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392B1 - 선박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선박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392B1
KR101497392B1 KR1020130037080A KR20130037080A KR101497392B1 KR 101497392 B1 KR101497392 B1 KR 101497392B1 KR 1020130037080 A KR1020130037080 A KR 1020130037080A KR 20130037080 A KR20130037080 A KR 20130037080A KR 101497392 B1 KR101497392 B1 KR 101497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afety bar
horizontal
vertical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775A (ko
Inventor
장경호
김수철
배정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7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392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1Railings with an access door or the like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botic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선박용 작업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는, 선체의 표면에서 다수 개가 수평 방향을 따라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어 족장판들을 지지하는 족장 지지대; 및 일단부는 선체의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면을 형성하며, 선체의 표면 각도에 대응되면서 족장 지지대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수의 지지면이 고정면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면에 형성되는 족장 피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작업대{MOVABLE WORKING PLATFORM FIR A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 표면의 다양한 각도에 대응되게 족장 지지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선박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선박(a ship), 특히 대형 선박은 블록 단위로 제작된 다수의 선체 블록을 용접시켜 선체의 기본 형태를 완성한 다음, 완성된 선체에 각종 제반 설비를 차례대로 설치함으로써 건조된다.
이와 같은 선박의 건조 작업을 위해 다양한 형태 또는 용도의 작업대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선박용 작업대는 형태에 따라 정위치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고정식 작업대와 일정한 위치를 이동해 가면서 사용되는 이동식 작업대로 나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도 도장용 작업대와 청소용 작업대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종류의 선박용 작업대 중에서 고정식으로 된 선박용 작업대의 경우, 선체에 그 일측이 고정되는 족장 피스에 족장 지지대가 볼트로 결합되고, 이어 족장 지지대에 족장판들이 얹혀져 소둔철사가 고정된 다음에 족장판의 주변으로 안전바아가 배치되는 형태를 갖는다.
한편, 선체의 표면은 수직된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족장 피스를 선체의 표면에 수평으로 고정시킨 후에, 그 족장 피스에 족장 지지대를 연결시켜 왔다.
하지만, 선체의 표면이 경사져 있는 경우라면 경사진 표면에 대응되는 별도의 족장 피스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기존의 족장 피스의 단부를 경사지게 절단 가공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큰 작업상의 로스(loss)를 발생시켜 왔으므로 이러한 사항을 감안한 효율적인 구조 개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117942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전처럼 다양한 종류의 족장 피스를 사용하거나 족장 피스를 절단 가공해야 하는 작업상의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선체 표면의 다양한 각도에 대응되게 족장 지지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선박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표면에서 다수 개가 수평 방향을 따라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어 족장판들을 지지하는 족장 지지대; 및 일단부는 상기 선체의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면을 형성하며, 상기 선체의 표면 각도에 대응되면서 상기 족장 지지대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수의 지지면이 상기 고정면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면에 형성되는 족장 피스를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족장 피스와 상기 족장 지지대에는 볼트 체결을 위해 상호 연통되는 제1 및 제2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족장 지지대는, 상기 제2 통공이 형성되는 수직 브래킷; 및 상기 수직 브래킷의 단부에서 상기 수직 브래킷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수평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브래킷의 상면은 상기 족장판과 접촉되고 하면은 상기 족장 피스의 지지면들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족장 지지대에 연결되는 안전바아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바아 조립체는, 상기 족장 지지대의 일측에 연결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직형 안전바아; 상기 수직형 안전바아에 교차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형 안전바아; 및 상기 수직형 안전바아와 상기 수평형 안전바아를 연결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수평형 안전바아를 지지하며, 상기 수직형 안전바아에 고정되는 모듈 브래킷; 및 상기 모듈 브래킷에 끼워져 상기 수평형 안전바아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쐐기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수평형 안전바아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지지하되 상기 수평형 안전바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바아 지지부; 및 상기 바아 