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826Y1 -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826Y1
KR200496826Y1 KR2020210002238U KR20210002238U KR200496826Y1 KR 200496826 Y1 KR200496826 Y1 KR 200496826Y1 KR 2020210002238 U KR2020210002238 U KR 2020210002238U KR 20210002238 U KR20210002238 U KR 20210002238U KR 200496826 Y1 KR200496826 Y1 KR 200496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corrugated pipe
cases
circular corrugated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189U (ko
Inventor
정문식
Original Assignee
정문식
성열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식, 성열창 filed Critical 정문식
Priority to KR2020210002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26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1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1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83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bolts operating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condu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이 고안의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을 가지며 원형 파형관(200)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관로구(100)와, 원형 파형관의 일부 구간을 감싸면서 원형 파형관의 골에 끼워진 상태로 관로구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원형 파형관을 관로구에 연결 고정하는 고정수단(300)을 포함하며, 고정수단은 반원 형태의 내주면과 양 단부 쪽에 힌지 결합구조와 맞물림 결합구조를 각각 갖는 제1, 제2 케이스(310, 320)와, 제1, 제2 케이스의 힌지 결합구조가 상호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맞물림 결합구조를 서로 간에 결합하여 원 형태의 내주면을 갖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제2 케이스는 관로구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311, 321)과, 원형 파형관의 골에 끼워지는 돌출부(312, 322)를 내주면에 각각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round corrugated pipe to conduit port}
이 고안은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및/또는 전력케이블용 관로를 구성하는 맨홀관로에서 맨홀측으로부터 연장된 직관형의 관로구와 원형 파형관을 서로 간에 편리하면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통신 및/또는 전력케이블용 관로를 구성하는 맨홀관로는 주로 지중에 매설되는 파형관으로 구성되고, 관로의 중계를 위한 맨홀구조물에 대하여 이들 파형관이 연결되어 사용된다. 특히, 파형관이 연결되어야 하는 맨홀구조물은 맨홀벽에 매립되는 관로구 어댑터와 이러한 관로구 어댑터에 결합되는 직관형의 관로구로 구성된다.
실질적으로 파형관은 그 단부가 관로구 어댑터로부터 연장된 관로구의 단부에 연결된다. 그러나, 관로구는 직관형이므로 이를 파형관과 연결하는 경우 완벽한 밀폐연결을 위하여 연결수단이 사용되어야 한다. 종래의 전형적인 연결수단으로는 직관형인 관로구의 단부 쪽에 삽입되는 직관부와 파형관의 단부 쪽에 나선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파형부를 갖는 이형어댑터가 있다. 이러한 이형어댑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직관부의 단부와 파형부의 단부가 각각 관로구와 파형관의 주면에 대하여 밀폐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들 각 단부는 밀폐용 접착테이프 등으로 밀폐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와 같은 이형어댑터를 사용하여 관로를 완성하고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이형어댑터의 사용부위에서 변형이 일어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이형어댑터를 사용하여 관로구와 파형관을 연결하는 작업은 취급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과 번거러움이 있어 작업능률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현재, 작업현장에서는 관로구에 파형관을 연결 고정함에 있어서, 파형관을 관로구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결속하기 위해 결속용 조임기를 별도로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관로구에 파형관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비좁아 결속용 조임기를 이용한 결속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한 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을 받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484396호의 "파형관 연결장치"에 대한 기술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기술의 파형관 연결장치는 내측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13)을 가지며 파형관(20)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관로구(10)와, 링 형태로 구성되어 관로구(10)의 걸림턱(13)에 걸쳐져 파형관(20)의 단부와 밀착되는 고무링(30)과, 파형관(20)의 일부 구간을 감싸는 형태로 파형관(20)에 고정되는 고정수단(40), 및 관로구(1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부(14)와 고정수단(40)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부(45)를 연결하여 체결하는 다수개의 체결볼트(5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기술의 파형관 연결장치는 파형관(20)의 산과 골에 고정수단(40)의 고정홈(43) 및 고정돌기(44)가 끼워져 맞물리고, 체결부(45)가 서로 간에 겹쳐져 체결구멍이 서로 간에 연통된 상태에서 그곳에 체결볼트(50)를 끼우고 조이는 방식으로 파형관(20)을 관로구(10)에 고정하는 것이다. 도 1의 미설명부호 11은 나사산, 12는 결합부를 각각 나타낸다.
