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508B1 - 접이식 비계 - Google Patents

접이식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508B1
KR101995508B1 KR1020180025191A KR20180025191A KR101995508B1 KR 101995508 B1 KR101995508 B1 KR 101995508B1 KR 1020180025191 A KR1020180025191 A KR 1020180025191A KR 20180025191 A KR20180025191 A KR 20180025191A KR 101995508 B1 KR101995508 B1 KR 101995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s
pipe
vertical
ladder
detachab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1658A (ko
Inventor
이정석
이동락
Original Assignee
(주)세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일시스 filed Critical (주)세일시스
Priority to KR1020180025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5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비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1,2 베이스바; 상기 베이스바들의 각 양단부에 구비되는 롤러유닛; 상기 제1,2 베이스바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2 수직프레임;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수직 방향 중간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한쪽인 앞쪽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발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사다리;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하단 앞쪽과 뒤쪽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2 수직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는 두 개의 지지용 착탈연결관;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앞쪽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용 착탈연결관;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뒤쪽 상단과 중간부분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제1,2 수직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되, 접힘이 가능한 두 개의 절첩가능형 연결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펼침과 접음이 가능하도록 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을 쉽고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보관 장소를 적게 차지하며, 또한 작업자가 작업시 혼자서 작업을 안전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비계{FOLDING TYPE SCAFFOLD}
본 발명은 접이식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역사의 내부 조명등을 교체하거나 내부를 청소하거나 수리할 때 접이식 사다리를 벌려 바닥에 지지해 놓고 한 명의 작업자가 사다리를 잡고 다른 한 명의 작업자가 그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작업을 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접이식 사다리를 바닥에 지지해 놓고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접이식 사다리를 바닥에 벌려 놓고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작업을 하게 되므로 작업이 불안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 위치를 이동할 때마다 접이식 사다리를 옮겨 작업하게 되므로 작업이 불편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단에 바퀴들이 구비된 비계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비계를 열차철로 맞은 편 장소로 이동시 비계가 개표구에 걸려 비계의 위치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0404호(2003. 01. 14. 공고일)(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에는 절첩식 비계 겸용 사다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절첩이 가능하여 운반이 편리하나 사다리 형태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시 작업자의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면 넘어질 위험이 있어 다른 작업자가 사다리를 잡아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0997호(2006. 03. 03. 공고일)(이하, 선행기술 2라 함)에는 건축용 비계틀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2는 작업자가 발판에 올라가 작업시 파이프들에 의해 둘러싸여져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으나, 작업자가 발판의 한쪽으로 작업할 경우 건축용 비계틀이 넘어질 위험이 있고, 또한 작업 장소를 옮길 때 건축용 비계틀을 옮기기가 어렵고, 특히 지하철의 승강장에서 작업시 개표구를 통과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펼침과 접음이 가능하도록 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을 쉽고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보관 장소를 적게 차지하는 접이식 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작업시 혼자서 작업을 안전하게 하는 접이식 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1,2 베이스바; 상기 베이스바들의 각 양단부에 구비되는 롤러유닛; 상기 제1,2 베이스바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2 수직프레임;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수직 방향 중간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한쪽인 앞쪽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발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사다리;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하단 앞쪽과 뒤쪽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2 수직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는 두 개의 지지용 착탈연결관;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앞쪽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용 착탈연결관;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뒤쪽 상단과 중간부분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제1,2 수직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되, 접힘이 가능한 두 개의 절첩가능형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2 베이스바는 수평으로 위치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양단에 각각 절곡 연장되며 그 단부에 상기 롤러유닛이 결합되는 경사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지지부는 상기 직선부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30도에서 60도 사이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비계가 제공된다.