지지부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수직형 안전바아에 연결되는 연결바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아 지지부는, 상기 수평형 안전바아를 하부에서 떠받치면서 지지하는 제1 단위 지지부; 및 상기 제1 단위 지지부와 부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단위 지지부와 함께 상기 수평형 안전바아를 둘러싸면서 지지하는 제2 단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바아 조립체는, 상기 수직형 안전바아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족장 지지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터널부; 상기 터널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터널부 내로 삽입되는 상기 족장 지지대를 상기 터널부 내에서 클램핑시키는 클램핑 볼트; 및 상기 터널부 내의 영역에서 상기 클램핑 볼트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족장 지지대에 대한 상기 클램핑 볼트의 지지력을 강화시키는 지지력 강화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력 강화 패드는, 상기 클램핑 볼트의 단면적보다 넓은 접촉면적을 가지고 상기 데크의 표면에 접촉가압되는 접촉가압부를 구비하는 패드 바디; 상기 패드 바디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상기 패드 바디를 상기 클램핑 볼트의 단부에 결합시키는 바디 결합부; 및 상기 패드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클램핑 볼트의 단부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처럼 다양한 종류의 족장 피스를 사용하거나 족장 피스를 절단 가공해야 하는 작업상의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선체 표면의 다양한 각도에 대응되게 족장 지지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의 시공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족장 피스와 족장 지지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족장 피스와 족장 지지대 간의 다양한 형태의 배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의 시공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평형 안전바아와 제2 연결모듈 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터널부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지지력 강화 패드 영역의 조립 구조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의 시공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3은 족장판과 족장 지지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는 도장 작업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선박의 건조 작업을 위해 선체의 표면(외벽)에 가설될 수 있는 것으로서, 족장판(120), 족장 지지대(110), 족장 피스(105), 그리고 안전바아 조립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족장판(120)은 작업자가 딛고 올라서는 작업용 발판으로서 강성이 뛰어난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족장판(120)에는 다수의 통공(H)이 형성된다. 통공(H)들은 족장판(120)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역할 외에도 빗물 등의 배수로를 형성하기도 한다.
족장 지지대(110)는 도 1처럼 선체(101)의 표면에서 다수 개가 수평 방향을 따라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어 족장판(120)들을 지지한다.
족장판(120)들은 족장 지지대(110)에 단순히 올려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고, 아니면 소둔 철사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족장 지지대(110)의 세부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족장 피스(105)에 대해 먼저 알아본다.
족장 피스(105)는 선체(101)의 표면에 고정되어 볼트(115)와 너트(116)에 의해 족장 지지대(110)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본 실시예의 족장 피스(105)는 종래의 단순 브래킷 구조물과는 달리 선체(101) 표면의 다양한 각도에 대응되게 족장 지지대(11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서 족장 피스(105)는 그 일단부가 선체(101)의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면(105a)을 형성하며, 선체(101)의 표면 각도에 대응되면서 족장 지지대(110)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수의 지지면(105b,105c,105d)이 고정면(105a)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면에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4의 (a)처럼 선체(101)의 표면이 통상적인 수직된 면을 형성하는 경우라면 족장 피스(105)의 제1 지지면(105b)에 의해 족장 지지대(110)가 수평으로 지지되도록 하면 된다.
하지만, 도 4의 (b) 또는 (c)처럼 선체(101a,101b)의 표면이 통상적인 수직된 면이 아닌 경사진 면이나 혹은 수평 상태의 면을 형성하는 경우라면, 족장 피스(105)의 제2 및 제3 지지면(105c,105d)에 의해 족장 지지대(110)가 수평으로 지지되도록 하면 된다.
본 실시예처럼 족장 피스(105)의 둘레면에 다수의 지지면(105b,105c,105d)이 형성되는 경우, 도 4의 (a)처럼 선체(101)의 표면이 통상적인 수직된 면이 아닐지라도 도 4처럼 선체(101,101a,101b)의 표면에 대응되면서 족장 피스(105)가 족장 지지대(110)가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다양한 종류의 족장 피스(미도시)를 사용하거나 족장 피스를 절단 가공해야 하는 작업상의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경우, 족장 피스(105)의 둘레면에 3가지 각도의 지지면(105b,105c,105d)이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였지만, 지지면(105b,105c,105d)의 각도와 개수는 도시된 것을 벗어나 얼마든지 다양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족장 피스(105)와 족장 지지대(110)는 볼트(115)와 너트(116)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족장 피스(105)와 족장 지지대(110)에는 볼트(115) 체결을 위해 상호 연통되는 제1 및 제2 통공(105e,110c)이 형성된다.
한편, 족장 지지대(110)는 족장 피스(105)에 의해 고정되되 선체(101)의 표면에서 다수 개가 수평 방향을 따라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어 족장판(120)들을 지지한다.
