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779Y1 -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 - Google Patents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779Y1
KR200497779Y1 KR2020190004223U KR20190004223U KR200497779Y1 KR 200497779 Y1 KR200497779 Y1 KR 200497779Y1 KR 2020190004223 U KR2020190004223 U KR 2020190004223U KR 20190004223 U KR20190004223 U KR 20190004223U KR 200497779 Y1 KR200497779 Y1 KR 2004977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oupled
shaped strip
plat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910U (ko
Inventor
정구운
정수원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4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79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9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9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5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profiles, e.g. I or H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갈고리부, 및 상기 갈고리부에서 연장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고리형 단책을 플레이트부재의 일면에 부착된 고리에 고정시키는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리에 삽입된 상기 갈고리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기둥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기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JIG FOR PRE-INSTALLING HOOK-TYPE SUPPORT COLUMN OF SCAFFOLD}
본 고안은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단책(support column)은 구조물 하부에 설치되는 족장의 구성품으로서, 구조물에 결합되어 발판이 안착되는 수평 바를 지지할 수 있다. 그 중 고리형 단책(hook-type support column)은 구조물 하부에 형성된 고리에 걸 수 있도록 상단부에 갈고리가 형성된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족장 철거 시 구조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고리형 단책의 설치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리형 단책(2)을 걸기 위한 고리(1b)는 갑판(1) 하부에 형성된 론지(longitudinal stiffener)(1a)에 용접 등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고리(1b)는 선체블록이 뒤집어진 상태, 즉 론지(1a)가 갑판(1)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설치될 수 있지만, 고리형 단책(2)은 선체블록이 뒤집어진 상태에서는 고리(1b)에 고정될 수 없어 선체블록이 바로 세워진 상태, 즉 론지(1a)가 갑판(1)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만 설치될 수 있었다. 하지만, 선체블록이 바로 세워진 상태에서 고리형 단책(2)을 설치하는 경우 고소작업에 따른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4398호(2018.06.04, 족장 장치)
본 고안의 실시 예는 고리형 단책을 지상에서 선행 설치할 수 있도록 고리에 삽입된 고리형 단책을 고정시키는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갈고리부, 및 상기 갈고리부에서 연장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고리형 단책을 플레이트부재의 일면에 부착된 고리에 고정시키는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리에 삽입된 상기 갈고리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기둥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기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수직 판; 상기 수직 판의 일면에서 돌출되고, 상호간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수평 판 및 제2 수평 판; 및 상기 제1 수평 판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체결되어 상기 제2 수평 판의 일면을 향해 전후로 이동하는 제1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 판의 타면과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판의 일면에는 상기 연장부와 평행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기둥부의 일측을 감싸는 제1 반고리부; 상기 제1 반고리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기둥부의 타측을 감싸는 제2 반고리부; 및 상기 제2 반고리부를 상기 제1 반고리부의 타단에 구속시키는 제2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리가 부착된 플레이트부재에 결합되어 고리에 삽입된 고리형 단책을 지지하는 지그를 사용하여 고리에 삽입된 고리형 단책을 고정시킬 수 있어 고리형 단책을 지상에서 선행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고리형 단책의 설치 예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지그를 활용한 고리형 단책의 선행 설치 예이고,
도 4는 도 3의 고리형 단책을 기초로 설치된 족장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변형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 "상"으로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를 의미하고,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지그를 활용한 고리형 단책의 선행 설치 예이고, 도 4는 도 3의 고리형 단책을 기초로 설치된 족장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10)는 고리형 단책(2)을 고리(1b)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지상에서 고리형 단책(2)의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고소작업을 통해 족장(20)의 설치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
