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926A - 파형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파형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926A
KR20120011926A KR1020100072570A KR20100072570A KR20120011926A KR 20120011926 A KR20120011926 A KR 20120011926A KR 1020100072570 A KR1020100072570 A KR 1020100072570A KR 20100072570 A KR20100072570 A KR 20100072570A KR 20120011926 A KR20120011926 A KR 20120011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pipe
corrugated
coup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월영
Original Assignee
정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월영 filed Critical 정월영
Priority to KR1020100072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1926A/ko
Publication of KR20120011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45Joints for corrugated pipes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16L17/03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the sealing rings having only one 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경과 외경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단면으로부터 일정거리를 갖는 양단부의 외주면이 동일한 반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호 연결되기 위한 제1, 2 파형관, 상기 제1, 2 파형관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수재, 및 상기 제1, 2 파형관을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한 다른 파형관과 나선형의 돌기와 홈을 이용하여 용이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어 연결되는 두 개의 파형관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비용 및 시간을 감소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파형관 연결구조{Coupling structure for corrugated pipe}
본 발명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파형관을 연결시키되 파형관 단부 형상을 변형시켜 상호 끼워지거나 나선형의 돌기와 홈을 이용하여 연결시킴에 따라 시공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체를 밀폐시켜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작비용과 시간을 감소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관은 몸체에 연속으로 주름이 형성되어 온도 및 압력의 변화에 따라 신축하면서 내장부품들을 보호하는 관체로서, 이러한 파형관은 합성수지재질로 공장 성형과 운반 등의 사유로 전체길이가 한정된 상태이므로, 별도의 이음관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여 길이를 늘리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파형관의 이음방법으로는 파형관의 직경에 따라 예컨대, 파형관이 소경인 경우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이음관을 테이프로 감아 접속하는 방법과, 파형관이 대경인 경우 연결부분에 별도의 연결장치를 사용하여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파형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형관(1)과 파형관(1')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파형관(1, 1')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던 마개를 벗기고 정렬한 후 파형관 형태와 비슷한 연결관(2)을 만들어 각 파형관(1, 1')을 근접시킨 다음 둘레를 감싸고 볼트(3)를 사용하여 체결하였으나, 시공이 어렵고 체결이 장시간 소요될 뿐 아니라, 체결이 정확하기 않아 수분유입, 이물질이 유입되어 하자발생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볼트에 녹이 생겨 환경오염에 영향을 주고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연결되기 위한 제1 파형관과 제2 파형관의 단부 외주면이 동일한 반지름을 갖도록 직관형태로 형성하고, 제1 파형관과 제2 파형관의 사이에 지수재를 구비하여 수분 유입을 방지하며, 연결수단에 의해 지수재가 사이에 구비된 상태로 제1 파형관과 제2 파형관을 나사결합시킴에 따라 제1 파형관과 제2 파형관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특히 연결수단은 제1 파형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제2 파형관에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제1 파형관과 제2 파형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이음관이 제1 파형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조절관이 구비되어 제1 파형관과 제2 파형관을 용이하게 연결시킴은 물론, 종래보다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 및 작업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형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경과 외경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단면으로부터 일정거리를 갖는 양단부의 외주면이 동일한 반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호 연결되기 위한 제1, 2 파형관, 상기 제1, 2 파형관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수재, 및 상기 제1, 2 파형관을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 파형관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의 결합홈, 상기 제2 파형관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의 체결돌기,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결합 시, 상기 제1 파형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위치조절관, 및 내부에 다단의 결합공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결합공 내주면에 형성된 이음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파형관의 단부가 상기 이음관 결합공을 통과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위치조절관을 제1 파형관에 체결 후, 제2 파형관을 위치시켜 이음관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제1 파형관과 제2 파형관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지수재는, 상기 제1 파형관과 제2 파형관의 연결되는 단부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 파형관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의 결합돌기, 상기 제2 파형관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의 