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052A -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 - Google Patents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052A
KR20170142052A KR1020160075282A KR20160075282A KR20170142052A KR 20170142052 A KR20170142052 A KR 20170142052A KR 1020160075282 A KR1020160075282 A KR 1020160075282A KR 20160075282 A KR20160075282 A KR 20160075282A KR 20170142052 A KR20170142052 A KR 20170142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member
main clamping
unit
pipe end
clamp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699B1 (ko
Inventor
심영삼
임화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와이락코리아
주식회사 지우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와이락코리아, 주식회사 지우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와이락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75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699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은, 통합챔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 엔드와 그 파이프 엔드를 상기 통합챔버에 결속시켜 주기 위한 너트부재를 구비하여서 유체의 이동경로를 전환 또는 신장시켜 주기 위한 배관 유닛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너트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그 너트부재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클램핑부; 및 상기 메인 클램핑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엔드의 비원형단면부와 상기 너트부재에 인접한 다른 너트부재들 중 어느 하나를 수용시킴으로써 상기 너트부재의 파이프 엔드에 대한 풀림을 방지시키는 풀림방지용 결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Clamp unit for fluid pipeline connection}
본 발명은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합챔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 엔드와 그 파이프 엔드를 통합챔버에 결속시켜 주기 위한 너트부재를 구비하여서 유체의 이동경로를 전환 또는 신장시켜 주기 위한 배관 유닛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통합챔버에 접속되는 복수의 파이프 엔드를 결속시키기 위한 각 너트부재의 풀림을, 다른 풀링방지수단 없이도자체 구조에 기인한 결속력에 의해 방지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체나 액체와 같은 유체를 수송하기 위한 배관 유닛은, 상기 유체의 이동경로를 전환 또는 신장시켜 줄 수 있도록, 유동하는 유체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는 통합챔버와, 상기 통합챔버에 접속되는 복수의 파이프 엔드들 상기 각 파이르 엔드를 상기 통합챔버에 위치고정시켜 주기 위한 너트부재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배관 유닛의 설치 환경 또는 유체 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하여 너트부재의 풀림 현상으로 유체가 유출됨으로써 위험한 상황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너트부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브라켓 등을 배관에 설치하여 두고, 풀림방지부재를 이용하여 너트부재와 브라켓을 연결시켜 주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으나, 별도의 브라켓을 마련하여야 하는 점에서 부품수 및 설치공수 증가로 원가 상승 등을 초래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풀림방지 수단 없이 자체의 구조만으로도 복수의 너트부재들의 풀림을 방지시켜 줄 수 있는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은, 통합챔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 엔드와 그 파이프 엔드를 상기 통합챔버에 결속시켜 주기 위한 너트부재를 구비하여서 유체의 이동경로를 전환 또는 신장시켜 주기 위한 배관 유닛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너트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그 너트부재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클램핑부; 및 상기 메인 클램핑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엔드의 비원형단면부와 상기 너트부재에 인접한 다른 너트부재들 중 어느 하나를 수용시킴으로써 상기 너트부재의 파이프 엔드에 대한 풀림을 방지시키는 풀림방지용 결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림방지용 결속부는,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클램핑부는, 상기 너트부재를 2분할하여 감싸는 제1압착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며, 일측은 상기 제1압착부재에 걸림 결합되고 타측은 볼트 결합되는 제2압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압착부재와 제2압착부재는, 상기 너트부재와의 결속력을 크게 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풀림방지용 결속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 클램핑부와 대칭인 위치에 마련되며, 그 풀림방지용 결속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클램핑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서브 클램핑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풀림방지용 결속부는, 상기 메인 클램핑부와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서브 클램핑부일 수 있고, 상기 메인 클램핑부와 서브 클램핑부를 일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통합챔버에 접속되는 복수의 파이프 엔드를 결속시키기 위한 각 너트부재의 풀림을, 다른 풀링방지수단 없이도 상기 메인 클램핑부와 서브 클램핑부 상호 간의 결속력에 의해 방지시킬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은, 너트부재에 결속되는 메인 클램핑부와 파이프 엔드의 비원형단면부에 결속되는 풀림방지용 결속부를 일체로 형성되게 하여, 다른 풀림방지수단 없이도 자체의 구조만으로도 회전이 불가능한 비원형단면부에 너트부재를 연결시켜 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어서, 부품수 감소 및 시공의 편리함으로 인하여 제품 경쟁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한편, 풀림방지용 결속부가 메인 클램핑부와 이격된 위치에 일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그 메인 클램핑부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되는 서브 클램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클램핑부와 서브 클램핑부가, 인접한 한 쌍의 너트부재들을 서로 구속되게 결속시켜 줌으로써, 제품 자체의 구조만으로 통합 챔버에 접속되는 복수의 파이프 엔드들을 그 통합 챔버에 견고히 연결시켜 주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좌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은, 통합챔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 엔드(E)와 그 파이프 엔드(E)를 상기 통합챔버에 결속시켜 주기 위한 너트부재(N)를 구비하여서 유체의 이동경로를 전환 또는 신장시켜 주기 위한 배관 유닛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메인 클램핑부(1)와 풀림방지용 결속부(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클램핑부(1)는, 상기 너트부재(N)를 감싸는 형태로 그 너트부재(N)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통합챔버에 접속되는 파이프 엔드(E)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된다.