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은 각각 상기 베이스바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되, 서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두 개의 수직지주관과, 상기 두 개의 수직지주관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두 개의 수직지주관의 간격을 유지하는 상부수평연결관과, 상기 두 개의 수직지주관의 중간부를 연결하여 상기 두 개의 수직지주관의 간격을 유지하는 중간부수평연결관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이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에 수평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의 양단부는 제1,2 수직프레임의 중간부수평연결관에 각각 걸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중간부수평연결관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두 개의 수직지주관의 하단부에 하단부수평연결관이 연결되어 상기 두 개의 수직지주관의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발판의 한쪽을 상기 중간부수평연결관에서 분리하여 그 분리된 발판의 한쪽이 상기 하단부수평연결관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수평연결관과 중간부수평연결관은 각각 설정된 길이를 갖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수직지주관이 내부에 삽입되어 압착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에 삽입되어 압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부의 내주면에 복수 개의 환형홈들이 구비되어 그 환형홈들에 수직지주관의 일부분이 가압 밀착되고,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원호홈이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가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은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메인받침관과, 상기 두 개의 메인받침관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양단이 각각 상기 두 개의 메인받침관에 연결되는 두 개의 보조받침관과, 상기 두 개의 메인받침관과 두 개의 보조받침관위에 위치하는 고무재질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을 메인받침관과 보조받침관에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의 메인받침관에 상기 사다리의 한쪽이 걸리도록 바닥판의 일측에 개구홈이 구비되어 그 개구홈으로 메인받침관의 일부분이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첩가능형 연결관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두 개의 하프파이프와, 상기 두 개의 하프파이프 양단을 연결하여 상기 두 개의 하프파이프를 직선으로 위치시키거나 서로 평행하게 위치시키는 절첩형 연결유닛과, 상기 두 개의 하프파이프의 각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형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첩형 연결유닛은 한 개의 하프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다른 한 개의 하프파이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2 연결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과,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착탈되는 락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형 연결유닛은 상기 하프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1 연결구와 하프파이프의 단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와, 상기 제1 연결구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2 수직프레임 중 한 개의 수직프레임이 관통 결합되어 수직프레임의 일부분이 가압 고정되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베이스바는 각각 사각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1,2 베이스바가 각각 경사지지부가 구비되고 그 경사지지부들의 각 하부에 롤러유닛이 구비되고 제1,2 베이스바의 각 직선부 양단에 각각 제1,2 수직프레임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수직 방향에서 볼 때 롤러유닛들이 제1,2 수직프레임에 장착된 발판의 외측으로 위치하게 되어 작업자가 발판의 한쪽에서 작업할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에 작업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1,2 수직프레임의 상부수평연결관들과 위쪽의 절첩가능형 연결관과 개폐용 착탈연결관에 의해 작업자가 둘러싸이게 되므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작업자 혼자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접거나 펼침이 가능하게 되어 보관시 보관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되고, 지하철 역사에서 맞은편 승강장으로 이동시 개표구에 걸리지 않고 쉽게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 수직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발판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발판의 일부분에 사다리의 한쪽이 걸려 고정되므로 사다리를 장착하는 구조가 간단하며, 특히 발판의 바닥판에 사다리의 한쪽이 걸리는 메인받침관이 노출되도록 개구홈이 구비되는 경우 사다리가 발판에 걸린 상태에서 돌출되는 부분을 배제하게 되어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발판에 올라갈 때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2 베이스바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수평연결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발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발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절첩가능형 연결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절첩가능형 연결관을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의 일실시예는, 제1,2 베이스바(10)(20), 롤러유닛(R), 제1,2 수직프레임(30)(40), 발판(50), 사다리(60), 지지용 착탈연결관(70), 개폐용 착탈연결관(80), 절첩가능형 연결관(90)을 포함한다.
제1,2 베이스바(10)(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위치한다. 제1 베이스바(10)는 수평으로 위치하는 직선부(11)와, 그 직선부(11)의 양단에 각각 절곡 연장되는 경사지지부(12)를 포함한다. 경사지지부(12)의 경사각(A)은 직선부(11)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30도에서 60도 사이로 절곡된다. 경사지지부(12)의 경사각은 바람직하게 45도이다. 제1 베이스바(10)는 사각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선부(11)의 양쪽에 위치하는 경사지지부(12)의 단부에 롤러유닛(R)이 구비된다. 제2 베이스바(20)는 제1 베이스바(10)와 같이 수평으로 위치하는 직선부(21)와, 그 직선부(21)의 양단에 각각 절곡 연장되는 경사지지부(22)를 포함한다. 제2 베이스바(20)는 제1 베이스바(10)와 같은 형상과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롤러유닛(R)은 제1,2 베이스바(10)(20)의 각 양단부에 구비되어 제1,2 베이스바(10)(20)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베이스바(10)의 직선부(11) 양쪽에 각각 구비된 경사지지부(12)의 단부에 설치되고, 제2 베이스바(20)의 직선부(21) 양쪽에 각각 구비된 경사지지부(22)의 단부에 설치된다. 롤러유닛(R)은 회전하는 롤러를 포함한다.
