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307B1 -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307B1
KR101796307B1 KR1020170011211A KR20170011211A KR101796307B1 KR 101796307 B1 KR101796307 B1 KR 101796307B1 KR 1020170011211 A KR1020170011211 A KR 1020170011211A KR 20170011211 A KR20170011211 A KR 20170011211A KR 101796307 B1 KR101796307 B1 KR 101796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main body
connection
power lin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숙
Original Assignee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접속대본체의 상단에 연결되며 인입전선접속홈과 상단압입돌기를 가지는 전후 한 쌍의 인입전선접속대와 접속대본체의 하단에 연결되며 인출전선접속홈과 하단압입돌기를 가지는 전후 한 쌍의 인출전선접속대와, 인입전선접속대를 접속대본체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단회동연결수단과, 인출전선접속대를 접속대본체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단회동연결수단과, 인입전선접속대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상단잠금수단 및, 인출전선접속대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하단잠금수단을 포함하여, 지중배전선로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접속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좁은 배전통로 내에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접속된 상태에서 지진이나 기타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임의로 분리되거나 탈락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Apparatus for connecting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분야 기술 중에서,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중배전선로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접속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좁은 배전통로 내에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접속된 상태에서 지진이나 기타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임의로 분리되거나 탈락하는 일이 없도록 한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빌딩 및 공장과 같은 산업체 등의 전력수용가에서 사용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치된 지상의 최종 변압기에서 각 전력수용가별 상용전기로 변전하여 변압기의 출력케이블에서 출력되고, 출력케이블에셔 출력된 상용전기는 출력케이블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를 통하여 각 전력수용가로 배전하게 된다.
이러한 지중배전선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중에 구축된 배전용 전력구 또는 배전용터널 등으로 되는 배전통로(1)의 내부를 통해 배전되며, 지상에는 배전반(3)이 내장된 배전함(2)을 설치하여 배전반(3)에서 배전통로(1) 내로 인입되는 인입전선(L1)과 각 전력수용가로 배전되는 인출전선(L2)을 배전통로(1)의 내부에서 접속하고 있다.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을 접속함에 있어서는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의 단부를 연결대(4)의 양단에 겹쳐지게 하고,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1)의 단부와 연결대(4)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볼트(5)의 돌출단에 너트(6)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이 연결대(4)를 통하여 접속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의 접속방식은 그 접속작업이 협소한 배전통로(1) 내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가 요동하면서 접속부의 접속불량이나 탈락 또는 단선을 초래하게 되며, 이에 따라 누전에 의한 화재사고 및 감전에 의한 인명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7521호(2014.12.23. 등록) "배전용 지중전선 보호형 어댑터 접속단자"(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패널의 중앙을 천공하여 관통공을 형성하고, 패널 표면에 통전 가능한 도전선을 반경방향으로 배열하며, 패널 저면에는 상기 도전선을 통해 9v의 전압을 출력하는 어댑터를 설치하여 지중 생물 침투시 감전사하지 않을 정도의 전기 쇼크를 유발하여 접근 자체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패널의 중량이 현격히 줄어들었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나 지진 등의 영향으로 스프링이 탄성 완충될 때 과도한 유동을 억제하여 충분한 완충흡수 기능을 수행하며, 패널 상면에는 생물체 접촉시 전기가 흘러 쇼크를 유발하도록 하여 접근 자체를 차단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송전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을 접속하는 방식이 상술한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연결대와 볼트 및 너트에 의한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7908호(2013.10.07. 등록)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이하, '선행기술 2'라 함)는 지중 관로 어댑터 및 그랩 가이드 수단을 그랩 체결 수단으로 체결하기 전에는 지중배전선로가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를 통해 지중 배전체의 내부로 자유롭게 인입되게 하고, 체결 후에는 지중배전선로가 고정되게 지중선 그랩부가 오므라져 지중배전선로를 밀착 파지하게 함으로써, 지중배전선로의 길이에 상관없이 지중배전선로가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에 의해 지중 배전체의 외부에서 늘어지거나 엉키지 않고 딱 맞게 지중 배전체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여 공간 효율이 증대될 수 있고, 작업자의 통행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깔끔해지도록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2 또한 그랩 가이드 수단의 수나사부와 그랩 체결 수단의 암나사부를 수 회 내지 수십 회 돌려서 체결하여야 하므로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중배전선로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접속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좁은 배전통로 내에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접속된 상태에서 지진이나 기타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임의로 분리되거나 탈락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7521호(2014.12.23. 