한편, 지그(10)는 족장(20) 사용 중에는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족장(20) 철거 직전에 제거되어 고리형 단책(2)의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리형 단책(2)은 구조물 하부, 예를 들어 갑판(1) 하부에 설치되는 족장(20)의 구성품으로서 갑판(1) 하부에 형성된 론지(1a)에 부착된 고리(1b)에 결합되어 발판(3)이 안착되는 수평 바(4)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리형 단책(2)은 고리(1b)에 삽입되는 갈고리부(2a), 및 갈고리부(2a)에서 연장되는 기둥부(2b)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1b)는 론지(1a)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부재(1a-1)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지그(10)는 고정부(100), 안착부(200), 연장부(300) 및 지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00)는 플레이트부재(1a-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수직 판(110), 제1 수평 판(120), 제2 수평 판(130) 및 제1 볼트(140)를 포함할 수 있고, 절곡 판(1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직 판(110)은 플레이트부재(1a-1)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 판(110)은 판상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수평 판(120) 및 제2 수평 판(130)은 각각 수직 판(110)의 일면에서 돌출될 수 있고, 상호간에 X 방향(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평 판(120) 및 제2 수평 판(130)은 판상일 수 있고, 제1 수평 판(120)에는 제1 볼트(140)가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볼트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 구멍의 내주면에는 제1 볼트(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와 치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볼트 구멍은 제1 수평 판(120)의 돌출 방향, 즉 Y 방향(제2 방향)과 수직한 Z 방향(제3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Y 방향은 X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고, Z 방향은 X 방향 및 Y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볼트(140)는 상술한 것처럼 제1 수평 판(120)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볼트(140)는 정 회전 시 제2 수평 판(130)의 일면을 향해 전진할 수 있고, 역 회전 시 제2 수평 판(130)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작업자는 제1 수평 판(120)과 제2 수평 판(130)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부재(1a-1)의 일면 상에 제2 수평 판(13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1 볼트(140)를 정 회전시켜 플레이트부재(1a-1)의 타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지그(10)를 플레이트부재(1a-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절곡 판(150)은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직 판(110)의 타면으로부터 제1 수평 판(120)의 일면까지 연장될 수 있고, 고정부(1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안착부(200)는 고정부(100)의 수직 판(110)에 결합될 수 있고, 안착부(200)의 일면에는 고리(1b)에 삽입된 갈고리부(2a)가 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착부(200)는 제2 수평 판(130)으로부터 X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 수평 판(130)은 제1 수평 판(120)과 안착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200)의 Z 방향으로의 폭은 제2 수평 판(130)의 Z 방향으로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00)는 플레이트부재(1a-1)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반면, 안착부(200)는 고리(1b) 내로 삽입되어 갈고리부(2a)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200)의 Y 방향으로의 돌출 높이는 수직 판(110)의 일면을 기준으로 제2 수평 판(130)의 Y 방향으로의 돌출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평 판(130)은 안착부(200)가 고리(1b) 내로 삽입될 때 고리(1b)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연장부(300)는 갈고리부(2a)가 안착되는 안착부(200)의 일면으로부터 플레이트부재(1a-1)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 즉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300)는 고리(1b)에 결합된 고리형 단책(2)의 기둥부(2b)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400)는 연장부(300)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고리형 단책(2)의 기둥부(2b)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400)는 연장부(300)에 결합되는 제1 반고리부(410), 제1 반고리부(41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반고리부(420), 및 제2 반고리부(420)를 제1 반고리부(410)의 타단에 구속시키는 제2 볼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볼트(430)는 제1 반고리부(410) 및 제2 반고리부(420)에 각각 형성된 관통 홀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볼트(430)에는 너트(440)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고리형 단책(2)의 기둥부(2b)는 기둥부(2b)를 감싸는 제1 반고리부(410) 및 제2 반고리부(420)에 의해 지지되어 직립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변형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그(10)는 