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145B1 -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145B1
KR101626145B1 KR1020150168976A KR20150168976A KR101626145B1 KR 101626145 B1 KR101626145 B1 KR 101626145B1 KR 1020150168976 A KR1020150168976 A KR 1020150168976A KR 20150168976 A KR20150168976 A KR 20150168976A KR 101626145 B1 KR101626145 B1 KR 101626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wire
lead
pair
prote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Priority to KR1020150168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입전선은 인입전선 하단캡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도체부를 구비하며, 인출전선은 인출전선 상단캡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도체부를 구비하고, 배전통로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복수개의 도체부를 감싸는 복수개의 원통형 보호관과; 상기 원통형 보호관 내에 중간부에 힌지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단은 상기 원통형 보호관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힌지핀과 상단 사이에는 인입전선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인입전선 접촉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인출전선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인출전선 접촉부가 형성된 한 쌍의 탄성접촉편을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를 구비하여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을 신속, 간편하게 접속시킬 수 있으며,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접속부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복도체로 이루어지는 지중 배전케이블의 각 개별전선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지중 배전선로를 구성하는 전력구의 벽면에 고정설치된 배전커넥터에 대한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Connecter for undergrou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을 신속, 간편하게 접속시킬 수 있으며,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접속부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복도체로 이루어지는 지중 배전케이블의 각 개별전선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지중 배전선로를 구성하는 전력구의 벽면에 고정설치된 배전커넥터에 대한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빌딩 및 공장과 같은 산업체 등의 전력수용가에서 사용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치된 지상의 최종 변압기에서 각 전력수용가별 상용전기로 변전하여 변압기의 출력케이블에서 출력되고, 출력케이블에서 출력된 상용전기는 출력케이블에 접속된 배전케이블을 통하여 각 전력수용가로 배전하게 된다.
이러한 지중 배전선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중에 구축된 배전용 전력구 또는 배전용 터널 등으로 되는 배전통로(1)의 내부를 통해 배전되며, 지상에는 배전반(3)이 내장된 배전함(2)을 설치하여 배전반(3)에서 배전통로(1) 내로 인입되는 인입전선(L1)과 각 전력수용가로 배전되는 인출전선(L2)을 배전통로(1)의 내부에서 접속하고 있다.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을 접속함에 있어서는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의 단부를 연결대(4)의 양단에 겹쳐지게 하고, 인인전선(L1)과 인출전선(L2)의 단부와 연결대(4)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볼트(5)의 돌출단에 너트(6)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이 연결대(4)를 통하여 접속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의 접속방식은 그 접속작업이 협소한 배전통로(1) 내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지진 등 외부 충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인입전선(L1)과 인출전선(L2) 및 연결대(4)가 요동하면서 접속부의 접속불량이나 탈락 또는 단선을 초래하게 되며, 이에 따라 누전에 의한 화재사고 및 감전에 의한 인명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7521호(2014.12.23. 등록) "배전용 지중전선 보호형 어댑터 접속단자"(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패널의 중앙을 천공하여 관통공을 형성하고, 패널 표면에 통전 가능한 도전선을 반경방향으로 배열하며, 패널 저면에는 상기 도전선을 통해 9v의 전압을 출력하는 어댑터를 설치하여 지중 생물 침투시 감전사하지 않을 정도의 전기 쇼크를 유발하여 접근 자체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패널의 중량이 현격히 줄어 들었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나 지진 등의 영향으로 스프링이 탄성 완충될 때 과도한 유동을 억제하여 충분한 완충흡수 기능을 수행하며, 패널 상면에는 생물체 접촉시 전기가 흘러 쇼크를 유발하도록 하여 접근 자체를 차단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송전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을 접속하는 방식이 상술한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연결대와 볼트 및 너트에 의한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종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7908호(2013.10.07. 