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948A - 선박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선박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948A
KR20150117948A KR1020140043774A KR20140043774A KR20150117948A KR 20150117948 A KR20150117948 A KR 20150117948A KR 1020140043774 A KR1020140043774 A KR 1020140043774A KR 20140043774 A KR20140043774 A KR 20140043774A KR 20150117948 A KR20150117948 A KR 20150117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afety bar
chief
along
clamp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봉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3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7948A/ko
Publication of KR20150117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선박용 작업대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는, 선체의 외벽에서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는 다수의 족장브래킷;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족장브래킷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바; 보강바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보강바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족장판; 및 보강바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하부 족장판들의 상단부에서 단차 없이 배치되어 작업자의 통행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상부 족장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작업대 및 그 시공방법{MOVABLE WORKING PLATFORM FIR A SHIP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박용 작업대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큰 구조 변경 없이도 종전의 발걸림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한 작업 환경을 이끌어낼 수 있는 선박용 작업대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a ship), 특히 대형 선박은 블록 단위로 제작된 다수의 선체 블록을 용접시켜 선체의 기본 형태를 완성한 다음, 완성된 선체에 각종 제반 설비를 차례대로 설치함으로써 건조된다.
이와 같은 선박의 건조 작업을 위해 다양한 형태 또는 용도의 작업대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선박용 작업대는 형태에 따라 정위치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고정식 작업대와 일정한 위치를 이동해 가면서 사용되는 이동식 작업대로 나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도 도장용 작업대와 청소용 작업대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종류의 선박용 작업대 중에서 고정식으로 된 선박용 작업대의 경우, 선체 또는 선체 블록에 고정되는 족장브래킷 상에 족장판이 얹혀져 배치되고, 족장판의 주변으로 안전바아가 배치되는 형태를 갖는다.
특히, 족장브래킷 상에 족장판이 얹혀져 배치될 때는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족장판들이 족장브래킷 상에 길게 배치된 상태에서 그 상부로 작업자의 통행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족장판들이 추가로 배치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선박용 작업대는 선박 건조 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형태이기는 하지만 최상단에 배치되는 족장판들이 그 하부의 족장판들에 대해 단턱을 형성할 수밖에 없다는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작업자의 통행 시 족장판에 발이 걸려 족장판이 전도되거나 작업자의 안전에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박용 작업대의 구조 보완이 요구되고 있으나 구조 보완의 범위가 과도하게 클 경우, 비용적인 면에서 또한 설치 및 유지보수적인 점에서 실효성이 크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사항들을 전반적으로 고려한 구조 보완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15052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큰 구조 변경 없이도 종전의 발걸림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한 작업 환경을 이끌어낼 수 있는 선박용 작업대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외벽에서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는 다수의 족장브래킷; 상기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기 족장브래킷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바; 상기 보강바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보강바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족장판; 및 상기 보강바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 족장판들의 상단부에서 단차 없이 배치되어 상기 작업자의 통행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상부 족장판을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족장브래킷의 상단부에는 상기 보강바가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자리 배치되는 다수의 자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바는 보강바 클램프에 의해 상기 족장브래킷에 고정되며, 상기 보강바, 상기 하부 족장판 및 상기 상부 족장판은 소둔 철사에 의해 해당되는 것끼리 상호간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족장브래킷에 연결되는 안전바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바 조립체는, 상기 족장브래킷의 일측에 연결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직형 안전바; 상기 수직형 안전바에 교차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형 안전바; 및 상기 수직형 안전바와 상기 수평형 안전바를 연결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족장브래킷에는 상기 수직형 안전바의 하단부가 체결되는 안전바 체결보스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전바 조립체는, 상기 수직형 안전바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족장브래킷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터널부; 상기 터널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터널부 내로 삽입되는 상기 족장브래킷을 상기 터널부 내에서 클램핑시키는 클램핑 볼트; 및 상기 터널부 내의 영역에서 상기 클램핑 볼트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족장브래킷에 대한 상기 클램핑 볼트의 지지력을 강화시키는 지지력 강화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력 강화 패드는, 상기 클램핑 볼트의 단면적보다 넓은 접촉면적을 가지고 상기 데크의 표면에 접촉가압되는 접촉가압부를 구비하는 패드 바디; 상기 패드 바디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상기 패드 바디를 상기 클램핑 볼트의 단부에 결합시키는 바디 결합부; 및 상기 패드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클램핑 볼트의 단부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외벽에서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외팔보 형태로 다수의 족장브래킷을 고정시키는 족장브래킷 고정단계; 상기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기 족장브래킷의 상단부에 다수의 보강바를 배치하는 보강바 배치단계; 상기 보강바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보강바의 상단부에 다수의 하부 족장판을 배치하는 하부 족장판 배치단계; 및 상기 작업자의 통행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상부 족장판을 상기 보강바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 족장판들의 상단부에서 단차 없이 배치하는 상부 족장판 배치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큰 구조 변경 없이도 종전의 발걸림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한 작업 환경을 이끌어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를 시공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5의 선박용 작업대에 대한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의 시공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의 시공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수평형 안전바와 제2 연결모듈 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터널부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지지력 강화 패드 영역의 조립 구조도이다.
