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604A -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룰 구비한 해저케이블 - Google Patents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룰 구비한 해저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604A
KR20170099604A KR1020160021915A KR20160021915A KR20170099604A KR 20170099604 A KR20170099604 A KR 20170099604A KR 1020160021915 A KR1020160021915 A KR 1020160021915A KR 20160021915 A KR20160021915 A KR 20160021915A KR 20170099604 A KR20170099604 A KR 20170099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heath
submarine cable
wire sheath
pulling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0622B1 (ko
Inventor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1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622B1/ko
Priority to PCT/KR2016/008954 priority patent/WO2017146324A1/ko
Priority to US16/079,438 priority patent/US10666027B2/en
Priority to EP16891728.4A priority patent/EP3422505B1/en
Publication of KR20170099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4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using mechanical means, e.g. pulling or pushing devices
    • G02B6/545Pulling ey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1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in or under wa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하여 상기 해저케이블을 당기는 경우에 상기 해저케이블을 견고히 당길 수 있도록 해주며, 나아가, 상기 해저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풀링아이,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및 해저케이블에 풀링아이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룰 구비한 해저케이블{Pulling eye for submarine cable, method for installing for the same, and submarine cab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룰 구비한 해저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풀링아이(pulling eye)는 전력케이블 등을 포설하는 경우에 상기 전력케이블을 당기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전력케이블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풀링아이는 상기 전력케이블의 포설 작업시에 상기 전력케이블을 당기는 경우에 상기 전력케이블의 도체의 단선 또는 상기전력케이블의 손상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런데, 지중에 사용되는 전력케이블(이하, '지중 케이블'이라 함)에 비해 해저를 가로질러 포설되는 해저케이블의 경우 해저의 극한 환경 속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각종 구성요소가 많은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경우 상기 지중케이블에 비해 현저히 중량이많이 나가며, 이에 따라 상기 풀링아이에 의해 상기 해저케이블을 당기어 포설하는 경우에 상기 해저케이블의 자중에 의한 상기 해저케이블의 도체의 단선 또는 외피의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저케이블의 경우에 해저를 가로질러포설되므로,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통해 수분이 침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해저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하여 상기 해저케이블을 당기는 경우에 상기 해저케이블을 견고히 당길수 있도록 해주며, 나아가, 상기 해저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풀링아이 및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해저케이블을 해저를 가로질러 포설하는 경우에 상기 풀링아이가 설치된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풀링아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는, 중심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도체, 금속시스, 내부시스, 복수 개의 철선외장 및 서빙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에 있어서, 상기 서빙층이 제거되어 노출된 상기 철선외장을 외측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철선외장의 벤딩된 말단부가 고정되는 철선외장 고정부; 상기 해저케이블이 삽입되도록 관통되며, 내주면에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와 체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에 밴딩된 상기 철선외장을 상기 해저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는 헤드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과 체결되도록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 상기 해저케이블의 중심에 대응되도록 상기 체결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관통되는 중심공;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타단부로 향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면; 상기 철선외장 각각이 관통하도록 상기 타단부에서 상기 단차면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 상기 복수 개의 단차면 각각은 원형이며, 그 중심이 상기 해저케이블의 중심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과 상기 단차면에 인접한 다른 단차면 사이의 높이 차이는 상기 철선외장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철선외장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말단부가 상기 중심공을 향하여 벤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그 외측 형상이 원통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그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 및 상기 헤드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일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단차로 형성된 연장부; 및 타단부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선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로 삽입되어 체결되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에 벤딩되어 고정된 상기 철선외장의 말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외측면 상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에 체결된 상기 철선외장과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의해 상기 연장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의 높이는 상기 수용부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헤드부가 상기 철선외장의 말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는 상기 내부시스가 소정길이로 순차적으로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의 단부에 수밀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밀처리부는,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의 단부와 그에 인접한 측부를 밀폐하는 제1 수밀부; 상기 제1 수밀부와 상기 내부시스를 감싸는 종단캡; 상기 종단캡과 노출된 상기 내부시스 사이에 권취되는 제2 수밀부; 상기 제2 수밀부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테이프; 상기 텐션테이프와 종단캡을 감싸는 열수축튜브; 및 상기 열수축튜브에 의해 감싸인 상기 종단캡이 삽입되는 가이드캡; 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서빙층 사이를 감싸는 PVC 테이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철선외장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선외장층을 이루는 경우, 상기 단차면의 수는 상기 철선외장층의 층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은, 중심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도체, 금속시스, 내부시스, 베딩층, 철선외장 및 서빙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상기 서빙층을 소정길이로 제거하여 상기 철선외장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철선외장이 노출된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풀링아이의 몸체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상기 철선외장 내부에 배치된 상기 베딩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내부시스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를 수밀처리하는 단계; 상기 철선외장 각각을 상기 풀링아이의 철선외장 고정부에 삽입하여 관통시키는 단계; 상기 철선외장의 외측에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철선외장의 말단부를 벤딩시키는 단계;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가 위치하여 상기 수밀처리된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몸체부와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를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로 상기 풀링아이의 헤드부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단계;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철선외장의 단부를 벤딩시키는 단계는,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 중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의 중심에 인접한 단차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철선외장을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의 중심방향으로 벤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차면의 외측에 형성된 단차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철선외장을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의 중심방향으로 벤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를 상기 몸체부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헤드부가 벤딩된 상기 철선외장의 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를 수밀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의 단부와 그에 인접한 측부에 제1 수밀부를 권취하는 단계; 종단캡에 의해 상기 제1 수밀부와 상기 내부시스를 감싸는 