등록)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이하, '선행기술 2'라 함)는 지중 관로 어댑터 및 그랩 가이드 수단을 그랩 체결 수단으로 체결하기 전에는 지중배전선로가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를 통해 지중 배전체의 내부로 자유롭게 인입되게 하고, 체결 후에는 지중배전선로가 고정되게 지중선 그랩부가 오므라져 지중배전선로를 밀착 파지하게 함으로써, 지중배전선로의 길이에 상관없이 지중배전선로가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에 의해 지중 배전체의 외부에서 늘어지거나 엉키지 않고 딱 맞게 지중 배전체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여 공간 효율이 증대될 수 있고, 작업자의 통행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깔끔해지도록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는 하나의 지중배전선로에 접촉하는 지중선 접촉부위가 한 위치에만 있기 때문에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을 연결하는 데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지중 배전선로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접속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접속부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복수개의 도체를 구비한 복도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복수개의 도체를 동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7521호(2014.12.23. 등록) "배전용 지중전선 보호형 어댑터 접속단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7908호(2013.10.07. 등록) "지중배전선로 보호형 접속기구"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을 신속, 간편하게 접속시킬 수 있으며,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접속부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복도체로 이루어지는 지중 배전케이블의 각 개별전선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지중 배전선로를 구성하는 전력구의 벽면에 고정설치된 배전커넥터에 대한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을 접속함과 아울러 배전통로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커넥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은 복수개의 도체부와, 상기 도체부의 피복하는 외부절연피복 및, 상기 외부절연피복 내에 충전되어 복수개의 도체부를 절연시키는 내부절연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전선은 상기 외부절연피복의 하단부를 박피하여 복수개의 도체부가 노출되게 하고 서로 이격되도록 절곡하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도체부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을 가지며 복수개의 도체부가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스페이서판과, 상단은 상기 외부절연피복의 하단 외주면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스페이서판이 삽입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부에 주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도체부를 절연상태로 유지하는 절연충전재를 포함하는 인입전선 하단캡을 구비하며, 상기 인출전선은 상기 외부절연피복의 상단부를 박피하여 복수개의 도체부가 노출되게 하고 서로 이격되도록 절곡하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도체부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을 가지며 복수개의 도체부가 상면에서 돌출되는 스페이서판과, 하단은 상기 외부절연피복의 상단 외주면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스페이서판에 의하여 폐쇄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부에 주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도체부를 절연상태로 유지하는 절연충전재를 포함하는 인출전선 상단캡을 구비하고, 상기 배전통로의 상하단의 내주면에는 좌우 한 쌍의 위치결정 및 안내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캡의 외주면에는 상기 위치결정 및 안내돌기에 대응하는 위치결정 및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장치는 배전통로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복수개의 도체부를 감싸는 복수개의 원통형 보호관과; 상기 원통형 보호관 내에 중간부에 힌지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단은 상기 원통형 보호관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힌지핀과 상단 사이에는 인입전선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인입전선 접촉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인출전선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인출전선 접촉부가 형성된 한 쌍의 탄성접촉편과; 상기 원통형 보호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원통형 보호관의 상단부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의 상단부를 원통형 보호관의 상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상단보호캡; 및 상기 원통형 보호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원통형 보호관의 하단부를 보호하는 하단보호캡;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링의 외주면에는 배전통로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앵커볼트가 끼워질 수 있는 앵커볼트 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보호관의 내주면 상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의 상단부가 걸리는 내측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의 상단에는 상기 내측플랜지에 걸리는 절곡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의 중간부에는 상기 힌지핀이 삽입되는 힌지공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의 상기 인입전선 접촉부와 인출전선 접촉부는 복수개의 돌기로 형성되며, 각 돌기의 선단부는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도체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은 상기 절곡고정부와 인입전선 접촉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절곡편, 제1 절곡편과 힌지공 사이에 형성된 제2 절곡편, 힌지공과 인출전선 