도 14는 지지력 강화 패드에 대한 변형 실시예이다.
도 15는 그립핑부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를 시공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6은 도 5의 선박용 작업대에 대한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는 도장 작업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선박의 건조 작업을 위해 선체(101)의 외벽에 시공될 수 있는 것으로서, 족장브래킷(110), 보강바(115), 하부 족장판(120a), 상부 족장판(120b), 그리고 안전바 조립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족장브래킷(110), 보강바(115), 하부 족장판(120a), 상부 족장판(120b)은 모두가 다수 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족장판(120a)과 상부 족장판(120b)은 시공되어 배치되는 위치만이 상이할 뿐 구조는 동일하다.
족장브래킷(110)들은 일단부가 선체(101)의 외벽에 용접되고, 타단부는 선체(101)의 벽면 외측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족장브래킷(110)들은 마치 외팔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족장브래킷(110)들은 선체(101)의 외벽에서 작업자의 통행 방향(A, 도 1 참조)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고정된다.
보강바(115)들은 도 1 및 도 2처럼 작업자의 통행 방향(A)을 따라 족장브래킷(11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하부 족장판(120a)들을 지지한다.
보강바(115)들이 하부 족장판(120a)의 상단부에 자리 배치될 수 있도록 족장브래킷(110)의 상단부에는 보강바(115)가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자리 배치되는 다수의 자리홈(111)이 형성된다.
족장브래킷(1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자리홈(111)에 자리 배치되는 보강바(115)들은 추후, 도 2처럼 보강바 클램프(116)에 의해 족장브래킷(1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바(115)들이 족장브래킷(110)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일은 없다.
하부 족장판(120a)들은 도 3처럼 보강바(115)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보강바(115)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도 3에는 하부 족장판(120a)들이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으나 하부 족장판(120a)들은 상호간 이격되게 띄엄띄엄 배치될 수도 있다. 하부 족장판(120a)들이 보강바(115) 상에 올려 배치된 이후에는 소둔 철사(W)에 의해 해당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족장판(120b)들은 하부 족장판(120a)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구조물로서, 실질적으로 작업자가 밟고 지나는 작업자의 통행로를 이룬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상부 족장판(120b)은 하부 족장판(120a)의 상부에 배치된다는 점만이 상이할 뿐 상부 족장판(120b)은 하부 족장판(120a)과 동일한 구조물일 수 있다.
상부 족장판(120b)은 작업자가 딛고 올라서는 작업용 발판으로서 대부분 강성이 뛰어난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이는 하부 족장판(120a)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상부 족장판(120b)들은 도 4처럼 하부 족장판(120a)들의 상단부에 배치되는데, 이때는 보강바(115)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단차 없이 배치되어 작업자의 통행로를 형성한다. 상부 족장판(120b)들 역시, 소둔 철사(W)에 의해 해당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상부 족장판(120b)들을 보강바(115)의 길이 방향, 즉 작업자의 통행 방향(A)과 나란하게 하부 족장판(120a)들의 상단부에 배치하여 고정함으로써, 큰 구조 변경 없이도 종전의 발걸림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한 작업 환경을 이끌어낼 수 있다.
