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522B1 -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522B1
KR101748522B1 KR1020160001275A KR20160001275A KR101748522B1 KR 101748522 B1 KR101748522 B1 KR 101748522B1 KR 1020160001275 A KR1020160001275 A KR 1020160001275A KR 20160001275 A KR20160001275 A KR 20160001275A KR 101748522 B1 KR101748522 B1 KR 101748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foot
footres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923A (ko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김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식 filed Critical 김현식
Priority to KR102016000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5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단부가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지바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지지되는 발판의 일측 또는 서로 인접하는 발판 간에 안착되어 그 지지바에 결합되는 클램프와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되면서 그 발판이 지지바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발판 고정장치를 이루는 한편, 그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SUSPENSION DEVICE FOR FIXING DEVICE OF SCAFFOLD}
본 발명은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단부가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지바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지지되는 발판의 일측 또는 서로 인접하는 발판 간에 안착되어 그 지지바에 결합되는 클램프와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되면서 그 발판이 지지바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발판 고정장치를 이루는 한편, 그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건물 등의 구조물을 건조할 때 고소작업을 위해 가설체가 설치되며, 그 가설체는 비계나, 족장 등의 발판이 다수 연결되어 작업자에게 통로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설체는 다수의 발판을 연결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발판 간을 상호 중첩되도록 연결한 후, 와이어를 이용하여 세로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발판 간의 사이를 결속해야 하기 때문에 발판의 설치 및 해체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판 간을 연결하는 와이어의 결속 정도가 일률적이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397522호에 따르면, 다수의 발판이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세로방향으로 연속 연결되어 작업자의 안전한 활동공간을 구현하는 건축물 시공용 작업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건축물 시공용 작업대의 경우에는 발판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플랜지와 채널이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발판 자체의 구조를 바꿔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397522호(2003. 08. 2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단부가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지바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지지되는 발판의 일측 또는 서로 인접하는 발판 간에 안착되어 그 지지바에 결합되는 클램프와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되면서 그 발판이 지지바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발판 고정장치를 이루는 한편, 그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단부가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지바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지지되는 발판의 일측 또는 서로 인접하는 발판 간에 안착되어 그 지지바에 결합되는 클램프와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되면서 발판 고정장치를 이루는 지지장치로써, 상기 발판에 안착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바 또는 상기 발판에 접하면서 그 상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판은, 양측부를 가지며, 일측부가 상기 발판의 일측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이격부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와 접하면서 그 상판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측판은, 상기 상판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격부는, 상기 측판에 연결되며, 상기 발판에 접하면서 그 상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간격유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측판은, 표면에 강성보강을 위한 복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하부면이 상방향으로 함몰되는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판은, 양측부를 가지며, 그 양측부가 상기 발판 간의 양측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이격부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발판 간으로 인입되는 한편, 양측이 그 발판 간을 이루는 양측 발판에 인접하거나, 접하는 중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장치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고정핀; 및 상기 상판과 상기 고정핀을 연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상부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판에는, 상기 체결구가 통과되면서 상기 클램프와 연결되도록 하는 결합공 및 배수를 위한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체결구는, 상기 상판에 안착되는 머리부; 및 상단부는 상기 머리부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결합공을 통과하여 상기 중공에 나사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판은, 상기 결합공을 이루는 둘레가 상부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머리부의 돌출 정도가 그 상부면에 위치될 때보다 상대적으로 적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단부가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지바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지지되는 발판의 일측 또는 서로 인접하는 발판 간에 안착되어 그 지지바에 결합되는 클램프와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되면서 그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바에 그 발판을 길이방향인 가로방향과 교차되는 세로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서로 인접하는 발판 간이 상호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발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에서 이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발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이하 "지지장치"라 한다)(1)는 양단부가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지바(210)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지지되는 발판(220)의 일측 또는 서로 인접하는 발판(220) 간에 안착되어 그 지지바(210)에 결합되는 클램프(110)와 연결장치(120)에 의해 연결되면서 발판 고정장치(100)를 이루는 지지장치로써, 상기 발판(220)에 안착되는 상판(10) 및 상기 상판(10)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바(210) 또는 상기 발판(220)에 접하면서 그 상판(10)의 유동을 방지하는 이격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발판(2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210)에 의해 지지되면서 선박이나, 건물 등의 구조물을 건조할 때 고소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가설체(200)를 이룬다.