단계; 상기 종단캡과 노출된 상기 내부시스 사이에 제2 수밀부를 권취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텐션테이프에 의해 상기 제2 수밀부를 감싸는 단계; 열수축튜브에 의해 상기 텐션테이프와 종단캡을 감싸는 단계; 및 가이드캡에 의해 상기 열수축튜브에 의해 감싸인 상기 종단캡을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너트와 상기 서빙층 사이에 PVC 테이프를 권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은 상술한 상기 설치방법에 따라 설치된 풀링아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은, 중심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도체, 금속시스, 내부시스, 철선외장 및 서빙층을 적어도 포함하고, 적어도 일단부에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풀링아이는, 상기 서빙층이 제거되어 노출된 상기 철선외장을 외측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철선외장의 벤딩된 말단부가 고정되는 철선외장 고정부;와 상기 해저케이블이 삽입되도록 관통되며, 내주면에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와 체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에 밴딩된 상기 철선외장을 상기 해저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는 헤드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과 체결되도록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 상기 해저케이블의 중심에 대응되도록 상기 체결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관통되는 중심공;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타단부로 향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면; 및 상기 철선외장 각각이 관통하도록 상기 타단부에서 상기 단차면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차면 각각은 원형이며, 그 중심이 상기 해저케이블의 중심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과 상기 단차면에 인접한 다른 단차면 사이의 높이 차이는 상기 철선외장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철선외장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말단부가 상기 중심공을 향하여 벤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그 외측 형상이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링아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그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 및 상기 헤드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일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단차로 형성된 연장부; 및 타단부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선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로 삽입되어 체결되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에 벤딩되어 고정된 상기 철선외장의 말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외측면 상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에 체결된 상기 철선외장과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의해 상기 연장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의 높이는 상기 수용부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헤드부가 상기 철선외장의 말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는 상기 내부시스가 소정길이로 순차적으로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의 단부에 수밀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밀처리부는,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의 단부와 그에 인접한 측부를 밀폐하는 제1 수밀부; 상기 제1 수밀부와 상기 내부시스를 감싸는 종단캡; 상기 종단캡과 노출된 상기 내부시스 사이에 권취되는 제2 수밀부; 상기 제2 수밀부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테이프; 상기 텐션테이프와 종단캡을 감싸는 열수축튜브; 및 상기 열수축튜브에 의해 감싸인 상기 종단캡이 삽입되는 가이드캡;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링아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서빙층 사이를 감싸는 PVC 테이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철선외장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선외장층을 이루는 경우, 상기 단차면의 수는 상기 철선외장층의 층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저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하여 상기 해저케이블을 당기는 경우에 상기 해저케이블을 견고히 당길 수 있도록 해주며, 나아가, 상기 해저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해저케이블을 해저를 가로질러 포설하는 경우에 상기 풀링아이가 설치된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해저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링아이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링아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수밀처리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링아이의 철선외장 고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링아이의철선외장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링아이의 철선외장 고정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철선외장 고정부에 밴딩된 철선외장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링아이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링아이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링아이를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에 장착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해저케이블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어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풀링아이의 구성 및 상기 풀링아이를 상기 해저케이블에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저케이블(100)은 중심부를 따라 도체(10)를 구비한다. 도체(10)는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며, 예를 들어 구리 또는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체(10)는 복수개의 소선(11)을 연선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도체(10)는 그 표면이 평활하지 않아 전계가 불균일할 수있으며, 부분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도체(10) 표면과 후술하는 절연층(14) 사이에 공극이 생기게 되면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체(10) 외부를 반도전성 카본지와 같은 반도전성물질 등으로 감싸게 되며, 반도전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층을 내부반도전층(12)으로 정의하게 된다.
내부반도전층(12)은 도체면의 전하분포를 고르게 하여 전계를 균일하게 하여 후술하는 절연층(14)의 절연내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나아가, 도체(10)와 절연층(14) 간의 간격형성을 방지하여 코로나 방전 및 이온화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내부반도전층(12)은 전력케이블(100) 제작 시에 절연층(14)의 도체(10) 내부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내부반도전층(12)의 바깥쪽에는 절연층(14)이 구비된다. 절연층(14)은 평각도체(10)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켜준다. 일반적으로 절연층(14)은 파괴전압이 높고, 절연성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유전손실이 적으며 내열성 등의 열에 대한 저항 성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상기 절연층(14)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가교 수지일 수 있으며 가교제로서 실란 또는 유기 과산화물, 예를 들어, 다이큐밀퍼옥사이드(DCP)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층(14)은 절연지를 내부반도전층(12) 표면에 감는 지절연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절연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체(10) 표면에 절연지가 감긴 상태에서 절연유에 함침시키게 된다. 상기 함침공정을 통해 절연유가 절연지에 흡수되며, 이 때, 고점도의 절연유를 사용하게 되면 소위 'MI(mass impregnated) 케이블'로 정의되며, 상대적으로 저점도의 절연유를 사용하게 되면 소위 'OF(oil filled) 케이블'로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층(14)은 복수의 절연지를 감싸서 형성되며, 절연지로는 예를 들어 크래프트지(Kraft paper)를 사용하거나 크래프트지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복합 절연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층(14)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를 차폐하지 않으면, 전계의 일부는 절연층(14)으로 흡수되지만, 대부분의 전계는 외부로 방전된다. 이 경우, 전계가 소정치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전계에 의해 절연층(14)과 케이블(100)의 외피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층(14)의 바깥쪽에는 다시 반도전층이 구비되며, 전술한 내부반도전층(12)과 구별하기 위하여 외부반도전층(16)으로 정의된다. 외부반도전층(16)은 절연두께 편차에 따른 전계 불평등을 억제하여 절연층(14)을 보호하는 역할과 함께, 전술한 내부반도전층(12)과의 사이에 전기력선의 분포를 등전위로 만들어 절연층(14)의 절연내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절연층에 함침된 절연유 또는 절연컴파운드는 외부의 물과 같은 이물질이 침입하게 되면 그 절연성능이 저하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납(lead)으로 된 금속시스(metal sheath)(18)를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의 외부에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금속시스(18)의 외부에는 케이블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층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 보호층은 고분자수지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여러 층으로도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층은 금속시스(18)의 외부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의 내부시스(20)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시스(20)의 위에는 부직포 테이프(22, 26)와 보강 테이프(24)를 감싸주게 된다.