안전바 조립체(130)는 족장브래킷(110)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가 높은 위치에 배치될수록 안전바 조립체(130)의 필요성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안전바 조립체(13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족장판(120)의 바깥쪽 위치에서 그물 형태로 배치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이러한 안전바 조립체(130)는, 족장브래킷(110)들의 일측에 연결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형 안전바(131)와, 수직형 안전바(131)에 교차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형 안전바(132)와, 수직형 안전바(131)와 수평형 안전바(132)를 연결하는 제1 연결모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형 안전바(131)는 족장브래킷(110)들의 단부에 용접될 수도 있고 아니면 나사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직형 안전바(131)와 수평형 안전바(132) 모두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로 적용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사항은 하나의 예일 뿐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직형 안전바(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두 개의 수평형 안전바(132)가 제1 연결모듈(133)에 의해 연결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사항 역시 실시예에 해당된다.
수직형 안전바(131)와 수평형 안전바(132)를 연결하는 제1 연결모듈(133)은 도 1에 확대된 바와 같이, 수평형 안전바(132)를 지지하며, 수직형 안전바(131)에 고정되는 모듈 브래킷(133a)과, 모듈 브래킷(133a)에 끼워져 수평형 안전바(132)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쐐기핀(133b)을 포함한다. 쐐기핀(133b)은 아래 방향으로 모듈 브래킷(133a)에 끼워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설치는 쉬운 반면 하방으로 잘 빠지지 않는다.
물론, 이와 같은 제1 연결모듈(133)의 구조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면의 형상에서 벗어나 제1 연결모듈(133)은 일종의 케이블 타이(cable tie)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직형 안전바(131)와 수평형 안전바(132)의 교차지점에 케이블 타이를 묶는 방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의 시공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우선, 도 1처럼 선체(101)의 외벽에서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외팔보 형태로 다수의 족장브래킷(110)을 고정시킨다(S110).
다음, 도 1 및 도 2처럼 작업자의 통행 방향(A)을 따라 족장브래킷(110)의 상단부에 다수의 보강바(115)를 배치한다(S120). 그리고는 보강바 클램프(116)로 보강바(115)들을 족장브래킷(110)에 고정시킨다.
다음, 보강바(115)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보강바(115)의 상단부에 다수의 하부 족장판(120a)을 배치하고(S130), 소둔 철사(W)로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작업자의 통행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상부 족장판(120b)을 상기 보강바(115)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하부 족장판(120a)들의 상단부에서 단차 없이 배치하고(S140), 소둔 철사(W)로 고정시킨다.
이후에는 족장브래킷(110)을 이용하여 안전바 조립체(130)를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큰 구조 변경 없이도 종전의 발걸림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한 작업 환경을 이끌어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의 시공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 역시,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족장브래킷(110), 보강바(115), 하부 족장판(120a) 및 상부 족장판(120b)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큰 구조 변경 없이도 종전의 발걸림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안전바 조립체(230)의 일부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안전바 조립체(230)를 이루는 수직형 안전바(231)의 하단부가 체결되는 안전바 체결보스(212)가 족장브래킷(210)의 측부에 연결되어 있다. 수직형 안전바(231)의 하단부가 안전바 체결보스(212)에 체결될 수 있도록 족장브래킷(210)의 상면에는 수직형 안전바(231)의 하단부가 통과되는 통과부(211)가 형성된다.
이에, 수직형 안전바(231)의 하단부를 족장브래킷(210)의 상면에 형성되는 통과부(211)로 통과시켜 안전바 체결보스(212)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직형 안전바(231)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직형 안전바(231)를 이용하여 수평형 안전바(132) 및 제1 연결모듈(133)을 통해 안전바 조립체(230)를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본 실시예의 효과를 제공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의 시공 구조도,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수평형 안전바와 제2 연결모듈 간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터널부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12는 도 11은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13은 지지력 강화 패드 영역의 조립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족장판(12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나 족장브래킷(510)과 안전바 조립체(530)의 부분적인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들과 약간 상이하다.
