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978B1 -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 Google Patents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978B1
KR101588978B1 KR1020140164837A KR20140164837A KR101588978B1 KR 101588978 B1 KR101588978 B1 KR 101588978B1 KR 1020140164837 A KR1020140164837 A KR 1020140164837A KR 20140164837 A KR20140164837 A KR 20140164837A KR 101588978 B1 KR101588978 B1 KR 101588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otrest
pair
clamp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김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식 filed Critical 김현식
Priority to KR102014016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이나, 건물 등의 구조물 건조시 고소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가설체에 포함되며,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바에 그 발판을 길이방향인 가로방향과 교차되는 세로방향으로 고정하는 한편, 서로 인접하는 발판 간에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FIXING APPARATUS OF SCAFFOLD AND STRUCTURE BODY}
본 발명은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이나, 건물 등의 구조물 건조시 고소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가설체에 포함되며,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바에 그 발판을 길이방향인 가로방향과 교차되는 세로방향으로 고정하는 한편, 서로 인접하는 발판 간에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건물 등의 구조물을 건조할 때 고소작업을 위해 가설체가 설치되며, 그 가설체는 비계나, 족장 등의 발판이 다수 연결되어 작업자에게 통로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설체는 다수의 발판을 연결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발판 간을 상호 중첩되도록 연결한 후, 와이어를 이용하여 세로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발판 간의 사이를 결속해야 하기 때문에 발판의 설치 및 해체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판 간을 연결하는 와이어의 결속 정도가 일률적이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397522호에 따르면, 다수의 발판이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세로방향으로 연속 연결되어 작업자의 안전한 활동공간을 구현하는 건축물 시공용 작업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건축물 시공용 작업대의 경우에는 발판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플랜지와 채널이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발판 자체의 구조를 바꿔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397522호(2003. 08. 2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이나, 건물 등의 구조물 건조시 고소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가설체에 포함되며,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바에 그 발판을 길이방향인 가로방향과 교차되는 세로방향으로 고정하는 한편, 서로 인접하는 발판 간에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판; 및 상기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가설체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을 상기 지지바에 고정하기 위한 발판 고정장치로서,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는 클램핑부; 상기 발판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클램핑부와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부가 상기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결합홈의 둘레를 이루며, 대향되는 한 쌍의 측면클램프; 및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를 연결하는 전면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착부는, 상기 발판에 안착되는 상판; 상기 상판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발판의 측면과 접하면서 그 상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판은, 복수개가 상기 지지바에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세로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발판구조체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판의 양측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일측부가 상기 발판구조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발판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이격부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와 접하면서 그 상판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격부는, 상기 측판 또는 상기 상판 중 적어도 하나의 판에 연결되며, 상기 발판에 접하면서 그 상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발판이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유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판은, 복수개가 상기 지지바에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세로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발판구조체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판의 양측부 사이 중앙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발판구조체를 이루는 발판 간에 위치되고, 상기 상판은, 양측부가 상기 발판 간의 양측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이격부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발판 간에 위치되는 중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앙판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격부는, 상기 한 쌍의 중앙판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클램프는, 상기 결합홈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상기 지지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지지바와 접하는 보강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는, 각각 상부가 상기 전면클램프의 상부보다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고정핀; 및 하단부가 상기 상판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핀에 나사결합되며, 상단부에 머리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판에 안착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단부가 상기 체결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핀과 함께 상기 체결구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는 한편, 하단부가 상기 지지바를 따라 회전되면서 그 지지바에 결속되거나, 그 지지바로부터 결속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판은, 상기 체결구의 하단부가 통과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을 이루는 둘레는, 상기 상판의 상부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머리부가 상기 상판의 상부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이나, 건물 등의 구조물 건조시 고소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가설체에 포함되며,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바에 그 발판이 길이방향인 가로방향과 교차되는 세로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서로 인접하는 발판 간에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판 간의 연결이 획일화됨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빠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와이어에 의한 결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결속 정도가 일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발판구조체를 지지바에 고정한 상태의 가설체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고정장치에서 안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고정장치에서 안착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고정장치에서 상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고정장치에서 체결구의 조절에 따른 클램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발판(110) 및 상기 발판(110)을 지지하는 지지바(120)를 포함하는 가설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110)을 상기 지지바(120)에 고정하기 위한 발판 고정장치(1)로서, 상기 지지바(120)에 결합되는 클램핑부(10), 상기 발판(110)에 안착되는 안착부(20) 및 상기 클램핑부(10)와 상기 안착부(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한다.