등록) "배전용 지중전선 보호형 어댑터 접속단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7908호(2013.10.07. 등록)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배전선로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접속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좁은 배전통로 내에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접속된 상태에서 지진이나 기타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임의로 분리되거나 탈락하는 일이 없도록 한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반부에 인입전선이 삽입되고 하반부에 인출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공이 형성되는 접속대본체와; 상기 접속대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인입전선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형성되는 반원형 인입전선접속홈과, 상기 인입전선접속홈의 내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인입전선압입돌기가 구비된 전후 한 쌍의 인입전선접속대와; 상기 접속대본체의 하단에 위치하며 인출전선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형성되는 반원형 인출전선접속홈과, 상기 인출전선접속홈의 내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인출전선압입돌기이 구비된 전후 한 쌍의 인출전선접속대와; 상기 한 쌍의 인입전선접속대의 하단을 상기 접속대본체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단회동연결수단과; 상기 한 쌍의 인출전선접속대의 상단을 상기 접속대본체의 하단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단회동연결수단과; 상기 인입전선접속대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상단잠금수단; 및 상기 인출전선접속대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하단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단회동연결수단은 상기 접속대본체의 상단 좌우측에 형성된 상단절취부와, 상기 상단절취부에 대응하여 상기 인입전선접속대의 하단 좌우측에 형성되는 상단힌지부와, 상기 상단힌지부를 상단절취부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단힌지핀 및, 상기 상단힌지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상단연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단회동연결수단은 상기 접속대본체의 하단 좌우측에 형성된 하단절취부와, 상기 하단절취부에 대응하여 상기 인출전선접속대의 상단 좌우측에 형성된 하단힌지부와, 상기 하단힌지부를 하단절취부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단힌지핀 및, 상기 하단힌지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하단연동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단잠금수단은 상기 접속대본체의 외주면 상반부에 외주측과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상단수직대피홈과, 상기 상단수직대피홈에 대응하여 상기 인입전선접속대의 외주면에 외주측과 하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상단수직안내홈과, 상기 상단수직안내홈의 상단에 연통되며 인입전선접속대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되는 상단잠금홈과, 상기 접속대본체와 인입전선접속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상단잠금링과, 상기 상단잠금링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단수직대피홈과 상단수직안내홈 및 상단잠금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단잠금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단잠금수단은 상기 접속대본체의 외주면 하반부에 외주측과 하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하단수직대피홈과, 상기 하단수직대피홈에 대응하여 상기 인출전선접속대의 외주면에 외주측과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하단수직안내홈과, 상기 하단수직안내홈의 하단에 연통되며 인출전선접속대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되는 하단잠금홈과, 상기 접속대본체와 인출전선접속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하단잠금링과, 상기 하단잠금링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단수직대피홈과 하단수직안내홈 및 하단잠금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단잠금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에 의하면, 접속대본체의 상단에 연결되며 인입전선접속홈과 상단압입돌기를 가지는 전후 한 쌍의 인입전선접속대와 접속대본체의 하단에 연결되며 인출전선접속홈과 하단압입돌기를 가지는 전후 한 쌍의 인출전선접속대와, 인입전선접속대를 접속대본체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단회동연결수단과, 인출전선접속대를 접속대본체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단회동연결수단과, 인입전선접속대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상단잠금수단 및, 인출전선접속대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하단잠금수단을 포함하여, 지중배전선로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접속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좁은 배전통로 내에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접속된 상태에서 지진이나 기타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임의로 분리되거나 탈락하는 일이 없게 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에 의하여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을 접속하는 과정을 보인 반단면 사시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를 예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반부에 인입전선(L1)이 삽입되고 하반부에 인출전선(L2)이 삽입되는 전선삽입공(110)이 형성되는 접속대본체(100)와; 상기 접속대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인입전선(L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형성되는 반원형 인입전선접속홈(210)과, 상기 인입전선접속홈(210)의 내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인입전선압입돌기(220)이 구비된 전후 한 쌍의 인입전선접속대(200)와; 상기 접속대본체(100)이 하단에 위치하며 인출전선(L2)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형성되는 반원형 인출전선접속홈(310)과, 상기 인출전선접속홈(310)의 내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인출전선압입돌기(320)이 