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986B1 -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986B1
KR100943986B1 KR1020090043865A KR20090043865A KR100943986B1 KR 100943986 B1 KR100943986 B1 KR 100943986B1 KR 1020090043865 A KR1020090043865 A KR 1020090043865A KR 20090043865 A KR20090043865 A KR 20090043865A KR 100943986 B1 KR100943986 B1 KR 100943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link
coupler
circula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홍
윤한경
Original Assignee
이수홍
윤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홍, 윤한경 filed Critical 이수홍
Priority to KR1020090043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986B1/ko
Priority to PCT/KR2010/003200 priority patent/WO2010134771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16L23/10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with a pivoting or swinging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ed by toggle-action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는 커플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힌지로 연결되는 3개로 분절되는 원형커플러링크체를 형성하고, 그 플랜지부에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부와 대응하는 가이드홈부을 형성하여 플랜지부의 체결시 보다 견고하고 안전한 체결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랩조인트의 랩조인트 평형부 사이에 낀 패킹을 통해서 보다 큰 수밀성을 담보하게 하는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이다.
Figure R1020090043865
랩조인트, 플랜지부, 주원형링크체, 부원형링크체, 패킹, 가이드홈

Description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The connect structure of link coupler for pipe}
본 발명은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는 커플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힌지로 연결되는 3개로 분절되는 원형커플러링크체를 형성하고, 그 플랜지부에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부와 대응하는 가이드홈부를 형성하여 플랜지부의 체결시 보다 견고하고 안전한 체결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랩조인트의 랩조인트 평형부 사이에 낀 패킹을 통해서 보다 큰 수밀성을 담보하게 하는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이다.
일반적으로 관과 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조인트나 커플러 등 다양한 수단들을 통해서 이루어져 왔다.
실례로 도 1은 종래의 배관 연결용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배관(62)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서 일단이 배관(62) 단부와 체결되는 커텍터(60)는 타단에 플랜지(6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61) 상에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체결공(63)이 형성되어 있다. 배관(62)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각 배관(62)의 단부에 체결된 커넥터(60)의 각 플랜지(61) 사이에 패킹(80)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플랜지(61)를 상호 연접하게 한 다음, 양측의 체결공(63)을 일치시키고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수단(70)을 이용하여 체결공(63)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배관 이음 작업을 완료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체결공(63)이 4개 방향에 위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배관(62)의 지름이 커서 이에 대응하여 플랜지(61)의 지름이 커지는 경우에는 체결공(63)이 6개 또는 8개 심지어는 12개 이상이 형성되는데, 이들 복수 개의 체결공에 일일이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수단(70)을 체결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복수 개의 체결수단(70) 중에서 어느 일측 방향의 체결공(63)은 지나치게 강하게 조여지고, 상대적으로 반대 측의 체결수단(70)이 느슨하게 조여지면, 상대적으로 약하게 체결된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모든 체결수단(70)을 균일한 압력으로 조여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 출원 제 10-2007-83191(2007. 8. 20.)호로 "배관 연결용 커플러"를 출원하였다. 즉, 이 종래 출원특허는, 도시된 도 2와 3에서처럼, 한 쌍이 상호 연접한 배관 연결용 커넥터(60)의 플랜지(61) 외면을 감싸는 도넛 형태의 커플러로서, 일측이 힌지(32)를 통해 축 회전 가능하도록 분절 형성되고, 분절된 타측 단부는 체결수단(70)으로 체결 고정되며, 내주 면에 상기 플랜지(61)가 삽입되도록 요홈(35)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는, 양측 단부에 각각 상기 힌지(32)가 구비된 원호 상의 커플러 고정자(30)와, 일단이 상기 각 힌지(32)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체결공(34)이 구비된 연장부(33)를 가지는 2개의 커플러 이동자(31)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체결공(34)의 단부에 너트를 안착 고정하여 회전을 방지하게 하는 너트홈(36)이 형성하며, 상기 요홈(35) 내면에 상기 플랜지의 외주 면과 접촉되는 패킹(90)이 내재되도록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이 출원된 특허에 의해서 아주 간단하게 관과 관의 연결을 달성하는 체결방법은 창안되었고, 각각의 볼트에 의해 그 조임력에 차등이 발생되어 수밀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은 아직도 미결로 남아 있었다.
