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450A - 족장 피스 - Google Patents

족장 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3450A
KR20210013450A KR1020190090401A KR20190090401A KR20210013450A KR 20210013450 A KR20210013450 A KR 20210013450A KR 1020190090401 A KR1020190090401 A KR 1020190090401A KR 20190090401 A KR20190090401 A KR 20190090401A KR 20210013450 A KR20210013450 A KR 20210013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hook
hook groove
chieftain
chi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124B1 (ko
Inventor
안대영
오심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0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1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3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6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족장 피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벽면 구조물에 족장판을 지지시키기 위한 족장 피스는 벽면 구조물에 결합될 때 상하로 관통 형성된 걸이홈을 형성하는 걸이홈 피스 및 족장판이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걸이홈의 하부에서 진입되어 삽입된 후 회전 시 걸이홈 상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족장판 결합 피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족장 피스{SCAFFOLDING PIECE}
본 발명은 족장 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의 도장 및 용접 작업 시 이용되는 족장을 선체의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족장 피스에 관한 것이다.
선체의 높은 곳에서 작업하기 위해서는 선체의 벽면에 임시 작업공간 및 통로를 구축하는 족장을 설치하여야 한다.
족장을 설치하는 과정은 선체의 벽면에 고정피스를 용접 결합한 후 여기에 족장판을 설치하고,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절단기를 이용하여 고정피스를 제거하였다.
이러한 분리 작업시 선체의 벽면은 열 변형에 의해 손실되므로 부분적으로 도장작업을 다시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열에 취약한 여러 기구들의 손상 및 화재의 위험성에 노출되므로 비용 및 노동력이 추가로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73711호(2010.07.01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족장 설치를 위한 족장 피스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족장 피스의 분리 후 리터치 작업(그라인딩, 도장 등)을 줄일 수 있는 족장 피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종사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면 구조물에 족장판을 지지시키기 위한 족장 피스로서, 상기 벽면 구조물에 결합될 때 상하로 관통 형성된 걸이홈을 형성하는 걸이홈 피스 및 상기 족장판이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걸이홈의 하부에서 진입되어 삽입된 후 회전 시 상기 걸이홈 상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족장판 결합 피스를 포함하는 족장 피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홈 피스는 상기 후크부의 두께보다 큰 간격을 형성하도록 나란히 배치되며 각각 일단부가 상기 벽면 구조물에 결합되는 한 쌍의 원통형 지지로드와, 상기 한 쌍의 원통형 지지로드의 타단을 연결하여 상기 후크부가 걸쳐지는 원통형 받침로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족장판 결합 피스는 상기 걸이홈에 삽입 가능한 두께를 갖는 평판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걸이홈 피스와 상기 족장판 결합 피스가 상호 결속 시 상기 걸이홈을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목부와, 상기 걸이홈 피스 상단에 얹히도록 상기 목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이홈 피스와 상기 족장판 결합 피스가 상호 결속 시 상기 벽면 구조물과 마주하는 상기 목부의 일측면과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부와 상기 걸이부 사이에 형성된 벤딩부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이홈 피스와 상기 족장판 결합 피스가 상호 결속 시 상기 벤딩부가 접촉하는 상기 걸이홈 피스의 부분은 상기 벤딩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족장판 설치를 위한 족장 피스의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하고, 벽면 구조물에서 족장판 분리 시 걸이홈 피스에서 족장판 결합 피스를 분리하는 경우 부피가 작은 걸이홈 피스만이 벽면 구조물에 남게 되어 추후 재 사용이 용이하고, 걸이홈 피스를 벽면 구조물에서 제거하더라고 걸이홈 피스의 용접영역이 작아서 리터치 작업이 수월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족장 피스에 족장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족장 피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족장판 결합 피스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족장판 결합 피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걸이홈 피스에 족장판 결합 피스가 결속될 때 후크부가 걸이홈에 진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크부가 걸이홈에 진입된 후 회전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족장 피스에 족장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족장 피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족장판 결합 피스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족장 피스(20)는 작업자가 그 위에 올라서서 필요한 작업(도장, 용접 등)을 수행하기 위한 족장판(10)과 결합되는 족장판 결합 피스(30)와, 족장판 결합 피스(30)를 벽면 구조물(11)에 지지시키기 위한 걸이홈 피스(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걸이홈 피스(40)는 벽면 구조물(11)에 결합되며 족장판 결합 피스(30)가 결속될 수 있는 걸이홈(41)을 형성하는 부피가 