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831B1 -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 - Google Patents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831B1
KR101618831B1 KR1020150142583A KR20150142583A KR101618831B1 KR 101618831 B1 KR101618831 B1 KR 101618831B1 KR 1020150142583 A KR1020150142583 A KR 1020150142583A KR 20150142583 A KR20150142583 A KR 20150142583A KR 101618831 B1 KR101618831 B1 KR 101618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liding guide
spiral tube
connecting band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최성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호철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호철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호철관
Priority to KR1020150142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2Public or like main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4Domestic or like local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선관의 끝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연결밴드; 상기 나선관과 연결밴드 사이에 구비되는 'ㅗ' 형태의 슬라이딩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밴드는 양 끝단 각각에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는 상기 나선관과 연결밴드 사이에 구비되는 면접촉부; 및 상기 면접촉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CONNECTION BAND WITH SLIDING GUIDE HAVING CLAMPING FORCE IMPROVED}
본 발명은 합성수지 나선관의 끝단에 구비되어 한 쌍의 합성수지 나선관을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나선관 연결시 합성수지 나선관의 끝단에 슬라이딩가이드가 구비되어 체결볼트로 체결할 때에 발생되는 집중하중에 의해 연결밴드가 합성수지 나선관의 플랜지 속으로 파고 들어가 박힘에 따라 상기 집중하중에 의해 합성수지 나선관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상하수도는 오수나 생활하수 등의 유체를 배수하기 위하여 주름관 형태의 나선관이 매설되는데, 이러한 나선관은 그 단면이 주름형태로 반복되는 구조로 제조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 및 토압에 의한 충격을 역학적으로 분산시켜 나선관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매설되는 나선관은 현장으로의 이송 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약 6m 등 일정한 길이로 제조되는데, 현장에서 설치시 일정한 길이로 제조된 다수 개의 나선관의 단부를 서로 체결하여 설치하게 된다.
상기에서 나선관의 단부를 체결할 수 있는 구조로 등록특허공보 제10-0966884호에 휨기능이 향상된 환봉지지연결구가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휨기능이 향상된 환봉지지연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휨기능이 향상된 환봉지지연결구의 단면도로, 그 구성은
두 개의 관(1)의 말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체결밴드(10) 및 제2 체결밴드(12); 상기 제1 체결밴드(10)와 제2 체결밴드(12) 사이에 위치하는 주름밴드(20); 및 상기 제1 체결밴드(10) 및 제2 체결밴드(12)의 외측에 체결수단(34a)(34b)이 관통되는 관통공(32)이 구비된 한 쌍의 지지부재(30a)(30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수단(34a)(34b)을 체결함에 의하여 상기 제1 체결밴드(10) 및 제2 체결밴드(12)의 직경이 작아지고 이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관(1) 및 상기 주름밴드(20)가 고정되는 휨기능이 향상된 환봉지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주름밴드(20)는, 상기 직경이 다른 두 개의 관(1)을 연결할 수 있도록 그 양단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두 개의 관(1)이 맞닿는 상기 제1 체결밴드(10)와 제2 체결밴드(12) 및 주름밴드(20)의 내부에 지수막(40)이 형성되고,
상기 지수막(40)은,상기 지수막(40)의 일면에서 일측면이 직각으로 형성되어 관(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42); 및 상기 지수막(40)의 또 다른 일면에는 일자형의 돌기가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면서 관(1)의 돌출부가 걸려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수밀돌기(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휨기능이 향상된 환봉지지연결구에서 제1 체결밴드(10) 및 제2 체결밴드(12)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두께가 얇은 판을 감아서 원형으로 형성하여 제작되며, 상기 제1 체결밴드(10) 및 제2 체결밴드(12)의 외측부에는 한 쌍의 지지부재(30a)(30b)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각각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0a)(30b)의 단면은 사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30a)(30b)에는 체결수단(34a)(34b)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수단(34a)(34b)으로는 