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889B1 -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889B1
KR101644889B1 KR1020150182729A KR20150182729A KR101644889B1 KR 101644889 B1 KR101644889 B1 KR 101644889B1 KR 1020150182729 A KR1020150182729 A KR 1020150182729A KR 20150182729 A KR20150182729 A KR 20150182729A KR 101644889 B1 KR101644889 B1 KR 101644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nut
pipe
fixing par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일월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월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월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2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는: 배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배관의 체결너트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 및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ANNEALING PREVENTION DEVICE FOR PIPENUT}
본 발명은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에 의한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각 설비의 설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이들 설비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호 연결되어 케미컬, 공기 등의 유체 유동을 제한하는 유체의 통로로서 설치되며, 이들 배관의 형상 및 특징은 유체의 종류와 사용용도 및 그 설치 공간의 제약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배관의 설치에 있어서, 보편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의 하나는 유동하는 유체의 누출을 방지함에 있어서, 이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배관이 상호 연결되는 부위의 관리가 요구되며, 이를 위한 배관의 연결 부위 형상은 통상 누출 방지와 우수한 내구성 및 기계적 강성을 갖는 플랜지 이음구조 또는 너트 이음구조를 이루고 있다.
너트 이음구조는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의 공간을 갖되 외부에서 숫나사산이 형성된 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암나사산을 갖는 배관너트를 이용하여 배관과 배관이 체결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26751호 (2008.03.26. 발명의 명칭 : 풀림방지 및 연결소켓이 체결된 관연결장치)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에 의한 너트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관에 적용되는 다양한 규격의 너트에 적용될 수 있도록 호환성이 향상된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는: 배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배관의 체결너트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는 일단이 상호 힌지연결되는 제1,2클램프부 및 상기 제1,2클램부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2클램프부 중 어느 하나에 힌지 연결되는 체결볼트부재와, 상기 체결볼트부재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1,2클램프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수용홈부 및 상기 수용홈부와 상기 체결볼트부재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체결볼트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클램프부 내면에는 상기 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대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체결너트의 2면 이상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고정부가 상기 체결너트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고정부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고정부에 형성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고정부에 형성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1연결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홈부와,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2연결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부와, 상기 슬라이드홈부에서 상기 가이드돌기부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의 내측면은 상기 체결너트의 대칭되는 면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체결너트의 대칭되는 면과 나란한 2개의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는 제1고정부는 배관에 고정되고, 제2고정부는 체결너트에 고정되어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므로 진동에 의한 체결너트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고정부에 직경대응부가 구비되어 다양한 직경의 배관에 적용될 수 있고, 제2고정부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규격의 너트에 적용될 수 있어 호환성이 향상되어 다양한 현장에 하나의 제품으로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제1고정부의 고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제2고정부의 고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제1고정부 제1변형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제1고정부 제2변형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제2고정부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제1고정부의 고정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제2고정부의 고정을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제1고정부 제1변형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제1고정부 제2변형예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장치(10)는, 제1고정부(100), 제2고정부(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100)는 배관(P)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1고정부(100)는 일단이 상호 힌지 연결되는 제1,2클램프부(110,120) 및 제1,2클램프부(110,120)의 타단을 연결하는 체결부(140)를 포함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0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배관(P)의 둘레를 가압함으로써,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다 자세하게 제1,2클램프부(110,120)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호 힌지부(130)에 의해 힌지 연결된다. 힌지부(130)는 제1,2클램프부(110,120)에 힌지 연결되도록 한 쌍의 힌지공이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132) 및 연결플레이트(132)와 제1,2클램프부(110,120)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축(134)을 포함한다.
체결부(140)는 제1,2클램프부(110,120) 중 어느 하나에 힌지 연결되는 체결볼트부재(142)와, 체결볼트부재(142)가 수용되도록 제1,2클램프부(110,12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수용홈부(144) 및 수용홈부(144)와 체결볼트부재(142)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체결볼트부재(142)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너트부재(146)를 포함한다.