접촉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절곡편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의 제1 절곡편은 상단 간격이 넓고 하단 간격이 좁은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은 외력을 받지 않은 자유상태에서는 한 쌍의 탄성접촉편의 인입전선 접촉부의 사이의 간격이 인입전선의 도체부의 외경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고, 한 쌍의 탄성접촉편의 인출전선 접촉부 사이의 간격이 인출전선의 도체부의 외경보다 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단보호캡은 상기 원통형 보호관의 상단 내주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원통형 보호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마감플랜지부 및, 상기 인입전선이 관통되는 인입전선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단보호캡은 상기 원통형 보호관의 하단 내주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원통형 보호관의 외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마감플랜지부 및, 상기 인출전선이 관통되는 인출전선 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인입전선은 인입전선 하단캡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도체부를 구비하며, 인출전선은 인출전선 상단캡에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도체부를 구비하고, 배전통로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복수개의 도체부를 감싸는 복수개의 원통형 보호관과; 상기 원통형 보호관 내에 중간부에 힌지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단은 상기 원통형 보호관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힌지핀과 상단 사이에는 인입전선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인입전선 접촉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인출전선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인출전선 접촉부가 형성된 한 쌍의 탄성접촉편을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를 구비하여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을 신속, 간편하게 접속시킬 수 있으며,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의 접속부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복도체로 이루어지는 지중 배전케이블의 각 개별전선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지중 배전선로를 구성하는 전력구의 벽면에 고정설치된 배전커넥터에 대한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입입전선과 인출전선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탄성접촉편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인입전선과 인출전선 및 커넥터 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종단정면도,
도 6은 커넥터 장치를 배전통로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종단정면도,
도 7은 인입전선을 커넥터 장치에 삽입하여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접속된 상태를 보인 종단정면도,
도 8은 탄성접촉편의 작동원리를 보인 종단정면도이고,
도 9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를 예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는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을 접속함과 아울러 배전통로(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커넥터 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은 복수개의 도체부(11, 21)와, 상기 도체부(11, 21)의 피복하는 외부절연피복(12, 22) 및, 상기 외부절연피복(12, 22) 내에 충전되어 복수개의 도체부(11, 21)를 절연시키는 내부절연재(13, 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의 도체부(11, 21)는 도시에에서는 6개인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그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리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부절연피복(12, 22)과 내부절연재(13, 23)는 통상적으로 절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층으로 형성되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의 절연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각각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인입전선(10)은 상기 외부절연피복(12)의 하단부를 박피하여 복수개의 도체부(11)가 노출되게 하고 서로 이격되도록 절곡하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도체부(11)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32)을 가지며 복수개의 도체부(11)가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스페이서판(31)과, 상단은 상기 외부절연피복(12)의 하단 외주면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스페이서판(31)이 삽입되는 캡(33)과, 상기 캡(33)의 내부에 주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도체부(11)를 절연상태로 유지하는 절연충전재(34)를 포함하는 인입전선 하단캡(30)이 구비된다.
상기 인출전선(20)은 상기 외부절연피복(22)의 상단부를 박피하여 복수개의 도체부(21)가 노출되게 하고 서로 이격되도록 절곡하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도체부(21)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42)을 가지며 복수개의 도체부(21)가 상면에서 돌출되는 스페이서판(41)과, 하단은 상기 외부절연피복(22)의 상단 외주면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스페이서판(41)에 의하여 폐쇄되는 캡(43)과, 상기 캡(43)의 내부에 주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도체부(21)를 절연상태로 유지하는 절연충전재(44)를 포함하는 인출전선 상단캡(40)이 구비된다.