우선, 족장브래킷(510)의 경우에는 그 노출 단부의 형상이 전술한 실시예의 도 1 구조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족장브래킷(510)의 노출 단부가 평평한 판상체로 형성되며, 이 곳에 안전바 조립체(530)가 효율적으로 또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족장브래킷(510)에도 족장판(120)이 안착되면서 자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리홈부(5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소둔철사 없이도 족장판(120)의 설치 또는 철거 작업이 편리해질 수 있다.
다음, 안전바 조립체(530)가 수직형 안전바(531), 다수의 수평형 안전바(532), 그리고 다수의 제1 연결모듈(133)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나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연결모듈(5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모듈(533)은 제1 연결모듈(133)과 달리 최상층의 수평형 안전바(532)를 수직형 안전바(531)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결모듈(533)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 안전바(532)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지지하되 수평형 안전바(5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바 지지부(534)와, 바 지지부(534)로부터 연결되어 수직형 안전바(531)에 연결되는 연결바(53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제2 연결모듈(533)이 마련되는 경우, 위치 고정된 수직형 안전바(531)에 대하여 수평형 안전바(532)들의 위치를 고려하면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 지지부(53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 안전바(532)를 하부에서 떠받치면서 지지하는 제1 단위 지지부(534a)와, 제1 단위 지지부(534a)와 부분적으로 연결되며, 제1 단위 지지부(534a)와 함께 수평형 안전바(532)를 둘러싸면서 지지하는 제2 단위 지지부(534b)를 포함한다.
바 지지부(534)의 단면 형상과 수평형 안전바(532)의 단면 형상은 서로 동일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평형 안전바(532)의 단면 형상이 원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제1 단위 지지부(534a)와 제2 단위 지지부(534b) 모두는 그 단면 형상이 각각 반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위 지지부(534a,534b)의 일측에는 힌지(534c)가 마련된다. 힌지(534c)로 인해 도 9 및 도 10처럼 제1 및 제2 단위 지지부(534a,534b)가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바 지지부(534)가 금속 재질이라면 힌지(534c)의 반대편인 제1 및 제2 단위 지지부(534a,534b)의 타측은 도 9처럼 닫힌 상태에서 용접될 수 있다. 물론, 바 지지부(534)가 플라스틱 재질이라면 힌지(534c)의 반대편인 제1 및 제2 단위 지지부(534a,534b)의 타측에 걸쇠(미도시)를 만들어 제1 및 제2 단위 지지부(534a,534b)가 걸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안전바 조립체(530)는, 수직형 안전바(531)의 일측에 결합되며, 족장브래킷(51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터널부(540)와, 터널부(54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터널부(540) 내로 삽입되는 족장브래킷(510)을 터널부(540) 내에서 클램핑시키는 클램핑 볼트(550)와, 터널부(540) 내의 영역에서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족장브래킷(510)에 대한 클램핑 볼트(550)의 지지력을 강화시키는 지지력 강화 패드(560)를 더 포함한다.
터널부(540)에 대해 살펴보면, 터널부(540)는 족장브래킷(510)의 노출 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대략 ㄷ자형 내부공간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터널부(540)는 수직형 안전바(11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수직형 안전바(110)와 연결되는 바 연결부(541)와, 바 연결부(541)의 하부에서 수직형 안전바(110)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게 연장되는 하부 연장 날개부(542)와, 바 연결부(541)의 상부에서 하부 연장 날개부(542)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 날개부(543)를 포함한다.
