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711A - 채널형 족장피스 - Google Patents

채널형 족장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711A
KR20100073711A KR1020080132457A KR20080132457A KR20100073711A KR 20100073711 A KR20100073711 A KR 20100073711A KR 1020080132457 A KR1020080132457 A KR 1020080132457A KR 20080132457 A KR20080132457 A KR 20080132457A KR 20100073711 A KR20100073711 A KR 20100073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hief
upper wall
wall port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기
김대순
김현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3711A/ko
Publication of KR2010007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을 비롯한 철 구조물 제작 시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할 수 있는 족장판을 철 구조물에 설치할 시에 상기 철 구조물에 용접 부착되어 상부면에 족장판이 부착된 브래킷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채널형 족장피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채널형 족장피스는, 사각 평판 형태의 상벽부의 양측 끝단부에 한 쌍의 측벽부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측벽부는 상기 상벽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벽부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철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횡 하중 및 비틀림에 대한 강성을 종래의 족장피스 대비 대폭 향상시켜 10mm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철재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족장피스를 철 구조물로부터 제거할 시에 화염 절단이 아닌 그라인더나 기계톱과 같은 절단공구를 사용하여 기계적 절단을 할 수 있어 철 구조물의 도장 부분에 화기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철 구조물의 수정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족장판, 족장피스, 선박, 채널형

Description

채널형 족장피스{Channel type scaffolding piece}
본 발명은 채널형 족장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을 비롯한 철 구조물 제작 시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할 수 있는 족장판을 철 구조물에 설치할 시에 상기 철 구조물에 용접 부착되어 상부면에 족장판이 부착된 브래킷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채널형 족장피스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배경기술과 그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족장피스를 사용하여 족장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일반적인 족장피스가 철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족장피스(1)는 선박과 같은 철 구조물(2)에 용접 부착되며, 상기 철 구조물(2)에 용접 부착된 족장피스(1)에는 브래킷(3)이 볼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브래킷(3)의 상부면에는 족장판(4)이 부착되어 상기 족장판(4) 위에서 작업자가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족장판(4)이 부착된 브래킷(3)을 철 구조물(2)에 설치하기 위한 일반적인 족장피스(1)는 횡 방향과 비틀림 강성 확보를 위하여 두께가 최소 10mm 이상되는 판상철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상기와 같은 족장피스(1)는 작업 완료 후 해체 시 화염 절단에 의해 철 구조물(2)로부터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해체 시 철 구조물(2)로부터 족장피스(1)가 화염 절단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철 구조물(2)의 도장 부분에 화기 손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많은 수정 공수가 투입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족장 피스(1) 절단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족장 피스(1) 절단을 화염 절단이 아닌 그라인더나 기계톱과 같은 절단공구를 이용한 기계적 절단으로 변경할 경우 족장 피스(1)의 두께가 10mm 미만이어야 하며, 족장 피스(1)의 두께가 얇을수록 족장 피스(1) 제거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족장 피스(1)의 안전성을 위해서는 족장 피스(1)의 횡 하중과 비틀림 하중에 대한 강성이 확보되어야 하나 종래의 일반적인 족장 피스(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두께 감소를 통한 횡 방향 및 비틀림 강성 확보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횡 방향 및 비틀림 강성 확보를 위해서는 두께가 반드시 10mm 이상 되는 판상철재를 사용하여 제작하여야 함으로써 해체 시 철 구조물(2)로부터 족장피스(1)를 기계적 절단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불가피하게 화염 절단으로 제거해야 함으로써 철 구조물(2)의 도장 부분에 화기 손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많은 수정 공수가 불가피하게 투입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족장 해체 시 철 구조물로부터 기계적 절단에 의해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횡 방향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채널형 족장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 평판 형태의 상벽부; 상기 상벽부의 양측 끝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벽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벽부의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측벽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전방부 상, 하단부에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족장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족장피스는, 한 쌍의 측벽부의 내측면 하단부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어 한 쌍의 측벽부를 지지하는 하벽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널형 족장피스는, 사각 평판 형태의 상벽부의 양측 끝단부에 한 쌍의 측벽부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측벽부는 상기 상벽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벽부 하부 방향으로 절곡 되어 채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철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횡 하중 및 비틀림 대한 강성을 종래의 족장피스 대비 대폭 향상시켜 10mm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철재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족장피스를 철 구조물로부터 제거할 시에 화염 절단이 아닌 그라인더나 기계톱과 같은 절단공구를 사용하여 기계적 절단을 할 수 있어 철 구조물의 도장 부분에 화기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철 구조물의 수정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족장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채널형 족장피스(1)는, 사각 평판 형태의 상벽부(10)와, 상기 상벽부(10)의 양측 끝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벽부(1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벽부(10)의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측벽부(11)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11)의 전방부 상, 하단부에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홀(12)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족장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족장피스(1)는, 사각 평판 형태의 상벽부(10)와, 상기 상벽부(10)의 양측 끝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벽부(1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벽부(10)의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측벽부(11)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11)의 전방부 상, 하단부에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홀(12)과, 상기 한 쌍의 측벽부(11)의 내측면 하단부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 어 한 쌍의 측벽부(11)를 지지하는 하벽부(13)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널형 족장피스를 사용하여 족장판을 설치하는 과정과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형 족장피스를 사용하여 족장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채널형 족장피스(1)를 사용하여 족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채널형 족장피스(1)의 후방부 끝단을 선박과 같은 철 구조물(2)의 표면에 용접하여 부착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채널형 족장피스(1)는 상벽부(10)와 한 쌍의 측벽부(11)의 후방부 끝단을 철 구조물(2)의 표면에 용접하여 부착하며,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채널형 족장피스(1)는 상벽부(10)와 한 쌍의 측벽부(11) 및 하벽부(13)의 후방부 끝단을 철 구조물(2)의 표면에 용접하여 부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본 발명에 따른 채널형 족장피스(1)를 철 구조물(2)에 용접하여 부착한 다음에는, 브래킷(3)에 천공 형성된 고정 홀(30)이 상기 족장피스(1)의 측벽부(11)에 천공 형성된 고정 홀(12)과 일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서로 일치된 브래킷(3)과 족장피스(1)의 고정 홀(30)(12)에 볼트(도시되지 않음)를 체결하여 상기 족장피스(1)에 브래킷(3)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족장피스(1)에 브래킷(3)을 고정시킨 다음에는, 상기 브래킷(3) 상부면에 족장판(4)을 부착하여 상기 족장판(4) 위에서 작업자가 필요한 작업을 수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족장판(4)을 설치하여 그 위에서 작업자가 필요한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는, 상기 브래킷(3)을 족장피스(1)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브래킷(3)과 족장피스(1)의 고정 홀(30)(12)에 체결된 볼트를 제거한 후, 상기 브래킷(3)을 족장피스(1)로부터 분리한 다음, 철 구조물(2)에 용접 부착된 족장피스(1)를 그라인더나 기계톱과 같은 절단공구를 사용하여 절단을 하여 철 구조물(2)로부터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널형 족장피스(1)는, 사각 평판 형태의 상벽부(10)의 양측 끝단부에 한 쌍의 측벽부(11)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측벽부(11)는 상기 상벽부(1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벽부(10) 하부 방향으로 절곡 되어 채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철 구조물(2)에 부착된 상태에서의 횡 하중 및 비틀림 대한 강성을 종래의 족장피스 대비 대폭 향상시켜 10mm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철재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족장피스(1)를 철 구조물(2)로부터 제거할 시에 화염 절단이 아닌 그라인더나 기계톱과 같은 절단공구를 사용하여 기계적 절단을 할 수 있어 철 구조물(2)의 도장 부분에 화기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철 구조물(2)의 수정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족장피스를 사용하여 족장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족장피스가 철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족장피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족장피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형 족장피스를 사용하여 족장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족장피스 (10) : 상벽부
(11) : 측벽부 (12) : 고정 홀
(13) : 하벽부