한편, 해저케이블(100)은 그 외곽에 해저의 외부환경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도록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한 철선외장(30)을 구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철선외장(30)은 보강 테이프(26)의 외곽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보강 테이프(26)의 외곽에 부직포 테이프(미도시)를 다시 권취하고 상기 철선외장(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철선외장(30) 복수개가 상기 내부시스, 보강테이프 또는 부직포테이프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철선외장층을 형성하며, 상기 해저케이블(100)은 복수의 철선외장층을 구비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철선외장(30)의 외곽, 즉 해저케이블(100)의 외곽에는 서비층(32)을 구비하게 된다. 서빙층(32)은 해저케이블(100)의 외곽에 구비되어 해저케이블(10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해저케이블의 경우에 서빙층(32)은 해수 등과 같은 해저환경에 견딜 수 있는 내후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성질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빙층(232)은 폴리프로필렌 얀(polypropylene yar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해저케이블(100)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풀링아이(200)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에 본 발명에 따른 풀링아이가 장착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풀링아이(200)는 상기 서빙층(32)이 제거되어 노출된 상기 철선외장(30)을 외측에서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철선외장(30)의 벤딩된 말단부가 고정되는 철선외장 고정부(210)와, 상기 해저케이블(100)이 삽입되도록 관통되며, 내주면에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와 체결되는 몸체부(230), 및 상기 몸체부(230)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에 밴딩된 상기 철선외장(30)을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는 헤드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는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서빙층(32)이 제거되고 노출된 상기 철선외장(30)들을 관통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는 원통형 또는 디스크 형태일 수 있으며, 철선외장(30) 각각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공(214a, 214b, 214c)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외경은 몸체부(230)의 내경에 대응되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가 몸체부(230)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빙층(32)이 제거되어 노출된 상기 철선외장(30)들 각각이 상기 관통공(214a, 214b, 214c) 각각에 관통되고 관통된 철선외장(30)들을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여 벤딩됨으로써 상기 철선외장의 벤딩된 말단부가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철선외장 고정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링아이의 철선외장 고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링아이의 철선외장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링아이의 철선외장 고정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는, 상기 몸체부(230)의 내주면과 체결되도록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211)와,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중심에 대응되도록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관통되는 중심공(212)과,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타단부로 향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차(213)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면(213a, 213b, 213c)과, 상기 철선외장(30) 각각이 관통하도록 상기 타단부에서 상기 단차면(213a, 213b, 213c)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214a, 214b, 21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는 일 예로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또는 디스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통형인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직경은 상기 몸체부(230)의 내경에 대응되며,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는 상기 몸체부(230)에 체결되어 몸체부(23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은 그 외측면에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체결부(21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211)는 상기 몸체부(2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와 상기 몸체부(230)가 체결된다.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는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중심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중심공(21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심공(212)은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중심 영역에서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일단부(210a)에서 타단부(210b)로 관통될 수 있다. 상기 타단부(210b)는 원통형인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하부면으로 해저케이블(100)의 수밀처리부(300)을 향하는 면이며, 상기 일단부(210a)는 상기 타단부(210b)에 대향하는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상부면이다. 즉 중심공(212)은 원통형인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상부면인 일단부(210a)에서 하부면인 타단부(210b)를 향하여 관통하는 개구부이다.
중심공(212)에는 간격유지부재(29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와 가이드캡(360) 사이에 배치되며 단차로 이루어진 간격유지부재(290)의 일단부가 중심공(212)에 삽입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290)의 일단부가 중심공(212)에 삽입되면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와 가이드캡(36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와 가이드캡(36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해저케이블(100)의 중심에 있는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상기 일단부(210a)에서 상기 타단부(210b)를 향하여 복수 개의 단차(2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는 상기 단차(213)에 의해 형성된 단차면(213a, 213b, 213c)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일단부(210a)에서 상기 타단부(210b)를 향하여 형성된 단차(213)에 의해 단차면(213c)이 형성되며, 단차면(213c)의 내측에서 상기 타단부(210b)를 향하여 형성된 단차(213)에 의해 단차면(213b)이 형성되고, 단차면(213b)의 내측에서 상기 타단부(210b)를 향하여 형성된 단차(213)에 의해 단차면(21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단차면(213a, 213b, 213c) 각각은 원형으로서 각각의 중심은 상기 해저케이블(100) 단면의 중심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단차면(213a, 213b, 213c)의 직경은 서로 상이하며, 중심공(212)에 인접한 단차면(213a)에서 최외각의 단차면(213c)으로 순차적으로 직경이 커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단차면(213a, 213b, 213c)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214a, 214b, 214c)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관통공(214a, 214b, 214c)들은 상기 단차면(213a, 213b, 213c)의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차면(213a)에서는 상기 타단부(210b)를 향하여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214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14a)들은 단차면(213a)의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면(213b)에서는 상기 타단부(210b)를 향하여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214b)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14b)들은 