상기 가설체(100)는 선박이나, 건물 등의 구조물을 건조할 때 고소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발판(110)은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비계나, 족장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발판(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작업통로 등의 기능을 하는 발판구조체(130)를 이룬다.
상기 지지바(120)는 일반적인 원형 파이프 형태를 이루며, 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연결되어 상기 가설체(100)의 기초골조를 이루는 한편, 상기 발판(110)을 받쳐주면서 상기 발판구조체(1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판(110)은 단수 또는 복수개가 상기 지지바(12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각 발판(110)의 하측에는 상기 지지바(120)가 단수 또는 복수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발판 고정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110)을 받쳐주는 상기 지지바(120)에 그 발판(110)이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발판구조체(130)를 이루는 각 발판(110) 간에 상호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램핑부(10)는 상부가 상기 연결부(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에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11)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11)는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상단부로부터 하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지지바(120)의 둘레를 감싼다.
예를 들면, 상기 클램프(1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가 상기 결합홈(12)의 둘레를 이루는 한 쌍의 측면클램프(13) 및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13)의 전면부를 연결하는 전면클램프(14)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13)는 전,후단부 및 양측면을 가지며, 그 후단부가 상기 결합홈(12)의 둘레를 이루면서 상기 지지바(120)와 접한다.
상기 전면클램프(14)는 전,후면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측단부로부터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13)가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클램프(11)는 상기 전면클램프(14) 및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13)가 일체로 연결되면서 후방이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전면클램프(14)는 횡단면이 일적선 형태를 이루어도 무방하나 양측단부 사이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반원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프(11)는 상기 결합홈(12)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상기 지지바(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지지바(120)와 접하는 보강바(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바(16)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13)의 후면부로부터 대향되는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결합홈(12)을 이루는 둘레의 면적이 증가되도록 하여 상기 클램프(11)가 상기 지지바(1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클램프(11)를 강성보강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13)는 상단부가 상기 전면클램프(14)의 상단부보다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연결부(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안착부(20)는 양측부를 가지며, 그 양측부가 상기 발판(110)의 가로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발판(110)의 일측 또는 타측 상면에 안착되는 상판(21) 및 상기 상판(21)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발판(110)의 측면에 접하면서 그 상판(21)의 유동을 방지하는 이격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0)를 중심으로 양측부 중 일측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발판구조체(13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발판(110)에 안착되거나, 양측부가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발판(110)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판구조체(13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발판은 그 발판구조체(130)의 양측 끝에 배치되는 발판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30)는 일측부가 상기 발판(110)에 안착되는 상기 상판(21)의 타측부에 편심되어 위치되면서 상기 발판구조체(13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발판(110)의 측면에 위치된다. 이때의 상기 발판 고정장치(1)는 상기 발판구조체(13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발판(110)을 상기 지지바(120)에 고정한다.
또는,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상판(21)의 양측부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발판구조체(130)를 이루는 발판(110) 간에 위치된다. 이때의 상기 발판 고정장치(1)는 상기 발판구조체(130)를 이루는 발판(110) 간을 상기 지지바(120)에 고정한다.
상기 이격부(22)는 상기 상판(21)의 타측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120)와 접하면서 그 상판(21)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측판(23) 및 상기 측판(23)이나 상기 상판(21) 중 적어도 하나의 판에 연결되며, 상기 발판(110)에 접하면서 그 상판(21)의 유동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연결부(30)와 상기 발판(110)이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유지판(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23)은 상기 상판(21)의 타측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되며, 하부는 상기 지지바(120)에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그 지지바(120)의 둘레와 동일한 곡면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판(24)은 판 형태를 이루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21)의 전,후단부로부터 각각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또는, 상기 간격유지판(2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23)의 전,후단부으로부터 각각 상기 연결부(3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또는, 상기 간격유지판(2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23)과 상기 상판(21)을 연결하여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내부공간(2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25)으로는 상기 연결부(3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며, 그 내부공간(25)을 이루는 둘레에 의해 상기 연결부(30)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 등이 차단되면서 그 연결부(30)의 풀림 이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발판 고정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구조체(13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발판(110)을 상기 지지바(12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연결부(30)와 상기 발판(110) 간을 이격시킴으로써 그 연결부(30)의 작동이 원활하기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격부(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21)의 전,후면으로부터 각각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중앙판(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21)은 양단부가 각각 서로 인접하는 양측 발판(110)에 안착되며, 상기 한 쌍의 중앙판(26)은 상기 발판구조체(130)를 이루는 발판(110) 간으로 인입되는 한편, 양측이 그 발판(110) 간을 이루는 양측 발판(110)에 각각 인접하거나 접하면서 고정된다.