상기 발판(220)은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비계나, 족장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발판(220)은 복수개가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작업통로 등의 기능을 하는 발판구조체(230)를 이룬다.
상기 지지바(210)는 일반적인 원형 파이프 형태를 이루며, 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연결되어 상기 가설체(200)의 기초골조를 이루는 한편, 상기 발판(220)을 받쳐주면서 상기 발판구조체(2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판(220)은 단수 또는 복수개가 상기 지지바(21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각 발판(220)의 하측에는 상기 지지바(210)가 단수 또는 복수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220)의 일측 또는 서로 인접하는 발판(220) 간에 안착되어 상기 연결장치(120)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클램프(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여기서, 발판(220)의 일측은 상기 발판 구조체(230)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발판(220)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발판(220) 간은 상기 발판 구조체(230)를 이루며 서로 인접하는 양측 발판(220)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발판 고정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220)을 받쳐주는 상기 지지바(210)에 그 발판(220)이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발판구조체(230)를 이루는 각 발판(220) 간에 상호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장치(120)는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중공(121a)이 형성되는 고정핀(121) 및 상기 상판(10)과 상기 고정핀(121)을 연결하는 체결구(122)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110)는 상부에 체결공(111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결합홈(111b)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클램프(111) 및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111)를 연결하는 연결클램프(112)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홈(111b)은 상기 지지바(210)와 대향되는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111)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클램프(112)는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111)의 타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클램프(111) 및 상기 연결클램프(112)는 금속판재에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동일면 상태로 제작된 후, 절곡 또는 굽힘 가공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122)는 상기 상판(10)에 안착되는 머리부(123) 및 상단부는 상기 머리부(123)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상판(10)을 통과하여 상기 중공(121a)에 나사결합되는 몸체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머리부(123)는 상기 몸체부(124)가 이루는 둘레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형 또는 육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체결구(122)는 하단부에 상기 중공(121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25)는 상기 체결구(122)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중공(121a)을 통과한 상태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상판(10)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부를 가지며, 그 양측부 사이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며, 상기 체결구(122)의 하단부가 통과되는 결합공(11)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10)은 상부면에 빗물 등이 고이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상판(10)에는 빗물 등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12)이 형성되거나, 상부면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체결구(122)는 상기 몸체부(124)의 하단부가 상기 결합공(11)을 통과하여 상기 중공(121a)에 나사결합되는 한편, 상기 머리부(123)가 상기 결합공(11)을 통과하지 못하면서 상기 상판(10)에 안착된다.
상기 클램프(110)는 상부가 상기 체결구(122)의 조임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핀(121)과 함께 승강되는 동시에 하부가 그 고정핀(121)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바(21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지지바(210)에 결속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클램프(110)는 상기 체결구(122)의 풀림회전에 따라 상부가 상기 고정핀(121)과 함께 하강되는 동시에 하부가 그 고정핀(121)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바(210)가 위치되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지지바(210)로부터 결속해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장치(120)는 상기 체결구(122)의 조절에 따라 상기 클램프(110)가 상기 지지바(210)에 결속되도록 하거나, 그 지지바(210)로부터 결속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판 고정장치(100)는 상기 체결구(122)의 조절에 따라 상기 발판(220)을 상기 지지바(21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판(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11)을 이루는 둘레가 하방향으로 함몰되면서 상기 상판(10)의 상부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결합공(11)의 외측에 안착되는 상기 머리부(123)의 돌출 정도가 상기 상판(10)의 상부면에 안착될 때보다 상대적으로 적게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기 머리부(123)는 상기 상판(10)의 상부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거나, 그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장치(1)는 상기 상판(10)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머리부(123)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걸림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은 것은 물론, 외부로부터의 가압 등에 따라 상기 체결구(122)가 