단차면(213b)의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단차면(213c)에서는 상기 타단부(210c)를 향하여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214c)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14c)들은 단차면(213c)의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213) 및 단차면(213a, 213b, 213c)은 해저케이블(100)의 철선외장층의 층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철선외장층은 복수개의 철선외장(30)이 서로 인접하여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내부시스, 보강테이프 또는 부직포테이프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서로 인접하여 철선외장층을 형성하는 철선외장(30) 각각이 상기 관통공(214a, 214b, 214c)을 관통할 때, 상기 철선외장(30) 각각은 서로 이격되게 되므로 철선외장층의 층수와 동일하게 단차 및 단차면을 형성하면, 철선외장층을 구성하는 철선외장의 개수만큼의 관통공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철선외장을 고정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단차(213) 및 단차면(213a, 213b, 213c)은 해저케이블의 철선외장층의 층수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선외장(30)은 복수 개의 관통공(214a, 214b, 214c)을 관통할 수 있으며, 관통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말단부는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중심공(212)을 향하여 벤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철선외장 고정부에 밴딩된 철선외장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9는 단차면(213a)에 형성된 관통공(214a)을 관통하는 철선외장(30)이 벤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단차면(213b)에 형성된 관통공(214b)을 관통하는 철선외장(30)이 벤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단차면(213c)에 형성된 관통공(214c)을 관통하는 철선외장(30)이 벤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철선외장(30)이 복수 개의 관통공(214a, 214b, 214c)을 관통함에 있어서, 상기 철선외장(30)은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중심공(212)에 가장 인접하여 위치하는 단차면(213a)에 형성된 관통공(214a)을 우선적으로 관통한다. 상기 단차면(213a)에 형성된 관통공(214a)을 관통한 상기 철선외장(30)들은 그 말단부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중심공(212)를 향하여 벤딩될 수 있다. 상기 철선외장(30)의 말단부는 상기 단차면(213a)에 접하도록 벤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철선외장(30) 중 일부가 단차면(213a)에 형성된 관통공(214a)을 관통하여 벤딩된 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면(213a) 외곽에 위치하는 단차면(213b)에 형성된 관통공(214b)을 관통하고, 상기 단차면(213b)에 형성된 관통공(214b)을 관통한 상기 철선외장(30)들은 그 말단부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중심공(212)를 향하여 벤딩될 수 있다.
단차면(213b)에 형성된 관통공(214b)을 관통한 상기 철선외장(30)의 말단부는 상기 단차면(213a)에 접하도록 벤딩된 철선외장(30)에 접하도록 벤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차면과 상기 단차면에 인접한 다른 단차면 사이의 높이 차이는 상기 철선외장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차면(213a)와 단차면(213b) 사이의 높이 차이가 상기 철선외장(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차면(213b)에 형성된 관통공(214b)을 관통하여 벤딩되는 철선외장(30)은 벤딩되어 상기 단차면(213a)에 접하도록 벤딩된 철선외장(30)에 접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철선외장(30) 중 일부가 단차면(213b)에 형성된 관통공(214b)을 관통하여 벤딩된 후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면(213b) 외곽에 위치하는 단차면(213c)에 형성된 관통공(214c)을 관통하고, 상기 단차면(213c)에 형성된 관통공(214c)을 관통한 상기 철선외장(30)들은 그 말단부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중심공(212)를 향하여 벤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차면과 상기 단차면에 인접한 다른 단차면 사이의 높이 차이는 상기 철선외장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 즉 단차면(213b)와 단차면(213c) 사이의 높이 차이가 상기 철선외장(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단차면(213c)에 형성된 관통공(214c)을 관통하여 벤딩되는 철선외장(30)은 벤딩되어 상기 단차면(213b)에 접하도록 벤딩된 철선외장(30)에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단차면을 관통하는 철선외장(30)의 말단부들이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벤딩되고, 헤드부(250)가 몸체부(230)에 체결됨에 따라 헤드부(250)가 벤딩된 철선외장(30)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벤딩된 철선외장(30)들의 철선외장 고정부(210)에 대한 고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몸체부(230)는 상기 해저케이블(100)이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주면(231)에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와 체결되어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측부를 감싸며, 그 일단부(232)에서 헤드부(250)와 체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230)는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측부를 감싸는 역할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30)는 상기 해저케이블(100)이 관통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230)는 외경(Do)과 내경(Di)을 가지며, 상기 내경(Di)은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해저케이블(100)이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30)의 내주면(231)에는 나사산(2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 내주면(231)에 형성된 나사산(232)은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211)과 체결되며, 또한 상기 헤드부(25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230)는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서빙층(32)을 제거한 후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가 배치되기 전에 상기 해저케이블(100)을 상기 내경(Di)으로 삽입시켜 제거되지 않은 서빙층(32) 상에 위치하게 된다. 노출된 상기 철선외장(30)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30)에 관통되어 벤딩된 후에 상기 몸체부(230)를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로 이동시키며, 상기 몸체부(230)를 회전시켜 상기 몸체부(230)의 내주면(231)에 형성된 나사산(232)과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치합되어 상기 몸체부(230)와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가 체결된다.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은 상기 나사산의 치합에 의해 상기 몸체부(23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230)의 내주면(231)에 형성된 나사산(232)과 상기 헤드부(25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30)의 일단부에서 헤드부(250)가 체결되는바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는 몸체부(230)와 헤드부(250)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상기 헤드부(250)는 상기 몸체부(230)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에 밴딩된 상기 철선외장(30)을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풀링아이의 헤드부(25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링아이의 헤드부(25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링아이의 헤드부(250)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부(250)는, 그 일단부(253a)에서 상기 몸체부(230)의 상단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단차로 형성된 연장부(251)와, 타단부(253b)에서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선단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51)는 몸체부(230)의 상단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그 직경이 