작은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족장판 결합 피스(30)는 걸이홈 피스(40)에 형성된 걸이홈(41)의 하부에서 걸이홈(41)에 진입되어 삽입된 후 회전함에 따라 걸이홈(41)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걸이홈 피스(40)는 벽면 구조물(11)과 결합 시 벽면 구조물(11)과 함께 폐단면의 걸이홈(41)을 형성하도록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걸이홈 피스(40)는 단면이 원형이 원통형 부재가 'ㄷ'자 형태로 연결된 구조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나, 벽면 구조물(11)과 결합되어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로서, 걸이홈 피스(40)는 벽면 구조물(11)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는 반원형,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면 형상도 타원형,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이홈 피스(40)는 걸이홈(41)의 폭을 형성하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원통형 지지로드(42)와, 한 쌍의 원통형 지지로드(42)의 단부를 연결하는 원통형 받침로드(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원통형 지지로드(42)의 일단부는 벽면 구조물(11)에 용접 결합되고, 원통형 받침로드(43)는 한 쌍의 원통형 지지로드(42)의 타단부를 연결함에 의해 내측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폐단면 형상의 걸이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걸이홈(41)의 폭(w)은 후술하는 족장판 결합 피스(30)의 후크부(33)가 진입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후크부(33)의 두께(t)보다 크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로서, 걸이홈(41)의 폭(w)은 걸이홈(41)에 후크부(33)의 삽입 후 걸이홈(41)에서 후크부(33)의 유동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후크부(33)의 두께(t)보다 약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족장판 결합 피스(30)는 걸이홈(41)에 삽입 가능한 두께(t)를 갖는 평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족장판 결합 피스(30)는 사각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족장판(10)이 결합되는 체결공(32)이 형성된 몸체부(31)와, 걸이홈 피스(40)와 상호 결속되기 위해 몸체부(31)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후크부(33)를 포함한다.
후크부(33)는 걸이홈 피스(40)와 족장판 결합 피스(30)가 상호 결속될 때 걸이홈(41)을 관통하는 목부(34)와, 걸이홈 피스(40)의 받침로드(43) 상단에 얹혀지는 걸이부(35)를 포함한다.
걸이홈 피스(40)에 족장판 결합 피스(30)가 결속 시 벽면 구조물(11)과 마주하는 목부(34)의 일측면(34a)과 몸체부(31)의 일측면(31a)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족장판(10)이 몸체부(31)에 결합될 때 동일 평면을 이루는 목부(34)와 몸체부(31)의 일측면(34a,31a)은 벽면 구조물(11)의 표면과 밀착 접촉되어 족장판(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을 형성한다.
목부(34)의 일측면(34a)과 맞은편에 위치된 몸체부(31)와 후크부(33)가 연결되는 타측면(36)은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33)의 걸이부(35)는 목부(34)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벤딩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33)의 걸이부(35)는 족장판 결합 피스(30)와 걸이홈 피스(40)가 상호 결속될 때 걸이홈 피스(40)의 상단, 즉 받침로드(43)의 상단에 걸려 지지되는 부분이다.
걸이홈 피스(40)에 족장판 결합 피스(30)를 결속시키기 위해 후크부(33)가 걸이홈(41)에 진입된 후 족장판 결합 피스(30)를 회전시키는 경우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목부(34)와 걸이부(35) 사이에 형성된 벤딩부(37)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걸이부(35)가 받침로드(43) 상단에 안정적으로 얹혀지도록 목부(34)와 걸이부(35) 사이에 형성된 벤딩부(37)는 받침로드(43)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걸이부(35)의 단부에는 후크부(33)가 걸이홈(41)에서 손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이부(35)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된 걸림턱(38)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걸이홈 피스에 족장판 결합 피스가 결속 및 결속 해제되는 과정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본 실시 예의 걸이홈 피스(40)를 벽면 구조물(11)에 용접을 통해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서, 벽면 구조물(11)에 설치된 걸이홈 피스(40)는 벽면 구조물(11)과 함께 폐단면의 걸이홈(41)이 형성된 상태이다.
족장판 결합 피스(30)를 걸이홈 피스(40)에 결속시키기 위하여 족장판 결합 피스(30)의 후크부(33)를 걸이홈 피스(40)에 형성된 걸이홈(41) 하부에 위치시킨다.
이후, 도 6과 같이, 후크부(33)의 걸이부(35)를 걸이홈(41)의 하부를 통해 진입시켜 걸이홈(4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몸체부(31)를 벽면 구조물(11)을 향해 회동시키면, 후크부(33)의 걸이부(35)는 받침로드(43)의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족장판(10)을 족장판 결합 피스(30)의 몸체부(31)에 형성된 체결공(32)에 볼트 체결을 통해 결합시킨다.
한편, 족장판(10)을 벽면 구조물(11)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시킨다.
이때, 족장판 결합 피스(30)를 걸이홈 피스(4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는 벽면 구조물(11)에는 부피가 작은 걸이홈 피스(40)만이 남게 되므로 추후 재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벽면 구조물(11)에서 걸이홈 피스(40)를 제거하게 되더라도 그라인딩 및 페인팅 작업을 수행하는 면적이 극히 작아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족장판, 11: 벽면 구조물,
20: 족장 피스, 30: 족장판 결합 피스,
31: 몸체부, 32: 체결공,
33: 후크부, 34: 목부,
35: 걸이부, 37: 벤딩부,
38: 걸림턱, 40: 걸이홈 피스,
41: 걸이홈, 42: 원통형 지지로드,
43: 원통형 받침로드.