풀림되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판(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상기 발판구조체(23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발판(220)에 안착되거나, 양측부가 각각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발판(22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발판 고정장치(100)가 상기 발판구조체(23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발판(220)을 상기 지지바(210)에 고정하는 경우, 상기 상판(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220)에 안착되고, 상기 연결장치(120)는 그 상판(10)과 상기 지지바(210)에 결합되는 상기 클램프(110)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발판 고정장치(100)가 상기 발판구조체(230)를 이루는 발판(220) 간을 상기 지지바(210)에 고정하는 경우, 상기 상판(10)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부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발판(220)의 양측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연결장치(120)는 그 상판(10)과 상기 지지바(210)에 결합되는 상기 클램프(110)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발판 고정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구조체(23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발판(220)을 상기 지지바(210)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발판구조체(230)를 이루는 발판(220) 간을 상기 지지바(2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상판(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상기 발판(220)의 일측에 안착되며, 상기 이격부(20)는 상기 결합공(11)을 중심으로 상기 상판(10)의 타측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210)와 접하면서 그 상판(10)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측판(21) 및 상기 측판(21)이나 상기 상판(10) 중 적어도 하나의 판에 연결되며, 상기 발판(220)에 접하면서 그 상판(10)의 유동을 방지하는 간격유지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발판 고정장치(100)는 상기 발판(220)의 일측을 상기 지지바(210)에 고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측판(21)은 상기 상판(10)의 타측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지지바(210)에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그 지지바(210)의 둘레와 동일한 곡면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판(21)은 상기 상판(10)과 일체로 연결되거나, 힌지축(23)에 의해 상,하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는 상기 상판(10)과 상기 측판(21)이 상기 힌지축(23)에 의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두 개의 판(10,21) 중 어느 하나의 판의 변형에 따른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장치(1)는 상기 발판(220)의 높이가 54mm 내지 57mm로 이루어지는 등에 따른 변화에 따라 상기 힌지축(23)을 중심으로 상기 측판(21)을 회전시킬 수 있음으로써 그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지지바(210)와의 연결상태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측판(21)은 하부에 상기 지지바(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턱(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턱(24)은 상기 지지바(210)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측판(21)의 하부를 강성보강한다.
그리고, 상기 측판(21)에는 강성보강을 위한 보강리브(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5)는 상기 측판(21)으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며, 복수로 이루어져 가로, 세로방향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판(22)은 상기 연결장치(120)와 상기 발판(220) 간이 이격되도록 하여 그 연결장치(120)의 작동이 원활하기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간격유지판(22)은 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측판(21)으로부터 상기 발판(220)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간격유지판(22)은 타측이 상기 측판(21)에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발판(22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발판(220)과 접한다.
상기 간격유지판(22)에는 상기 체결구(122)의 하단부가 통과되는 관통공(2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판(21)에는 상기 발판 고정장치(1)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한 단수 또는 복수의 구멍(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1)는 상기 측판(21)에 상기 구멍(21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장치(1)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가설체(200)를 이루는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발판 고정장치(100)는 상기 발판구조체(23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발판(220)을 상기 지지바(210)에 고정하는 경우, 상기 상판(10)의 일측이 상기 발판구조체(23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발판(220)에 안착되고, 상기 측판(21)이 상기 지지바(210)에 안착되며, 상기 간격유지판(22)이 그 발판(220)에 접하면서 상기 발판(220)을 상기 지지바(21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10)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부가 서로 인접하는 발판(220) 간에 안착되고, 상기 이격부(20)는 상부가 상기 상판(10)에 연결되고 하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1)을 중심으로 전,후에 위치되는 한 쌍의 중앙판(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발판 고정장치(100)는 상기 발판(220) 간을 상기 지지바(210)에 고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중앙판(26)은 상기 상판(10)의 전,후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21)은 양단부가 각각 서로 인접하는 양측 발판(220)에 안착되며, 상기 한 쌍의 중앙판(26)은 상기 발판구조체(230)를 이루는 발판(220) 간으로 인입되는 한편, 양측이 그 발판(220) 간을 이루는 양측 발판(220)에 각각 인접하거나, 접한다.