몸체부(230)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251)의 외측면에는 나사선(25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51)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선(251b)과 몸체부(2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231a)와 치합되어 상기 헤드부(250)는 몸체부(23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51)는 상기 몸체부(230)의 상단부로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에 벤딩되어 고정된 상기 철선외장의 말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부(230) 내에 체결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와 상기 몸체부(230)의 내측면에 의해 상기 연장부(251)가 수용되는 수용부(도 19의 370)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251)의 높이(h1)는 상기 수용부(370)의 깊이(d1)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251)가 상기 수용부(370)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23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헤드부(250)의 연장부(251)가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최상위 단차면(213c) 상에서 벤딩된 철선외장(30)의 말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단차면들 사이의 높이 차이가 상기 철선외장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바, 서로 상이한 단차면들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벤딩된 상기 철선외장(30)의 말단부들은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251)의 높이(h1)가 수용부(370)의 깊이(d1)보다 크게 형성된 연장부(251)를 갖는 헤드부(250)를 몸체부(230)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연장부(251)는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최상위 단차면(213c) 상에서 벤딩된 철선외장(30)의 말단부를 가압하고, 단차면(213c) 상에서 벤딩된 철선외장(30)의 말단부가 다른 단차면(213b, 213a) 상에서 벤딩된 철선외장(30)의 말단부를 가압하게 되어 철선외장(30)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250)는 상기 단차가 형성된 원주부(253)에는 복수 개의 체결공(254)가 형성될 수 있다. 원주부(253)는 상기 연장부(251)가 몸체부(230)의 수용부(370) 내로 수용되는 경우에 몸체부(230)의 상단부와 접하는 부분이다. 원주부(253)를 관통하는 체결공(254)는 몸체부(230)의 상단부 상에 형성된 체결공에 대응되며, 볼트(도 4의 255)가 원주부(253)의 체결공(254)를 관통하고 몸체부(230)의 체결공에 체결되어 헤드부(250)를 몸체부(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5는 상기 수밀처리부(300)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4에서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밀처리부(300)는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20)의 단부와 그에 인접한 측부를 밀폐하는 제1 수밀부(310)와, 상기 제1 수밀부(310)와 상기 내부시스(20)를 감싸는 종단캡(320)과, 상기 종단캡(320)과 노출된 상기 내부시스(20) 사이에 권취되는 제2 수밀부(330)와, 상기 제2 수밀부(330)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테이프(340)와, 상기 텐션테이프(340)와 종단캡(320)을 감싸는 열수축튜브(350)와, 상기 열수축튜브(350)에 의해 감싸인 상기 종단캡(320)이 삽입되는 가이드캡(36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노출된 내부시스(20)의 단부면 및 그에 인접한 측면를 먼저 제1 수밀부(310)로 밀폐하고, 상기 종단캡(320)을 상기 내부시스(20)의 단부에 끼워서 상기 종단캡(320)에 의해 상기 제1 수밀부(310)와 상기 내부시스(20)가 감싸지게 된다.
상기 제1 수밀부(310)는 일 예로서 NF500 수밀부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NF500 수밀부를 이용하여 노출된 상기 내부시스(20)의 단부와 단부에 인접하는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종단캡(320)은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밀부(310)와 상기 내부시스(20)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단캡(320)에 상기 내부시스(20)의 단부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내부시스(20)의 단부에 붙은 상기 제1 수밀부(310)가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종단캡(320)에 힘을 가하여 상기 종단캡(320)을 삽입한다.
상기 종단캡(320)을 상기 내부시스(20)의 단부에 씌우는 경우에 상기 종단캡(320)과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내부시스(20)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틈은 해수의 침입을 허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종단캡(320)과 상기 내부시스(20) 사이에 제2 수밀부(330)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수밀부(330)는 상기 종단캡(320) 및/또는 상기 내부시스(20)의 적어도 일부에도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밀부(330)는 전술한 상기 제1 수밀부(3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수밀부(330)의 수밀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수밀부(330)를 가압하며 상기 제2 수밀부(330)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테이프(34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텐션테이프(340)는 상기 제2 수밀부(330)의 바로 위에 권취되는 제1 텐션테이프(344)와 상기 제1 텐션테이프(344) 위에 권취되는 제2 텐션테이프(342)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1 텐션테이프(344)는 3M 130C 테이프일 수 있으며, 제2 텐션테이프(342)는 PVC 테이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텐션테이프의 종류 및 개수는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열수축튜브(350)은 상기 텐션테이프(340)와 종단캡(320)을 감싸도록 구성하여 상기 내부시스(20)로 해수 등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열수축튜브(350) 상에 가이드캡(360)을 씌울 수 있다. 상기 가이드캡(360)에 상기 열수축튜브(350)에 의해 감싸인 상기 종단캡(320)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열수축튜브(350)에 의해 감싸인 상기 종단캡(320)은 기계적인 스트레스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서 도면번호 '270'은 PVC 테이프로서, 상기 체결너트(250)와 상기 서빙층(320) 사이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풀링아이(200)의 수밀 특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풀링아이(200)를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단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풀링아이(200)를 설치하는 과정은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상기 서빙층(32)을 소정길이로 제거하여 상기 철선외장(30)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철선외장(30)이 노출된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를 상기 풀링아이(200)의 몸체부(230)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상기 철선외장(30) 내부에 배치된 상기 베딩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내부시스(20)를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20)를 수밀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철선외장(30) 각각을 상기 풀링아이(200)의 철선외장 고정부(210)에 삽입하여 관통시키는 단계와, 상기 철선외장(30)의 외측에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철선외장(30)의 말단부를 벤딩시키는 단계와, 상기 몸체부(230)의 내부에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가 위치하여 상기 수밀처리된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몸체부(230)와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를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몸체부(230)의 일단부로 상기 풀링아이(200)의 헤드부(250)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풀링아이(200)를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단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 14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상기 서빙층(32)을 소정길이로 제거하여 상기 철선외장(30)을 노출시킨다.