즉, 종래 이 출원특허의 경우, 3개의 분절된 링크 방식의 고정자와 이동자의 플랜지 결합방식은 그 플랜지부에 볼트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체결을 완성하는데, 고정자에서 분절되어 연장되는 이동자가 서로 대응되게 정원형으로 모아지지 않는다면, 약간의 비스듬한 각도로 볼트 체결될 소지가 있다. 물론 이러한 체결은 강한 수밀성을 해치게 되고, 커플러의 연결부위에서 물이 새는 문제점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또한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플랜지의 외면을 감싸는 패킹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 패킹이 연질의 고무재로 재작된 경우가 많아 상기 플랜지가 약간 틀어진 각도를 유지한다면 찌그러져 수밀성을 해칠 우려가 많다. 또한 그 내구성이 떨어져 잦은 교체가 불가피했다.
더욱이 직접적인 관과 관의 면접부위에서 전체적인 수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고, 플랜지부의 최 끝단 외곽부에서 그 흐름을 제어하는 방식을 취하기에 그 수밀의 효과면에서 미미한 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배관과 배관을 연결하는 커플러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힌지로 연결되는 3개로 분절되는 원형커플러링크체를 형성하고, 그 플랜지부에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부와 대응하는 가이드홈부를 형성하여 플랜지부의 체결시 보다 견고하고 안전한 체결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랩조인트의 랩조인트 평형부 사이에 낀 패킹을 통해서 보다 큰 수밀성을 담보하게 하는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는, 배관(10)과 배관(10)을 연결하기 위한 랩조인트 평형부(11)와 랩조인트 파이프부(12)로 형성된 한 쌍의 랩조인트(13); 3개로 분절되어 힌지(21)를 통해서 연결된 원형링크로 중심부에 위치하는 주원형링크체(22)와 좌우 양단에 힌지 체결되는 부원형링크체(23), 원형커플러링크체(20)의 내부 중심부에 형성되는 패킹홀(24)과, 상기 부원형링크체(23)의 끝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부(40)로 이루어진 원형커플러링크체(20); 상기 패킹홀(24)에 삽입되고 상기 좌우 양단의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의 사이에 끼워지는 링형의 패킹(50); 및 일측 부원형링크체(23)의 패킹홀(24)의 좌우 양단에서 라운드진 기어산 형태의 가이드돌기부(41), 타측 부원형링크체(23)의 패킹홀(24)의 좌우 양단에서 라운드진 기어산 형태의 가이드홈부(42)를 포함하는 플랜지부(40);가 결합하되, 상기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 사이에 전체적으로 낀 패킹(50)이 상기 패킹홀(24)에 삽입되고, 상기 주원형링크체(22)와 부원형링크체(23)가 상기 랩조인트 평형부(11)와 패킹(50)을 감싸며 양단의 플랜지부(40)로 체결되어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40)는, 일측 부원형링크체(23)의 플랜지부(40)에 형성된 더 큰 지름의 볼트삽입홈(45)이 형성된 장형의 볼트공(46); 타측의 부원형링크체(23)의 플랜지부(40)에 형성되는 장형의 대응공(47);이 형성되어 볼트(48)와 너트(49)의 체결로 결합을 달성하고; 상기 플랜지부(40)에는, 볼트(48) 체결로 면접하는 플랜지부(40)의 끝단 모서리부위를 라운드지게 커팅한 분리용 요홈(44)을 형성하며; 상기 패킹(50)은, 링의 형상으로, 최외곽부는 패킹홀(24)의 내주면에 끼일 수 있도록 볼이 넓게 형성되는 삽입링부(51); 상기 삽입링부(51)의 내측으로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의 지름에 대응되는 원형의 단턱부(52)를 형성하고,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 사이에 끼이도록 랩조인트(13)의 유로공(18)과 연통되는 통공부(53)가 형성된 원형의 삽입판부(54);로 형성되어 상기 랩조인트(13)의 연결시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에 따라, 상기 삽입링부(51)의 외주면으로는, 일정한 높이로 다수의 간격돌기(55)가 형성되고; 상기 간격돌기(55) 사이에는 열을 이룬 주름홈(56)을 형성하며; 상기 주름홈(56)은, 원형의 삽입링부(51)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1 내지 6열의 주름홈(56)을 형성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에 따라, 상기 삽입판부(54)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을 그리며 돌출되는 패킹돌기(59)를 