바 연결부(541)는 수직형 안전바(11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볼팅 결합의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고, 아니면 바 연결부(541)와 수직형 안전바(110)가 일체형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연장 날개부(542)는 족장브래킷(510)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하부 연장 날개부(542)가 단독으로 족장브래킷(510)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 연장 날개부(542)에 별도의 받침 플레이트(544)가 더 마련되며, 이 받침 플레이트(544)에 의해 족장브래킷(510)의 하부면이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부연 설명하면, 받침 플레이트(544)는 하부 연장 날개부(542)에 결합되어 족장브래킷(510)의 하부면을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받침 플레이트(544)의 표면적이 하부 연장 날개부(542)의 상면 표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며, 그래야만 넓은 표면적으로서 족장브래킷(510)의 하부면을 안정적으로 또한 높은 지지력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 플레이트(544)는 넓고 평평한 구조물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나 본 실시예의 경우, 받침 플레이트(544)를 양단부 영역에서 중앙 영역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낮아지는 경사형 받침 플레이트(544)로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경사형 받침 플레이트(544)가 적용되면, 추후 클램핑 볼트(550)를 조일 때 경사형 받침 플레이트(544)가 마치 스프링 와셔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족장브래킷(510)에 대한 클램핑 볼트(550)의 지지력을 강화시키는 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상부 연장 날개부(543)는 클램핑 볼트(550)가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부 연장 날개부(543)에는 클램핑 볼트(550)가 결합되는 볼트 결합홀(543a)이 형성된다.
클램핑 볼트(550)는 터널부(540)를 형성하는 상부 연장 날개부(543)의 볼트 결합홀(543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터널부(130) 내로 삽입되는 족장브래킷(510)을 터널부(130) 내에서 클램핑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족장브래킷(510)의 노출 단부가 터널부(130) 내에 진입된 경우, 클램핑 볼트(550)를 조이게 되면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가 족장브래킷(510)을 가압하여 경사형 받침 플레이트(544) 쪽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족장브래킷(510)이 터널부(130) 내에서 클램핑될 수 있다.
지지력 강화 패드(560)는 터널부(540) 내의 영역에서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족장브래킷(510)에 대한 클램핑 볼트(550)의 지지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력 강화 패드(560)는 크게, 패드 바디(561)와 바디 결합부(563)를 포함한다.
패드 바디(561)는 클램핑 볼트(550)의 단면적보다 넓은 접촉면적을 가지고 족장브래킷(510)의 표면에 접촉가압되는 접촉가압부(561a)를 구비하다.
이처럼 접촉가압부(561a)의 단면적이 클램핑 볼트(550)의 단면적보다 넓기 때문에 패드 바디(561)의 접촉가압부(561a)가 족장브래킷(510)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클램핑 볼트(550)를 조이게 되면 클램핑 볼트(550)의 지지력(조임력 혹은 체결력)이 패드 바디(561)를 통해 넓게 퍼지면서 족장브래킷(510)의 표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족장브래킷(510)에 대한 클램핑 볼트(550)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드 바디(561)에는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홈(561b)이 형성된다. 따라서 클램핑 볼트(550)에 대한 패드 바디(561)의 결합이 용이해진다.
패드 바디(561)의 배면 내부에는 바디 결합부(563)가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바디 결합부(563)가 부분적으로 걸려 지지되는 걸림용 단턱부(561c)가 형성된다. 바디 결합부(563)가 패드 바디(561)의 걸림용 단턱부(561c)에 걸려 지지된 상태에서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패드 바디(561)는 클램핑 볼트(5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예에서 패드 바디(561)는 원반형의 구조물로 제작된다. 따라서 패드 바디(561)의 외벽은 외곽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경사면(561d)을 형성한다. 그리고 패드 바디(561)의 중앙 영역에는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가 배치되는 개구부(561e)가 형성된다.
바디 결합부(563)는 패드 바디(561)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패드 바디(561)를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패드 바디(561)의 회전이 허용되지 않으면, 클램핑 볼트(550)를 조이는 과정에서 패드 바디(561)의 단부가 족장브래킷(510)의 표면에서 이격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족장브래킷(510)에 대한 클램핑 볼트(550)의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바디 결합부(563)는, 패드 바디(561)의 하부 영역에서 걸림용 단턱부(561c)에 걸려 지지되는 바디 결합용 가로부(563a)와, 바디 결합용 가로부(563a)에 교차되게 연결되어 바디 결합용 가로부(563a)와 한 몸체를 형성하며, 패드 바디(561)의 개구부(561e)로 통과되어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에 결합되는 바디 결합용 세로부(563b)를 포함한다.