제1,2 수직프레임(30)(40)은 각각 제1,2 베이스바(10)(20)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다. 즉, 제1 수직프레임(30)은 제1 베이스바(10)에 위치하고 제2 수직프레임(40)은 제2 베이스바(20)에 위치한다. 제1 수직프레임(30)의 일예로, 제1 수직프레임(30)은 제1 베이스바(10)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되, 서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두 개의 수직지주관(31)과, 그 두 개의 수직지주관(31)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두 개의 수직지주관(31)의 간격을 유지하는 상부수평연결관(32)과, 두 개의 수직지주관(31)의 중간부를 연결하여 두 개의 수직지주관(31)의 간격을 유지하는 중간부수평연결관(33)을 포함한다. 중간부수평연결관(33) 아래에 위치하도록 두 개의 수직지주관(31)의 하단부에 하단부수평연결관(34)이 연결되어 두 개의 수직지주관(31)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수평연결관(32)과 중간부수평연결관(33) 사이에 보조수평연결관(35)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부수평연결관(32), 중간부수평연결관(33), 하단부수평연결관(34), 보조수평연결관(35)은 각각,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된 길이를 갖는 파이프(1)와, 그 파이프(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구(2)를 포함하며, 그 연결구(2)는 수직지주관(31)이 내부에 삽입되어 압착되는 관부(2a)와, 그 관부(2a)의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며 파이프(1)에 삽입되어 압착되는 연결부(2b)를 포함하며, 관부(2a)의 내주면에 복수 개의 환형홈들이 구비되어 그 환형홈들에 수직지주관(31)의 일부분이 가압 밀착되고, 연결부(2b)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원호홈이 구비되어 파이프(1)가 가압된다.
제2 수직프레임(40)은 제1 수직프레임(30)과 같이, 두 개의 수직지주관(41), 상부수평연결관(42), 중간부수평연결관(43), 하단부수평연결관(44), 보조수평연결관(45)을 포함한다. 제2 수직프레임(40)은 제1 수직프레임(30)의 구성 및 크기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50)은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수직 방향 중간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발판(50)의 일예로, 발판(50)은, 도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며 제1,2 수직프레임(30)(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메인받침관(51)과, 그 두 개의 메인받침관(51)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양단이 각각 두 개의 메인받침관(51)에 연결되는 두 개의 보조받침관(52)과, 두 개의 메인받침관(51)과 두 개의 보조받침관(52)위에 위치하는 바닥판(53)과, 그 바닥판(53)을 메인받침관(51)과 보조받침관(52)에 체결하는 체결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메인받침관(51)은 파이프(3)와, 그 파이프(3)의 양단에 결합되는 걸개부재(4)를 포함한다. 걸개부재(4)는 관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홈이 구비되고 그 삽입홈의 내벽에 락부재(5)가 구비된다. 걸개부재(4)의 삽입홈에 관이 삽입되면 락부재(5)가 그 관을 고정하고 락부재(5)를 누르면 그 고정이 해제된다. 바닥판(53)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다리(60)의 한쪽이 메인받침관(51)에 걸리도록 바닥판(53)의 한쪽에 사각 개구홈(53a)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바닥판(53)은 고무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50)이 제1,2 수직프레임(30)(40)에 수평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발판(50)의 양단부는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중간부수평연결관(33)(43)에 각각 걸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부수평연결관(33)(43)과 하단부수평연결관(34)(44) 사이의 거리는 발판(50)의 메인받침관(51)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 걸개부재(4)들의 거리와 같다.
사다리(60)는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한쪽인 앞쪽에 위치하도록 발판(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 발명의 접이식 비계가 놓여지는 바닥에 지지된다. 사다리(60)는 작업자가 발판(50)으로 올라갈 때 밟고 올라가거나 발판(50)에서 내려올 때 밟고 내려온다. 사다리(60)의 일예로, 사다리(60)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두 개의 메인관(61)과, 그 두 개의 메인관(61)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각각 위치하되, 그 두 개의 메인관(61)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 개의 지지판(62)들을 포함한다. 메인관(61)의 한쪽 단부에는 걸개부재(4)가 구비되어 그 걸개부재(4)가 발판(50)의 메인받침관(5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두 개의 메인관(61)에 사다리지지대(6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사다리지지대(63)는 두 개의 메인관(6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지지관(63a), 그 두 개의 지지관(63a)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걸개부재(4)와, 두 개의 지지관(63a)을 연결하여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관(63b)을 포함한다. 사다리지지대(63)로 사다리(60)를 지지할 때 두 개의 지지관(63a)을 회전시켜 메인관(61)에 수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걸개부재(4)들을 후술될 지지용 착탈연결관(70)에 걸어 사다리(60)를 지지하게 되고, 사다리(60)를 지지하지 않을 경우 걸개부재(4)들을 지지용 착탈연결관(70)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회전시켜 사다리(60)의 메인관(61)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시킨다. 두 개의 메인관(61)의 하단부에 고정대(6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사다리지지대(63)가 사다리(60)의 메인관(61)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사다리지지대(63)가 고정되도록 사다리지지대(63)의 걸개부재(4)들을 고정대(64)에 걸어 고정하게 된다.