형성시킨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3개의 분절된 링크로 이루어진 원형커플러링크체의 플랜지부에 가이드돌기부와 가이드홈부를 형성하여, 그 플랜지 결합이 정확하게 절곡되었는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서 체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랩조인트 평형부의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탄성력을 가지고 수밀을 향상시키는 링형의 패킹을 형성하여 수밀성에 대한 최대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3개의 분절화된 링크구조를 이용하여 단 하나의 볼트로 관의 연결을 달성하였기에 그 체결 작업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배관 연결을 위한 커플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4 내지 7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도 4에서처럼, 배관(10)과 배관(10)을 연결하기 위한 랩조인트 평형부(11)와 랩조인트 파이프부(12)로 형성된 한 쌍의 랩조인트(13)이 있고, 3개로 분절되어 힌지(21)를 통해서 연결된 원형링크로 중심부에 위치하는 주원형링크체(22)와 좌우 양단에 힌지 체결되는 부원형링크체(23), 원형커플러링크체(20)의 내부 중심부에 형성되는 패킹홀(24)과, 상기 부원형링크체(23)의 끝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부(40)로 이루어진 원형커플러링크체(20)이 있으며, 상기 패킹홀(24)에 삽입되고 상기 좌우 양단의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의 사이에 전체적으로 끼워지는 링형의 패킹(50)이 있다. 또한 일측 부원형링크체(23)의 패킹홀(24)의 좌우 양단에서 라운드진 기어산 형태의 가이드돌기부(41), 타측 부원형링크체(23)의 패킹홀(24)의 좌우 양단에서 라운드진 기어산 형태의 가이드홈부(42)를 포함하는 플랜지부(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되, 상기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 사이에 낀 패킹(50)이 상기 패킹홀(24)에 삽입되고, 상기 주원형링크체(22)와 부원형링크체(23)가 상기 랩조인트 평형부(11)와 패킹(50)을 감싸며 양단의 플랜지부(40)로 체결되어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중요하게 3개의 분절된 링크구조로 이루어졌다는 점, 그리고 좌우 양쪽에서 삽입될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 사이에 패킹(50)이 전체적으로 면접하여 수밀성을 잡는다는 점 및 단 하나의 체결 볼트(48)를 이용하여 그 체결을 완성한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것처럼 그 체결을 위해서 랩조인트(13), 원형커플러링크체(20), 패킹(50), 플랜지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랩조인트(13)는 이미 공지되어 시판되고 있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배관(10)과 배관(10)을 연결시키기 위한 보조용 연결관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중요한 구성요소인 상기 원형커플러링크체(20)는 도시된 것처럼, 3개의 분절로 힌지 결합된 링크체로서 주원형링크체(22)와 부원형링크체(23)로 이루어진다. 정 중심부에는 주원형링크체(22)가 있고, 그 좌우측으로 힌지(21)로 체결되는 부원형링크체(23)가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주원형링크체(22)와 부원형링크체(23)는 힌지(21)로 회동이 가능한데, 서로 회전하여 그 끝단을 모으게 되면, 상기 플랜지부(40)가 서로 결합할 때, 원형으로 그 형상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그럼 그 체결의 모습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배관(10)과 배관(10)의 끝단에 상기 랩조인트(13)를 삽입한다. 이때 그 관과 관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또 다른 수밀성 패킹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를 서로 모으고, 그 사이에 본 발명의 상기 패킹(50)을 삽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 패킹(50)을 삽입함에 있어서, 상기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의 사이에 끼워 넣어 상기 랩조인트 평형부(11)와 전면적으로 면접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상기 원형커플러링크체(20)를 그 힌지(21)로 펼친 상태에서 상기 랩조인트 평형부(11)를 감싸게 한다. 