이러한 족장 지지대(110)는 제2 통공(110c)이 형성되는 수직 브래킷(110a)과, 수직 브래킷(110a)의 단부에서 수직 브래킷(110a)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수평 브래킷(110b)을 포함한다.
수직 브래킷(110a)과 수평 브래킷(110b) 모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체의 철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수평 브래킷(110b)이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반면 수직 브래킷(110a)은 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수직 브래킷(110a)에 제2 통공(110c)이 형성되기 때문에 수직 브래킷(110a)은 족장 피스(105)와 연결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에 반해, 수평 브래킷(110b)의 상면은 족장판(120)과 접촉되고 하면은 족장 피스(105)의 지지면(105b,105c,105d)들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된다. 결과적으로 족장 지지대(110)의 수평 브래킷(110b)의 하면이 지지면(105b,105c,105d)들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족장 지지대(110)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족장 지지대(110)가 안정적인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선박용 작업대에는 도 1처럼 안전바아 조립체(13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안전바아 조립체(130)가 반드시 갖춰져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도 1처럼 안전바아 조립체(130)가 갖춰지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바람직하다.
안전바아 조립체(130)는 족장 지지대(1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족장판(120)의 바깥쪽 위치에서 그물 형태로 배치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안전바아 조립체(130)는, 족장 지지대(110)들의 일측에 연결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형 안전바아(131)와, 수직형 안전바아(131)에 교차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형 안전바아(132)와, 수직형 안전바아(131)와 수평형 안전바아(132)를 연결하는 제1 연결모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형 안전바아(131)는 족장 지지대(110)들의 단부에 용접될 수도 있고 아니면 나사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직형 안전바아(131)와 수평형 안전바아(132) 모두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로 적용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사항은 하나의 예일 뿐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직형 안전바아(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두 개의 수평형 안전바아(132)가 제1 연결모듈(133)에 의해 연결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사항 역시 실시예에 해당된다.
수직형 안전바아(131)와 수평형 안전바아(132)를 연결하는 제1 연결모듈(133)은 도 1에 확대된 바와 같이, 수평형 안전바아(132)를 지지하며, 수직형 안전바아(131)에 고정되는 모듈 브래킷(133a)과, 모듈 브래킷(133a)에 끼워져 수평형 안전바아(132)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쐐기핀(133b)을 포함한다. 쐐기핀(133b)은 아래 방향으로 모듈 브래킷(133a)에 끼워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설치는 쉬운 반면 하방으로 잘 빠지지 않는다.
물론, 이와 같은 제1 연결모듈(133)의 구조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면의 형상에서 벗어나 제1 연결모듈(133)은 일종의 케이블 타이(cable tie)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직형 안전바아(131)와 수평형 안전바아(132)의 교차지점에 케이블 타이를 묶는 방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처럼 다양한 종류의 족장 피스(미도시)를 사용하거나 족장 피스를 절단 가공해야 하는 작업상의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선체 표면의 다양한 각도에 대응되게 족장 지지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작업대의 시공 구조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수평형 안전바아와 제2 연결모듈 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터널부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지지력 강화 패드 영역의 조립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안전바아 조립체(530)가 수직형 안전바아(531), 다수의 수평형 안전바아(532), 그리고 다수의 제1 연결모듈(133)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나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연결모듈(5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모듈(533)은 제1 연결모듈(133)과 달리 최상층의 수평형 안전바아(532)를 수직형 안전바아(531)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결모듈(533)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 안전바아(532)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지지하되 수평형 안전바아(5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바아 지지부(534)와, 바아 지지부(534)로부터 연결되어 수직형 안전바아(531)에 연결되는 연결바아(53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제2 연결모듈(533)이 마련되는 경우, 위치 고정된 수직형 안전바아(531)에 대하여 수평형 안전바아(532)들의 위치를 고려하면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아 지지부(53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 안전바아(532)를 하부에서 떠받치면서 지지하는 제1 단위 지지부(534a)와, 제1 단위 지지부(534a)와 부분적으로 연결되며, 제1 단위 지지부(534a)와 함께 수평형 안전바아(532)를 둘러싸면서 지지하는 제2 단위 지지부(534b)를 포함한다.