즉, 체결부(140)는 제1,2클램프부(110,120)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130)의 대향되는 단부에 형성된다. 체결볼트부재(142)는 제1클램프부(110)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수용홈부(144)는 제2클램프부(120)의 단부에 체결볼트부재(142)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체결너트부재(146)는 체결볼트부재(142)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부재(142)가 회동되어 수용홈부(144)에 수용된 상태에서 체결너트부재(146)를 조임으로써, 제1,2클램프부(110,120)의 체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클램프부(110,120) 내면에는 배관(P)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대응부(150)가 더 구비된다. 이는 배관(P)에 연결되는 제1,2클램프부(110,120)의 호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클램프부(110,120)의 내면에는 각각 고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고무링으로 이루어지는 직경대응부(150)에 의해 마찰력이 향상되어 밀착시킬 수 있고, 수축력에 의해 배관(P)의 직경이 다소 크더라도 수축되어 이를 보상할 수 있고, 다소 작더라도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대응부(150)는 제1,2클램프부(110,120)의 타원형내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2클램프부(110,120)의 각 내경은 마주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은 직경(a), 큰 직경(b)의 배관(P)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2클램프부(110,120)의 타원형내경에 고무링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2고정부(200)는 체결너트(N)를 고정한다. 제2고정부(200)는 체결너트(N)의 2면 이상 접촉된다. 즉, 체결너트(N)의 2면 이상 접촉될 수 있도록 체결너트(N)의 외면과 면접촉된다.
그리고, 체결너트(N)에 고정된 제2고정부(200)에 의해 체결너트(N)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는 연결부(300)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부(300)는 제1고정부(100)와 제2고정부(200)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0)는 제1,2고정부(100,200)에 일체로 형성되고, 배관(P)과 나란한 바타입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300)는 제1클램프부(110), 제2고정부(200)와 함께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된다.
제1고정부(100)는 배관(P)에 체결하고, 제2고정부(200)는 체결너트(N)를 파지할 수 있어 진동발생시에도 체결너트(N)의 의도되지 않은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작용을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의 제2고정부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10)는 제2고정부(200)가 체결너트(N)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되도록 제2고정부(200)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부(430)를 포함하는 연결부(40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연결부(400)는 제1고정부(100)에 형성되는 제1연결부(410) 및 제2고정부(200)에 형성되는 제2연결부(420)를 포함한다. 즉, 연결부(400)는 제1,2고정부(100,200)에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며, 높이조절부(430)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430)는 제1연결부(4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홈부(432)와, 슬라이드홈부(43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2연결부(420)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부(434) 및 슬라이드홈부(432)에서 가이드돌기부(434)를 고정하는 고정볼트(436)를 포함한다. 슬라이드홈부(432)와 가이드돌기부(434)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T'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드홈부(432)는 제1연결부(4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연결부(4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볼트(436)는 제1연결부(410)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제2연결부(420)와 나사 결합되어 제2연결부(4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부(410)에는 고정볼트(436)가 관통되도록 한 쌍의 장홀(412)이 형성되고, 각각의 장홀(412)에 고정볼트(436)가 구비되어 제2연결부(420)를 고정한다.
제2고정부(200)의 내측면은 체결너트(N)의 대칭되는 면에 면접촉되도록 체결너트(N)의 대칭되는 면과 나란한 2개의 면으로 형성된다. 즉,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부(200)의 내측면은 일측이 개구된 삼각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체결너트(N)의 상호 대층되는 면에 각각 면접촉된다.