그런데, 상기의 기술은 파형관(20)을 관로구(10)에 연결 고정함에 있어서, 관로구(1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체결부(14)와 고정수단(40)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부(45)를 체결볼트(50)를 이용해 연결 및 고정하는 것이다. 즉, 180°간격으로 배치된 양쪽의 체결부(14, 45)를 체결볼트(50)를 이용해 연결 및 체결함에 따라 체결력이 약하고, 관로구(10)와 고정수단(40)이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 즉 일체화되지 못한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외부 충격에 취약한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술의 고정수단(40)은 고정홈(43), 고정돌기(44) 및 체결부(45)를 갖는 반원 형태의 2개의 고정부재로 분리된 형태로 구성하고, 이용시에 체결부(45)를 겹쳐 원 형태로 만든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고정수단(40)을 분리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작업시에 체결부(45)를 서로 간에 겹치고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업자가 신경을 쓰면서 체결볼트(50)로 연결하고 체결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484396호
따라서, 이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관로구와 원형 파형관을 나사결합 방식으로 서로 간에 연결 고정함에 따라 원형 파형관의 포설작업이 편리하고, 서로 간의 결속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조립 및 해체작업이 편리한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는, 일측 단부 부위에 형성되어 맨홀에 매립되는 관로구 어댑터에 나사결합되는 제1 나사산과 타측 단부 부위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사산을 구비하며 원형 파형관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관로구와, 상기 원형 파형관의 일부 구간을 감싸면서 상기 원형 파형관의 골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관로구의 제2 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원형 파형관을 상기 관로구에 연결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반원 형태의 내주면과 양 단부 쪽에 힌지 결합구조와 맞물림 결합구조를 각각 갖는 제1,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제2 케이스의 힌지 결합구조가 상호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맞물림 결합구조를 서로 간에 결합하여 원 형태의 내주면을 갖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케이스는 상기 관로구의 제2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과, 상기 원형 파형관의 골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내주면에 각각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제2 케이스의 양 단부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내주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케이스를 서로 간에 결합할 경우, 상기 돌출부가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1, 제2 케이스 간의 밀착면에서 양 측으로 일정 크기의 빈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제2 케이스가 서로 간에 맞물림 결합시 육각형 구조의 외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 제2 케이스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업용 돌기를 각각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상기 힌지 결합구조는 상기 제1, 제2 케이스가 서로 간에 맞물림 가능한 형태를 갖되, 상기 제1 케이스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힌지부와, 상기 제2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다수개의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고안에 따르면, 상기 맞물림 결합구조는 상기 제1, 제2 케이스가 서로 간에 맞물림 가능한 형태를 갖되, 상기 제1 케이스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맞물림부와, 상기 제2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제1 맞물림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맞물리는 다수개의 제2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물림부 및 제2 맞물림부는 서로 간에 연통하는 연통구멍을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통구멍에 연통하여 삽입되는 장볼트와, 상기 장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 맞물림부와 제2 맞물림부를 서로 간에 조여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안은 원형 파형관을 관로구에 연결 고정함에 있어서 제1, 제2 케이스의 나사산을 관로구의 나사산에 나사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원형 파형관의 포설작업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나사결합 방식으로 원형 파형관과 관로구를 일부 구간에서 전체적으로 일체형으로 고정함에 따라, 결속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도 우수한 구조적 장점이 있다. 또한, 나사결합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파형관과 관로구 간의 조립 및 해체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임기 없이도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조립 및 해체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형관 연결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관로구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고정수단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수단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1 케이스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2 케이스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이 고안에 따른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파형관은 그 내부에 전선을 포설하거나 기체, 유체 등이 흐르도록 내주면 및 외주면에 산와 골이 연속적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원형 파형관은 링 형태의 산과 골이 등간격으로 번갈아가면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을 가지며 원형 파형관(200)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관로구(100)와, 원형 파형관(200)의 일부 구간을 감싸면서 원형 파형관(200)의 골에 끼워진 상태로 관로구(100)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원형 파형관(200)을 관로구(100)에 연결 고정하는 고정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이 실시예의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는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과, 링 형태로 구성되어 관로구(100)의 걸림턱에 걸쳐져 원형 파형관(200)의 단부와 밀착되는 고무링(도시안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걸림턱 및 고무링을 포함하는 구성관계로 설명한다.