이로 인해, 상기 발판 고정장치(1)는 상기 발판구조체(130)를 이루는 발판(110) 간을 상기 지지바(12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연결부(30)와 상기 발판(110) 간을 이격시킴으로써 그 연결부(30)의 작동이 원활하기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부(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중앙판(26)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판(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판(28)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상기 발판(110) 간의 사이로 인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중앙판(26)의 변형 등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판(28)은 상기 상판(21) 및 상기 한 쌍의 중앙판(26)과 함께 상,하,전,후면을 차단하면서 양측 방향으로 관통되는 내부공간(27)을 형성하며, 그 내부공간(27)으로는 전술한 상기 내부공간(25)과 같이 상기 연결부(30)가 상,하 방향으로 통과된다.
상기 발판 고정장치(1) 상기 내부공간(27)을 이루는 둘레에 의해 상기 연결부(30)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 등이 차단되면서 그 연결부(30)의 풀림 이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13)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31) 및 상기 고정핀(31)과 나사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클램프(11)가 상기 지지바(120)에 결속되거나, 그 지지바(120)로부터 결속해제되는 체결구(32)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13)는 상부에 상기 고정핀(31)의 양단부가 인입되는 체결공(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31)은 양단부 사이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31a)이 형성되며, 그 중공(31a)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32)은 상부에 머리부(32a)가 형성되고,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볼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21)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21a)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32)는 하부가 상기 결합공(21a)을 통과하여 상기 중공(31a)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머리부(32a)가 상기 결합공(21a)을 통과하지 못하면서 상기 상판(21)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25,27)을 이루는 바닥면에는 상기 체결구(32)의 하단부가 통과되는 하부결합공(25a,27a)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체결구(32)는 직경이 상기 결합공(21a)을 이루는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상판(21)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핀(31)은 상기 체결구(32)의 조임 또는 풀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그 체결구(32)를 따라 승,하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31)은 상기 체결구(32)의 조임회전시 그 체결구(32)를 따라 승강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체결구(32)의 풀림회전시 그 체결구(32)를 따라 하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21)은 상기 결합공(21a)의 외측에 안착되는 상기 머리부(32a)가 상기 상판(2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상판(2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21a)을 이루는 둘레가 하방향으로 함몰되면서 상기 상판(21)의 상부면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이는, 상기 상판(21)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머리부(32a)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걸림사고 등을 방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가압 등에 따라 상기 체결구(32)가 풀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체결구(32)는 하단부에 상기 중공(31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32)의 하단부를 압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는, 상기 고정핀(31)이 상기 클램프(11)에 연결되고, 상기 체결구(32)의 하단부가 상기 중공(31a)을 통과한 상태에서 압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체결구(32)의 조절에 따른 상기 클램프(11)의 작동 상태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판 고정장치(1)는 상기 클램프(11)가 상기 지지바(120)의 전방에 위치된 상태로부터 그 지지바(120)로 이동되어 체결된 후, 상기 안착부(20)를 위치 조정하여 그 지지바(120)의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0)를 위치 조정하여 상기 연결부(30)의 중앙부가 상기 지지바(120)의 중앙부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면, 상기 클램프(11)는 상기 체결구(32)의 조임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핀(31)과 함께 승강되는 동시에 그 고정핀(3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지지바(120)에 결속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클램프(11)는 상기 체결구(32)의 풀림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핀(31)과 함께 하강되는 동시에 그 고정핀(3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지지바(120)로부터 결속해제된다.