제2 수평 판(130)과 안착부(20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안착부(200)는 X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직 판(1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판(110)의 일면에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111)이 형성될 수 있고, 안착부(200)는 가이드레일(11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200)는 갈고리부(2a)를 X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리(1b)에 밀착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고리형 단책(2)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한편 고리형 단책(2)이 고리(1b)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갑판 1a: 론지
1a-1: 플레이트부재 1b: 고리
2: 고리형 단책 2a: 갈고리부
2b: 기둥부 3: 발판
4: 수평 바 10: 지그
20: 족장 100: 고정부
110: 수직 판 111: 가이드레일
120: 제1 수평 판 130: 제2 수평 판
140: 제1 볼트 150: 절곡 판
200: 안착부 300: 연장부
400: 지지부 410: 제1 반고리부
420: 제2 반고리부 430: 제2 볼트
440: 너트 500: 탄성부재

Claims (4)

  1. 갈고리부, 및 상기 갈고리부에서 연장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고리형 단책을 플레이트부재의 일면에 부착된 고리에 고정시키는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리에 삽입된 상기 갈고리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기둥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기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어, 상기 기둥부의 일측을 감싸는 제1 반고리부;
    상기 제1 반고리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기둥부의 타측을 감싸는 제2 반고리부; 및
    상기 제2 반고리부를 상기 제1 반고리부의 타단에 구속시키는 제2 볼트를 포함하는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수직 판;
    상기 수직 판의 일면에서 돌출되고, 상호간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수평 판 및 제2 수평 판; 및
    상기 제1 수평 판에 형성된 볼트 구멍에 체결되어 상기 제2 수평 판의 일면을 향해 전후로 이동하는 제1 볼트를 포함하는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 판의 타면과 상기 안착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판의 일면에는 상기 연장부와 평행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
  4. 삭제
KR2020190004223U 2019-10-18 2019-10-18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 KR2004977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223U KR200497779Y1 (ko) 2019-10-18 2019-10-18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223U KR200497779Y1 (ko) 2019-10-18 2019-10-18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910U KR20210000910U (ko) 2021-04-28
KR200497779Y1 true KR200497779Y1 (ko) 2024-02-28

Family

ID=7573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223U KR200497779Y1 (ko) 2019-10-18 2019-10-18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79Y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947A (ko) * 2010-05-20 2011-11-28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족장설치를 위한 스틸와이어 체결공법
KR20140023496A (ko) * 2012-08-16 2014-02-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형강 설치를 위한 비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형강 설치방법
KR20160070415A (ko) * 2014-12-10 2016-06-2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철거가 용이한 환봉단책 및 철거방법
KR20170139772A (ko) * 2016-06-10 2017-12-20 주식회사 금오공업 고소작업대의 가드레일 장치
KR101864398B1 (ko) 2016-09-27 2018-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족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910U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4994B2 (ja) 親綱支柱
KR20140002354U (ko) 선박블록에 설치되는 조립식 족장 지지장치
KR200497779Y1 (ko)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
JP6498075B2 (ja) 鉄骨構造物の張出通路
KR20130110467A (ko) 선박의 수직 브라켓 취부용 지그
US20110088972A1 (en) Elevator work deck
KR101715298B1 (ko) 가설 난간의 지지 장치
KR200467302Y1 (ko) 안전난간용 난간지주
KR101794075B1 (ko) 조립성이 용이한 울타리 및 설치방법
JP2007100380A (ja) 屋根上架台装置及び架台瓦
KR101716328B1 (ko) 컨테이너 가이드 설치방법 및 구조
KR102027288B1 (ko) 발판 지지 장치
KR20140003022U (ko) 선박 및 해양조물용 안전핸드레일
KR200472187Y1 (ko) 유틸리티라인 지지구
KR101497392B1 (ko) 선박용 작업대
CN214143236U (zh) 一种下承式贝雷片桥梁
CN210676762U (zh) 新型建筑工程用钢筋切断装置
KR100752389B1 (ko) 틀비계용 난간대
JP2015161121A (ja) キャップ体、キャップセット及び柵設備
KR200386883Y1 (ko) 타워크레인용 체결부재 보관구
JP6304696B2 (ja) 仮設構造物の床板固定用具
JP6335135B2 (ja) 仮設手摺
KR20150000498U (ko) 벌크 캐리어 t-bhd 작업용 지그기구
KR20140054683A (ko) 건설공사용 파이프 비계
KR200483165Y1 (ko) 건축물 벽면 시공용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