지지용 착탈연결관(70)은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하단 앞쪽과 뒤쪽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간격을 유지한다. 지지용 착탈연결관(70)은 설정된 길이를 갖는 파이프(3)와 그 파이프(3)의 양단에 결합되는 걸개부재(4)를 포함한다. 걸개부재(4)는 위에서 설명한 걸개부재(4)와 구성이 같다. 지지용 착탈연결관(70)의 한쪽 걸개부재(4)는 제1 수직프레임(30)의 수직지주관(3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한쪽 걸개부재(4)는 제2 수직프레임(40)의 수직지주관(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용 착탈연결관(70)은 하단부수평연결관(34)(44)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용 착탈연결관(80)은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앞쪽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용 착탈연결관(80)은 지지용 착탈연결관(70)과 구성이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절첩가능한 연결관(90)은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뒤쪽 상단과 중간부분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간격을 유지하되, 접힘이 가능하다. 절첩가능한 연결관(90)의 일예로, 절첩가능형 연결관(90)은, 도 8,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두 개의 하프파이프(91)와, 그 두 개의 하프파이프(91) 양단을 연결하여 두 개의 하프파이프(91)를 직선으로 위치시키거나 서로 평행하게 위치시키는 절첩형 연결유닛(C1)과, 그 두 개의 하프파이프(91)의 각 단부에 결합되어 제1,2 수직프레임(30)(40)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형 연결유닛(C2)을 포함한다. 절첩형 연결유닛(C1)은 한 개의 하프파이프(91)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92)와, 다른 한 개의 하프파이프(91)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93)와, 제1,2 연결부재(92)(93)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94)과, 제1 연결부재(92)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되, 스프링(95)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며 제2 연결부재(93)가 착탈되는 락부재(96)를 포함한다. 두 개의 하프파이프(91)를 직선상으로 위치시킬 경우 락부재(95)의 상부를 아래로 가압하여 락부재(95)를 제2 연결부재(93) 쪽으로 밀게 되면 락부재(95)의 일부분이 제2 연결부재(93)에 걸려 제1,2 연결부재(92)(93)가 동일 선상으로 연결되면서 두 개의 하프파이프(91)가 직선으로 위치한다. 그리고 두 개의 하프파이프(91)를 절첩할 경우 락부재(96)의 상부를 아래로 가압하여 제2 연결부재(93)를 락부재(96)로부터 걸림을 해제하고 연결핀(94)을 축으로 하여 제1,2 연결부재(92)(93)를 접는다. 제1,2 연결부재(92)(93)가 접히게 됨에 따라 두 개의 하프파이프(91)가 절첩된다.
고정형 연결유닛(C2)은 하프파이프(91)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연결구(97)와, 그 제1 연결구(97)와 하프파이프(91)의 단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 및 너트(99)와, 제1 연결구(97)에 연장 형성되며 제1,2 수직프레임(30)(40) 중 한 개의 수직프레임이 관통 결합되어 수직프레임의 일부분이 가압 고정되는 제2 연결구(98)를 포함한다.