볼트(34a) 및 너트(34b)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34a)는 길이가 긴 장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체결밴드(10), 주름밴드(20) 및 제2 체결밴드(12) 순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수단(34a)(34b), 즉 볼트(34a) 및 너트(34b)를 조여서 상기 지지부재(30a)(30b)가 서로 가까워지며 동시에 상기 제1 체결밴드(10) 및 제2 체결밴드(12)는 직경이 작아지면서 두개 의 관(1) 및 주름밴드(20)가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제1 체결밴드(10) 및 제2 체결밴드(12)의 한쪽 끝단을 길게 연장되어 볼트 및 너트를 조이게 되면, 양쪽 끝단이 서로 겹치게 되면서 양쪽 끝단 중 길게 연장된 끝단의 접촉 면적이 한쪽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큰 힘의 체결력이 요구되는 대형관의 체결에는 한쪽단에만 마찰이 크게 작용하여 체결 볼트의 나사산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제1 체결밴드(10) 및 제2 체결밴드(12)의 한쪽 끝단을 길게 형성하여 체결시 양쪽 끝단이 겹쳐지도록 하는 구성은 중소형 금속제 나선관의 체결에는 적용가능할 수 있으나, 지름 600mm 이상되는 나선관의 체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66884호(2010.06.2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합성수지 나선관 연결시 합성수지 나선관의 끝단에 슬라이딩가이드가 구비되어 체결볼트로 체결할 때에 발생되는 집중하중에 의해 연결밴드가 합성수지 나선관의 플랜지 속으로 파고 들어가 박힘에 따라 상기 집중하중에 의해 합성수지 나선관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는 나선관의 끝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연결밴드; 나선관과 연결밴드 사이에 구비되는 'ㅗ' 형태의 슬라이딩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연결밴드는 양 끝단 각각에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부재가 구비되며, 슬라이딩가이드는 나선관과 연결밴드 사이에 구비되는 면접촉부; 및 면접촉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나선관 연결시 합성수지 나선관의 끝단에 슬라이딩가이드가 구비되어 체결볼트로 체결할 때에 발생되는 집중하중에 의해 연결밴드가 합성수지 나선관의 플랜지 속으로 파고 들어가 박힘에 따라 상기 집중하중에 의해 합성수지 나선관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휨기능이 향상된 환봉지지연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휨기능이 향상된 환봉지지연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의 체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의 체결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의 체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의 체결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나선관 연결시 합성수지 나선관의 끝단에 슬라이딩가이드가 구비되어 체결볼트로 체결할 때에 발생되는 집중하중에 의해 연결밴드가 합성수지 나선관의 플랜지 속으로 파고 들어가 박힘에 따라 상기 집중하중에 의해 합성수지 나선관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의 체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의 체결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는 나선관(10)의 끝단을 감싸는 연결밴드(20) 및 슬라이딩가이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나선관(10)은 지중에 매설되어 오수 또는 생활하수 등의 각종 유체를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그 단면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형태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 충격 및 토압이 역학적으로 분산되어 파손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나선관(10)은 그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주름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지되,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선관(10)은 합성수지, 금속, 수지코팅금속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계조건에 따라, 다수의 소재를 여러층으로 구성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선관(10)은 다수의 소재가 여러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나선관(10)의 내부에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강판을 감싸도록 나선관(10)의 외부는 탄력이 있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밴드(20)는 나선관(10)의 끝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나선관(10)을 견고하게 물어잡도록 하는 것으로, 한 쌍의 나선관(10) 끝단에 각각 체결되며, 상기 연결밴드(20) 사이를 볼트 너트 결합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나선관(10) 상호간에 견고하게 이음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결밴드(20)는 나선관(10)에 체결시 나선관(10)의 외경면을 감쌀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두께가 얇은 판을 감아서 원형으로 형성되게 제조되며, 양끝단에 각각 볼트(1)가 관통되는 관통공(21a)이 형성된 체결부재(21)가 구비된다.