체결돌기, 내부가 통공되고, 내주면을 따라 상기 결합돌기와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연결홈이 형성된 이음관,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제1 파형관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돌기를 따라 결합되는 이음관의 결합길이를 단속하는 제1위치조절관, 및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제2 파형관에 체결되되, 상기 체결돌기를 따라 체결되는 이음관의 체결길이를 단속하는 제2위치조절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파형관과 제2 파형관에 제1위치조절관과 제2위치조절관을 각각 위치시킨 후, 이음관을 이용하여 제1 파형관과 제2 파형관을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수재는, 상기 제1위치조절관과 이음관 및 제2위치조절관과 이음관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와 체결돌기는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음관의 연결홈은 중간부를 기준으로 결합돌기와 체결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음관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홈이 다수 개 형성되어 회전시킴에 따라 결합돌기와 체결돌기가 연결 또는 분리되어 제1 파형관과 제2 파형관을 연결 또는 분리시킨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제1 파형관 또는 제2 파형관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확장되는 이음부가 형성되어 상호 억지끼움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지수재는, 상기 이음부의 확장된 부위 내주면과 이음부 내측으로 끼워진 단부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형관 연결구조에 의하면, 인접한 다른 파형관과 나선형의 돌기와 홈을 이용하여 용이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어 연결되는 두 개의 파형관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비용 및 시간을 감소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파형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 파형관 연결구조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 파형관 연결구조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 파형관 연결구조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관 연결구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 파형관 연결구조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형관 연결구조는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 지수재(300) 및 연결수단(4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은 내경과 외경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단면으로부터 일정거리를 갖는 양단부의 외주면이 동일한 반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은 전체적으로 내경과 외경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파형관이며, 각 단부는 파형관이 아닌 동일한 직경을 갖는 직관형태로 형성된다.
지수재(300)는 연결되기 위한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연결 후,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 내부를 따라 설치된 전선 등의 구성물이 부패되거나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수단(400)은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그 실시 예는 도 3 내지 8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수단(400)의 일 실시 예로, 결합홈(410)과 체결돌기(420), 위치조절관(430) 및 이음관(440)으로 구성된다.
결합홈(410)은 제1 파형관(100)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나성형으로 형성되고, 체결돌기(420)는 제2 파형관(200)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위치조절관(430)은 제1 파형관(10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결합홈(410)에 대응되는 결합돌기(432)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나사결합된다.
이때 위치조절관(430)은 제1 파형관(100)에 결합 시, 제1 파형관(10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을 연결 및 고정시키는 이음관(440)이 제1 파형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이음관(440)은 내부에 다단의 결합공(442)이 형성되되, 체결돌기(420)에 대응되는 체결홈(444)이 결합공(442)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결수단(400)에 의한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의 연결을 살펴보면, 제1 파형관(100)의 단부가 이음관(440) 결합공(442)을 통과되도록 위치시키고, 위치조절관(430)을 제1 파형관(100)에 체결 후, 제2 파형관(200)을 위치시켜 이음관(440)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이 연결된다.
다시 말해, 제2 파형관(200)을 제1 파형관(100)에 연결 및 연결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이음관(440)을 제1 파형관(100)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제1 파형관(100)에 위치조절관(430)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이음관(440)을 제1 파형관(100)에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이음관(440)이 제1 파형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조절관(430)의 결합돌기(432)와 결합홈(410)을 결합시켜 위치조절관(430)을 제1 파형관(100)에 결합시킨다.
이때 위치조절관(430)의 결합 길이는 경우에 따라 다르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파형관(100) 단부 직경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위치조절관(430)이 결합됨에 따라 다단의 결합공(442)을 갖는 이음관(440)이 걸리게 되어 제1 파형관(100)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체결돌기(420)가 형성된 제2 파형관(200)의 단부가 이음관(440)과 위치조절관(430)이 위치된 제1 파형관(100)의 단부에 접하도록 제2 파형관(200)을 거치시킨 후, 이음관(440)을 제2 파형관(200) 쪽으로 이동시켜 회전시킴에 따라 체결돌기(420)와 체결홈(444)이 체결되어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이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지수재(300)는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의 연결되는 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파형관(100)의 단면과 위치조절관(430)의 단면에 구비됨이 당연하다.