상기 메인 클램핑부(1)는 상기 너트부재(N)을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상기 통합챔버에 결속되는 파이프 엔드(E)가 하나인 경우에는 하나가 마련되고, 둘 이상인 경우에는 각각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야 한다.
상기 풀림방지용 결속부(2)는, 상기 메인 클램핑부(1)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엔드(E)의 비원형 단면부와 상기 너트부재(N)에 인접한 다른 너트부재(N)들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클램프 유닛 자체의 구조만으로도 상기 너트부재(N)의 파이프 엔드(E)에 대한 풀림을 방지시킬 수 있게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유닛이 상기 통합챔버에 접속되는 파이프 엔드(E)가 하나인 타입에 적용되는 사용례에 관한 도면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풀림방지용 결속부(2)가, 상기 파이프 엔드(E)의 비원형 단면부에 대응되는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비원형 단면부에 대한 상대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너트부재(N)에 결속되는 메인 클램핑부(1)와 상기 파이프 엔드(E)의 비원형단면부에 결속되는 풀링방지용 결속부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다른 풀림방지수단 없이도 자체의 구조만으로도 회전이 불가능한 상기 비원형단면부에 상기 너트부재(N)를 연결시켜 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어서, 부품수 감소 및 시공의 편리함으로 인하여 제품 경쟁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상기 메인 클램핑부(1)는, 상기 너트부재(N)를 수용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두 개의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클램핑부(1)는 제1압착부재(11)와 제2압착부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압착부재(11)는 상기 너트부재(N)를 2분할하여 감쌀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압착부재(12)는 상기 제1압착부재(11)와 함께 상기 너트부재(N)를 완전히 감쌀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압착부재(12)는, 일측이 상기 제1압착부재(11)에 걸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압착부재(11)에 볼트 결합됨으로써 상기 너트부재(N)와의 결합 및 분리가 자유롭게 된다. 이러한 제1압착부재(11)와 제2압착부재(12)의 내주면에는, 상기 너트부재(N)와의 결속력을 크게 할 수 있도록, 요철부(111)(1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조에 더하여 서브 클램핑부(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서브 클램핑부(5)는, 풀림방지용 결속부(4)를 사이에 두고 메인 클램핑부(3)와 대칭인 위치에 마련되며, 그 풀림방지용 결속부(4)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클램핑부(3)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는, 통합챔버의 양측에 동일축선 상에 한 쌍의 파이프 엔드들이 각각 접속이 이루어지는 배관 유닛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통합챔버에 마련된 비원형단면부에 풀림방지용 결속부(4)가 결속되고, 그 풀링방지용 결속부(4)를 사이에 두고 대칭인 위치에 마련되는 메인 클램핑부(3)와 서브 클램핑부(5)가 각각 너트부재에 결속됨으로써, 너트부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유닛과는 별개의 풀림방지수단이 요구되지 않고 자체의 구조만으로도 너트부재의 풀림을 방지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메인 클램핑(6)부와 풀림방지용 결속부(7)를 구비하되, 상기 풀림방지용 결속부(7)가 상기 메인 클램핑부(6)와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서브 클램핑부(7)인 타입이 채용되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 클램핑부(6)와 서브 클램핑부(7)를 일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연결시키는 연결부(6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통합챔버에 접속되는 복수의 파이프 엔드를 결속시키기 위한 각 너트부재의 풀림을, 다른 풀링방지수단 없이도 상기 메인 클램핑부(6)와 서브 클램핑부(7) 상호 간의 결속력에 의해 방지시킬 수 있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에 추가하여 하나의 서브 클램핑부(92)가 더 마련되어 있는 구조가 채택되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챔버에 3개의 파이프 엔드가 'T'자 형으로 각도를 형성하면서 접속되는 배관 유닛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메인 클램핑부(8)와 한 쌍의 서브 클램핑부(91)(92)들이 'T'자형의 각도를 이루는 너트부재들을 상호 구속되게 결속됨으로써, 다른 풀림방지수단 없이도 복수의 파이프 엔드들을 통합챔버에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결속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클램핑부 11:제1압착부재
12:제2압착부재 111,121:요철부
2:풀림방지용 결속부 E:파이프 엔드
N:너트부재

Claims (5)

  1. 통합챔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 엔드와 그 파이프 엔드를 상기 통합챔버에 결속시켜 주기 위한 너트부재를 구비하여서 유체의 이동경로를 전환 또는 신장시켜 주기 위한 배관 유닛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너트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그 너트부재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클램핑부; 및