상기 배전통로(1)의 상하단의 내주면에는 좌우 한 쌍의 위치결정 및 안내돌기(35, 45)가 구비되고, 상기 캡(33, 43)의 외주면에는 상기 위치결정 및 안내돌기(35, 45)에 대응하는 위치결정 및 안내홈(36, 46)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결정 및 안내돌기(35, 45)는 도시예와 같이 배전통로(1)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사각막대 모양의 부재를 배전통로(1)에 매설하여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100)는 배전통로(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링(110)과; 상기 고정링(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의 복수개의 도체부(11, 21)를 감싸는 복수개의 원통형 보호관(120)과;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 내에 중간부에 힌지핀(H)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단은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힌지핀(H)과 상단 사이에는 인입전선(1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인입전선 접촉부(13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인출전선(20)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인출전선 접촉부(132)가 형성된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과;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원통형 보호관(120)의 상단부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상단부를 원통형 보호관(12)의 상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상단보호캡(140); 및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원통형 보호관(120)의 하단부를 보호하는 하단보호캡(15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링(110), 원통형 보호관(120), 상단보호캡(140) 및 하단보호캡(150)은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은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링(110)과 원통형 보호관(120)은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링(110)과 원통형 보호관(120)은 복수개의 연결리브(111)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링(110)의 외주면에는 배전통로(1)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앵커볼트(B)가 끼워질 수 있는 앵커볼트 끼움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앵커볼트 끼움공(112)은 하단이 개방된 역 U자형으로 형성하여 고정링(110)을 배전통로(1)에 삽입할 때 앵커볼트(B)가 앵커볼트 끼움공(112)에 자동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앵커볼트(B)의 길이는 고정링(110)의 두께보다 길게 하여 고정링(1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도록 하고, 앵커볼트(B)의 돌출 단부에 앵커너트(N)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링(110)을 배전통로(1)의 내주면에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의 내주면 상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상단부가 걸리는 내측플랜지(121)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상단에는 상기 내측플랜지(121)에 걸리는 절곡고정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중간부에는 상기 힌지핀(H)이 삽입되는 힌지공(134)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상기 인입전선 접촉부(131)와 인출전선 접촉부(132)는 복수개의 돌기로 형성되며, 각 돌기의 선단부는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의 도체부(11, 21)의 외경에 대응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은 상기 절곡고정부(133)와 인입전선 접촉부(13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절곡편(135), 제1 절곡편(135)과 힌지공(134) 사이에 형성된 제2 절곡편(136), 힌지공(134)과 인출전선 접촉부(132)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절곡편(137)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제1 절곡편(135)은 상단 간격이 넓고 하단 간격이 좁은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은 외력을 받지 않은 자유상태에서는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인입전선 접촉부(131)의 사이의 간격이 인입전선(10)의 도체부(11)의 외경(d)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고,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인출전선 접촉부(132) 사이의 간격이 인출전선(20)의 도체부(21)의 외경(d)보다 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단보호캡(140)은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의 상단 내주면에 삽입되는 삽입부(141)와,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의 외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마감플랜지부(142) 및, 상기 인입전선(10)이 관통되는 인입전선 관통공(143)을 구비한다.
상기 하단보호캡(150)은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의 하단 내주면에 삽입되는 삽입부(141)와,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의 외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마감플랜지부(152) 및, 상기 인출전선(20)이 관통되는 인출전선 관통공(153)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원통형 보호관(120)과 상단보호캡(140)의 삽입부(141) 및 하단보호캡(150)의 삽입부(151)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하거나 원통형 보호관(120)의 상하단 내주면과 상단보호캡(140)의 삽입부(141) 및 하단보호캡(150)의 삽입부(151)의 외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나사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를 배전통로(1)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고정링(110), 원통형 보호관(120), 탄성접촉편(130), 상단보호캡(140) 및 하단보호캡(150)이 결합된 커넥터 장치(100)를 배전통로(1)의 상부에서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링(110)의 앵커볼트 끼움공(112)이 배전통로(1)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앵커볼트(B)에 끼워지도록 한 다음, 고정링(1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앵커볼트(B)의 돌출단부에 앵커너트(N)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도 6 참조).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에 의하여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을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탄성접촉편(130)은 외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는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인입전전 접촉부(131) 사이의 간격이 인입전선(10)의 도체부(11)의 외경(d)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고,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인출전선 접촉부(132) 사이의 간격이 인출전선(20)의 도체부(21)의 외경(d)보다 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8의 (a) 참조].
고정링(110), 원통형 보호관(120), 탄성접촉편(130), 상단보호캡(140) 및 하단보호캡(150)이 결합된 커넥터 장치(100)와 인입전선(10)은 배전통로(1)의 상부에 위치하고, 인출전선(20)은 배전통로(1)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도 6 참조)에서 커넥터 장치(100)를 배전통로(1)의 내부로 삽입하여 인출전선(20)이 하단보호캡(500의 인출전선 관통공(153)을 통해 원통형 보호관(12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인출전선 접촉부(132) 사이의 간격이 인출전선(20)의 도체부(21)의 외경(d)보다 큰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인출전선(20)은 양측 인출전선 접촉부(132)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삽입된다[도 8의 (a) 참조].