이때 상기 원형커플러링크체(20)의 내주면 중심부분에는 도시된 패킹홀(2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주원형링크체(22)와 부원형링크체(23)의 내주면 패킹홀(24)에 상기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와 패킹(50) 및 또 다른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가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형커플러링크체(20)의 좌우양단 부원형링크체(23)를 힌지(21) 회동하여 상기 랩조인트 평형부(11)의 외곽부를 감싸도록 유도한다. 그러면 상기 부원형링크체(23)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40)가 서로 대응되어 만나게 되고, 특히 상기 일측 플랜지부(40)에서 돌출된 기어산 형태의 가이드돌기부(41)가 타측 플랜지부(40)에 형성된 가이드홈부(42)에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본 발명에서는 아주 중요하다. 즉, 본 발명의 원형커플러링크체(20)는 2개의 힌지(21)를 가진 3개의 분절 링크체 구조이다. 따러서 상기 2개의 힌지(21) 회동의 각도가 서로 다르다면 완벽한 원형이 나오지 못하여, 상기 랩조인트 평형부(11)를 완벽하게 감싸고 수용할 수 없다. 그런데 작업현장에서 이러한 완벽한 원형이 형성될 정도로 정밀하게 링크를 회전시키기란 어려운 작업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작업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돌기부(41)와 가이드홈부(42)를 형성시켜, 상기 가이드돌기부(41)가 상기 가이드홈부(42)에 정확하게 끼워진 상태를 보고 그 측정을 하는 것이다. 이 가이드돌기부(41)와 가이드홈부(42)는 정확하게 그 형상을 맞추어 형태화시킨 것이기에 이 가이드돌기부(41)가 가이드홈부(42)에 정확하게 짜 맞추어진다면, 이 원형커플러링크체(20)는 그 주원형링크체(22)와 부원형링크체(23)가 정확하게 자신의 위치를 확보하고 상기 랩조인트 평형부(11)를 완벽하게 감싼 상태라는 것을 인지시켜 준다.
그리고 도시된 볼트(48)를 통해서 상기 플랜지부(40)를 체결하게 되면 본 발명의 상기 배관(10)과 배관(10)은 서로 연통되어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체결구조에서 상기 플랜지부(40)는, 도시된 도 4 내지 6에서처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측 부원형링크체(23)의 플랜지부(40)에 형성된 더 큰 지름의 볼트삽입홈(45)이 형성된 장형의 볼트공(46)이 형성되고, 타측의 부원형링크체(23)의 플랜지부(40)에 형성되는 장형의 대응공(47)이 형성되어 볼트(48)와 너트(49)의 체결로 결합을 달성하는 것이다.
일측 부원형링크체(23)의 플랜지부(40)에 볼트(48)를 삽입하여, 상기 볼트삽입홀(45)에 상기 볼트(48) 머리가 끼워지게 하고, 타측의 플랜지부(40) 대응공(47)으로 그 끝단이 빠져나오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48)의 끝단에 별도의 너트(49)를 죄어 견고히 체결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체결구조는 관과 관을 연결하는 커플러이기에 상기 볼트(48)를 상당히 견고히 죄어야만 한다. 따라서 무리한 회전력이 발생될 소지가 높은데, 상기 볼트(48)가 자유롭게 회전한다면 이를 죄는 작업이 어려울 소지가 많다. 따라서 상기 볼트(48)의 머리가 상기 일측 플랜지부(40)에 형성된 볼트삽입홈(45)에 꽉 끼일 수 있도록 삽입한 상태에서 체결하는 것이 유리하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볼트공(46)과 대응공(47)이 모두 장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작업현장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볼트(48)를 죄는 작업이 편리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랜지부(40)에는, 볼트(48) 체결로 면접하는 플랜지부(40)의 끝단 모서리부위를 라운드지게 커팅한 분리용 요홈(44)을 형성한다. 즉, 끝단을 날카롭게 하면 작업자의 손가락이 다칠 우려가 있어서 이를 위한 배려이기도 하지만, 간혹 상기 플랜지부(40)와 플랜지부(40)가 서로 모아지지 않아서, 스패너를 통해서 상기 플랜지부(40)의 끝단을 집고 볼트(48)를 체결하고자 할 경우에 보다 큰 힘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전술된 것처럼 원형커플러링크체(20)의 견고한 수밀성을 담보하기 위해서 도시된 도 4와 같은 형태의 패킹(50)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의 원형커플러링크체(20)와 이 패킹(50)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서 본 발명은 더욱 완벽해 지는 것이다.