구비된 전후 한 쌍의 인출전선접속대(300)와; 상기 한 쌍의 인입전선접속대(200)의 하단을 상기 접속대본체(100)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단회동연결수단(400)과; 상기 한 쌍의 인출전선접속대(300)의 상단을 상기 접속대본체(100)의 하단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단회동연결수단(500)과; 상기 인입전선접속대(200)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상단잠금수단(600); 및 상기 인출전선접속대(300)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하단잠금수단(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입전선압입돌기(220)와 인출전선압입돌기(320)는 인입전선(L1) 및 인출전선(L2)에 압인되는 것으로, 도시예에서는 내측단에 인선(刃線)부가 형성된 원호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원통형 돌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상단회동연결수단(400)은 상기 접속대본체(100)의 상단 좌우측에 형성된 상단절취부(410)와, 상기 상단절취부(410)에 대응하여 상기 인입전선접속대(200)의 하단 좌우측에 형성되는 상단힌지부(420)와, 상기 상단힌지부(420)를 상단절취부(41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단힌지핀(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단회동연결수단(400)은 상기 전후 한 쌍의 인입전선접속대(200)가 동일한 각도로 회동하도록 하기 위한 상단연동기어부(4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단연동기어부(440)는 상기 전후 한 쌍의 인입전선접속대(200)의 상단힌지부(4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411, 421은 각각 상기 상단절취부(410)와 상단힌지부(420)에 형성되어 상기 상단힌지핀(430)이 삽입되는 상단힌지공을 보인 것이다.
상기 하단회동연결수단(500)는 상기 접속대본체(100)의 하단 좌우측에 형성된 하단절취부(510)와, 상기 하단절취부(510)에 대응하여 상기 인출전선접속대(300)의 상단 좌우측에 형성된 하단힌지부(520)와, 상기 하단힌지부(520)를 하단절취부(51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단힌지핀(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단회동연결수단(500)는 상기 전후 한 쌍의 인출전선접속대(300)가 동일한 각도로 회동하도록 하기 위한 하단연동기어부(5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단연동기어부(540)는 상기 전후 한 쌍의 인출전선접속대(300)의 하단힌지부(5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511, 521은 각각 상기 하단절취부(510)와 하단힌지부(520)에 형성되어 상기 하단힌지핀(530)이 삽입되는 하단힌지공을 보인 것이다.
상기 상단잠금수단(600)은 상기 접속대본체(100)의 외주면 상반부에 외주측과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상단수직대피홈(610)과, 상기 상단수직대피홈(610)에 대응하여 상기 인입전선접속대(200)의 외주면에 외주측과 하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상단수직안내홈(620)과, 상기 상단수직안내홈(620)의 상단에 연통되며 인입전선접속대(200)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되는 상단잠금홈(630)과, 상기 접속대본체(100)와 인입전선접속대(2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상단잠금링(640)과, 상기 상단잠금링(640)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단수직대피홈(610)과 상단수직안내홈(620) 및 상단잠금홈(630)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단잠금돌기(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단수직대피홈(610)과 상단수직안내홈(620)은 전후 한 쌍의 인입전선접속대(200)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단잠금수단(700)은 상기 접속대본체(100)의 외주면 하반부에 외주측과 하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하단수직대피홈(710)과, 상기 하단수직대피홈(710)에 대응하여 상기 인출전선접속대(300)의 외주면에 외주측과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하단수직안내홈(720)과, 상기 하단수직안내홈(720)의 하단에 연통되며 인출전선접속대(300)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되는 하단잠금홈(730)과, 상기 접속대본체(100)와 인출전선접속대(3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하단잠금링(740)과, 상기 하단잠금링(740)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단수직대피홈(710)과 하단수직안내홈(720) 및 하단잠금홈(730)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단잠금돌기(7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단수직대피홈(710)과 하단수직안내홈(720)은 전후 한 쌍의 인출전선접속대(300)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단잠금링(640)과 하단잠금링(740)의 외주부에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상단잠금링(640)과 하단잠금링(740)을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단손잡이돌기(660)와 하단손잡이돌기(760)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돌기(660, 760)는 각각 상단잠금돌기(650) 및 하단잠금돌기(750)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단손잡이돌기(660)와 하단손잡이돌기(760)의 위치에 의하여 상단잠금돌기(650)와 하단잠금돌기(750)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에 의하여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을 접속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의 접속작업은 배전통로(1) 내에 인출전선(L2)을 설치단계, 인출전선(L2)과 인출전선접속대(300)를 접속시키는 단계, 인입전선(L1)과 인입전선접속대(200)를 접속시키는 단계, 인입전선(L1)을 배전반(3)에 접속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배전통로(1) 내에 인출전선(L2)을 설치한 상태에서 전후 한 쌍의 인입전선접속대(200)와 인출전선접속대(300)를 각각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을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때, 상단잠금링(640)과 하단잠금링(740)은 각각 접속대본체(100)의 상반부와 하반부에 위치하며, 상단잠금돌기(650)와 하단잠금돌기(750)는 상단수직대피홈(610)과 하단수직대피홈(710)에 위치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먼저, 벌어져 있는 전후 한 쌍의 인출전선접속대(300) 사이에 인출전선(L2)을 삽입하고, 전후 한 쌍의 인출전선접속대(300)를 하단힌지핀(530)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인출전선접속대(300)의 하단압입돌기(320)이 인출전선(L2)에 압입되도록 한다(도 4 참조).
