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350B1 - 결속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결속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350B1
KR101089350B1 KR1020090103608A KR20090103608A KR101089350B1 KR 101089350 B1 KR101089350 B1 KR 101089350B1 KR 1020090103608 A KR1020090103608 A KR 1020090103608A KR 20090103608 A KR20090103608 A KR 20090103608A KR 101089350 B1 KR101089350 B1 KR 101089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lamp
fastening
bind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6903A (ko
Inventor
한성완
Original Assignee
한성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완 filed Critical 한성완
Priority to KR1020090103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3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6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16L23/10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with a pivoting or swinging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나 페룰을 갖는 피연결체간의 결속을 위한 결속용 클램프에 있어서, 내주면을 따라 요홈을 갖는 반원형상의 몸체로서, 양측단부에 외측으로 직각되게 돌출되고 내부가 트인 체결부를 갖되 일측에 제1고정핀결합공이 형성된 제1클램프몸체와; 내주면을 따라 요홈을 갖는 반원형상의 몸체로서, 양측단부에 외측으로 직각되게 돌출되고 내부가 트인 체결부를 갖되 일측과 타측에 제2고정핀결합공과 힌지결합공이 형성된 제2클램프몸체와; 끝단에 형성시킨 힌지결합부를 통해 제2클램프몸체의 힌지결합공이 형성된 체결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장볼트 및, 상기 장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로 구성된 클램핑볼트와;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단볼트의 끝단에 경첩형성부를 일체 형성하되 상기 경첩형성부에는 제1고정핀 및 제2고정핀 결합을 통해 제1 및 제2 클램프몸체의 타측을 연결상태로 지지하여주되 경첩기능의 제공으로 유동성을 부여하여주는 슬릿공 및 핀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단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결속강화부재로 구성된 경첩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이 개시된다.
클램프, 결속, 기밀유지, 경첩기능, 양방향 체결, 경첩체결볼트

Description

결속용 클램프{UNION CLAMP}
본 발명은 결속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핑몸체의 일단부에 경첩기능을 부여한 경첩체결볼트를 적용함에 따라 클램핑몸체의 대응되는 좌우측 양방향에서 체결에 따른 결속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클램핑몸체의 힌지연결부분의 긴밀성까지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결속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램프는 피목적물과 피고정체의 결속, 배관과 배관의 이음 연결, 배관과 플랜지의 연결 등에 두루 사용되는 결속용 도구로서, 기존 용접 등에 의한 영구결합방식의 사용에 따른 불편함이나 연결부분의 분리 불가능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의 용이성 또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속용 클램프는 대부분이 2개 1조의 한쌍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종래 한쌍으로 구비되는 2개의 클램프몸체가 분리구조인 경우에는 결속을 위한 체결 또는 분리시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을 뿐더러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클램프몸체의 분리구조에 따른 사용상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의 예시에서와 같이, 제1클램프몸체(b)와 제2클램프몸체(c)의 대응되는 일단부(b3)(c3)를 힌지부재(f)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시켜 분리구조가 아닌 결합구조로 형성하고 제1클램프몸체(b)의 체결부(b1)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킨 체결볼트(d)를 회동시켜 제2클램프몸체(c)의 홈(c2)에 배치시킨 후 체결볼트(d)에 나사 결합된 체결너트(e)를 조임으로써 결속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결속용 클램프가 제안된 바 있다.