또한 위치조절관(430)의 단면이 제1 파형관(100)의 단면보다 전측에 위치될 경우, 지수재(300)는 제2 파형관(200)의 단면과 닿는 위치조절관(430)의 단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수단(400')의 다른 실시 예로, 결합돌기(410')와 체결돌기(420'), 제1위치조절관(430'), 제2위치조절관(440') 및 이음관(450')으로 구성된다.
결합돌기(410')는 제1 파형관(100)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체결돌기(420')는 제2 파형관(200)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음관(450')은 내부가 통공되고, 내주면을 따라 결합돌기(410')와 체결돌기(420')에 대응되는 연결홈(452')이 형성되어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을 연결시키게 된다.
이때,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을 연결시키는 이음관(450')의 위치는 제1위치조절관(430')과 제2위치조절관(440')에 의해 단속된다.
이러한 제1위치조절관(430')은 결합돌기(410')에 대응되는 결합홈(432')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제1 파형관(100)에 결합되되, 길이는 결합돌기(410')의 형성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형성된 결합돌기(410')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위치조절관(430')은 결합돌기(410')의 일정 부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음관(450')이 결합돌기(410')를 따라 결합되어 제1위치조절관(430')이 위치된 부위까지 결합된다.
그리고 제2위치조절관(440')은 체결돌기(420')에 대응되는 체결홈(442')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제2 파형관(200)에 체결되되, 길이는 체결돌기(420')의 형성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형성된 체결돌기(420')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위치조절관(440')은 체결돌기(420')의 일정 부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음관(450')이 체결돌기(420')를 따라 결합되어 제2위치조절관(440')이 위치된 부위까지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수단(400')에 의한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의 연결을 살펴보면,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에 제1위치조절관(430')과 제2위치조절관(440')을 이음관(450') 단속을 위한 각각 위치시킨 후, 이음관(450')을 이용하여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을 연결시킨다.
이때 결합돌기(410')와 체결돌기(420')는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이음관(450')의 연결홈(452')은 중간부를 기준으로 결합돌기(410')와 체결돌기(4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음관(450')을 기준으로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을 위치시킨 후, 이음관(450')을 회전시킴에 따라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을 이음관(450')으로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음관(450')의 용이한 회전을 위해 그 외주면을 따라 회전홈(미 도시)이 다수 개 형성되며, 이 회전홈을 이용하여 이음관(450')을 회전시킴에 따라 결합돌기(410')와 체결돌기(420')가 연결 또는 분리되어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지수재(300)는 제1위치조절관(430')과 이음관(450') 및 제2위치조절관(450')과 이음관(450')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각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수단(4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면, 제1 파형관(100) 또는 제2 파형관(200)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확장되는 이음부(410")가 형성되어 상호 억지끼움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파형관(100)의 단부에 이음부(410")가 형성되며, 제2 파형관(200)의 단부가 이음부(410")의 내측으로 억지끼움됨에 따라 제1 파형관(100)과 제2 파형관(200)이 연결된다.