이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선외장(30)이 노출된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를 상기 풀링아이(200)의 몸체부(230)에 삽입하며, 또한 노출된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단부에서 상기 내부시스(2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내부시스(20)상의 부직포 테이프(22, 26)와 보강 테이프(24)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5에서와 같이 노출된 철선외장(30) 내부에 내부시스(20)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해저케이블(100)을 관통하는 몸체부(230)는 상기 해저케이블(100) 상에서 제거되지 않은 상기 서빙층(3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20)의 단부를 수밀처리하고, 이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처리된 내부시스(20)의 단부를 가이드캡(360)에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20)를 수밀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20)의 단부를 제1 수밀부(310)로 밀폐하는 단계와, 종단캡(320)에 의해 상기 제1 수밀부(310)와 상기 내부시스(20)를 감싸는 단계와, 상기 종단캡(320)과 노출된 상기 내부시스(20) 사이에 제2 수밀부(330)를 권취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텐션테이프(340)에 의해 상기 제2 수밀부(330)를 감싸는 단계와, 열수축튜브(350)에 의해 상기 텐션테이프(340)와 종단캡(320)을 감싸는 단계와, 가이드캡(360)에 의해 상기 열수축튜브(350)에 의해 감싸인 상기 종단캡(320)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단캐(320) 및 상기 가이드캡(360)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상술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와 가이드캡(360) 사이에는 간격유지부재(290)를 배치시면서 상기 철선외장(30) 각각을 상기 풀링아이(200)의 철선외장 고정부(210)에 삽입하여 관통시키고, 상기 철선외장(30)의 외측에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철선외장(210)의 말단부를 벤딩시킬 수 있다.
상기 철선외장(30)의 단부를 벤딩시키는 단계는, 상세하게,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214a, 214b, 214c) 중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중심에 인접한 단차면(213a)에 형성된 관통공(214a)들을 관통하는 상기 철선외장(30)을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중심방향으로 벤딩시킨 후, 상기 단차면(213a)의 외측에 형성된 단차면(213b)에 형성된 관통공(214b)을 관통하는 상기 철선외장(30)을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중심방향으로 벤딩시킨다. 그 이후에는 상기 단차면(213b)의 외측에 형성된 단차면(213c)에 형성된 관통공(214c)을 관통하는 상기 철선외장(30)을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중심방향으로 벤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를 관통하는 상기 철선외장(30)을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의 중심부를 향하여, 즉 해저케이블(100)의 외측에서 중심부를 향하여 벤딩시킴으로써 풀링아이(200)의 외경을 줄여 콤팩트(compact)한 크기의 풀링아이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슬림한 풀링아이(200)를 제조할 수 있는바 풀링아이(200)의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해저와 육지 변경 구간에 풀링아이를 시공하는 전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30)의 내부에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가 위치하여 상기 수밀처리된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몸체부(230)가 둘러싸도록 상기 몸체부(230)와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를 체결할 수 있다. 몸체부(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철선외장(30)이 노출된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단부를 삽입하고 상기 해저케이블(100)에서 제거되지 않은 서빙층(32) 상에 위치하고, 이후 상기 철선외장(30)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에 벤딩된 후에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를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해저케이블(100)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와 체결된다.
다음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30)의 일단부로 상기 풀링아이(200)의 헤드부(250)를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3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부(250)의 연장부(251)의 측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몸체부(2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헤드부(250)의 연장부(251)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치합하면서 상기 헤드부(270)가 상기 몸체부(230)와 체결된다.
상기 헤드부(250)를 상기 몸체부(230)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헤드부(250)의 연장부(251)가 벤딩된 상기 철선외장(30)의 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즉 헤드부(250)가 벤딩된 철선외장(30)을 가압하므로 상기 철선외장(30)을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210)에 더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헤드부(270)를 상기 몸체부(230)에 체결한 후 체결너트
상기 헤드부(270)는 상기 몸체부(230)에 볼트(37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헤드부(270)는 적절한 개수의 체결공(215)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공(215)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370)에 의해 상기 헤드부(270)는 상기 몸체부(23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어서, 상기 몸체부(230)와 상기 서빙층(32) 사이에 PVC 테이프(270)를 권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PVC 테이프(270)는 상기 몸체부(230)와 상기 서빙층(32) 사이를 밀폐하여 상기 풀링아이(200)의 수밀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도체
12...내부반도전층
14...절연층
16...외부반도전층
18...금속시스
20...내부시스
30...철선외장
32...서빙층
100...해저케이블
200...풀링아이
210...고정플랜지
230...몸체부
250...헤드부

Claims (33)

  1. 도체, 금속시스, 내부시스, 복수 개의 철선외장 및 서빙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에 있어서,
    상기 서빙층이 제거되어 노출된 상기 철선외장을 외측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철선외장의 벤딩된 말단부가 고정되는 철선외장 고정부;
    상기 해저케이블이 삽입되도록 관통되며, 내주면에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와 체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에 밴딩된 상기 철선외장을 상기 해저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는 헤드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과 체결되도록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
    상기 해저케이블의 중심에 대응되도록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관통되는 중심공;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타단부로 향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면; 및
    상기 철선외장 각각이 관통하도록 상기 타단부에서 상기 단차면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차면 각각은 원형이며, 그 중심이 상기 해저케이블의 중심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과 상기 단차면에 인접한 다른 단차면 사이의 높이 차이는 상기 철선외장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철선외장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말단부가 상기 중심공을 향하여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그 외측 형상이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그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 및 상기 헤드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일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단차로 형성된 연장부; 및
    타단부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선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로 삽입되어 체결되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에 벤딩되어 고정된 상기 철선외장의 말단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외측면 상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에 체결된 상기 철선외장과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의해 상기 연장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의 높이는 상기 수용부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헤드부가 상기 철선외장의 말단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는 상기 내부시스가 소정길이로 순차적으로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의 단부에 수밀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처리부는,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의 단부와 그에 인접한 측부를 밀폐하는 제1 수밀부;