바아 지지부(534)의 단면 형상과 수평형 안전바아(532)의 단면 형상은 서로 동일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평형 안전바아(532)의 단면 형상이 원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제1 단위 지지부(534a)와 제2 단위 지지부(534b) 모두는 그 단면 형상이 각각 반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위 지지부(534a,534b)의 일측에는 힌지(534c)가 마련된다. 힌지(534c)로 인해 도 6 및 도 7처럼 제1 및 제2 단위 지지부(534a,534b)가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바아 지지부(534)가 금속 재질이라면 힌지(534c)의 반대편인 제1 및 제2 단위 지지부(534a,534b)의 타측은 도 6처럼 닫힌 상태에서 용접될 수 있다. 물론, 바아 지지부(534)가 플라스틱 재질이라면 힌지(534c)의 반대편인 제1 및 제2 단위 지지부(534a,534b)의 타측에 걸쇠(미도시)를 만들어 제1 및 제2 단위 지지부(534a,534b)가 걸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안전바아 조립체(530)는, 수직형 안전바아(531)의 일측에 결합되며, 족장 지지대(110)의 수평 브래킷(110b)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터널부(540)와, 터널부(54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터널부(540) 내로 삽입되는 족장 지지대(110)를 터널부(540) 내에서 클램핑시키는 클램핑 볼트(550)와, 터널부(540) 내의 영역에서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족장 지지대(110)에 대한 클램핑 볼트(550)의 지지력을 강화시키는 지지력 강화 패드(560)를 더 포함한다.
터널부(540)에 대해 살펴보면, 터널부(540)는 족장 지지대(110)의 수평 브래킷(110b)의 일부가 삽입되는 대략 ㄷ자형 내부 공간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터널부(540)는 수직형 안전바아(11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수직형 안전바아(110)와 연결되는 바아 연결부(541)와, 바아 연결부(541)의 하부에서 수직형 안전바아(110)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게 연장되는 하부 연장 날개부(542)와, 바아 연결부(541)의 상부에서 하부 연장 날개부(542)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 날개부(543)를 포함한다.
바아 연결부(541)는 수직형 안전바아(11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볼팅 결합의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고, 아니면 바아 연결부(541)와 수직형 안전바아(110)가 일체형 구조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연장 날개부(542)는 족장 지지대(110)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하부 연장 날개부(542)가 단독으로 족장 지지대(110)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 연장 날개부(542)에 별도의 받침 플레이트(544)가 더 마련되며, 이 받침 플레이트(544)에 의해 족장 지지대(110)의 하부면이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부연 설명하면, 받침 플레이트(544)는 하부 연장 날개부(542)에 결합되어 족장 지지대(110)의 하부면을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받침 플레이트(544)의 표면적이 하부 연장 날개부(542)의 상면 표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며, 그래야만 넓은 표면적으로서 족장 지지대(110)의 하부면을 안정적으로 또한 높은 지지력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 플레이트(544)는 넓고 평평한 구조물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나 본 실시예의 경우, 받침 플레이트(544)를 양단부 영역에서 중앙 영역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낮아지는 경사형 받침 플레이트(544)로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경사형 받침 플레이트(544)가 적용되면, 추후 클램핑 볼트(550)를 조일 때 경사형 받침 플레이트(544)가 마치 스프링 와셔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족장 지지대(110)에 대한 클램핑 볼트(550)의 지지력을 강화시키는 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상부 연장 날개부(543)는 클램핑 볼트(550)가 결합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부 연장 날개부(543)에는 클램핑 볼트(550)가 결합되는 볼트 결합홀(543a)이 형성된다.
클램핑 볼트(550)는 터널부(540)를 형성하는 상부 연장 날개부(543)의 볼트 결합홀(543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터널부(130) 내로 삽입되는 족장 지지대(110)를 터널부(130) 내에서 클램핑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족장 지지대(110)의 노출 단부가 터널부(130) 내에 진입된 경우, 클램핑 볼트(550)를 조이게 되면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가 족장 지지대(110)를 가압하여 경사형 받침 플레이트(544) 쪽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족장 지지대(110)가 터널부(130) 내에서 클램핑될 수 있다.
지지력 강화 패드(560)는 터널부(540) 내의 영역에서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족장 지지대(110)에 대한 클램핑 볼트(550)의 지지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력 강화 패드(560)는 크게, 패드 바디(561)와 바디 결합부(563)를 포함한다.