참고로, 바디 결합부(563)에 대하여 바디 결합용 가로부(563a)와 바디 결합용 세로부(563b)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한 몸체일 수 있다. 바디 결합용 세로부(563b)는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에 용접(WD)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13의 (a) 및 (b)처럼 바디 결합부(563)를 이용하여 패드 바디(561)를 클램핑 볼트(55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처럼 클램핑 볼트(550)를 재가공하거나 새로운 타입의 볼트(미도시)를 사용해야 하는 부담이 줄어들게 되며, 이렇게 장착된 지지력 강화 패드(560)가 넓은 표면적으로 족장브래킷(510)의 표면에 접촉가압될 수 있기 때문에 족장브래킷(510)에 대한 클램핑 볼트(550)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지지력 강화 패드에 대한 변형 실시예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선박용 작업대에 적용되는 지지력 강화 패드(660) 역시, 클램핑 볼트(130)의 단면적보다 넓은 접촉면적을 가지고 족장브래킷(510)의 표면에 접촉가압되는 접촉가압부(661a)를 구비하는 패드 바디(661)와, 패드 바디(661)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패드 바디(661)를 클램핑 볼트(130)의 단부에 결합시키는 바디 결합부(663)를 포함한다.
자리홈(561b, 도 13 참조)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 패드 바디(661)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패드 바디(561)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바디 결합부(663)는, 클램핑 볼트(130)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664a)이 내벽에 형성되며, 패드 바디(661)의 개구부(661e) 영역에서 클램핑 볼트(130)의 단부에 결합되는 바디 결합용 보스(664)와, 패드 바디(661)의 하부 영역에서 걸림용 단턱부(661c)에 걸려 지지되고 바디 결합용 보스(664)에 결합되는 바디 결합용 링 부재(665)를 포함한다.
도 15는 그립핑부의 구조도이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4의 구조 대신에, 수직형 안전바(531)의 하단부에는 도 15와 같은 그립핑부(761)가 결합되어 족장브래킷(510)에 그립핑 또는 그립핑 해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그립핑부(761)는, 족장브래킷(510)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는 그립퍼(761a)와, 그립퍼(761a)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족장브래킷(510)에 접촉가압되는 접촉가압부재(761b)를 포함한다.
그립퍼(761a)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해 그립퍼(761a) 내에 족장브래킷(510)이 배치될 수 있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그립퍼(761a)의 외부에는 보호 케이스(761e)가 더 장착될 수도 있다. 보호 케이스(761e)는 그립퍼(761a)의 외부를 보호하여 안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가압부재(761b)는 아이 볼트(761c)와, 아이 볼트(761c)의 단부에 결합되는 접촉가압패드(761d)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 볼트(761c)는 조작의 편의성이 개선된 볼트이며, 접촉가압패드(761d)는 족장브래킷(510)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가압력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족장브래킷(510)이 그립퍼(761a)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아이 볼트(761c)를 조이면 접촉가압패드(761d)가 족장브래킷(510)에 접촉가압되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그립핑부(761)는 족장브래킷(510)에 그립핑될 수 있을 것인데, 이러한 그립핑부(761)가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1 : 선체 110 : 족장브래킷
111 : 자리홈 115 : 보강바
116 : 보강바 클램프 120a : 하부 족장판
120b : 상부 족장판 130 : 안전바 조립체
131 : 수직형 안전바 132 : 수평형 안전바
133 : 제1 연결모듈 133a : 모듈 브래킷
133b : 쐐기핀

Claims (9)

  1. 선체의 외벽에서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는 다수의 족장브래킷;
    상기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기 족장브래킷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보강바;
    상기 보강바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보강바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족장판; 및
    상기 보강바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 족장판들의 상단부에서 단차 없이 배치되어 상기 작업자의 통행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상부 족장판을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족장브래킷의 상단부에는 상기 보강바가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자리 배치되는 다수의 자리홈이 형성되는 선박용 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는 보강바 클램프에 의해 상기 족장브래킷에 고정되며,
    상기 보강바, 상기 하부 족장판 및 상기 상부 족장판은 소둔 철사에 의해 해당되는 것끼리 상호간 고정되는 선박용 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족장브래킷에 연결되는 안전바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 조립체는,