나아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와 같은 힌지부재에 의한 힌지결합구조를 1부분에서 2부분으로 늘려 단지 클램프몸체 자체를 3등분으로 나누고 일측 한방향에서 체결볼트를 체결하여 결속력을 제공하는 결속용 클램프(체결방식은 같음)의 출시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도 1 및 도 2의 예시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결속용 클램프는 클램프몸체(b)(c)의 일단부(b3)(c3)가 힌지결합된 구조이고 타단부의 체결부(b1)(c1)에 체결볼트(d) 및 체결너트(e)의 체결을 통해 어느 일측방향에서만 결속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 결속용 클램프는 체결볼트(d) 및 체결너트(e)의 체결력이 제공되는 체결부(b1)(c1)측에만 결속력이 크게 형성되고 힌지결합구조를 갖는 클램프몸체의 일단부(b3)(c3)에는 체결부측에 비해 긴밀성을 부여하지 못하므로 결속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연결부분의 둘레 전반에 걸쳐 균일한 결속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피고정체 또는 배관 내에 내부압력이 형성되거나 진동이 형성되 면 결속력이 약화되어있는 힌지결합된 일단부에서 기밀성을 제대로 유지시켜주지 못함에 따라 연결부분이 쉽게 터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고, 특히 내부압력 5kg/㎤에도 견디지 못하고 연결부분이 터짐에 따라 종래 결속용 클램프는 산업용으로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연결체간의 수직 연결 또는 수평 연결 등 결속방향에 관계없이 편리하면서도 용이하게 결속용 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클램핑몸체의 일단부에 경첩기능을 부여한 경첩체결볼트를 적용함에 따라 클램핑몸체의 대응되는 좌우측 양방향에서 체결에 따른 결속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클램핑몸체의 힌지연결부분의 긴밀성까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피연결체의 둘레 전반에 걸친 균일한 결속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결속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40~50kg/㎤의 내부압력에도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결속력을 갖게 함으로써 결속력 증대를 통해 산업용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범위를 크게 넓힐 수 있도록 한 결속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플랜지나 페룰을 갖는 피연결체간의 결속을 위한 결속용 클램프에 있어서,
내주면을 따라 요홈을 갖는 반원형상의 몸체로서, 몸체의 양측단부에 외측방향으로 직각되게 돌출 형성되고 내부가 트인 체결부를 갖되 체결부의 일측에 제1고정핀결합공이 형성된 제1클램프몸체와; 내주면을 따라 요홈을 갖는 반원형상의 몸체로서, 몸체의 양측단부에 외측방향으로 직각되게 돌출 형성되고 내부가 트인 체결부를 갖되 체결부의 일측과 타측에 힌지결합공과 제2고정핀결합공이 형성된 제2클램프몸체와; 끝단에 형성시킨 힌지결합부를 통해 제2클램프몸체의 힌지결합공이 형성된 체결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장볼트 및, 상기 장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제1 및 제2 클램프몸체의 일측에 체결력을 제공하기 위한 체결부재로 구성된 클램핑볼트와;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단볼트의 끝단에 경첩형성부를 일체 형성하되 상기 경첩형성부에는 제1고정핀 결합을 통해 제1클램프몸체의 타측 지지결합과 함께 경첩기능의 제공을 위한 슬릿공과 제2고정핀 결합을 통해 제2클램프몸체의 타측 지지결합에 사용하기 위한 핀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단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제1 및 제2 클램프몸체의 타측에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한 결속강화부재로 구성된 경첩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연결체간의 수직 연결 또는 수평 연결 등 결속방향에 관계없이 편리하면서도 용이하게 결속처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경첩기능을 부여한 경첩체결볼트를 적용함에 따라 클램프몸체간 연결상태를 유지하되 개별적 유동성을 부여할 수 있고 클램프몸체에 대한 양방향 체결 및 결속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클램프몸체의 힌지연결부분의 긴밀성까지 조정할 수 있어 피연결체의 둘레 전반에 걸친 균일한 결속압력을 제공 및 전체적인 결속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으며, 피연결체 내 40~50kg/㎤의 내부압력에도 견딜 수 있는 결속력을 제공 및 기밀성을 유지시킬 수 있어 산업용으로 적용하는 등 사용범위를 크게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속용 클램프(100)는 플랜지(flange) 또는 페룰(ferrule)을 갖는 각각의 배관과 배관 또는 피고정체와 피목적물(이하에서는 이들 각각에 대해 "피연결체"라 한다.)