즉, 이 실시예의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는 고정수단(300)을 이용해 원형 파형관(200)을 관로구(100)에 견고하면서 편리하게 연결 고정하되, 고정수단(300)의 조임력을 통해 고무링을 사이에 두고 원형 파형관(200)이 관로구(10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수밀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관로구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이용되는 맨홀의 관로구(100)는 일반적인 맨홀의 관로구와 동일한 기능이 가능하도록 결합용 제1 나사산(110) 등을 일측에 가지며, 원형 파형관(200)을 연결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120)를 타측에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나사산(110)은 맨홀에 매립되는 관로구 어댑터의 일측 단부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용도이다. 그리고, 결합부(120)는 관로구(100)의 일측 내경보다 순차적으로 2단계에 거쳐 그 내경이 점점 커져 원형 파형관(200)이 그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연결되는 내부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관로구(100)의 결합부(120)는 그 내부에 원형 파형관(200)이 끼워져 서로 중첩되게 겹쳐져 관로구(100)와 원형 파형관(200)을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으로서, 그 내경은 원형 파형관(20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120)는 관로구(100)의 일측 내경보다 순차적으로 2단계에 거쳐 그 내경이 커지는 내부 구조를 가짐에 따라 원형 파형관(200)의 삽입 길이를 한정함과 더불어 원형 파형관(200)의 단부 또는 고무링이 걸쳐지는 걸림턱(130)을 그 내주면에 갖는다.
또한, 관로구(100)의 결합부(120)는 원형 파형관(200)이 삽입되는 입구에서 걸림턱(130) 쪽을 향해 그 내경이 점점 작아지게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 인해, 원형 파형관(200)이 결합부(120)의 입구에서는 보다 편리하게 삽입되지만, 점점 걸림턱(130) 쪽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부(120)의 내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서로 간에 견고한 체결력을 비롯한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로구(100)는 고정수단(300)과 나사결합하기 위해 결합부(12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사산(140)을 갖는다. 여기서, 제2 나사산(140)은 결합부(120)의 단부 쪽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관로구(100)는 결합부(120)의 단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절개된 다수개의 홈(150)을 갖는다. 이러한 다수개의 홈(150)은 공구 등을 끼워 관로구(100)를 관로구 어댑터에 체결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고정수단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수단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1 케이스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2 케이스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고정수단(300)은 원형 파형관(200)의 일부 구간을 감싸면서 원형 파형관(200)의 골에 끼워진 상태로 관로구(100)의 제2 나사산(140)에 나사결합되어 원형 파형관(200)을 관로구(100)에 연결 고정하는 것으로서, 반원 형태의 내주면과 양 단부 쪽에 힌지 결합구조와 맞물림 결합구조를 각각 갖는 제1, 제2 케이스(310, 320)와, 제1, 제2 케이스(310, 320)의 힌지 결합구조가 상호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맞물림 결합구조를 서로 간에 결합하여 원 형태의 내주면을 갖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제2 케이스(310, 320)는 원형 파형관(200)의 일부 