절첩가능한 연결관(90)은 발판(50)의 위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로 위치하는 두 개의 절첩가능한 연결관(90)들을 연결하도록 수직지지연결관(100)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수직지지연결관(100)은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한 개의 수직지지연결관(100)은 절첩형 연결유닛(C1)을 기준으로 절첩가능한 연결관(90)의 한쪽에 위치하고 다른 한 개의 수직지지연결관(100)은 다른 한쪽에 위치한다. 두 개의 수직지지연결관(100)들은 두 개의 절첩가능한 연결관(90)들을 지지함과 아울러 간격을 유지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는 지하철 역사의 내부 조명등을 교체하거나 내부를 청소하거나 수리할 때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사용시, 작업할 위치에서 먼저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간격을 벌리고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두 개의 절첩가능형 연결관(90)을 각각 직선 상태로 펴고, 두 개의 지지용 착탈연결관(70)들 중 한 개의 지지용 착탈연결관(70)을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앞쪽 하부에 결합하고 다른 한 개의 지지용 착탈연결관(70)을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뒤쪽 하부에 결합한다. 발판(50)을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중간부수평연결관(33)(43)에 걸쳐 고정한다. 그리고 사다리(60)의 걸개부재(4)들을 발판(50)의 메인받침관(51)들에 걸치고 사다리지지대(63)를 펴서 지지용 착탈연결관(70)에 걸고 메인관(61)의 끝을 바닥에 지지시키고 롤러유닛(R)의 롤러 움직임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비계를 펼쳐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사다리(60)를 밟고 발판(50)에 올라간 후 한쪽이 제1 수직프레임(30)에 걸려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 개폐용 착탈연결관(80)을 수평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2 수직프레임(40)에 걸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주어진 작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 위치를 옆으로 옮길 경우 개폐용 착탈연결관(80)의 한쪽을 제2 수직프레임(40)으로부터 고정을 해제하여 수직으로 위치시킨 후 작업자가 사다리(60)를 통해 바닥으로 내려온 상태에서 롤러유닛(R)의 롤러 고정을 해제하고 사다리(60)의 한쪽 끝을 약간 들고 밀어 옆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2 베이스바(10)(20)의 아래에 위치한 롤러유닛(R)들의 각 롤러들이 회전하면서 이동된다. 사다리(60)의 하단을 바닥에 지지하고 롤러유닛(R)들의 각 롤러를 고정한 후 작업자가 발판(50)으로 올라가 작업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비계를 맞은편 승강장으로 이동시키거나 원래의 보관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작업자가 발판(50)에서 바닥으로 내려온 상태에서 두 개의 지지용 착탈연결관(70)을 제1,2 수직프레임(30)(4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사다리(60)를 발판(5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발판(50)을 제1,2 수직프레임(30)(4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뒤쪽에 연결된 두 개의 절첩가능형 연결관(90)을 절첩시켜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간격을 좁힌다. 이때 제1,2 수직프레임(30)(40)에 각각 결합된 제1,2 베이스바(10)(20)의 간격도 함께 좁혀지게 된다. 그리고 발판(50)의 메인받침관(51)들의 한쪽에 구비된 걸개부재(4)들을 제1 수직프레임(30)의 중간수평연결관(33)에 걸어 발판(50)을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고 발판(50)의 메인받침관(51)들의 다른 한쪽에 구비된 걸개부재(4)들을 하단부수평연결관(34)에 걸어 고정시킨다. 또한, 사다리(60)의 걸개부재(4)들을 제1 수직프레임(30)의 보조수평연결관(35)에 걸어 사다리(60)를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며, 이때, 사다리지지대(63)는 고정대(64)에 걸어 고정된 상태이다. 두 개의 지지용 착탈연결관(70)의 각 한쪽에 구비된 걸개부재(4)를 제1 수직프레임(30)의 보조수평연결관(35)에 각각 걸어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킨다. 발판(50), 사다리(60), 두 개의 지지용 착탈연결관(70)은 제2 수직프레임(40)에 걸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본 발명의 접이식 비계를 밀어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2 베이스바(10)(20)가 각각 경사지지부(12)(22)가 구비되고 그 경사지지부들(12)(22)의 각 하부에 롤러유닛(R)이 구비되고 제1,2 베이스바(10)(20)의 각 직선부(11)(21) 양단에 각각 제1,2 수직프레임(30)(40)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수직 방향에서 볼 때 롤러유닛(R)들이 제1,2 수직프레임(30)(40)에 장착된 발판(50)의 외측으로 위치하게 되어 작업자가 발판(50)의 한쪽에서 작업할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50)에 작업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상부수평연결관들(32)(42)과 위쪽의 절첩가능형 연결관(90)과 개폐용 착탈연결관(80)에 의해 작업자가 둘러싸이게 되므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작업자 혼자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접거나 펼침이 가능하게 되어 보관시 보관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되고, 지하철 역사에서 맞은편 승강장으로 이동시 개표구에 걸리지 않고 쉽게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 수직프레임(30)(40)의 중간 부분에 발판(5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발판(50)의 일부분에 사다리(60)의 한쪽이 걸려 고정되므로 사다리(60)를 장착하는 구조가 간단하며, 특히 발판(50)의 바닥판(53)에 사다리(60)의 한쪽이 걸리는 메인받침관(51)이 노출되도록 개구홈(53a)이 구비되는 경우 사다리(60)가 발판(50)에 걸린 상태에서 돌출되는 부분을 배제하게 되어 작업자가 사다리(60)를 타고 발판(50)에 올라갈 때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0,20; 제1,2 베이스바 R; 롤러유닛