    상기 제1 수밀부와 상기 내부시스를 감싸는 종단캡;
    상기 종단캡과 노출된 상기 내부시스 사이에 권취되는 제2 수밀부;
    상기 제2 수밀부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테이프;
    상기 텐션테이프와 종단캡을 감싸는 열수축튜브; 및
    상기 열수축튜브에 의해 감싸인 상기 종단캡이 삽입되는 가이드캡;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서빙층 사이를 감싸는 PVC 테이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철선외장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선외장층을 이루는 경우, 상기 단차면의 수는 상기 철선외장층의 층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14. 도체, 금속시스, 내부시스, 베딩층, 철선외장 및 서빙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상기 서빙층을 소정길이로 제거하여 상기 철선외장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철선외장이 노출된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상기 풀링아이의 몸체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상기 철선외장 내부에 배치된 상기 베딩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내부시스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를 수밀처리하는 단계;
    상기 철선외장 각각을 상기 풀링아이의 철선외장 고정부에 삽입하여 관통시키는 단계;
    상기 철선외장의 외측에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철선외장의 말단부를 벤딩시키는 단계;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가 위치하여 상기 수밀처리된 해저케이블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몸체부와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를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로 상기 풀링아이의 헤드부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철선외장의 단부를 벤딩시키는 단계는,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 중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의 중심에 인접한 단차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철선외장을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의 중심방향으로 벤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차면의 외측에 형성된 단차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철선외장을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의 중심방향으로 벤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를 상기 몸체부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헤드부가 벤딩된 상기 철선외장의 단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를 수밀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의 단부와 그에 인접한 측부에 제1 수밀부를 권취하는 단계;
    종단캡에 의해 상기 제1 수밀부와 상기 내부시스를 감싸는 단계;
    상기 종단캡과 노출된 상기 내부시스 사이에 제2 수밀부를 권취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텐션테이프에 의해 상기 제2 수밀부를 감싸는 단계;
    열수축튜브에 의해 상기 텐션테이프와 종단캡을 감싸는 단계; 및
    가이드캡에 의해 상기 열수축튜브에 의해 감싸인 상기 종단캡을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너트와 상기 서빙층 사이에 PVC 테이프를 권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에 어느 한 항의 설치방법에 따라 설치된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20. 도체, 금속시스, 내부시스, 철선외장 및 서빙층을 적어도 포함하고, 적어도 일단부에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풀링아이는, 상기 서빙층이 제거되어 노출된 상기 철선외장을 외측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철선외장의 벤딩된 말단부가 고정되는 철선외장 고정부;와 상기 해저케이블이 삽입되도록 관통되며, 내주면에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와 체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에 밴딩된 상기 철선외장을 상기 해저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는 헤드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링아이를 구비하는 해저케이블.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과 체결되도록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
    상기 해저케이블의 중심에 대응되도록 상기 체결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관통되는 중심공;
    상기 일단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차면;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타단부로 향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면; 및
    상기 철선외장 각각이 관통하도록 상기 타단부에서 상기 단차면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공;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차면 각각은 원형이며, 그 중심이 상기 해저케이블의 중심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링아이를 구비하는 해저케이블.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면과 상기 단차면에 인접한 다른 단차면 사이의 높이 차이는 상기 철선외장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링아이를 구비하는 해저케이블.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철선외장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말단부가 상기 중심공을 향하여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링아이를 구비하는 해저케이블.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그 외측 형상이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링아이를 구비하는 해저케이블.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그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 및 상기 헤드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링아이를 구비하는 해저케이블.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일단부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단차로 형성된 연장부; 및
    타단부에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선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로 삽입되어 체결되어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에 벤딩되어 고정된 상기 철선외장의 말단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링아이를 구비하는 해저케이블.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외측면 상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링아이를 구비하는 해저케이블.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에 체결된 상기 철선외장과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의해 상기 연장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의 높이는 상기 수용부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헤드부가 상기 철선외장의 말단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링아이를 구비하는 해저케이블.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케이블의 단부는 상기 내부시스가 소정길이로 순차적으로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의 단부에 수밀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링아이를 구비하는 해저케이블.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처리부는
    상기 노출된 내부시스의 단부와 그에 인접한 측부를 밀폐하는 제1 수밀부;
    상기 제1 수밀부와 상기 내부시스를 감싸는 종단캡;
    상기 종단캡과 노출된 상기 내부시스 사이에 권취되는 제2 수밀부;
    상기 제2 수밀부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텐션테이프;
    상기 텐션테이프와 종단캡을 감싸는 열수축튜브; 및
    상기 열수축튜브에 의해 감싸인 상기 종단캡이 삽입되는 가이드캡;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링아이를 구비하는 해저케이블.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서빙층 사이를 감싸는 PVC 테이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링아이를 구비하는 해저케이블.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철선외장 고정부와 상기 내부시스의 단부 상에 배치되는 간력유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링아이를 구비하는 해저케이블.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철선외장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선외장층을 이루는 경우, 상기 단차면의 수는 상기 철선외장층의 층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링아이를 구비하는 해저케이블.