도시된 도 4에서처럼 본 발명의 상기 패킹(50)은, 링의 형상으로, 최외곽부는 패킹홀(24)의 내주면에 끼일 수 있도록 볼이 넓게 형성되는 삽입링부(51)가 있고, 상기 삽입링부(51)의 내측으로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의 지름에 대응되는 원형의 단턱부(52)를 형성하고,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 사이에 끼이도록 랩조인트(13)의 유로공(18)과 연통되는 통공부(53)가 형성된 원형의 삽입판부(54)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패킹은 상기 랩조인트(13)의 연결시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용도로 사용이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패킹(50)은 상기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의 사이에 본 발명의 패킹(50)이 끼워지지만, 상기 패킹(50)의 지름이 더 넓어 사실상 상기 패킹(50)의 내부에 상기 랩조인트 평형부(11)가 삽입되는 형태로 끼워진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패킹(50)은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볼이 넓은 삽입링부(51)의 안쪽으로 지름이 작은 형태로 내부로 들어가는 단턱부(52)를 형성하는데, 상기 단턱부(52)에 상기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가 끼워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랩조인트 평형부(11)의 외주면 지름과 상기 단턱부(52)를 형성하는 내주면이 일치하여 사실상 랩조인트 평형부(11)가 상기 패킹(50)의 단턱부(52)에 삽입이 되고, 그 외부로 상기 상입링부(51)가 더 큰 지름으로 또 더 큰 두께로 상기 랩조인트 평형부(11)를 내부와 외부에서 덮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물론 이때 상기 삽입판부(54)의 중심부에는 통공부(53)가 있어서, 상기 랩조인트 평형부(11)가 끼워지면, 상기 랩조인트 평형부(11)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공(18)과 연통을 하게 하여 배관(10)과 배관(10)의 연통을 원활하게 유도한다.
결국 이러한 형태로 형성된 본 발명의 패킹(50)은 상기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의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외부에서 감싸는 상태로 상기 원형커플러링크체(20)의 내주면에 형성된 패킹홀(24)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커플러링크체(20)가 그 플랜지부(40)로 죄어 지게 되면, 랩조인트 평형부(11) 사이에서 전면적으로 감싸며 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막고, 그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다시 한 번 방어함으로 완벽하게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패킹에서, 상기 삽입링부(51)의 외주면으로 일정한 높이로 다수의 간격돌기(55)를 형성하여 그 수밀성을 향상시키면서, 패킹홀(24)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찰을 향상시켜 돌아다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 간격돌기(55)는 혹시 발생될 수 있는 패킹(50)의 연동폭을 주어 원형커플러링크체(20)의 내부에서 상기 패킹(50)이 찌그러질 경우가 발생되어도 그 빈공간부를 제공함으로 부피가 채워질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패킹에는, 상기 간격돌기(55) 사이에 열을 이룬 주름홈(56)을 형성하고, 상기 주름홈(56)은, 원형의 삽입링부(51)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1 내지 6열의 주름홈(56)을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패킹(50)의 최 외곽 외주면으로는 상기 간격돌기(55)의 사이사이에 일정깊이의 주름홈(56)을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주름홈(56)은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일정한 각도를 두고 다수의 열로 형성을 한다. 여기서 의미하는 열은 상기 주 름홈(56)의 사이사이에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을 1열로 보고, 이 열이 일정한 각도를 두고 즉, 상기 패킹(50)을 일정한 각도로 귀획하여 그 각도마다 형성하는 방식이다. 도시된 도 4에서는 상기 3열 주름홈(56)이 90도 간격마다 4곳에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주름홈(56)은 상기 패킹(50)이 원형커플러링크체(20)의 내부 패킹홀(24)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40)를 통해 견고히 조이게 되면, 그 지름을 축소하면서 찌그러지며 보다 큰 탄성력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키고자 의도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패킹(50) 상기 삽입판부(54)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을 그리며 돌출되는 패킹돌기(59)를 형성시켜 역시 그 수밀성을 향상시켰다. 즉, 랩조인트 평형부(11)와 전면적으로 면접하는 상기 삽입판부(54)는 사실상 도시된 것처럼 패킹돌기(59)를 통해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면접하는 것이 그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에 본 발명은 이러한 패킹돌기(59)를 형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특허 출원된 링크체 플랜지 체결구조를 도시한 절개사시도,