이때, 체결부재(21)는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나선관(10)의 외경면을 감싸는 연결밴드(20)의 길이는 나선관(10)의 외경과 같거나 또는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나선관(10)에 연결밴드(20) 체결시 연결밴드(20)의 양 끝단에 각각 구비되는 체결부재(21)를 볼트(1)를 관통시키고, 너트(2) 조이게 되면, 체결부재(21)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서 나선관(10)의 겉면을 견고하게 물어잡게 된다.
즉 연결밴드(20)는 체결하고자 하는 나선관(10)의 끝단 외경면에 감기게 되며, 한 쌍의 체결부재(21)에 형성된 관통공(21a)에 볼트(1)를 관통시키고, 너트(2)를 통해 조이게 되면, 체결부재(21)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동시에, 연결밴드(20)의 내경면이 나선관(10)의 외경면을 압박함으로써, 체결되게 된다.
여기에서, 볼트(1)와 너트(2)의 구성은 양쪽에서 조일 수 있는 스터드 볼트(stud blo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스터드 볼트는 양쪽 끝 모두 수나사로 되어 있는 나사로서, 양쪽 각각에 너트를 끼워 조이는 방식이다.
한편, 서술한 바와 같이, 볼트(1) 및 너트(2)의 결합에 의해 연결밴드(20)가 나선관(10)의 외경면을 압박하게 되면, 연결밴드(20)의 양 끝단이 나선관(10)의 중심측으로 힘을 받게 되어 나선관(10)의 겉면에서 내측으로 파고들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나선관(10)의 일부분이 파손되고, 연결밴드(20)의 양 끝단에 의해 집중적으로 힘을 받는 부분이 파손되어 연결밴드(20)의 조임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나아가, 나선관(10)의 이음부가 분리되어 나선관(10)의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는 나선관(10)과 연결밴드(20) 사이에 상기 연결밴드(20)의 조임에 의해 발생되는 집중적인 힘을 완화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가이드(30)가 구비된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밴드(20)의 상측과 하측면을 관통하는 형태의 주유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유구(22)는 슬라이딩가이드(30)가 연결밴드(20)의 겉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한 후, 연결밴드(20)와 슬라이딩가이드(30) 체결시, 상기 주유구(22)를 통해 윤활유 등과 같은 기름을 주입하게 되면, 기름이 주유구(22)를 통해 슬라이딩가이드(30)의 면접촉부(31) 상측면으로 스며들어, 연결밴드(20)의 하측면과 슬라이딩가이드(30)의 면접촉부(31)의 상측면 사이가 상기 기름에 의해 마찰력이 최소화됨으로써, 연결밴드(20)의 일부분이 슬라이딩가이드(30)의 상측면을 타고 원활하게 이동되어 체결이 용이하고, 연결밴드(20)와 슬라이딩가이드(30)의 마찰에 따른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3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은 전체적으로 'ㅗ' 형태로 이루어지며, 나선관(10)과 연결밴드(20) 사이 및 연결밴드(20)의 양 끝단에 구비되는 체결부재(21) 사이에 구비되어, 연결밴드(20)의 조임에 의해 발생되는 집중적인 힘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면접촉부(31) 및 체결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가이드(30)는 마찰력이 낮은 테프론(Teflon)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후술되는 면접촉부(31)는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지되 체결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면접촉부(31)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ㅗ' 형태의 단면을 갖는 슬라이딩가이드(3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나선관(10)과 연결밴드(20)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면접촉부(31)는 도 6에서와 같이, 나선관(10)에 연결밴드(20)가 체결되면, 연결밴드(20)의 양 끝단이 면접촉부(31)의 상측면에 접촉된 채 상기 상측면을 따라 면접촉부(31)의 중심측으로 미끄러져 이동되면서 나선관(10)의 외경면을 균일하게 압박함으로써, 나선관(10)과 연결밴드(20)가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체결부(32)는 슬라이딩가이드(30)의 중심측에 구비되되, 면접촉부(31)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관통공(32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체결부(32)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나선관(10)에 연결밴드(20) 체결시 연결밴드(20)의 양 끝단에 각각 구비되는 체결부재(21) 중 하나의 체결부재(21)에 형성된 관통공(21a)에 볼트(1)를 관통시키고, 체결부(32)에 형성된 관통공(32a)을 볼트(1)를 관통시키며, 나머지 하나의 체결부재(21)에 형성된 관통공(21a)에 볼트(1)를 순차적으로 관통시킨 후, 너트(2)를 체결함으로써, 체결부재(21) 간격이 좁아지면서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는 볼트(1) 및 너트(2)의 결합에 의해 연결밴드(20)가 나선관(10) 속으로 파고들어가 