Claims (2)

  1. 사각 평판 형태의 상벽부;
    상기 상벽부의 양측 끝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벽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벽부의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측벽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전방부 상, 하단부에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족장피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족장피스는, 한 쌍의 측벽부의 내측면 하단부에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어 한 쌍의 측벽부를 지지하는 하벽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형 족장피스.
KR1020080132457A 2008-12-23 2008-12-23 채널형 족장피스 KR20100073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457A KR20100073711A (ko) 2008-12-23 2008-12-23 채널형 족장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457A KR20100073711A (ko) 2008-12-23 2008-12-23 채널형 족장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711A true KR20100073711A (ko) 2010-07-01

Family

ID=4263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457A KR20100073711A (ko) 2008-12-23 2008-12-23 채널형 족장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37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392B1 (ko) * 2013-04-04 2015-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작업대
KR20210013450A (ko) 2019-07-25 2021-02-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피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392B1 (ko) * 2013-04-04 2015-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작업대
KR20210013450A (ko) 2019-07-25 2021-02-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540B1 (ko) 강관 비계용 연결구
JP3153818U (ja) 幅木固定用金具、及び幅木固定用金具セット
KR20100073711A (ko) 채널형 족장피스
JP2008202322A (ja) 足場用手すり枠
JP6068510B2 (ja) デッキプレート支持具とそれを用いたスラブ施工方法
JP5334707B2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梁の補強方法
JP4804274B2 (ja) 壁パネル取付装置
KR101302977B1 (ko) 족장 고정장치
JP5575851B2 (ja)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組立方法
KR200471684Y1 (ko) 중량물 파이프 서포트 설치용 지그
JP4514677B2 (ja) 屋根パネルまたは床パネルの補強方法、補強構造および補強用支持金具
KR200375136Y1 (ko)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
JP6347483B2 (ja) 床板の固定具
JP5917945B2 (ja) 大型覆工板およびその敷設方法
JP5851315B2 (ja) 足場金具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KR200479873Y1 (ko) 선박 내부 작업용 워킹플랫폼
JP6210776B2 (ja) 乗客コンベアのスカートガード着脱装置
JP4514678B2 (ja) 屋根パネルまたは床パネルの補強方法、補強構造および補強用支持金具
KR20110030851A (ko) 갱폼용 조립형 알루미늄재 안전발판
KR101871506B1 (ko) 클램프를 이용한 핸드레일 고정유닛
JP6864562B2 (ja) 目違い修正治具
JP2011252300A (ja) 立平葺き屋根用付属物取付金具
KR20130005479U (ko) H형 빌트업 형강재 취부지그
JP5130324B2 (ja) アンカープレートの支持具
JP2010090681A (ja) 受け冶具及び開口補強鋼材の横材の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