도 3은 종래 특허 출원된 링크체 플랜지 체결구조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커플러링크체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체결구조의 모습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조의 체결의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조의 모습을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조의 모습을 단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배관 11; 랩조인트 평형부
12; 랩조인트 파이프부 13; 랩조인트
20; 원형커플러링크체 21; 힌지
22; 주원형링크체 23; 부원형링크체
24; 패킹홀 40; 플랜지부
45; 볼트삽입홈 46; 볼트공
47; 대응공 48; 볼트
49; 너트 50; 패킹
51; 삽입링부 52; 단턱부
53; 통공부 54; 삽입판부
55; 간격돌기 56; 주름홈
59; 패킹돌기

Claims (9)

  1. 배관 연결을 위한 커플러 체결구조에 있어서,
    배관(10)과 배관(10)을 연결하기 위한 랩조인트 평형부(11)와 랩조인트 파이프부(12)로 형성된 한 쌍의 랩조인트(13);
    3개로 분절되어 힌지(21)를 통해서 연결된 원형링크로 중심부에 위치하는 주원형링크체(22)와 좌우 양단에 힌지 체결되는 부원형링크체(23), 원형커플러링크체(20)의 내부 중심부에 형성되는 패킹홀(24)과, 상기 부원형링크체(23)의 끝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부(40)로 이루어진 원형커플러링크체(20);
    상기 패킹홀(24)에 삽입되고 상기 좌우 양단의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의 사이에 전체적으로 끼워지는 링형의 패킹(50); 및
    일측 부원형링크체(23)의 패킹홀(24)의 좌우 양단에서 라운드진 기어산 형태의 가이드돌기부(41), 타측 부원형링크체(23)의 패킹홀(24)의 좌우 양단에서 라운드진 기어산 형태의 가이드홈부(42)를 포함하는 플랜지부(40);가 결합하되, 상기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 사이에 낀 패킹(50)이 상기 패킹홀(24)에 삽입되고, 상기 주원형링크체(22)와 부원형링크체(23)가 상기 랩조인트 평형부(11)와 패킹(50)을 감싸며 양단의 플랜지부(40)로 체결되어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40)는,
    일측 부원형링크체(23)의 플랜지부(40)에 형성된 더 큰 지름의 볼트삽입홈(45)이 형성된 장형의 볼트공(46);
    타측의 부원형링크체(23)의 플랜지부(40)에 형성되는 장형의 대응공(47);이 형성되어 볼트(48)와 너트(49)의 체결로 결합을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를 체결 후 해체시에 상기 부원형링크체(23)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플랜지부(40)의 끝단에 모서리부위를 라운드지게 커팅한 분리용 요홈(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50)은,
    링의 형상으로, 최외곽부는 패킹홀(24)의 내주면에 끼일 수 있도록 볼이 넓게 형성되는 삽입링부(51);
    상기 삽입링부(51)의 내측으로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의 지름에 대응되는 원형의 단턱부(52)를 형성하고, 랩조인트(13)의 랩조인트 평형부(11) 사이에 끼이도록 랩조인트(13)의 유로공(18)과 연통되는 통공부(53)가 형성된 원형의 삽입판부(54);로 형성되어 상기 랩조인트(13)의 연결시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링부(51)의 외주면으로는,
    일정한 높이로 다수의 간격돌기(5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돌기(55) 사이에는 열을 이룬 주름홈(5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홈(56)은, 원형의 삽입링부(51)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1 내지 6열의 주름홈(5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판부(54)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을 그리며 돌출되는 패킹돌기(59)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를 체결시 랩조인트 평형부(11)와 패킹(50)이 항상 정위치에서 체결되도록 상기 부원형링크체(23)의 끝단에 가이드돌기부(41)와 가이드홈부(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KR1020090043865A 2009-05-20 2009-05-20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KR100943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865A KR100943986B1 (ko) 2009-05-20 2009-05-20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PCT/KR2010/003200 WO2010134771A2 (ko) 2009-05-20 2010-05-20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865A KR100943986B1 (ko) 2009-05-20 2009-05-20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986B1 true KR100943986B1 (ko) 2010-02-26