제2고정부(200)의 내측면을 체결너트(N)의 둘레면에 일치시킨 후, 슬라이드홈부(432)와 가이드돌기부(434)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제1고정부(100)를 배관(P)에 고정하고, 고정볼트(436)에 의해 제1,2연결부(410,420)를 고정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체결너트(N)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되어 설치될 수 있어 제품을 단일화할 수 있으며, 현장에 즉각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에 의하면, 진동에 의한 체결너트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제1고정부에 직경대응부가 구비되어 다양한 직경의 배관에 적용될 수 있고, 제2고정부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규격의 너트에 적용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되어 다양한 현장에 하나의 제품으로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100 : 제1고정부
110 : 제1클램프부 120 : 제2클램프부
130 : 힌지부 132 : 연결플레이트
134 : 힌지축 140 : 체결부
142 : 체결볼트부재 144 : 수용홈부
146 : 체결너트부재 150 : 직경대응부
200 : 제2고정부 300 : 연결부
400 : 연결부 410 : 제1연결부
412 : 장홀 420 : 제2연결부
430 : 높이조절부 432 : 슬라이드홈부
434 : 가이드돌기부 436 : 고정볼트

Claims (9)

  1. 배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배관의 체결너트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고정부가 상기 체결너트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고정부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고정부에 형성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고정부에 형성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1연결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홈부;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2연결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부;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에서 상기 가이드돌기부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일단이 상호 힌지연결되는 제1,2클램프부; 및
    상기 제1,2클램부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2클램프부 중 어느 하나에 힌지 연결되는 체결볼트부재;
    상기 체결볼트부재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1,2클램프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수용홈부; 및
    상기 수용홈부와 상기 체결볼트부재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체결볼트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클램프부 내면에는 상기 배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대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체결너트의 2면 이상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의 내측면은 상기 체결너트의 대칭되는 면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체결너트의 대칭되는 면과 나란한 2개의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KR1020150182729A 2015-12-21 2015-12-21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KR101644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729A KR101644889B1 (ko) 2015-12-21 2015-12-21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729A KR101644889B1 (ko) 2015-12-21 2015-12-21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889B1 true KR101644889B1 (ko) 2016-08-04

Family

ID=5670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729A KR101644889B1 (ko) 2015-12-21 2015-12-21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8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3341A (zh) * 2018-06-19 2019-12-27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液体加热容器
KR102067253B1 (ko) * 2019-04-04 2020-02-11 유재규 이륜 차량용 번호판 장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123Y1 (ko) * 2005-07-20 2005-10-12 권경숙 호스에 연결된 파이프 이음연결용 체결장치
KR20080072055A (ko) * 2005-12-07 2008-08-05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파이프 조인트 로킹 장치
KR20130085710A (ko) * 2012-01-20 2013-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
KR20150049307A (ko) * 2013-10-30 2015-05-08 정찬호 배관너트 풀림방지용 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123Y1 (ko) * 2005-07-20 2005-10-12 권경숙 호스에 연결된 파이프 이음연결용 체결장치
KR20080072055A (ko) * 2005-12-07 2008-08-05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파이프 조인트 로킹 장치
KR20130085710A (ko) * 2012-01-20 2013-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플랜지 연결 장치
KR20150049307A (ko) * 2013-10-30 2015-05-08 정찬호 배관너트 풀림방지용 클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3341A (zh) * 2018-06-19 2019-12-27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液体加热容器
CN110613341B (zh) * 2018-06-19 2022-04-15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液体加热容器
KR102067253B1 (ko) * 2019-04-04 2020-02-11 유재규 이륜 차량용 번호판 장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4161U (ja) 事前配置手段を有するプロフィール・クランプ
CA2818532C (en) Seal holding device for pipe clamp
US20110193341A1 (en) Securing device of a fluid line connection
KR20120092028A (ko) 텐션 클램프
US20110272888A1 (en) Slip joint with clamp
PT1848912E (pt) Acessórios de ligação para tubo de transporte de fluidos
KR102226704B1 (ko) 원터치 체결식 파이프 조인트
KR101644889B1 (ko)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US20140265305A1 (en) Conduit coupling system and method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KR101831495B1 (ko) 배관 클램프
KR20170000577U (ko) 배관 체결용 지그 장치
KR20140072571A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77330Y1 (ko) 배관 클램프
KR20190056870A (ko)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KR101821229B1 (ko) 배관 피팅용 고정 장치
KR100956766B1 (ko) 패킹을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20150090770A (ko) 플랜지관 이음용 클램프 장치
CA3053648C (en) Assembly of a flexible tube and a fitting body and a method thereof
KR20170142052A (ko)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
KR20160004240U (ko) 배관 연결용 클램프
KR101559084B1 (ko) 양방향 가압용 부싱 및 상기 양방향 가압용 부싱을 포함하는 배관 연결용 클램프
KR20070048688A (ko) 관체 연결용 조인트
KR20170128004A (ko) 배관 연결 장치
KR100543019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