의 상호 결속 및 기밀성 유지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1클램프몸체(110) 및 제2클램프몸체(120)와, 클램핑볼트(130)와, 경첩체결볼트(14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클램프몸체(110)는 피연결체(A)(B)간에 서로 맞닿은 상태에 있는 플랜지 또는 페룰을 에워쌀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요홈(111a)을 갖는 반원형상의 몸체(111)로서, 몸체(111)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에 외측방향으로 직각되게 돌출 형성하되 내부가 트인 배치공간(E1)을 형성시킨 체결부(112A)(112B)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클램프몸체(110)에는 타측 체결부(112B) 상에 제1고정핀결합공(113)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제2클램프몸체(120)는 상기 제1클램프몸체와 같이 피연결체(A)(B)간의 플랜지 또는 페룰을 에워쌀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요홈(121a)을 갖는 반원형상의 몸체(121)로서, 이 역시 몸체(121)의 일측단부 및 타측단부에 외측방향으로 직각되게 돌출 형성하되 내부가 트인 배치공간(E2)을 형성시킨 체결부(122A)(122B)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클램프몸체(120)에는 일측 체결부(122A) 상에 힌지결합공(123)을 형성시키고 타측 체결부(122B) 상에 제1클램프몸체(110)의 체결부(112B) 상에 형성되는 제1고정핀결합공(113)과 마주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위치되도록 제2고정핀결합공(124)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클램핑볼트(130)는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시킨 장(長)볼트(131)의 끝단에 힌지홀을 갖는 힌지결합부(132)가 일체 형성되어 힌지핀(151) 결합을 통해 제2클램프몸체(120)의 일측 체결부(122A)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장볼트(131)의 선단부에 체결력 조정을 위한 체결부재(133)가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클램핑볼트(130)는 제2클램프몸체(120)의 일측 체결부(122A)의 배치공간(E2) 내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클램프몸체(110)의 일측 체결부(112A)의 배치공간(E1)측으로 장볼트(131)의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경첩체결볼트(140)는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단(短)볼트(141)와, 상기 단볼트(141)의 끝단에 연장 형성되어 일체 결합되며 제1고정핀(161) 결합을 통해 제1클램프몸체(110)의 타측 지지결합에 사용됨과 함께 경첩기능의 제공을 위해 사용되는 슬릿공(142a) 및 제2고정핀(162) 결합을 통해 제2클램프몸체(120)의 타측 지지결합에 사용하기 위한 핀결합공(142b)이 형성된 경첩형성부(142)와, 상기 단볼트(141)의 선단부에 나사 결합되며 제1 및 제2 클램프몸체(110)(120)간의 결속력 강화를 위한 결속강화부재(14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경첩체결볼트(140)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클램프몸체(110)와 제2클램프몸체(120)의 대응위치에 있는 타측 체결부(112B)(122B)를 연결상태로 지지하여주되 슬릿공(142a)을 통한 여유간격 제공을 통해서 경첩기능을 발휘되게 함에 의해 제1클램프몸체(110)와 제2클램프몸체(120) 각각에 유동성을 부여할 수 있으면서도 결속강화부재(143)를 통한 조임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 및 제2 클램프몸체(110)(120)측에 미치는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속용 클램프(100)의 결합관계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결속용 클램프(100)는 클램핑볼트(130)의 힌지결합부(132)를 제2클램프몸체(120)의 힌지결합공(123)을 갖는 일측 체결부(122A) 내측에 위치시킨 후 힌지핀(151) 삽입고정을 통한 힌지결합을 통해 제2클램프몸체(120)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경첩체결볼트(140)의 경첩형성부(142)를 제1 및 제2 클램프몸체(110)(120)의 타측 체결부(112B)(122B) 내측에 위치시킨 후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제1고정핀결합공(113) 및 슬릿공(142a)측에 제1고정핀(161)을 삽입 결합하고, 또한 제2고정핀결합공(124) 및 핀결합공(142b)에 제2고정핀(162)을 삽입 결합함으로써 제1클램프몸체(110)와 제2클램프몸체(120)의 대응위치에 있는 타측 체결부(112B)(122B)를 연결상태로 지지하여주되 슬릿공(142a)을 통한 여유간격을 통 해 경첩기능을 부여함에 따라 제1클램프몸체(110)와 제2클램프몸체(120)측에 유동성을 갖게 한 상태로 피연결체(A)(B)간의 결속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배관과 배관 또는 피고정체와 피목적물 등 피연결체(A)(B)간의 플랜지 또는 페룰이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에 플랜지 또는 페룰의 외측으로 경첩체결볼트(140)에 의해 타측 체결부(112B)(122B)가 연결되어 지지결합된 상태에 있는 제1클램프몸체(110) 및 제2클램프몸체(120)를 배치하되 내주면에 형성시킨 요홈(111a)(121a)을 통해 피연결체(A)(B)간의 플랜지 또는 페룰을 에워싸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제2클램프몸체(120)의 일측 체결부(122A)에 힌지결합된 클램핑볼트(130)를 제1클램프몸체(110)의 일측 체결부(112A)측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켜 클램핑볼트(130)를 일측 체결부(112A)(122A)에 직교되게 한 상태에 장볼트(131)에 나사 결합된 체결부재(133)를 전진 이동시켜 조임으로써 가압하여 제1클램프몸체(110)와 제2클램프몸체(120)의 일측방향을 결속 처리한다.