Family

ID=4208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865A KR100943986B1 (ko) 2009-05-20 2009-05-20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43986B1 (ko)
WO (1) WO2010134771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123B1 (ko) * 2011-07-11 2011-11-18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플레어 가공을 이용한 무용접식 배관 조인트
KR101100374B1 (ko) 2011-03-15 2011-12-30 배승범 랩조인트 관 연결구조
KR101171334B1 (ko) * 2012-03-07 2012-08-10 영남산업 주식회사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230376B1 (ko) 2011-02-08 2013-02-12 세인엔지니어링(주) 용접이 필요 없는 제살접이식 관 연결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7151A1 (en) 2012-05-21 2013-11-28 Prischak Joseph J Foldable hvac conduit and duct collar
CN108506615B (zh) * 2018-03-09 2022-01-11 宁波长乐喉箍有限公司 一种用于卡接法兰的喉箍
US11629804B1 (en) 2022-04-20 2023-04-18 Carolina Components Group, Inc. Asymmetric clamp for joining sanitary fittin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1221U (ko) 1977-03-25 1978-10-18
KR200252274Y1 (ko) 1999-04-03 2001-11-16 권윤노 배관설비용 패킹
JP2002310351A (ja) 2001-04-17 2002-10-23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KR100547393B1 (ko) 2005-10-17 2006-01-31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상수도관용 연결패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6339B1 (ja) * 1998-08-18 1999-11-10 西和産業株式会社 真空用配管の継手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1221U (ko) 1977-03-25 1978-10-18
KR200252274Y1 (ko) 1999-04-03 2001-11-16 권윤노 배관설비용 패킹
JP2002310351A (ja) 2001-04-17 2002-10-23 Sekisui Chem Co Ltd 管継手
KR100547393B1 (ko) 2005-10-17 2006-01-31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상수도관용 연결패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376B1 (ko) 2011-02-08 2013-02-12 세인엔지니어링(주) 용접이 필요 없는 제살접이식 관 연결구조
KR101100374B1 (ko) 2011-03-15 2011-12-30 배승범 랩조인트 관 연결구조
KR101085123B1 (ko) * 2011-07-11 2011-11-18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플레어 가공을 이용한 무용접식 배관 조인트
KR101171334B1 (ko) * 2012-03-07 2012-08-10 영남산업 주식회사 파형강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4771A3 (ko) 2011-02-24
WO2010134771A2 (ko)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986B1 (ko)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US7540540B2 (en) Pipe coupling
KR101116344B1 (ko) 회전식 파이프 연결 장치
KR101431591B1 (ko) 파형 강관의 연결장치
CN203162432U (zh) 管道修补器
JP4363565B2 (ja) バルブピット用フランジ接合体
KR20180091459A (ko) 무용접 배관 플랜지 연결구
EP1834123B1 (en) Flange
KR101171058B1 (ko) 플랜지 접속형 상수도관 이음 장치
KR200432862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1006563B1 (ko) 폴리에틸렌 이음관
US20170356584A1 (en) Grooved-End Rubber Expansion Joint with 4-Way Compression Grooved Coupling
KR101422269B1 (ko) 파이프 연결소켓
JP2009115167A (ja) クランプ
KR10100329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관 연결장치
KR20140064256A (ko) 배관 연결용 클램프
US10837584B2 (en) Restraint device
JP2015132106A (ja) 鋼管杭の継手構造
JP5135041B2 (ja) 配管補修具
JP4768508B2 (ja) 管体の継手構造および継手装置
KR101010414B1 (ko) 강관 연결장치
KR200496826Y1 (ko)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KR20120052702A (ko) 관이음용 플랜지장치
KR101100374B1 (ko) 랩조인트 관 연결구조
KR20090019058A (ko) 배관 연결용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