이때 인출전선(L2)은 그 외주면이 인출전선접속대(300)의 인출전선접속홈(310)에 밀착됨과 아울러 하단압입돌기(320)가 압입된 상태로 되므로 인출전선(L2)과 인출전선접속대(300)의 접속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접속대본체(100)의 하반부에 위치하던 하단잠금링(740)을 하강시켜 하단잠금돌기(750)이 하단수직대피홈(710)을 따라 이동하여 하단수직안내홈(72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한다(도 5 참조).
이 상태에서 하단잠금돌기(750)는 하단수직안내홈(720)과 하단수직대피홈(710)을 따라 승강할 수 있는 상태이므로 아직까지는 하단잠금링(740)과 하단잠금홈(750)이 상하방향으로 유동적인 상태이다.
하단잠금링(740)을 90도 회동시키면, 하단잠금돌기(750)가 하단잠금홈(730)에 위치하게 되어 하단잠금링(740)과 하단잠금돌기(750)가 상하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는 상태로 잠기게 된다.(도 6 참조).
이때, 작업자는 하단잠금링(740)의 외주부에 돌출형성된 하단손잡이돌기(760)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잠금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인출전선(L2)을 인출전선접속대(300)에 접속한 다음, 인입전선(L1)을 인입전선접속대(200)에 접속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벌어져 있는 전후 한 쌍의 인입전선접속대(200) 사이에 인입전선(L1)을 삽입하고, 전후 한 쌍의 인입전선접속대(200)를 상단힌지핀(430)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인입전선접속대(200)의 상단압입돌기(220)이 인입전선(L1)에 압입되도록 한다(도 7 참조).
이때 인입전선(L1)은 그 외주면이 인입전선접속대(200)의 인입전선접속홈(210)에 밀착됨과 아울러 상단압입돌기(220)가 압입된 상태로 되므로 인입전선(L1)과 인입전선접속대(200)의 접속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접속대본체(100)의 상반부에 위치하던 상단잠금링(640)을 상승시켜 상단잠금돌기(650)이 상단수직대피홈(610)을 따라 이동하여 상단수직안내홈(62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한다(도 8 참조).
상단잠금링(640)을 90도 회동시키면, 상단잠금돌기(650)가 상단잠금홈(630)에 위치하게 되어 상단잠금링(640)과 상단잠금돌기(650)가 상하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는 상태로 잠기게 된다(도 9 참조).