구간을 감쌀 수 있는 폭을 갖는 것으로서, 이러한 폭의 내주면 중에서 일측의 일정 구간에 형성되어 관로구(100)의 제2 나사산(14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311, 321)과, 타측에서 중앙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원형 파형관(200)의 골에 끼워지는 돌출부(312, 322)를 각각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제2 케이스(310, 320)의 나사산(311, 321)은 제1, 제2 케이스(310, 320)의 힌지 결합구조와 맞물림 결합구조를 서로 간에 결합할 경우, 관로구(100)의 제2 나사산(140)에 나사결합되는 나선구조를 갖도록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부(312, 322)는 원형 파형관(200)의 골에 끼워질 수 있는 두께 및 높이로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 제2 케이스(310, 320)에 각각 1개씩 형성된다. 한편, 돌출부(312, 322)는 제1, 제2 케이스(310, 320)의 양 단부에서 약간의 거리를 두고 내주면을 따라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돌출부(312, 322)가 원형 파형관(200)의 골에 보다 원활하게 끼워지고, 제1, 제2 케이스(310, 320)의 힌지 결합구조와 맞물림 결합구조를 서로 간에 결합할 때에 보다 편리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1, 제2 케이스(310, 320)를 서로 간에 결합할 경우, 돌출부(312, 322)가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제1, 제2 케이스(310, 320) 간의 밀착면에서 양 측으로 일정 크기의 빈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제1, 제2 케이스(310, 320)는 서로 간에 결합할 경우 다각형 구조의 외형을 갖는다. 즉, 외형이 다각형 구조여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너트와 같은 개념으로 돌려 제1, 제2 케이스(310, 320)의 나사산(311, 321)을 관로구(100)의 제2 나사산(140)에 원활한 나사결합이 가능하다. 한편, 제1, 제2 케이스(310, 320)는 다각형 구조 중에서 육각형 구조의 외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제2 케이스(310, 320)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업용 돌기(313, 323)를 각각 더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작업자가 작업용 돌기(313, 323)에 밀착한 상태로 회전시키거나 공구를 작업용 돌기(313, 323)에 밀착한 상태로 회전시킴으로써, 보다 원활한 나사결합이 가능하다.
한편, 제1, 제2 케이스(310, 320)는 양 단부 쪽에 힌지 결합구조와 맞물림 결합구조를 각각 갖는다. 여기서, 힌지 결합구조는 제1, 제2 케이스(310, 320)가 서로 간에 맞물림 가능한 형태를 갖되, 제1 케이스(3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힌지부(314)와, 제2 케이스(320)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힌지부(314)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다수개의 힌지축(32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힌지부(314)는 힌지축(324)이 가압식으로 끼워져 그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형태를 갖는다. 즉, 힌지부(314)는 힌지축(324)이 끼워지는 개구가 형성된 개구홈(314a)을 각각 갖는다. 그리고, 힌지축(324)은 힌지부(314)의 개구홈(314a)에 가압식으로 각각 끼워져 그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1, 제2 케이스(310, 320)의 맞물림 결합구조는 제1, 제2 케이스(310, 320)가 서로 간에 맞물림 가능한 형태를 갖되, 제1 케이스(3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맞물림부(315)와, 제2 케이스(320)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제1 맞물림부(315)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맞물리는 다수개의 제2 맞물림부(325)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제2 맞물림부(315, 325)에는 서로 간에 연통하는 연통구멍(315a, 325a)을 각각 구비한다. 