이로 인해, 상기 발판 고정장치(1)는 상기 체결구(32)의 조절에 따라 상기 발판(110)을 상기 지지바(12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판 고정장치 10 : 클램핑부
11 : 클램프 12 : 결합홈
13 : 측면클램프 14 : 전면클램프
15 : 체결공 16 : 보강바
20 : 안착부 21 : 상판
22 : 이격부 23 : 측판
24 : 간격유지판 25 : 내부공간
26 : 중앙판 27 : 내부공간
30 : 연결부 31 : 고정핀
32 : 체결구 33 : 스토퍼
100 : 가설체 110 : 발판
120 : 지지바 130 : 발판구조체

Claims (10)

  1. 발판; 및 상기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가설체에 구비되어 상기 발판을 상기 지지바에 고정하기 위한 발판 고정장치로서,
    상기 지지바에 결합되는 클램핑부;
    상기 발판에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클램핑부와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부가 상기 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결합홈의 둘레를 이루며, 대향되는 한 쌍의 측면클램프;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의 전면부를 연결하는 전면클램프; 및
    상기 결합홈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상기 지지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지지바와 접하는 보강바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바는,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의 후면부로부터 대향되는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가 상기 지지바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클램프를 강성보강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발판에 안착되는 상판;
    상기 상판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발판의 측면과 접하면서 그 상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이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는,
    각각 상부가 상기 전면클램프의 상부보다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고정핀; 및
    하단부가 상기 상판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핀에 나사결합되며, 상단부에 머리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판에 안착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구는,
    하단부에 상기 중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클램프는,
    상단부가 상기 체결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핀과 함께 상기 체결구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는 한편,
    하단부가 상기 지지바를 따라 회전되면서 그 지지바에 결속되거나, 그 지지바로부터 결속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복수개가 상기 지지바에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세로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발판구조체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판의 양측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일측부가 상기 발판구조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발판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이격부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와 접하면서 그 상판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측판 또는 상기 상판 중 적어도 하나의 판에 연결되며, 상기 발판에 접하면서 그 상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발판이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유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복수개가 상기 지지바에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세로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발판구조체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판의 양측부 사이 중앙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발판구조체를 이루는 발판 간에 위치되고,
    상기 상판은,
    양측부가 상기 발판 간의 양측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이격부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발판 간에 위치되는 중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판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격부는,
    상기 한 쌍의 중앙판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체결구의 하단부가 통과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을 이루는 둘레는,
    상기 상판의 상부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머리부가 상기 상판의 상부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장치.
  10.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6항,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발판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체.
KR1020140164837A 2014-11-24 2014-11-24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KR101588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837A KR101588978B1 (ko) 2014-11-24 2014-11-24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837A KR101588978B1 (ko) 2014-11-24 2014-11-24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978B1 true KR101588978B1 (ko) 2016-01-28

Family

ID=55309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837A KR101588978B1 (ko) 2014-11-24 2014-11-24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155A (ko) * 2017-09-13 2019-03-21 이상식 강교용 가설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비계 설치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522B1 (ko) 2000-01-20 2003-09-13 이송귀 건축물 시공용 작업대
KR20110046903A (ko) * 2009-10-29 2011-05-06 한성완 결속용 클램프
KR101353248B1 (ko) * 2013-07-26 2014-01-20 김현식 발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522B1 (ko) 2000-01-20 2003-09-13 이송귀 건축물 시공용 작업대
KR20110046903A (ko) * 2009-10-29 2011-05-06 한성완 결속용 클램프
KR101353248B1 (ko) * 2013-07-26 2014-01-20 김현식 발판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155A (ko) * 2017-09-13 2019-03-21 이상식 강교용 가설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비계 설치공법
KR102127345B1 (ko) 2017-09-13 2020-06-26 이상식 강교용 가설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비계 설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248B1 (ko) 발판 고정장치
KR101817962B1 (ko) 안전작업대 모듈
KR101588984B1 (ko)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KR20190008053A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1194299B1 (ko) 족장 및 작업대 설치를 위한 구속 치구
KR101588978B1 (ko)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KR101588868B1 (ko)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KR20190014789A (ko) 발판 지지 장치
JP2018087450A (ja) 支柱装置
JP3850306B2 (ja) ベランダ手摺り用足場板支持装置
KR101748523B1 (ko) 발판 고정장치용 클램프장치
KR101781744B1 (ko)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KR101515182B1 (ko) 가시설 비계
KR200491378Y1 (ko) 안전 발판의 지지대 및 비계
KR101748522B1 (ko)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
KR101931581B1 (ko)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
KR101748521B1 (ko) 발판 고정장치용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발판 고정장치
JP5978005B2 (ja) ブレース取付構造
JP3188959U (ja) 踏板隙間カバー
KR102598628B1 (ko) 철근 배치구조에 대응하여 배치구조 조정 가능한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착방법
KR20150117948A (ko) 선박용 작업대
KR200482196Y1 (ko) 족장판 클램프
KR101355824B1 (ko) 클램프
JP3178904U (ja) 足場用先行手すり
JP3113422U (ja) 足場用の巾木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