이때, 상단잠금링(640)의 외주부에도 상단손잡이돌기(660)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잠금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출전선(L2)과 인출전선접속대(300)의 접속, 인입전선(L1)과 인입전선접속대(200)의 접속이 완료되면, 인입전선(L1)을 배전반(3)에 접속함으로써 지중배전선로의 접속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을 접속함에 있어서 볼트와 너트의 체결작업이 생략되고, 공구를 사용하지 않는 인입전선접속대(200)와 인출전선접속대(300)의 회동작업과 상단잠금링(640)과 하단잠금링(740)의 잠금작업에 의하여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을 인입전선접속대(200)와 인출전선접속대(300)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지중배전선로의 접속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좁은 배전통로 내에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접속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후 한 쌍의 인입전선접속대(200)와 인출전선접속대(300)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단힌지편(420)과 하단힌지편(520)에 형성된 상단기어부(440, 540)이 형성되어 맞물려 있으므로 전방측 인입전선접속대(200)와 후방측 인입전선접속대(200), 그리고 전방측 인출전선접속대(300)와 후방측 인출전선접속대(300)가 동일한 각도로 회동하게 되며, 벌어진 상태에서 인입전선접속대(200)의 하단은 접속대본체(100)의 상단에, 인출전선접속대(300)의 상단은 접속대본체(100)의 하단에 각각 걸리게 되므로 필요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게 되어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가 인입전선접속대(200)와 인출전선접속대(300)의 인입전선접속홈(210)과 인출전선접속홈(310)에 접속됨과 아울러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에 상단압입돌기(220)과 하단압입돌기(320)이 압입되어 접속되므로 접속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가 접속된 인입전선접속대(200)과 인출전선접속대(300)를 상단잠금수단(600)과 하단잠금수단(700)에 의하여 임의로 회동하지 않도록 잠금으로써 지진이나 기타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접속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접속불량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L1: 인입전선 L2: 인출전선
100: 접속대본체 110: 전선접속공
200: 인입전선접속대 210: 인입전선접속홈
220: 상단압입돌기 300: 인출전선접속대
310: 인출전선접속홈 320: 하단압입돌기
400: 상단회동연결수단 410: 상단절취부
420: 상단힌지부 430: 상단힌지핀
440: 상단연동기어부 500: 하단회동연결수단
510: 하단절취부 520: 하단힌지부
530: 하단힌지핀 540: 하단연동기어부
600: 상단잠금수단 610: 상단수직대피홈
620: 상단수직연결홈 630: 상단잠금홈
640: 상단잠금링 650: 상단잠금돌기
660: 상단손잡이돌기 700: 하단잠금수단
710: 하단수직대피홈 720: 하단수직안내홈
730: 하단잠금홈 740: 하단잠금링
750: 하단잠금돌기 760: 하단손잡이돌기

Claims (1)

  1.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반부에 인입전선(L1)이 삽입되고 하반부에 인출전선(L2)이 삽입되는 전선삽입공(110)이 형성되는 접속대본체(100)와; 상기 접속대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인입전선(L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형성되는 반원형 인입전선접속홈(210)과, 상기 인입전선접속홈(210)의 내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인입전선압입돌기(220)이 구비된 전후 한 쌍의 인입전선접속대(200)와; 상기 접속대본체(100)이 하단에 위치하며 인출전선(L2)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형성되는 반원형 인출전선접속홈(310)과, 상기 인출전선접속홈(310)의 내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인출전선압입돌기(320)이 구비된 전후 한 쌍의 인출전선접속대(300)와; 상기 한 쌍의 인입전선접속대(200)의 하단을 상기 접속대본체(100)의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단회동연결수단(400)과; 상기 한 쌍의 인출전선접속대(300)의 상단을 상기 접속대본체(100)의 하단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단회동연결수단(500)과; 상기 인입전선접속대(200)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상단잠금수단(600); 및 상기 인출전선접속대(300)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하단잠금수단(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단회동연결수단(400)은 상기 접속대본체(100)의 상단 좌우측에 형성된 상단절취부(410)와, 상기 상단절취부(410)에 대응하여 상기 인입전선접속대(200)의 하단 좌우측에 형성되는 상단힌지부(420)와, 상기 상단힌지부(420)를 상단절취부(41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단힌지핀(430) 및, 상기 상단힌지부(4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상단연동기어(4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단회동연결수단(500)는 상기 접속대본체(100)의 하단 좌우측에 형성된 하단절취부(510)와, 상기 하단절취부(510)에 대응하여 상기 인출전선접속대(300)의 상단 좌우측에 형성된 하단힌지부(520)와, 상기 하단힌지부(520)를 하단절취부(510)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단힌지핀(530) 및, 상기 하단힌지부(5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하단연동기어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단잠금수단(600)은 상기 접속대본체(100)의 외주면 상반부에 외주측과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상단수직대피홈(610)과, 상기 상단수직대피홈(610)에 대응하여 상기 인입전선접속대(200)의 외주면에 외주측과 하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상단수직안내홈(620)과, 상기 상단수직안내홈(620)의 상단에 연통되며 인입전선접속대(200)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되는 상단잠금홈(630)과, 상기 접속대본체(100)와 인입전선접속대(2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상단잠금링(640)과, 상기 상단잠금링(640)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단수직대피홈(610)과 상단수직안내홈(620) 및 