    상기 메인 클램핑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엔드의 비원형단면부와 상기 너트부재에 인접한 다른 너트부재들 중 어느 하나를 수용시킴으로써 상기 너트부재의 파이프 엔드에 대한 풀림을 방지시키는 풀림방지용 결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용 결속부는,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유동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클램핑부는, 상기 너트부재를 2분할하여 감싸는 제1압착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며, 일측은 상기 제1압착부재에 걸림 결합되고 타측은 볼트 결합되는 제2압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압착부재와 제2압착부재는, 상기 너트부재와의 결속력을 크게 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유동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용 결속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 클램핑부와 대칭인 위치에 마련되며, 그 풀림방지용 결속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클램핑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서브 클램핑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용 결속부는, 상기 메인 클램핑부와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서브 클램핑부이며,
    상기 메인 클램핑부와 서브 클램핑부를 일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통합챔버에 접속되는 복수의 파이프 엔드를 결속시키기 위한 각 너트부재의 풀림을, 다른 풀링방지수단 없이도 상기 메인 클램핑부와 서브 클램핑부 상호 간의 결속력에 의해 방지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
KR1020160075282A 2016-06-16 2016-06-16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 KR101916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82A KR101916699B1 (ko) 2016-06-16 2016-06-16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82A KR101916699B1 (ko) 2016-06-16 2016-06-16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52A true KR20170142052A (ko) 2017-12-27
KR101916699B1 KR101916699B1 (ko) 2018-11-09

Family

ID=6093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282A KR101916699B1 (ko) 2016-06-16 2016-06-16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6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716A (ko) * 2018-08-09 2020-02-19 유상길 반도체 배관라인 접속밸브용 락디바이스
KR102307048B1 (ko) * 2021-05-21 2021-10-01 (주)아그루코리아 배관 풀림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162A (ko) 2020-02-13 2021-08-23 한영대학교산학협력단 이음배관 회전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음배관 보수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2055A (ko) * 2005-12-07 2008-08-05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파이프 조인트 로킹 장치
KR20120110296A (ko) * 2011-03-29 2012-10-10 주식회사 동성중공업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KR20150049307A (ko) * 2013-10-30 2015-05-08 정찬호 배관너트 풀림방지용 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2055A (ko) * 2005-12-07 2008-08-05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파이프 조인트 로킹 장치
KR20120110296A (ko) * 2011-03-29 2012-10-10 주식회사 동성중공업 비닐하우스 파이프 연결구
KR20150049307A (ko) * 2013-10-30 2015-05-08 정찬호 배관너트 풀림방지용 클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716A (ko) * 2018-08-09 2020-02-19 유상길 반도체 배관라인 접속밸브용 락디바이스
KR102307048B1 (ko) * 2021-05-21 2021-10-01 (주)아그루코리아 배관 풀림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699B1 (ko) 2018-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699B1 (ko) 유체 수송관 연결용 클램프 유닛
US10107428B2 (en) Clamp for connecting pipe and device for connecting pipe including the same
EP3491277B1 (en) Retaining device for a flexible line
CA2788917A1 (en) Mechanical joint restraint with pipe grip ring assembly
US10352485B2 (en) Pipe connecting device
US11098826B2 (en) Flange assembly
JP6348897B2 (ja) 管継手の管抜止装置
WO2015107962A1 (ja) センサ固定装置
KR20140065794A (ko) 배관용 커플링
US9915377B2 (en) Underwater pip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underwater pipes
KR101821229B1 (ko) 배관 피팅용 고정 장치
KR101452357B1 (ko) 관이음 장치
KR20130033541A (ko) 프레임용 조인트
KR101644889B1 (ko) 배관용 너트 풀림방지장치
KR20150090770A (ko) 플랜지관 이음용 클램프 장치
US9845904B2 (en) Loosening-preventing device for pipe fitting
JP2017207114A (ja) パイプの固定装置
KR102006924B1 (ko) 파이프 연결 장치
KR200475552Y1 (ko) 커플링 볼트헤드 조임장치
KR200407161Y1 (ko) 배관 연결용 조인트
KR20130095452A (ko) 배관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구조
KR200411385Y1 (ko) 상, 하수도관 연결장치
JP2011026816A (ja) パイプ連結クランプ
KR200391294Y1 (ko) 파이프 커플링
JP2016114217A (ja) 配管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