    상기 족장브래킷의 일측에 연결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직형 안전바;
    상기 수직형 안전바에 교차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형 안전바; 및
    상기 수직형 안전바와 상기 수평형 안전바를 연결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족장브래킷에는 상기 수직형 안전바의 하단부가 체결되는 안전바 체결보스가 일체로 연결되는 선박용 작업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 조립체는,
    상기 수직형 안전바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족장브래킷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터널부;
    상기 터널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터널부 내로 삽입되는 상기 족장브래킷을 상기 터널부 내에서 클램핑시키는 클램핑 볼트; 및
    상기 터널부 내의 영역에서 상기 클램핑 볼트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족장브래킷에 대한 상기 클램핑 볼트의 지지력을 강화시키는 지지력 강화 패드를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력 강화 패드는,
    상기 클램핑 볼트의 단면적보다 넓은 접촉면적을 가지고 상기 데크의 표면에 접촉가압되는 접촉가압부를 구비하는 패드 바디;
    상기 패드 바디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상기 패드 바디를 상기 클램핑 볼트의 단부에 결합시키는 바디 결합부; 및
    상기 패드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클램핑 볼트의 단부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홈을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9. 선체의 외벽에서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외팔보 형태로 다수의 족장브래킷을 고정시키는 족장브래킷 고정단계;
    상기 작업자의 통행 방향을 따라 상기 족장브래킷의 상단부에 다수의 보강바를 배치하는 보강바 배치단계;
    상기 보강바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보강바의 상단부에 다수의 하부 족장판을 배치하는 하부 족장판 배치단계; 및
    상기 작업자의 통행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상부 족장판을 상기 보강바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 족장판들의 상단부에서 단차 없이 배치하는 상부 족장판 배치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시공방법.
KR1020140043774A 2014-04-11 2014-04-11 선박용 작업대 KR20150117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774A KR20150117948A (ko) 2014-04-11 2014-04-11 선박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774A KR20150117948A (ko) 2014-04-11 2014-04-11 선박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948A true KR20150117948A (ko) 2015-10-21

Family

ID=5440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774A KR20150117948A (ko) 2014-04-11 2014-04-11 선박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79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8036A (zh) * 2020-03-13 2020-06-12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踏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8036A (zh) * 2020-03-13 2020-06-12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踏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0453B2 (ja) アングル鉄塔用の支線取付金具
KR101763077B1 (ko) 비계용 가설발판 고정장치
KR20150117948A (ko) 선박용 작업대
KR20120006518U (ko)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의 안전 난간대
KR101588984B1 (ko)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KR101379720B1 (ko) 선박용 작업대
KR101910250B1 (ko)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KR101497392B1 (ko) 선박용 작업대
KR101588868B1 (ko)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KR200472461Y1 (ko) 선박용 작업대
JP3146615U (ja) バラストタンクまたは船艙の作業設備
KR101588978B1 (ko)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KR101291172B1 (ko) 사다리 결합용 홀더 및 그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의 그레이팅 구조체
KR200467302Y1 (ko) 안전난간용 난간지주
US9415839B2 (en) Nautical railing
KR20210074426A (ko) 케이블 코밍 커버
KR20150129582A (ko) 선박의 난간 고정 장치
KR101748523B1 (ko) 발판 고정장치용 클램프장치
KR101422172B1 (ko) 선박용 안전난간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KR20130006325U (ko) 가설발판 고정장치
EP2853512B1 (en) Device to connect a lifting means, such as a crane, to an object that shall be lifted
KR20150000799U (ko) 선박의 블록 이동용 안전발판
KR200470497Y1 (ko) 교량용 안전시설물용 거치대
KR200472179Y1 (ko) 케이블 및 호스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