상단잠금홈(630)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단잠금돌기(6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단잠금수단(700)은 상기 접속대본체(100)의 외주면 하반부에 외주측과 하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하단수직대피홈(710)과, 상기 하단수직대피홈(710)에 대응하여 상기 인출전선접속대(300)의 외주면에 외주측과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하단수직안내홈(720)과, 상기 하단수직안내홈(720)의 하단에 연통되며 인출전선접속대(300)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되는 하단잠금홈(730)과, 상기 접속대본체(100)와 인출전선접속대(30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하단잠금링(740)과, 상기 하단잠금링(740)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단수직대피홈(710)과 하단수직안내홈(720) 및 하단잠금홈(730)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단잠금돌기(750)를 포함하여 상기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이 상기 접속대본체(100), 인입전선접속대(200), 인출전선접속대(300), 상단회동연결수단(400), 하단회동연결수단(500)을 통하여 접속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1020170011211A 2017-01-24 2017-01-24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101796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11A KR101796307B1 (ko) 2017-01-24 2017-01-24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11A KR101796307B1 (ko) 2017-01-24 2017-01-24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307B1 true KR101796307B1 (ko) 2017-11-10

Family

ID=6038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211A KR101796307B1 (ko) 2017-01-24 2017-01-24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3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1326A (zh) * 2022-02-23 2022-04-29 矫利艳 一种对接部可调的组合式pgl型低压配电柜
KR20230000189U (ko) * 2021-07-15 2023-01-26 정문식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WO2023121124A1 (ko) * 2021-12-21 2023-06-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컨버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178B1 (ko) 2012-06-12 2012-09-24 율삼엔지니어링(주) 매설용 지중송전 커넥터
KR101317908B1 (ko) 2013-08-13 2013-10-16 주식회사 한국안전기술단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
KR101477521B1 (ko) 2014-10-07 2014-12-30 원이엔지주식회사 배전용 지중전선 보호형 어댑터 접속단자
KR101626145B1 (ko) 2015-11-30 2016-05-31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178B1 (ko) 2012-06-12 2012-09-24 율삼엔지니어링(주) 매설용 지중송전 커넥터
KR101317908B1 (ko) 2013-08-13 2013-10-16 주식회사 한국안전기술단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
KR101477521B1 (ko) 2014-10-07 2014-12-30 원이엔지주식회사 배전용 지중전선 보호형 어댑터 접속단자
KR101626145B1 (ko) 2015-11-30 2016-05-31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189U (ko) * 2021-07-15 2023-01-26 정문식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KR200496826Y1 (ko) * 2021-07-15 2023-05-04 정문식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WO2023121124A1 (ko) * 2021-12-21 2023-06-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컨버터
CN114421326A (zh) * 2022-02-23 2022-04-29 矫利艳 一种对接部可调的组合式pgl型低压配电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307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US7285725B1 (en) Weatherproof and restraining apparatus for electrical plugs
US20100136808A1 (en) Electrical Connector
US3725840A (en)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upling for connecting electrical leads
DE60110574T2 (de) Stromkabelverbindungssatz
US6957971B2 (en) Multiplex wire connector unit
CN202210608U (zh) 接地线专用快速连接头
US9246240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detachable pivot shaft and pivot hub with insert
JP2007531967A (ja) 簡易着脱型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5267880A (en) Waterproof fusible breakaway electrical connector
US4730385A (en) Coax connector installation tool
US20060035508A1 (en) Protective device of extension cord
CN103762436A (zh) 用于连接高压电缆的插座、插头及插拔器
CN211208023U (zh) 接插电缆及电缆组件
KR101037722B1 (ko) 매설형 지중전선 커넥터
US3401370A (en) Separable connector for underground system
US20190123467A1 (en) Female Cabling Connector
KR101050539B1 (ko) 지중배전선과 배전반의 접속용 어댑터
KR102235859B1 (ko)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장치
CN108598754A (zh) 旋转式接线器
JP5348542B2 (ja) 雄コネクタ並びにコネクタ付き電気ケーブル
US2287762A (en) Current transformer terminal connector
KR10155746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CN103956669A (zh) 中置开关柜专用接地线
CN203871732U (zh) 中置开关柜专用接地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