다음, 배전통로(1)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인입전선(10)을 배전통로(1)의 내부로 진입시켜 도체부(11)가 상단보호캡(140)의 인입전선 관통공(143)을 통해 원통형 보호관(12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면, 양측 탄성접촉부(130)의 인입전선 접촉부(131) 사이의 간격이 인입전선(10)의 도체부(11)의 외경(d)보다 작은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인입전선(10)의 도체부(11)가 제1 절곡편(135)에 접촉하게 된다[도 8의 (a) 참조].
이때 양측 제1 절곡편(135)은 상단 간격이 넓고 하단 간격이 좁은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입전선(10)의 도체부(11)의 진입 압력에 의하여 제1 절곡편(135)이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절곡편(135)과 제2 절곡편(136) 사이에 위치하는 양측 인입전선 접촉부(131)가 벌어지면서 그 사이로 인입전선(10)의 도체부(11)가 삽입되며, 탄성접촉편(1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인입전선 접촉부(131)가 인입전선(10)의 도체부(11)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강하게 밀착된다.
제2 절곡편(135)과 인입전선 접촉부(131)가 벌어짐에 따라 양측 제2 절곡편(136) 사이도 벌어지게 되고, 제2 절곡편(136)에는 제3 절곡편(13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탄성접촉편(130)은 제2 절곡편(136)과 제3 절곡편(137) 사이에서 힌지핀(H)에 의하여 원통형 보호관(12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양측 제3 절곡편(137)의 하단부 사이가 좁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3 절곡편(137)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양측 인출전선 접촉부(13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인출전선 접촉부(132)가 인출전선(20)의 도체부(21)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강하게 접촉된다.
결과적으로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은 물리적으로는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인입전선 접촉부(131)와 인출전선 접촉부(132)에 탄성적으로 강하게 접촉됨과 아울러 전기적으로는 인입전선 접촉부(131)와 인출전선 접촉부(132)가 구비된 탄성접촉편(13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8의 (b) 참조].
이때 인입전선 접촉부(131)와 인출전선 접촉부(132)의 선단부, 즉 인입전선(10) 및 인출전선(20)이 접촉되는 부분이 상하방향에서 볼 때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의 외경에 대응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에 대한 인입전선 접촉부(131)와 인출전선 접촉부(132)의 접촉이 점접촉이 아닌 선접촉으로 이루어지므로 접촉상태가 양호하게 된다.
또한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의 접속부를 단차지게 가동하는 예비작업을 거치지 않고서도 커넥터 장치(100)에 의하여 접속할 수 있으므로 접속작업ㄴ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은 탄성접촉편(13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원통형 보호관(120)과 상단보호캡(140) 및 하단보호캡(150)에 의하여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의 접속부위가 보호되므로 보다 안전한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을 배전통로(1)를 통하여 삽입하는 과정에서 배전통로(1)의 내주면에는 위치결정 및 안내돌기(35, 45)가 구비되고,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의 인입전선 하단캡(30)과 인출전선 상단캡(40)의 외주면에는 위치결정 및 안내홈(36, 4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위치결정 및 안내돌기(35, 45)와 위치결정 및 안내홈(36, 46)의 작용으로 인입전선(10)의 도체부(11)와 인출전선(20)의 도체부(21)가 항상 인입전선 접촉부(131)와 인출전선 접촉부(132)에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이 복수개의 도체부(11, 21)를 가지는 복도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입전선(10)은 상기 외부절연피복(12)의 하단부를 박피하여 복수개의 도체부(11)가 노출되게 하고 서로 이격되도록 절곡하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도체부(11)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32)을 가지며 복수개의 도체부(11)가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스페이서판(31)과, 상단은 상기 외부절연피복(12)의 하단 외주면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스페이서판(31)이 삽입되는 캡(33)과, 상기 캡(33)의 내부에 주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도체부(11)를 절연상태로 유지하는 절연충전재(34)를 포함하는 인입전선 하단캡(30)을 구비하고, 상기 인출전선(20)은 상기 외부절연피복(22)의 상단부를 박피하여 복수개의 도체부(21)가 노출되게 하고 서로 이격되도록 절곡하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도체부(21)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42)을 가지며 복수개의 도체부(21)가 상면에서 돌출되는 스페이서판(41)과, 하단은 상기 외부절연피복(22)의 상단 외주면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스페이서판(41)에 의하여 폐쇄되는 캡(43)과, 상기 캡(43)의 내부에 주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도체부(21)를 절연상태로 유지하는 절연충전재(44)를 포함하는 인출전선 상단캡(40)이 구비하여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의 복수개의 도체부(11, 21)가 한 번의 작업으로 동시에 접속되므로 복도체로 된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의 접속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인입전선 20 : 인출전선