박히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나선관(10)과 연결밴드(20) 사이에 슬라이딩가이드(30)가 구비됨으로써, 나선관(10)에 연결밴드(20) 체결시, 연결밴드(20)의 양 끝단이 슬라이딩가이드(30)의 상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균일하게 체결되도록 하고, 이때 발생되는 마찰을 슬라이딩가이드(30)의 체결부(32) 양쪽으로 분산시켜줌에 따라, 체결력이 반감되어 나선관(10)의 종방향 체결력 확보가 쉬어지며, 나선관(10)과 연결밴드(20)가 상호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또한 슬라이딩가이드(30)가 구비된 연결밴드(20)에 의해 나선관(10)의 표면 손상이나 볼트(1)의 나사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볼트(1) 및 너트(2) 결합시 나선관(10)을 압박하는 연결밴드(20)이 균일한 조임력으로 압박하게 되어 나선관(10)이 집중하중이나 부등침하 등의 악영향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어어 생기는 누수 발생을 방지하여 주며, 간단한 구성의 슬라이딩가이드(30)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상기에서 서술한 이점을 얻을 수 있어 제조원가의 큰 부담 없이 체결력을 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에서 슬라이딩가이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의 체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의 체결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는 나선관(10)의 끝단을 감싸는 연결밴드(20) 및 슬라이딩가이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딩가이드(30)는 면접촉부(31), 체결부(32) 및 윤활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면접촉부(31)는 양 끝단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나선관(10)과 연결밴드(20) 사이에 슬라이딩가이드(3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밴드(20)을 체결하여 조이게 되면, 슬라이딩가이드(30)와 연결밴드(20)의 양 끝단이 접촉되는 부분과 면접촉부(31)의 양 끝단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나선관(10)의 겉면에 힘을 가하게 되되,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집중적으로 나선관(10)의 겉면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어 나선관(10) 및 슬라이딩가이드(30)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마찰에 따른 수명 단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면접촉부(31)는 양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윤활부(33)는 면접촉부(31)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연결밴드(20)의 주유구(22)를 통해 윤활유 등과 같은 기름이 주입되면, 상기 윤활유를 함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윤활부(33)는 기름을 머금을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스펀지(sponge) 또는 직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윤활부(33)는 연결밴드(20)의 양 끝단이 면접촉부(31)의 상측면과 접촉되어 체결부(32) 측으로 밀고 올라가게되면, 상기 윤활부(33)에 함유된 기름에 의해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가이드(30)는 마찰력이 낮은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나선관(10) 및 연결밴드(20)가 설치되는 지반 및 토사의 상태 등 다양한 환경요건에 의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슬라이딩가이드(3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가이드(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되, 체결부(32)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면접촉부(31) 각각에 상측과 하측면을 관통하는 주유구(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나선관 20 : 연결밴드
21 : 체결부재 21a : 관통공
22 : 주유구 30 : 슬라이딩가이드
31 : 면접촉부 32 : 체결부
32a : 관통공 33 : 윤활부

Claims (7)

  1. 나선관(10)의 끝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연결밴드(20);
    상기 나선관(10)과 연결밴드(20) 사이에 구비되는 'ㅗ' 형태의 슬라이딩가이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밴드(20)는 양 끝단 각각에 볼트(1)가 관통되는 관통공(21a)이 형성된 체결부재(21)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가이드(30)는, 상기 나선관(10)과 연결밴드(20) 사이에 구비되는 면접촉부(31); 및, 상기 면접촉부(31)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볼트(1)가 관통되는 관통공(32a)이 형성된 체결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밴드(20)는 상측과 하측면을 관통하는 주유구(22)가 형성되되, 상기 주유구(22)를 통해 연결밴드(20)의 하측면과 슬라이딩가이드(30)의 상측면 사이로 기름을 주입할 수 있으며,