Claims (5)

  1. 벽면 구조물에 족장판을 지지시키기 위한 족장 피스로서,
    상기 벽면 구조물에 결합될 때 상하로 관통 형성된 걸이홈을 형성하는 걸이홈 피스; 및
    상기 족장판이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걸이홈의 하부에서 진입되어 삽입된 후 회전 시 상기 걸이홈 상단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족장판 결합 피스;를 포함하는 족장 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홈 피스는 상기 후크부의 두께보다 큰 간격을 형성하도록 나란히 배치되며 각각 일단부가 상기 벽면 구조물에 결합되는 한 쌍의 원통형 지지로드와, 상기 한 쌍의 원통형 지지로드의 타단을 연결하여 상기 후크부가 걸쳐지는 원통형 받침로드를 포함하는 족장 피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족장판 결합 피스는 상기 걸이홈에 삽입 가능한 두께를 갖는 평판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걸이홈 피스와 상기 족장판 결합 피스가 상호 결속 시 상기 걸이홈을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목부와, 상기 걸이홈 피스 상단에 얹히도록 상기 목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하는 족장 피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홈 피스와 상기 족장판 결합 피스가 상호 결속 시 상기 벽면 구조물과 마주하는 상기 목부의 일측면과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족장 피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와 상기 걸이부 사이에 형성된 벤딩부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이홈 피스와 상기 족장판 결합 피스가 상호 결속 시 상기 벤딩부가 접촉하는 상기 걸이홈 피스의 부분은 상기 벤딩부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족장 피스.
KR1020190090401A 2019-07-25 2019-07-25 족장 피스 KR102640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401A KR102640124B1 (ko) 2019-07-25 2019-07-25 족장 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401A KR102640124B1 (ko) 2019-07-25 2019-07-25 족장 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450A true KR20210013450A (ko) 2021-02-04
KR102640124B1 KR102640124B1 (ko) 2024-02-23

Family

ID=7455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401A KR102640124B1 (ko) 2019-07-25 2019-07-25 족장 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1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0677A (ko) 2022-04-22 2023-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론지용 클램프
KR20240060249A (ko) 2022-10-28 2024-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역론지용 클램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3711A (ko) 2008-12-23 2010-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채널형 족장피스
KR20120003067A (ko) * 2010-07-02 2012-01-10 조홍준 철근 스페이서
KR20130003463U (ko) * 2011-12-02 2013-06-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비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3711A (ko) 2008-12-23 2010-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채널형 족장피스
KR20120003067A (ko) * 2010-07-02 2012-01-10 조홍준 철근 스페이서
KR20130003463U (ko) * 2011-12-02 2013-06-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비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0677A (ko) 2022-04-22 2023-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론지용 클램프
KR20240060249A (ko) 2022-10-28 2024-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역론지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124B1 (ko) 202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540B1 (ko) 강관 비계용 연결구
KR20210013450A (ko) 족장 피스
JP2007138413A (ja) 振止め具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JP6421397B2 (ja) コンクリート覆工型枠の天井フォーム用の吊り上げ金具、コンクリート覆工型枠の天井フォームの吊り上げ方法、コンクリート覆工型枠の組み上げ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覆工型枠の解体方法
KR200469390Y1 (ko) 선박용 비계
JP5374070B2 (ja) 天井裏足場支持構造
JP2017082470A5 (ko)
JP4274991B2 (ja) 吊り治具
JP6663726B2 (ja) 吊り足場板の吊下げ金具
JP2005068650A (ja) 安全手摺
JP5988288B2 (ja) 長物材吊り込み用治具
JP5319426B2 (ja) 天井裏足場支持用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天井裏足場支持構造
KR101302977B1 (ko) 족장 고정장치
KR20110005427U (ko) 옷걸이용 가로바 연결장치
KR20130127763A (ko) 작업용 비계
KR100583773B1 (ko)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대
JPH1162213A (ja) 足場用手すり器
JP7298886B2 (ja) 筒状構造物の周囲に足場を設置する方法
JPH0643306Y2 (ja) パネル
JP2018003981A (ja) 吊上用金具
KR102027288B1 (ko) 발판 지지 장치
JP6527382B2 (ja) クロージャ支持部材
JP4095548B2 (ja) ケーブルラックの振れ止め金具
KR200487093Y1 (ko) 브라켓
KR20150000394U (ko) 그레이팅 고정핀 장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