11, 21 : 도체부 30 : 인입전선 하단캡
40 : 인출전선 상단캡 100 : 커넥터 장치
110 : 고정링 120 : 원통형 보호관
130 : 탄성접촉편 140 : 상단보호캡
150 : 하단보호캡

Claims (1)

  1.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을 접속함과 아울러 배전통로(1)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커넥터 장치(100)를 포함하며,
    상기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은 복수개의 도체부(11, 21)와, 상기 도체부(11, 21)의 피복하는 외부절연피복(12, 22) 및, 상기 외부절연피복(12, 22) 내에 충전되어 복수개의 도체부(11, 21)를 절연시키는 내부절연재(13, 23)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전선(10)은 상기 외부절연피복(12)의 하단부를 박피하여 복수개의 도체부(11)가 노출되게 하고 서로 이격되도록 절곡하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도체부(11)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32)을 가지며 복수개의 도체부(11)가 하면에서 하향 돌출되는 스페이서판(31)과, 상단은 상기 외부절연피복(12)의 하단 외주면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스페이서판(31)이 삽입되는 캡(33)과, 상기 캡(33)의 내부에 주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도체부(11)를 절연상태로 유지하는 절연충전재(34)를 포함하는 인입전선 하단캡(30)을 구비하며,
    상기 인출전선(20)은 상기 외부절연피복(22)의 상단부를 박피하여 복수개의 도체부(21)가 노출되게 하고 서로 이격되도록 절곡하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도체부(21)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관통공(42)을 가지며 복수개의 도체부(21)가 상면에서 돌출되는 스페이서판(41)과, 하단은 상기 외부절연피복(22)의 상단 외주면에 밀착되고 하단은 상기 스페이서판(41)에 의하여 폐쇄되는 캡(43)과, 상기 캡(43)의 내부에 주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도체부(21)를 절연상태로 유지하는 절연충전재(44)를 포함하는 인출전선 상단캡(40)을 구비하고,
    상기 배전통로(1)의 상하단의 내주면에는 좌우 한 쌍의 위치결정 및 안내돌기(35, 45)가 구비되고, 상기 캡(33, 43)의 외주면에는 상기 위치결정 및 안내돌기(35, 45)에 대응하는 위치결정 및 안내홈(36, 46)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장치(100)는 배전통로(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링(110)과; 상기 고정링(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의 복수개의 도체부(11, 21)를 감싸는 복수개의 원통형 보호관(120)과;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 내에 중간부에 힌지핀(H)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단은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고, 힌지핀(H)과 상단 사이에는 인입전선(1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인입전선 접촉부(13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인출전선(20)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인출전선 접촉부(132)가 형성된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과;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원통형 보호관(120)의 상단부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상단부를 원통형 보호관(12)의 상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상단보호캡(140); 및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원통형 보호관(120)의 하단부를 보호하는 하단보호캡(15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링(110)의 외주면에는 배전통로(1)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앵커볼트(B)가 끼워질 수 있는 앵커볼트 끼움공(112)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의 내주면 상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상단부가 걸리는 내측플랜지(121)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상단에는 상기 내측플랜지(121)에 걸리는 절곡고정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중간부에는 상기 힌지핀(H)이 삽입되는 힌지공(134)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상기 인입전선 접촉부(131)와 인출전선 접촉부(132)는 복수개의 돌기로 형성되며, 각 돌기의 선단부는 인입전선(10)과 인출전선(20)의 도체부(11, 21)의 외경에 대응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은 상기 절곡고정부(133)와 인입전선 접촉부(13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절곡편(135), 제1 절곡편(135)과 힌지공(134) 사이에 형성된 제2 절곡편(136), 힌지공(134)과 인출전선 접촉부(132)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절곡편(137)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제1 절곡편(135)은 상단 간격이 넓고 하단 간격이 좁은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은 외력을 받지 않은 자유상태에서는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인입전선 접촉부(131)의 사이의 간격이 인입전선(10)의 도체부(11)의 외경(d)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고, 한 쌍의 탄성접촉편(130)의 인출전선 접촉부(132) 사이의 간격이 인출전선(20)의 도체부(21)의 외경(d)보다 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단보호캡(140)은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의 상단 내주면에 삽입되는 삽입부(141)와,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의 외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마감플랜지부(142) 및, 상기 인입전선(10)이 관통되는 인입전선 관통공(143)을 구비하고,