이어, 제1클램프몸체(110)와 제2클램프몸체(120)의 타측 체결부(112B)(122B)에 대한 상호 연결상태를 유지되게 한 경첩체결볼트(140)의 결속강화부재(143)를 단볼트(141) 상에서 전진 이동시켜 조임으로써 가압하여 제1클램프몸체(110)와 제2클램프몸체(120)의 타측방향을 결속 처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결속용 클램프(100)는 2개 1조로 한쌍 구비되는 클램프몸체(110)(120)의 양측방향에서 체결 및 결속력을 제공하므로 클램프몸체(110)(120)가 피연결체(A)(B)간에 서로 맞닿은 상태의 연결부분에 대해 강한 압 박을 수행하면서 결속 처리하게 되며, 피연결체(A)(B)의 연결부분에 대한 둘레 전체를 동일한 가압력으로 결속 처리할 수 있어 종래 클램프에 비해 결속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고 피연결체(A)(B) 내에 형성되는 내부압력이 크게 증가되어도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결속용 단볼트(141)에 경첩형성부(142)를 일체로 형성시켜 경첩기능을 부여함에 따라 제1클램프몸체(110)와 제2클램프몸체(120)를 연결상태로 있게 하면서도 개별적 유동성을 갖게 하므로 결속처리 및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피연결체간의 수직 연결 또는 수평 연결 등에 상관없이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결속용 클램프는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있어 클램핑볼트(130)와 경첩체결볼트(140)에 대해 동일한 방향에서의 체결력 및 결속력을 제공하도록 기술되어 있으나, 위치의 수정이나 변경을 통해 상호 반대방향에서의 가압력 및 결속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결속용 클램프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결속용 클램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결속용 클램프의 결속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피연결체를 포함하는 결속용 클램프의 결속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피연결체를 포함하는 결속용 클램프의 결속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제1클램프몸체 111a: 요홈
112A,112B: 체결부 113: 제1고정핀결합공
120: 제2클램프몸체 121a: 요홈
122A,122B: 체결부 123: 힌지핀결합공
124: 제2고정핀결합공 130: 클램핑볼트
140: 경첩체결볼트 141: 단볼트
142: 경첩형성부 142a: 슬릿공
142b: 핀결합공 151: 힌지핀
161: 제1고정핀 162: 제2고정핀

Claims (1)

  1. 플랜지나 페룰을 갖는 피연결체간의 결속을 위한 결속용 클램프에 있어서,
    내주면을 따라 요홈을 갖는 반원형상의 몸체로서, 몸체의 양측단부에 외측방향으로 직각되게 돌출 형성되고 내부가 트인 체결부를 갖되 체결부의 일측에 제1고정핀결합공이 형성된 제1클램프몸체와;
    내주면을 따라 요홈을 갖는 반원형상의 몸체로서, 몸체의 양측단부에 외측방향으로 직각되게 돌출 형성되고 내부가 트인 체결부를 갖되 체결부의 일측과 타측에 힌지결합공과 제2고정핀결합공이 형성된 제2클램프몸체와;
    끝단에 형성시킨 힌지결합부를 통해 제2클램프몸체의 힌지결합공이 형성된 체결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장볼트 및, 상기 장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제1 및 제2 클램프몸체의 일측에 체결력을 제공하기 위한 체결부재로 구성된 클램핑볼트와;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단볼트의 끝단에 경첩형성부를 일체 형성하되 상기 경첩형성부에는 제1고정핀 결합을 통해 제1클램프몸체의 타측 지지결합과 함께 경첩기능의 제공을 위한 슬릿공과 제2고정핀 결합을 통해 제2클램프몸체의 타측 지지결합에 사용하기 위한 핀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단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제1 및 제2 클램프몸체의 타측에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한 결속강화부재로 구성된 경첩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클램프.