패드 바디(561)는 클램핑 볼트(550)의 단면적보다 넓은 접촉면적을 가지고 족장 지지대(110)의 표면에 접촉가압되는 접촉가압부(561a)를 구비하다.
이처럼 접촉가압부(561a)의 단면적이 클램핑 볼트(550)의 단면적보다 넓기 때문에 패드 바디(561)의 접촉가압부(561a)가 족장 지지대(110)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클램핑 볼트(550)를 조이게 되면 클램핑 볼트(550)의 지지력(조임력 혹은 체결력)이 패드 바디(561)를 통해 넓게 퍼지면서 족장 지지대(110)의 표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족장 지지대(110)에 대한 클램핑 볼트(550)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드 바디(561)에는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홈(561b)이 형성된다. 따라서 클램핑 볼트(550)에 대한 패드 바디(561)의 결합이 용이해진다.
패드 바디(561)의 배면 내부에는 바디 결합부(563)가 배치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바디 결합부(563)가 부분적으로 걸려 지지되는 걸림용 단턱부(561c)가 형성된다. 바디 결합부(563)가 패드 바디(561)의 걸림용 단턱부(561c)에 걸려 지지된 상태에서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패드 바디(561)는 클램핑 볼트(5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예에서 패드 바디(561)는 원반형의 구조물로 제작된다. 따라서 패드 바디(561)의 외벽은 외곽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경사면(561d)을 형성한다. 그리고 패드 바디(561)의 중앙 영역에는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가 배치되는 개구부(561e)가 형성된다.
바디 결합부(563)는 패드 바디(561)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패드 바디(561)를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패드 바디(561)의 회전이 허용되지 않으면, 클램핑 볼트(550)를 조이는 과정에서 패드 바디(561)의 단부가 족장 지지대(110)의 표면에서 이격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족장 지지대(110)에 대한 클램핑 볼트(550)의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바디 결합부(563)는, 패드 바디(561)의 하부 영역에서 걸림용 단턱부(561c)에 걸려 지지되는 바디 결합용 가로부(563a)와, 바디 결합용 가로부(563a)에 교차되게 연결되어 바디 결합용 가로부(563a)와 한 몸체를 형성하며, 패드 바디(561)의 개구부(561e)로 통과되어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에 결합되는 바디 결합용 세로부(563b)를 포함한다.
참고로, 바디 결합부(563)에 대하여 바디 결합용 가로부(563a)와 바디 결합용 세로부(563b)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한 몸체일 수 있다. 바디 결합용 세로부(563b)는 클램핑 볼트(550)의 단부에 용접(WD)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10의 (a) 및 (b)처럼 바디 결합부(563)를 이용하여 패드 바디(561)를 클램핑 볼트(55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처럼 클램핑 볼트(550)를 재가공하거나 새로운 타입의 볼트(미도시)를 사용해야 하는 부담이 줄어들게 되며, 이렇게 장착된 지지력 강화 패드(560)가 넓은 표면적으로 족장 지지대(110)의 표면에 접촉가압될 수 있기 때문에 족장 지지대(110)에 대한 클램핑 볼트(550)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1,101a,101b : 선체 105 : 족장 피스
105a : 고정면 105b,105c,105d : 지지면
105e : 제1 통공 110 : 족장 지지대
110a : 수직 브래킷 110b : 수평 브래킷
110c : 제2 통공 115 : 볼트
116 : 너트 120 : 족장판
130 : 안전바아 조립체 131 : 수직형 안전바아
132 : 수평형 안전바아 133 : 제1 연결모듈
133a : 모듈 브래킷 133b : 쐐기핀

Claims (8)

  1. 선체의 표면에서 다수 개가 수평 방향을 따라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어 족장판들을 지지하는 족장 지지대;
    일단부는 상기 선체의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면을 형성하며, 상기 선체의 표면 각도에 대응되면서 상기 족장 지지대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수의 지지면이 상기 고정면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면에 형성되는 족장 피스; 및
    상기 족장 지지대에 연결되는 안전바아 조립체를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족장 피스와 상기 족장 지지대에는 볼트 체결을 위해 상호 연통되는 제1 및 제2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족장 지지대는,
    상기 제2 통공이 형성되는 수직 브래킷; 및
    상기 수직 브래킷의 단부에서 상기 수직 브래킷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수평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브래킷의 상면은 상기 족장판과 접촉되고 하면은 상기 족장 피스의 지지면들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선박용 작업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아 조립체는,
    상기 족장 지지대의 일측에 연결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직형 안전바아;
    상기 수직형 안전바아에 교차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형 안전바아; 및
    상기 수직형 안전바아와 상기 수평형 안전바아를 연결하는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수평형 안전바아를 지지하며, 상기 수직형 안전바아에 고정되는 모듈 브래킷; 및