즉, 맞물림 결합구조는 제1, 제2 맞물림부(315, 325)에 의해 서로 간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1, 제2 케이스(310, 320)의 결합부는 맞물림 결합구조를 서로 간에 결합하여 원 형태의 내주면을 갖도록 함과 더불어 돌출부(312, 322)가 원형 파형관(200)의 골에 끼워져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 제2 맞물림부(315, 325)의 연통구멍(315a, 325a)에 연통하여 삽입되는 장볼트(330)와, 장볼트(330)에 나사결합되어 제1, 제2 맞물림부(315, 325)를 서로 간에 조여 고정하는 너트(331)로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를 통해 원형 파형관을 관로구에 연결 고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고무링(도시안됨)을 관로구(100)의 내부에 삽입하되, 고무링이 걸림턱(130)에 걸쳐져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 위치까지 삽입한다. 그런 다음, 원형 파형관(200)을 관로구(100)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때, 원형 파형관(200)의 단부가 고무링가 접촉할 수 있는 위치까지 가능한 삽입한다. 이렇게 원형 파형관(200)을 관로구(100)의 내부에 삽입함에 있어서, 걸림턱(130) 쪽으로 점점 삽입할 경우 관로구(100)의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태를 가짐에 따라, 원형 파형관(200)이 관로구(100)의 내부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원형 파형관(200)의 둘레면에 고정수단(300)을 위치시킨다. 즉, 제1 케이스(310)의 힌지부(314)에 제2 케이스(320)의 힌지축(324)을 힌지 결합한 상태의 제1, 제2 케이스(310, 320)를 원형 파형관(200)의 둘레면에 위치시킨다. 즉, 제1, 제2 케이스(310, 320)의 돌출부(312, 322)가 원형 파형관(200)의 골에 각각 끼워지도록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제1, 제2 케이스(310, 320)의 제1, 제2 맞물림부(315, 325)를 서로 간에 맞물리게 하여 연통구멍(315a, 325a)을 서로 간에 연통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1, 제2 맞물림부(315, 325)의 연통구멍(315a, 325a)에 연통하여 장볼트(330)를 삽입한 후 너트(331)로 나사결합하고 조임으로써, 제1, 제2 케이스(310, 320)를 일체화한다.
그런 다음, 일체화된 제1, 제2 케이스(310, 320)를 회전시켜 그 내부의 나사산(311, 321)을 관로구(100)의 제2 나사산(140)에 나사결합후 점진적으로 조임으로써 원형 파형관(200)을 관로구(100)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또한, 제1, 제2 케이스(310, 320)를 점진적으로 더 회전시켜 조임에 따라, 원형 파형관(200)이 관로구(100) 쪽으로 이동하면서 원형 파형관(200)의 단부가 고무링을 압착함에 따라, 원형 파형관(200)과 관로구(100)의 연결부위가 수밀성을 갖게 한다.
이 고안의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는 제1, 제2 케이스(310, 320)의 나사산(311, 321)을 관로구(100)의 제2 나사산(140)에 나사결합하여 원형 파형관(200)을 관로구(100)에 고정하는 나사결합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원형 파형관(200)의 포설작업이 편리하다. 또한, 나사결합 방식으로 원형 파형관(200)과 관로구(100)를 일부 구간에서 전체적으로 일체형으로 고정함에 따라, 결속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도 우수한 구조적 장점이 있다. 또한, 나사결합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원형 파형관(200)과 관로구(100) 간의 조립 및 해체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임기 없이도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조립 및 해체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하다.