    상기 면접촉부(31)의 상측면에 윤활부(33)가 구비되되,
    상기 윤활부(33)는 기름을 머금을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142583A 2015-10-13 2015-10-13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 KR101618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583A KR101618831B1 (ko) 2015-10-13 2015-10-13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583A KR101618831B1 (ko) 2015-10-13 2015-10-13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831B1 true KR101618831B1 (ko) 2016-05-09

Family

ID=5602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583A KR101618831B1 (ko) 2015-10-13 2015-10-13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681Y1 (ko) * 2017-06-16 2019-03-08 주식회사성호철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나선관용 연결밴드
CN113006240A (zh) * 2021-03-31 2021-06-22 新乡市市政设施维护中心 一种市政道路下水道管道施工设备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0398A (ja) * 2005-08-03 2007-02-15 Hayakawa Rubber Co Ltd 止水方法及び止水装置
KR100755363B1 (ko) * 2007-06-14 2007-09-04 배대현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100989438B1 (ko) * 2010-04-28 2010-10-26 영남산업 주식회사 시트 일체형 파형강관 커플링 밴드
JP2013234734A (ja) * 2012-05-10 2013-11-21 Inoue Sudare Kk フランジ連結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0398A (ja) * 2005-08-03 2007-02-15 Hayakawa Rubber Co Ltd 止水方法及び止水装置
KR100755363B1 (ko) * 2007-06-14 2007-09-04 배대현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100989438B1 (ko) * 2010-04-28 2010-10-26 영남산업 주식회사 시트 일체형 파형강관 커플링 밴드
JP2013234734A (ja) * 2012-05-10 2013-11-21 Inoue Sudare Kk フランジ連結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681Y1 (ko) * 2017-06-16 2019-03-08 주식회사성호철관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나선관용 연결밴드
CN113006240A (zh) * 2021-03-31 2021-06-22 新乡市市政设施维护中心 一种市政道路下水道管道施工设备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0432B2 (en) Pipe coupling
US6502865B1 (en) Pipe coupler and method of coupling
US8607420B2 (en) Hose clamp
RU2612522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ксации уплотнения трубного зажима
AU2010313681B2 (en) Pipe coupling with seal pressing device
US5351997A (en) Pipe coupling
US3341232A (en) Pipe joint
US7490866B2 (en) Anchoring device for pipe coupling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150002601A (ko) 단부가 매끈한 파이프들을 마찰잠금 연결하는 클램핑벨트 및 파이프커플링
US10323779B2 (en) Pipe coupling structure
RU2756715C2 (ru) Трубная муфта
KR101618831B1 (ko) 체결력이 향상되는 슬라이딩가이드를 구비한 연결밴드
US4149740A (en) Pipe coupling device
KR20110033548A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RU143570U1 (ru)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и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втулк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EP0667477A2 (en) Pipe coupling
KR101102334B1 (ko) 오ㆍ폐수 및 우수용 파이프 커플링장치
KR200488681Y1 (ko)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나선관용 연결밴드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100966884B1 (ko) 휨기능이 향상된 환봉지지연결구
KR20050002951A (ko) 원터치 방식의 관부재 이음장치
US20120056419A1 (en) Pipe coupling
KR20190001994A (ko) 합성수지관 이음장치
KR20140125947A (ko)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