KR1020090103608A 2009-10-29 2009-10-29 결속용 클램프 KR101089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608A KR101089350B1 (ko) 2009-10-29 2009-10-29 결속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608A KR101089350B1 (ko) 2009-10-29 2009-10-29 결속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903A KR20110046903A (ko) 2011-05-06
KR101089350B1 true KR101089350B1 (ko) 2011-12-02

Family

ID=4423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608A KR101089350B1 (ko) 2009-10-29 2009-10-29 결속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3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450A (ko) 2014-09-01 2016-03-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클램프 조립체 및 그것을 이용한 배기관 연결구조
KR20230038879A (ko)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쉐어앤쉐어 차량 공유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30Y1 (ko) * 2014-06-10 2015-06-04 박동기 배관 클램프
KR101588978B1 (ko) * 2014-11-24 2016-01-28 김현식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KR101588984B1 (ko) * 2014-12-29 2016-01-28 김현식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CN106151715A (zh) * 2016-08-31 2016-11-23 张家港华日法兰有限公司 一种不锈钢卡箍
KR102003330B1 (ko) * 2018-10-02 2019-07-24 (주)한양기술공업 용접 지그
KR20240048845A (ko) 2022-10-07 2024-04-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두께 조절 페럴 개스킷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450A (ko) 2014-09-01 2016-03-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클램프 조립체 및 그것을 이용한 배기관 연결구조
KR20230038879A (ko)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쉐어앤쉐어 차량 공유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903A (ko) 201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350B1 (ko) 결속용 클램프
US7677612B2 (en) Clamp
CN103270359B (zh) 具有可移动的抓握本体的枢转式管道连接器
US3982779A (en) Clamps for joining tubes or tubular structural members
KR20150019521A (ko) 파이프용 클램프
US11402040B2 (en) Clamp connector and a connecting component including the clamp connector
US20080169648A1 (en) Pipe coupling
CN105579757A (zh) 张紧夹或管夹
KR20110100071A (ko) 파이프용 커플링 클램프
KR20160110291A (ko) 파일조인트 유니트
EP2601417A1 (en) Mechanical joint for reversibly connecting elements with any angle of approach
KR20140072571A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1095174B1 (ko) 유동구조물 연결용 턴버클
WO2007073239A1 (fr) Raccord d'angle amovible pour tubes, element d'angle destine au raccord d'angle amovible pour tubes et douille d'ecartement destinee au raccord d'angle amovible pour tubes
JP4642003B2 (ja) 建築構造物の連結方法及び連結構造
KR101452357B1 (ko) 관이음 장치
KR200497901Y1 (ko) 파이프 조인트
KR20140064256A (ko) 배관 연결용 클램프
KR20070048688A (ko) 관체 연결용 조인트
KR101644889B1 (ko)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JP2011026816A (ja) パイプ連結クランプ
KR200471125Y1 (ko) 결합이 용이한 문 손잡이용 연결 장치
KR20170128004A (ko) 배관 연결 장치
US4436327A (en) Clamp joint for pipes
JP3226510U (ja) 高圧配管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