30,40; 제1,2 수직프레임 50; 발판
60; 사다리 70; 지지용 착탈연결관
80; 개폐용 착탈연결관 90; 절첩가능형 연결관

Claims (1)

  1.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1,2 베이스바;
    상기 베이스바들의 각 양단부에 구비되는 롤러유닛;
    상기 제1,2 베이스바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2 수직프레임;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수직 방향 중간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한쪽인 앞쪽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발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사다리;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하단 앞쪽과 뒤쪽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2 수직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는 두 개의 지지용 착탈연결관;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앞쪽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용 착탈연결관;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의 뒤쪽 상단과 중간부분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제1,2 수직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되, 접힘이 가능한 두 개의 절첩가능형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2 베이스바는 수평으로 위치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양단에 각각 절곡 연장되며 그 단부에 상기 롤러유닛이 결합되는 경사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사지지부는 상기 직선부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30도에서 60도 사이로 절곡되며,
    상기 발판은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2 수직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메인받침관과, 상기 두 개의 메인받침관 사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양단이 각각 상기 두 개의 메인받침관에 연결되는 두 개의 보조받침관과, 상기 두 개의 메인받침관과 두 개의 보조받침관위에 위치하는 고무재질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을 메인받침관과 보조받침관에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의 메인받침관에 상기 사다리의 한쪽이 걸리도록 바닥판의 일측에 개구홈이 구비되어 그 개구홈으로 메인받침관의 일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비계.
KR1020180025191A 2018-03-02 2018-03-02 접이식 비계 KR101995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191A KR101995508B1 (ko) 2018-03-02 2018-03-02 접이식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191A KR101995508B1 (ko) 2018-03-02 2018-03-02 접이식 비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225A Division KR101885712B1 (ko) 2017-07-25 2017-07-25 접이식 비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658A KR20190011658A (ko) 2019-02-07
KR101995508B1 true KR101995508B1 (ko) 2019-07-04

Family

ID=6536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191A KR101995508B1 (ko) 2018-03-02 2018-03-02 접이식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737B1 (ko) 2021-05-13 2022-01-21 이상호 복합적인 기능을 가진 접이식 비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8865A (ja) 1999-09-28 2001-04-10 Toyoshiki Kensetsu Kk 梯子取付作業台
JP2006016866A (ja) 2004-07-02 2006-01-19 Japan Steels International Inc 移動式作業台
KR101608511B1 (ko) 2014-10-13 2016-04-06 (주)동일메탈 단위 비계 및 그것들을 조립한 비계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750U (ko) * 1997-05-16 1997-08-12 임금진 비계장착용 발판지지구
KR100665502B1 (ko) * 2005-04-15 2007-01-09 서춘수 다기능의 사다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8865A (ja) 1999-09-28 2001-04-10 Toyoshiki Kensetsu Kk 梯子取付作業台
JP2006016866A (ja) 2004-07-02 2006-01-19 Japan Steels International Inc 移動式作業台
KR101608511B1 (ko) 2014-10-13 2016-04-06 (주)동일메탈 단위 비계 및 그것들을 조립한 비계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658A (ko)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508B1 (ko) 접이식 비계
KR101885712B1 (ko) 접이식 비계
JP2002201792A (ja) 枠組足場
JPS6212027Y2 (ko)
JP3550532B2 (ja) 足場装置
JP4663929B2 (ja) 簡易吊足場装置
KR101816700B1 (ko) 현수 비계용 발판연설 장치 및 방법
JP2009097149A (ja) コラム柱用足場
EP0338145B1 (en) Foldable scaffolding unit
US6474617B1 (en) Apparatus to support a light post and such a lamp post
JP3368020B2 (ja) 作業用足場
JP3359255B2 (ja) 足場装置
JP5305432B2 (ja) 移動足場
JP6741928B1 (ja) 窓手摺
JPH0321568Y2 (ko)
KR102180099B1 (ko) 작업용 사다리
JPS6349460Y2 (ko)
JPH0315714Y2 (ko)
JP3943391B2 (ja) 枠組足場における手摺の取付方法
JPH0740595Y2 (ja) 足場設置及び解体作業用吊り台
JPS62131041U (ko)
JPH0913656A (ja) 組立足場
JPH053633Y2 (ko)
JP2768885B2 (ja) 足場装置
JP2002227404A (ja) 型鋼材用足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