분리하기 위한 배열체
KR20150090770A (ko) 플랜지관 이음용 클램프 장치
KR101618831B1 (ko)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
KR101202596B1 (ko) 주름관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KR101225697B1 (ko) 하수관을 연결하는 관연결장치
JP2006250341A (ja) 管接続方法および管接続構造
JP2009024784A (ja) 棒材連結具
KR20130121267A (ko) 파이프 연결구
WO2019230398A1 (ja) パイプ連結具及びパイプ連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