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136Y1 -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 - Google Patents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136Y1
KR200375136Y1 KR20-2004-0032831U KR20040032831U KR200375136Y1 KR 200375136 Y1 KR200375136 Y1 KR 200375136Y1 KR 20040032831 U KR20040032831 U KR 20040032831U KR 200375136 Y1 KR200375136 Y1 KR 200375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workbench
gangform
present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하
Original Assignee
황석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석하 filed Critical 황석하
Priority to KR20-2004-0032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1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1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0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ends of members only, e.g. for connecting members in end-to-end re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레일간의 연결이 용이하여 자재를 절약할 수 있는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중앙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웨브부와 웨브부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직각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플랜지부의 선단에서 상향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된 사면부로 이루어지는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handrail for gang-form station}
본 고안은 고층건물의 건축시 외벽에 설치되는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 조립이 가능하여 자재를 절약할 수 있는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대는 고층건물의 건축시 갱폼에 설치되며, 이 작업대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드레일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핸드레일은 단관비계용 파이프나 각파이프 등을 클램프나 기타 유사 고정물을 작업대에 용접으로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핸드레일은 용접불량으로 인해 용접부위가 탈락되거나 용접각도가 불량하여 체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핸드레일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자투리로 남은 자재가 과다하여 자재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에 따른 핸드레일을 조립하기 위하여 조립용 결속재를 별도로 제작해서 용접으로 고정해야 하므로 제품의 원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핸드레일간의 연결이 용이하여 자재를 절약할 수 있고, 별도의 결속재를 부착하지 않아도 결속이 가능한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중앙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웨브부와 웨브부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직각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플랜지부의 선단에서 상향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된 사면부로 이루어지는 작업대용 핸드레일을 제공한다.
여기서, 웨브부는 길이방향으로 엠보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용 핸드레일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용 핸드레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용 핸드레일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3는 도 2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을 연결편으로 조립한 조립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용 핸드레일(100)은 웨브부(10)와, 웨브브(10)와 직각을 형성되는 플랜지부(20)와, 플랜지부(20)의 선단에 형성되는 사면부(30)로 이루어진다.
웨브부(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12)와, 이 플레이트(12)의 중앙에 다수개 형성된 홀(14)과, 홀(14)과 플레이트(12)의 엣지부 사이에 형성된 엠보싱(1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엠보싱(16)은 두께의 변화가 없는 요철가공으로 동일한 중량의 철물에 대하여 굽힘강도가 증대된다. 따라서, 핸드레일(100)의 굽힘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웨브부(10)는 중앙에 다수개의 홀(14)이 형성된다. 이 홀(14)의 폭은 핸드레일의 조립을 위하여 삽입되는 볼트(18a)의 나사지름에 의해 결정되며, 홀(14)의 형성길이는 개구된 길이와 핸드레일(100)의 필요한 강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한다.
플랜지부(20)는 웨브부(10)의 양 선단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플랜지부(20)의 높이는 핸드레일의 조립을 위하여 삽입되는 볼트(18a) 헤드부의 높이 보다는 커야한다.
사면부(30)는 작업자의 안전과 강도의 보강을 위하여 플랜지부(20)의 선단에서 상향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용 핸드레일의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드레일(100)을 설치위치까지 이동시킨다. 핸드레일(100)을 설치위치 까지 이동되면 서로 인접하는 핸드레일(100)의 마주보는 선단의 홀(14)에 볼트(18a)와 너트(18b)를 이용하여 조립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필요한 길이만큼 핸드레일(100)을 볼트(18a)와 너트(18b)를 이용하여 연장 조립한다.
다음으로 선단의 핸드레일(100)이 남을 경우 절단기를 이용하여 핸드레일(100)의 남는부분을 절단한다. 이와 같이 절단된 핸드레일(100)은 필요에 따라 볼트(18a)와 너트(18b)를 이용하여 조립한 후 재사용한다.
또한, 핸드레일(100)의 코너부에서는 볼트(18a)를 변곡시킨 후 너트(18b)를 결속하여 조립한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된 조립편을 이용하여 각각의 개구에 서로 다른 핸드레일(100)을 고정시키므로 핸드레일을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용 핸드레일은 핸드레일의 연결시 용접하지 않으므로 용접불량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핸드레일간 연결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볼트와 너트로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원자재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볼트와 너트로 핸드레일과 갱폼작업대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클램프 등의 연결재가 없어도 되므로 원가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을 위한 재품의 적재시 작업대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품질이 유지되고 적재량을 늘릴 수 있어 운송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갱폼작업대의 코너부위와 핸드레일을 조립할 경우에 볼트를 변곡시켜 조립하면 되므로 별도의 코너부 접속재가 필요없어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3는 도 2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을 연결편으로 조립한 조립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웨브부 12 : 플레이트
14 : 홀 16 : 엠보싱
20 : 플레이트부 30 : 사면부
50 : 연결편

Claims (2)

  1.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중앙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웨브부와 상기 웨브부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직각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선단에서 상향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된 사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부는 길이방향으로 엠보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
KR20-2004-0032831U 2004-11-19 2004-11-19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 KR200375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831U KR200375136Y1 (ko) 2004-11-19 2004-11-19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831U KR200375136Y1 (ko) 2004-11-19 2004-11-19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136Y1 true KR200375136Y1 (ko) 2005-03-11

Family

ID=4367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831U KR200375136Y1 (ko) 2004-11-19 2004-11-19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1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171B1 (ko) * 2007-06-12 2007-12-27 이치영 갱폼 고정 지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171B1 (ko) * 2007-06-12 2007-12-27 이치영 갱폼 고정 지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5136Y1 (ko) 갱폼 작업대용 핸드레일
JP4073392B2 (ja) 仮設部材支持用具
KR100918042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
JP6108268B2 (ja) 外装改修用治具及び外装改修構造
EP1901987A1 (en) Elevator arrangement
JP4654218B2 (ja) 折版屋根材の固定金具
KR200375135Y1 (ko) 작업대
WO2018038057A1 (ja) 鋼製部材
KR200471684Y1 (ko) 중량물 파이프 서포트 설치용 지그
KR100433150B1 (ko)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JP4327176B2 (ja) 床下工事における基礎コンクリート補強金具
JP3734571B2 (ja) 壁パネルの取付構造
US20140215960A1 (en) Grating Clamp and Method for Fixing a Grating to a Support
CN211173171U (zh) 一种可拆卸的卸料平台型钢主梁端部固定装置
CN214884746U (zh) 一种卡接式的钢筋桁架组件及钢筋桁架楼承板
KR20100073711A (ko) 채널형 족장피스
JP5940905B2 (ja) 仮設足場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7415508B2 (ja) 屋根ユニットの骨組構造及び屋根ユニットの地組方法
KR102543329B1 (ko) 양방향 무용접 고정브라켓
JPH094067A (ja) 構造材の接続部構造
JP6654375B2 (ja) トラス接合構造
KR20230157131A (ko) 기능성 파이프체결 브래킷
JP7063564B2 (ja) 床パネル構成体、乾式床構造および乾式床構造作製方法
JP2009167724A (ja) 高欄
JP2010144383A (ja) 外壁パネルの取付金具及び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