    상기 모듈 브래킷에 끼워져 상기 수평형 안전바아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쐐기핀을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수평형 안전바아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지지하되 상기 수평형 안전바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바아 지지부; 및
    상기 바아 지지부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수직형 안전바아에 연결되는 연결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바아 지지부는,
    상기 수평형 안전바아를 하부에서 떠받치면서 지지하는 제1 단위 지지부; 및
    상기 제1 단위 지지부와 부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단위 지지부와 함께 상기 수평형 안전바아를 둘러싸면서 지지하는 제2 단위 지지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아 조립체는,
    상기 수직형 안전바아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족장 지지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터널부;
    상기 터널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터널부 내로 삽입되는 상기 족장 지지대를 상기 터널부 내에서 클램핑시키는 클램핑 볼트; 및
    상기 터널부 내의 영역에서 상기 클램핑 볼트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족장 지지대에 대한 상기 클램핑 볼트의 지지력을 강화시키는 지지력 강화 패드를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력 강화 패드는,
    상기 클램핑 볼트의 단면적보다 넓은 접촉면적을 가지고 상기 족장 지지대의 표면에 접촉가압되는 접촉가압부를 구비하는 패드 바디;
    상기 패드 바디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상기 패드 바디를 상기 클램핑 볼트의 단부에 결합시키는 바디 결합부; 및
    상기 패드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클램핑 볼트의 단부가 자리 배치되는 자리홈을 포함하는 선박용 작업대.
KR1020130037080A 2013-04-04 2013-04-04 선박용 작업대 KR101497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80A KR101497392B1 (ko) 2013-04-04 2013-04-04 선박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80A KR101497392B1 (ko) 2013-04-04 2013-04-04 선박용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75A KR20140120775A (ko) 2014-10-14
KR101497392B1 true KR101497392B1 (ko) 2015-03-02

Family

ID=5199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080A KR101497392B1 (ko) 2013-04-04 2013-04-04 선박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365B1 (ko) * 2021-05-27 2023-10-20 정진수 아케이드 지붕 구속설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아케이드 지붕 설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3711A (ko) * 2008-12-23 2010-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채널형 족장피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3711A (ko) * 2008-12-23 2010-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채널형 족장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75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4994B2 (ja) 親綱支柱
KR101328969B1 (ko) 파이프의 고정력이 향상된 스탠션 바
KR101497392B1 (ko) 선박용 작업대
KR20120136012A (ko) 그레이팅 고정용 홀더 및 그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의 그레이팅 구조체
KR101721540B1 (ko)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KR101121706B1 (ko) 건설장비의 유압배관 고정장치
CN203067943U (zh) 一种电缆托架
KR101379720B1 (ko) 선박용 작업대
KR20130110467A (ko) 선박의 수직 브라켓 취부용 지그
KR200472461Y1 (ko) 선박용 작업대
KR102254928B1 (ko) 태양광 모듈 고정용 구조물
KR20150117948A (ko) 선박용 작업대
KR200440766Y1 (ko) 핸드레일을 일체로 구비한 래싱로드랙
JP6632499B2 (ja) ガスボンベ固定具
KR101745952B1 (ko)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클램프
JP3868478B1 (ja) 転倒防止器及び転倒防止治具
KR102063981B1 (ko) 배관용 행거장치
KR101910250B1 (ko)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KR200497779Y1 (ko)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
KR20140041001A (ko) 격자살 발판용 코밍장치
KR200486664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서포트 어셈블리
KR20150001224U (ko) 추락 방지용 간이 구조물
KR200426094Y1 (ko) 전주 작업용 안전 좌대
KR20120004199A (ko) 선박용 안전 핸드 레일
KR101581325B1 (ko) 론지 장착을 위한 고정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