KR1020160021915A 2016-02-24 2016-02-24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KR102350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915A KR102350622B1 (ko) 2016-02-24 2016-02-24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PCT/KR2016/008954 WO2017146324A1 (ko) 2016-02-24 2016-08-16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룰 구비한 해저케이블
US16/079,438 US10666027B2 (en) 2016-02-24 2016-08-16 Pulling eye for submarine cable and submarine cable comprising pulling eye
EP16891728.4A EP3422505B1 (en) 2016-02-24 2016-08-16 Pulling eye for submarine cable and submarine cable comprising pulling ey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915A KR102350622B1 (ko) 2016-02-24 2016-02-24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604A true KR20170099604A (ko) 2017-09-01
KR102350622B1 KR102350622B1 (ko) 2022-01-11

Family

ID=5968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915A KR102350622B1 (ko) 2016-02-24 2016-02-24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66027B2 (ko)
EP (1) EP3422505B1 (ko)
KR (1) KR102350622B1 (ko)
WO (1) WO20171463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622B1 (ko) * 2016-02-24 2022-01-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US11143834B2 (en) * 2019-06-21 2021-10-12 Gunther Line LLC Microduct pulling cap device
IT202000011653A1 (it) * 2020-05-20 2021-11-20 Prysmian Spa Apparato e metodo per testare un sistema di cavo sottomarino ad alta tensione
EP4229458A1 (en) * 2020-10-16 2023-08-23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cable assembly with pulling grip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NO20211351A1 (en) * 2021-11-09 2023-05-10 Aker Solutions As A temporary fastening and pull in tool for a power umbilic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253A (ja) * 1995-09-08 1997-03-28 Fujikura Ltd 光ケーブル接続箱
KR100258548B1 (ko) * 1998-04-28 2000-06-15 강병호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4956B1 (ko) * 1968-07-09 1974-04-11
US3713005A (en) 1972-03-30 1973-01-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including improved overcurrent protective device
US3909886A (en) * 1973-12-17 1975-10-07 Kurt Hocke Device for traction-proof and pressure respectively moisture-tight sealing of a cable end
US4319802A (en) 1979-10-17 1982-03-16 Bunker Ramo Corporation Stain relief for fiber optic connectors
US4635989A (en) * 1984-12-18 1987-01-13 Tekna Recherche & Developpement Inc. Cable clamping device
US5687954A (en) * 1996-04-17 1997-11-18 Schroeder; Brad Flexible conduit installation guide apparatus
JP2002072035A (ja) 2000-09-05 2002-03-12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牽引端部
US6883782B2 (en) * 2002-08-30 2005-04-26 Bendyco Incorporated Cable clamping apparatus and method
JP4330008B2 (ja) 2004-03-25 2009-09-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超電導ケーブル用プーリングアイ及びプーリングアイを用いた超電導ケーブルの布設方法
KR100601590B1 (ko) 2006-04-13 2006-07-19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케이블 풀링아이
GB2471081B (en) * 2009-06-15 2012-06-13 Jdr Cable Systems Ltd Cable termination system
US8179327B1 (en) * 2009-09-25 2012-05-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ubsurface deployable antenna array
US9027908B1 (en) * 2011-09-01 2015-05-12 Southwire Company, Llc Field-installable pulling eye
CN102361266B (zh) * 2011-09-07 2014-01-08 宁波海缆研究院工程有限公司 水下缆敷设专用装置
KR102350622B1 (ko) * 2016-02-24 2022-01-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KR102261299B1 (ko) * 2017-10-06 2021-06-07 퀵 피팅 홀딩 컴퍼니, 엘엘씨 케이블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253A (ja) * 1995-09-08 1997-03-28 Fujikura Ltd 光ケーブル接続箱
KR100258548B1 (ko) * 1998-04-28 2000-06-15 강병호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22505B1 (en) 2022-06-29
US10666027B2 (en) 2020-05-26
US20190067920A1 (en) 2019-02-28
KR102350622B1 (ko) 2022-01-11
EP3422505A4 (en) 2019-07-31
WO2017146324A1 (ko) 2017-08-31
EP3422505A1 (en)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9604A (ko)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룰 구비한 해저케이블
US4497537A (en) Electric and/or optical cable
KR102386729B1 (ko)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상기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JPS5843972B2 (ja) ケ−ブル封止接続包囲体
EP3384503B1 (en) Electrical cables
US20160358698A1 (en) Power cable polymer connector
KR20210120368A (ko) 전력케이블의 도체 접속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중간접속함
KR10162614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KR100941474B1 (ko) 도선용 절연 고정구
KR101829958B1 (ko)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KR101594996B1 (ko) 특고압용 절연 3심 케이블
US9633767B2 (en) Power cable polymer connector
JPH0550084B2 (ko)
GB2101392A (en) An electric and/or optical cable
RU214042U1 (ru) Кабель силовой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ый
US4504695A (en) Power cable joint
RU215653U1 (ru) Кабель силовой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ый многожильный
KR101178797B1 (ko) 방수용 전선 접속 커넥터
JPH0235129Y2 (ko)
KR200177486Y1 (ko) 절연케이블
KR20170104780A (ko) 해저 케이블
KR20170073955A (ko) 아머 팟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접속장치
JP6598116B2 (ja) 鉄線引留装置、及び鉄線引留方法
KR20160091645A (ko) 종단접속함
KR20160112365A (ko) 접속함용 슬리브 삽입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