이상에서 이 고안의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고안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관로구 200 : 원형 파형관
300 : 고정수단 310 : 제1 케이스
320 : 제2 케이스 311, 321 : 나사산
312, 322 : 돌출부 313, 323 : 작업용 돌기
314 : 힌지부 314a : 개구홈
324 : 힌지축 315 : 제1 맞물림부
325 : 제2 맞물림부 315a, 325a : 연통구멍
330 : 장볼트 331 : 너트

Claims (7)

  1. 일측 단부 부위에 형성되어 맨홀에 매립되는 관로구 어댑터에 나사결합되는 제1 나사산과 타측 단부 부위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사산을 구비하며 원형 파형관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관로구와, 상기 원형 파형관의 일부 구간을 감싸면서 상기 원형 파형관의 골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관로구의 제2 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원형 파형관을 상기 관로구에 연결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반원 형태의 내주면과 양 단부 쪽에 힌지 결합구조와 맞물림 결합구조를 각각 갖는 제1,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제2 케이스의 힌지 결합구조가 상호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맞물림 결합구조를 서로 간에 결합하여 원 형태의 내주면을 갖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케이스는 상기 관로구의 제2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과, 상기 원형 파형관의 골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내주면에 각각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제2 케이스의 양 단부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내주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케이스를 서로 간에 결합할 경우, 상기 돌출부가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1, 제2 케이스 간의 밀착면에서 양 측으로 일정 크기의 빈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제2 케이스가 서로 간에 맞물림 결합시 육각형 구조의 외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케이스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작업용 돌기를 각각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구조는 상기 제1, 제2 케이스가 서로 간에 맞물림 가능한 형태를 갖되, 상기 제1 케이스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힌지부와, 상기 제2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다수개의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결합구조는 상기 제1, 제2 케이스가 서로 간에 맞물림 가능한 형태를 갖되, 상기 제1 케이스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맞물림부와, 상기 제2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제1 맞물림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맞물리는 다수개의 제2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맞물림부 및 제2 맞물림부는 서로 간에 연통하는 연통구멍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통구멍에 연통하여 삽입되는 장볼트와, 상기 장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 맞물림부와 제2 맞물림부를 서로 간에 조여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KR2020210002238U 2021-07-15 2021-07-15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KR200496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238U KR200496826Y1 (ko) 2021-07-15 2021-07-15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238U KR200496826Y1 (ko) 2021-07-15 2021-07-15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89U KR20230000189U (ko) 2023-01-26
KR200496826Y1 true KR200496826Y1 (ko) 2023-05-04

Family

ID=8510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238U KR200496826Y1 (ko) 2021-07-15 2021-07-15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2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318B1 (ko) * 2006-02-20 2007-03-19 허진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장치
KR101522595B1 (ko) 2015-01-13 2015-05-28 금오테크(주) 지하에 매설된 지중송전 케이블 연결관
KR200484396Y1 (ko) * 2017-06-28 2017-08-31 정문식 파형관 연결장치
KR101796307B1 (ko) * 2017-01-24 2017-11-10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396B1 (ko) 1995-11-02 2005-08-1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디스크기록방법,디스크재생장치및디스크형기록매체
KR101052730B1 (ko) * 2009-02-16 2011-08-01 주식회사 코뿔소 주름 파이프용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318B1 (ko) * 2006-02-20 2007-03-19 허진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장치
KR101522595B1 (ko) 2015-01-13 2015-05-28 금오테크(주) 지하에 매설된 지중송전 케이블 연결관
KR101796307B1 (ko) * 2017-01-24 2017-11-10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200484396Y1 (ko) * 2017-06-28 2017-08-31 정문식 파형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89U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6013531A (es) Abrazadera de tubo rebordeado con manguito sellador.
KR200484396Y1 (ko) 파형관 연결장치
KR101060752B1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KR100943986B1 (ko) 배관 연결용 링크커플러 체결구조
JP2005528568A (ja) 管継手
KR200496826Y1 (ko)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CA2322919C (en) Stab joint coupling
KR101785632B1 (ko)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JP2000154894A (ja) 伸縮管継手
KR101970480B1 (ko) 지하수 양수배관 결합장치
JPH0139984Y2 (ko)
KR101144004B1 (ko) 파형관 이음재
KR20110000252U (ko)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KR20140068406A (ko) 관 연결구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CN103697278A (zh) 一种波纹管连接组件
JPH0514071Y2 (ko)
KR20140125947A (ko)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9994698U (zh) 一种波纹管连接装置
CN210780039U (zh) 一体式柱管封堵装置
KR20120011926A (ko) 파형관 연결구조
KR20050103021A (ko) 배관 이음부 보호커버
JP2544039Y2 (ja) 異径ホース継手
KR200226892Y1 (ko) 접이형 플랜지가 일체로 부착된 관
CN216201330U (zh) 一种用于波纹管连接的紧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