상기 한 쌍의 중앙판(26)은 각각 하부에 상방향으로 함몰되는 홈부(26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26a)는 파지시 손가락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지지장치(1)에 대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무게를 감소시켜 가설체(200)를 이루는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발판 고정장치(100)는 상기 발판구조체(230)의 상기 발판(220) 간을 상기 지지바(210)에 고정하는 경우, 상기 상판(10)의 양측이 상기 발판(220) 간을 이루는 양측 발판에 안착되고, 상기 한 쌍의 중앙판(26)이 그 발판(220) 간으로 인입됨으로써 상기 발판(220) 간을 상기 지지바(21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지지장치 10 : 상판
11 : 결합공 12 : 배수공
20 : 이격부 21 : 측판
21a : 구멍 22 : 간격유지판
23 : 힌지축 24 : 지지턱
25 : 보강리브 26 : 중앙판
26a : 홈부 100 : 발판 고정장치
110 : 클램프 111 : 측면클램프
111a : 체결공 111b : 결합홈
112 : 연결클램프 120 : 연결장치
121 : 고정핀 121a : 중공
122 : 체결구 123 : 머리부
124 : 몸체부 125 : 스토퍼
200 : 가설체 210 : 지지바
220 : 발판 230 : 발판구조체

Claims (8)

  1. 양단부가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지바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지지되는 발판의 일측 또는 서로 인접하는 발판 간에 안착되어 그 지지바에 결합되는 클램프와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되면서 발판 고정장치를 이루는 지지장치로써,
    상기 발판에 안착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바 또는 상기 발판에 접하면서 그 상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이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양측부를 가지며, 일측부가 상기 발판의 일측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이격부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와 접하면서 그 상판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측판; 및
    상기 측판에 연결되며, 상기 발판에 접하면서 그 상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간격유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상기 상판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
  4. 삭제
  5. 제1항 있어서,
    상기 측판은,
    표면에 강성보강을 위한 복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하부면이 상방향으로 함몰되는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
  6. 양단부가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지바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지지되는 발판의 일측 또는 서로 인접하는 발판 간에 안착되어 그 지지바에 결합되는 클램프와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되면서 발판 고정장치를 이루는 지지장치로써,
    상기 발판에 안착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바 또는 상기 발판에 접하면서 그 상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이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양측부를 가지며, 그 양측부가 상기 발판 간의 양측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이격부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발판 간으로 인입되는 한편, 양측이 그 발판 간을 이루는 양측 발판에 인접하거나, 접하는 중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고정핀; 및
    상기 상판과 상기 고정핀을 연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상부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판에는,
    상기 체결구가 통과되면서 상기 클램프와 연결되도록 하는 결합공 및 배수를 위한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상판에 안착되는 머리부; 및
    상단부는 상기 머리부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결합공을 통과하여 상기 중공에 나사결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판은,
    상기 결합공을 이루는 둘레가 상부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머리부의 돌출 정도가 그 상부면에 위치될 때보다 상대적으로 적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
KR1020160001275A 2016-01-05 2016-01-05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 KR101748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275A KR101748522B1 (ko) 2016-01-05 2016-01-05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275A KR101748522B1 (ko) 2016-01-05 2016-01-05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853A Division KR101588868B1 (ko) 2014-11-24 2014-11-24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923A KR20160061923A (ko) 2016-06-01
KR101748522B1 true KR101748522B1 (ko) 2017-06-20

Family

ID=5613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275A KR101748522B1 (ko) 2016-01-05 2016-01-05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5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248B1 (ko) * 2013-07-26 2014-01-20 김현식 발판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522B1 (ko) 2000-01-20 2003-09-13 이송귀 건축물 시공용 작업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248B1 (ko) * 2013-07-26 2014-01-20 김현식 발판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923A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3625B2 (ja) 型枠支持構造のためのアダプタ
US10808393B2 (en) Method for forming a plurality of beams connected in series
JP2017025692A (ja) 安全サポート
KR101353248B1 (ko) 발판 고정장치
KR101748522B1 (ko) 발판 고정장치용 지지장치
KR101588984B1 (ko)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KR101974725B1 (ko) 시스템 동바리
CN110644751B (zh) 一种防倾倒脚手架
KR101588868B1 (ko)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KR200420504Y1 (ko) 거푸집 지지장치
JP6340715B2 (ja) 補助手すり
KR101588978B1 (ko)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JP2018087450A (ja) 支柱装置
JP5800780B2 (ja) 枕木用固定具および安全帯支持装置
KR20110098343A (ko) 건물 외측 설치가 용이한 가설 작업대 및 가설 작업대 설치 구조
KR101748523B1 (ko) 발판 고정장치용 클램프장치
JP6663726B2 (ja) 吊り足場板の吊下げ金具
KR101748521B1 (ko) 발판 고정장치용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발판 고정장치
KR101995508B1 (ko) 접이식 비계
JP6912093B2 (ja) 支持具
JP3188959U (ja) 踏板隙間カバー
US9085910B2 (en) Plaster ceiling support device
CN215439333U (zh) 一种结构稳定的锅炉辅助用大板梁
KR102217613B1 (ko) 데크 난간대
KR200417288Y1 (ko) 조적 벽체의 보강공사용 보조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