    상기 하단보호캡(150)은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의 하단 내주면에 삽입되는 삽입부(141)와, 상기 원통형 보호관(120)의 외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마감플랜지부(152) 및, 상기 인출전선(20)이 관통되는 인출전선 관통공(15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KR1020150168976A 2015-11-30 2015-11-30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KR10162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976A KR101626145B1 (ko) 2015-11-30 2015-11-30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976A KR101626145B1 (ko) 2015-11-30 2015-11-30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145B1 true KR101626145B1 (ko) 2016-05-31

Family

ID=5609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976A KR101626145B1 (ko) 2015-11-30 2015-11-30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1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307B1 (ko) 2017-01-24 2017-11-10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101854903B1 (ko) * 2017-02-28 2018-06-14 유정남 지중 매설형 배전선로의 설치구조
KR102176140B1 (ko) 2020-07-24 2020-11-09 남부솔루션(주) 지중 배전선로용 배전 커넥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4774A (ja) 1998-10-23 2000-05-12 Hitachi Ltd 絶縁母線システム及びその絶縁母線の組立て方法
KR101477521B1 (ko) 2014-10-07 2014-12-30 원이엔지주식회사 배전용 지중전선 보호형 어댑터 접속단자
KR101557468B1 (ko) 2015-07-29 2015-10-06 주식회사 우진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4774A (ja) 1998-10-23 2000-05-12 Hitachi Ltd 絶縁母線システム及びその絶縁母線の組立て方法
KR101477521B1 (ko) 2014-10-07 2014-12-30 원이엔지주식회사 배전용 지중전선 보호형 어댑터 접속단자
KR101557468B1 (ko) 2015-07-29 2015-10-06 주식회사 우진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307B1 (ko) 2017-01-24 2017-11-10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KR101854903B1 (ko) * 2017-02-28 2018-06-14 유정남 지중 매설형 배전선로의 설치구조
KR102176140B1 (ko) 2020-07-24 2020-11-09 남부솔루션(주) 지중 배전선로용 배전 커넥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14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KR101818237B1 (ko) 지중 배전선 커넥터
RU248456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между соединительными частями элек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KR20170099604A (ko)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룰 구비한 해저케이블
CN110168811A (zh) 用于同轴电缆的连接器
US20160172837A1 (en) Power cable polymer joint
US20160358698A1 (en) Power cable polymer connector
US3414868A (en) Terminator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cables to a secondary of an electrical apparatus
US8299362B2 (en) Cable adapter and adapted system
US20160172073A1 (en) Power cable polymer joint
US10297944B2 (en) Single pole connector
KR10155746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US9633767B2 (en) Power cable polymer connector
US9754700B2 (en) Power cable polymer joint
JP6593052B2 (ja) 電力ケーブル用ポリマー接続部の取り付け構造
US20160172835A1 (en) Power cable polymer joint
AU2017100431A4 (en) Cable with improved waterproof seal
KR20110007687U (ko) 케이블 분기장치
US2245422A (en) Armored electric cable
KR101178797B1 (ko) 방수용 전선 접속 커넥터
EP3032672A1 (en) Power cable polymer joint
US9647440B2 (en) Composite direct connector for high voltage line
KR10200551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CN108508230B (zh) 加速度传感器组装体
JP5367110B2 (ja) 配線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