이때 지수재(300)는 이음부(410")의 확장된 부위 내주면과 이음부(410") 내측으로 끼워진 제2 파형관(200)의 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이음부(410")와 제2 파형관(200) 사이를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이음부(410")의 단부와 제2 파형관(200)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수재(3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100 : 제1 파형관 200 : 제2 파형관
300 : 지수재 400, 400', 400" : 연결수단
410 : 결합홈 420 : 체결돌기
430 : 위치조절관 440 : 이음관

Claims (9)

  1. 내경과 외경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단면으로부터 일정거리를 갖는 양단부의 외주면이 동일한 반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호 연결되기 위한 제1, 2 파형관;
    상기 제1, 2 파형관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수재; 및
    상기 제1, 2 파형관을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형관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 파형관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의 결합홈;
    상기 제2 파형관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의 체결돌기;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결합 시, 상기 제1 파형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위치조절관; 및
    내부에 다단의 결합공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결합공 내주면에 형성된 이음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파형관의 단부가 상기 이음관 결합공을 통과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위치조절관을 제1 파형관에 체결 후, 제2 파형관을 위치시켜 이음관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제1 파형관과 제2 파형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연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재는,
    상기 제1 파형관과 제2 파형관의 연결되는 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연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 파형관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의 결합돌기;
    상기 제2 파형관의 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형의 체결돌기;
    내부가 통공되고, 내주면을 따라 상기 결합돌기와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연결홈이 형성된 이음관;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제1 파형관에 결합되되, 상기 결합돌기를 따라 결합되는 이음관의 결합길이를 단속하는 제1위치조절관; 및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제2 파형관에 체결되되, 상기 체결돌기를 따라 체결되는 이음관의 체결길이를 단속하는 제2위치조절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파형관과 제2 파형관에 제1위치조절관과 제2위치조절관을 각각 위치시킨 후, 이음관을 이용하여 제1 파형관과 제2 파형관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연결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재는,
    상기 제1위치조절관과 이음관 및 제2위치조절관과 이음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연결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와 체결돌기는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음관의 연결홈은 중간부를 기준으로 결합돌기와 체결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연결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홈이 다수 개 형성되어 회전시킴에 따라 결합돌기와 체결돌기가 연결 또는 분리되어 제1 파형관과 제2 파형관을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연결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제1 파형관 또는 제2 파형관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확장되는 이음부가 형성되어 상호 억지끼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연결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재는,
    상기 이음부의 확장된 부위 내주면과 이음부 내측으로 끼워진 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연결구조.
KR1020100072570A 2010-07-27 2010-07-27 파형관 연결구조 KR20120011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570A KR20120011926A (ko) 2010-07-27 2010-07-27 파형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570A KR20120011926A (ko) 2010-07-27 2010-07-27 파형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926A true KR20120011926A (ko) 2012-02-09

Family

ID=4583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570A KR20120011926A (ko) 2010-07-27 2010-07-27 파형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19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4890B2 (en) 2013-12-02 2022-05-1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authentication of user and mobile device without secure ele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4890B2 (en) 2013-12-02 2022-05-17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authentication of user and mobile device without secure ele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6804A1 (en) Device for partially repairing pipe using hose band
KR101290291B1 (ko) 현장 여건에 따른 신축 이음이 조절되는 배수관 이음 구조
KR101060752B1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KR101431591B1 (ko) 파형 강관의 연결장치
KR200484396Y1 (ko) 파형관 연결장치
CN212273352U (zh) 一种伸缩管件及连接管道
KR20120011926A (ko) 파형관 연결구조
CN106152081B (zh) 一种灯具进线密封装置及灯具
KR100522195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CN205716171U (zh) 一种异径三通管接头
JP2000154894A (ja) 伸縮管継手
JP5555481B2 (ja) スプリンクラー用巻き出し配管の施工方法
KR20130008167A (ko) 파형관 연결구조
RU72525U1 (ru) Стя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гибкого армирован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190001994A (ko) 합성수지관 이음장치
KR101238714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1785632B1 (ko)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KR20140125947A (ko)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96826Y1 (ko)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CN221004216U (zh) 可伸缩曲挠管件、螺纹接头及其连接体
RU255358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гибких труб
CN210153367U (zh) 一种快捷安装的波纹水管装置
KR100518465B1 (ko) 도로 및 건축 공사용 배수로관 연결 조임 장치
CN212298087U (zh) 一种给排水管道弯头连接件
CN205806777U (zh) 一种45°弯通管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