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955A - 아머 팟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아머 팟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955A
KR20170073955A KR1020150182807A KR20150182807A KR20170073955A KR 20170073955 A KR20170073955 A KR 20170073955A KR 1020150182807 A KR1020150182807 A KR 1020150182807A KR 20150182807 A KR20150182807 A KR 20150182807A KR 20170073955 A KR20170073955 A KR 20170073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ending
armor
armpi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봉
최승명
조동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2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3955A/ko
Publication of KR20170073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085Cable junctions for coaxial cables or hollow conductor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머 팟과 충진재 사이의 접착력을 높여 중간 접속함에 의해 접속된 케이블의 항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머 팟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아머 팟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접속장치{Amour pot and cable conn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아머 팟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고압 전력케이블의 경우 발전소와 변전소간에 설치되는데 길이에 따라 구간 구간마다 전력 케이블간의 접속이 반드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전력 케이블 간의 접속은 양쪽 전력케이블에 중심에 내장된 도체를 노출시키고 양쪽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슬리브라는 부품을 통해 연결시킨 후 송배전되는 전력용량에 따라 절연파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각종의 절연재료 에폭시, 절연지, 고무 등의 절연부품들로 이루어진 접속함으로 접속된다.
두 전력 케이블의 단부를 서로 접속하는 접속함은 외부 동관 형태의 보호관으로 보호되며, 이 보호관의 외부는 외상이나 침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코핀박스(Coffin Box)(외부동관 또는 외함)가 덮여진다. 즉 코핀박스는 케이블 접속함을 보호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보 제2003-8792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통을 길이방향에 대하여 2개로 분할한 배모양(舟形)의 코핀박스편을 마주보게 붙혀서 케이블 접속부분을 피복하도록 된 것이다.
아머 팟은 케이블의 외장에 배치되는 금속 와이어인 아머를 수용할 수 아머 팟(amour pot)이 코핀박스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해저케이블의 경우 해저에 부설되기 때문에 어업활동이 활발한 지역에서는 선박의 닻이나 어구 등에 의해 손상되기 쉽고 해류나 파랑에 의한 해풍사태, 해저면과의 마찰 등 자연현상에 의해서도 손상되므로 이를 막기 위하여 해저케이블은 일반적으로 금속 와이어 또는 테이프로 이루어진 아머를 갖는다. 해저케이블의 접속시 아머는 중간접속함에 의해 접속되지 않고 중간접속함을 감싸는 코핀박스의 양측에 결합되는 아머 팟 내부에 수용되고 충진재에 의해 아머 팟 내부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중간접속함을 구비하는 케이블을 해저에 포설하는 경우 케이블 포설을 위한 선박과 해저의 포설 지점간 높이차에 의하여 케이블 하중이 중간접속함에 인장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케이블 접속부에는 충분한 항장력이 요구된다.
또한 해저에 위치하는 코핀박스의 경우 조류나 해류에 의해 계속적인 외력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아머 팟과 충진재 사이의 접착력이 약화되고 이들 사이로 해수가 침투하여 아머 등의 부식 또는 케이블의 접속에 손상을 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아머 팟과 충진재 사이의 접착력을 높여 중간 접속함에 의해 접속된 케이블의 항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머 팟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장치는, 접속 대상 케이블의 코어의 접속을 위한 접속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하우징; 상기 접속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의 코어를 상기 접속 공간으로 연결하는 아머 팟; 및 상기 아머 팟 내부에 충진되어 상기 접속 대상 케이블의 아머를 고정시키는 충진재; 를 구비하며, 상기 아머 팟은 상기 충진재와 접하는 면에 요철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머 팟 내에서 상기 아머의 굽힘 형태를 정형화는 굽힘 치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굽힘 치구는, 상기 케이블의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 될 수 있도록 중공 구조를 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선단에 형성되어 굽힘 응력이 집중되는 상기 아머의 굽힘 부분을 정형화된 곡면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곡률을 가진 라운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경은 상기 라운드부에서 길이 방향을 향해 경사각도를 가지고 줄어드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접착성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아랄다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그 단면의 형상이 나사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머 팟은, 접속 대상 케이블의 코어의 접속을 위한 접속 공간을 제공하는 코핀 박스의 양측에 결합되는 아머 팟에 있어서, 상기 코핀 박스에서 상기 접속 대상 케이블을 향하여 테이퍼진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상기 접속 대상 케이블의 아머가 굽힘 형태로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요철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그 단면의 형상이 나사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머 팟과 충진재 사이의 접착력을 높여 중간 접속함에 의해 접속된 케이블의 항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의 해저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아머 팟을 구비한 케이블 접속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아머 팟을 구비한 케이블 접속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아머 팟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아머 팟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케이블의 아머를 굽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케이블에 아머 팟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케이블의 아머용 굽힘 치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굽힘 치구를 사용하여 아머를 굽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아머의 굽힘이 굽힘 치구에 의해 정형화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케이블에 아머 팟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먼저 전력케이블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어서 접속함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케이블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저케이블(10)은 중심부를 따라 도체(11)를 구비한다. 도체(11)는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며,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체(11)는 복수개의 소선(11)을 연선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체의 원형의 중심소선과 상기 중심소선을 감싸도록 연선된 평각소선으로 이루어진 평간소선층을 구비할 수 있으며, 평각소선으로 이루어진 도체는 원형소선으로 이루어진 도체에 비해 점적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도체(11)는 그 표면이 평활하지 않아 전계가 불균일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도체(11) 표면과 후술하는 절연층(13) 사이에 공극이 생기게 되면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체(11) 외부를 반도전성 카본지와 같은 반도전성 물질 등으로 감싸게 되며, 반도전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층을 내부반도전층(12)으로 정의하게 된다.
내부반도전층(12)은 도체면의 전하분포를 고르게 하여 전계를 균일하게 하여 후술하는 절연층(13)의 절연내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나아가, 도체(11)와 절연층(13) 간의 간격형성을 방지하여 코로나 방전 및 이온화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내부반도전층(12)은 해저케이블(10) 제작 시에 절연층(13)의 도체(11) 내부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내부반도전층(12)의 바깥쪽에는 절연층(13)이 구비된다. 절연층(13)은 도체(11)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켜준다. 일반적으로 절연층(13)은 파괴전압이 높고, 절연성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유전손실이 적으며 내열성 등의 열에 대한 저항 성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절연층(13)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사용되며,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가교 수지일 수 있다.
한편, 절연층(13)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를 차폐하지 않으면, 전계의 일부는 절연층(13)으로 흡수되지만, 대부분의 전계는 외부로 방전된다. 이 경우, 전계가 소정치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전계에 의해 절연층(13)과 해저케이블(10)의 외피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층(13)의 바깥쪽에는 다시 반도전층이 구비되며, 전술한 내부반도전층(12)과 구별하기 위하여 외부반도전층(14)으로 정의된다. 결국, 외부반도전층(14)은 전술한 내부반도전층(12) 과의 사이에 전기력선의 분포를 등전위로 만들어 절연층(13)의 절연내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외부반도전층(14)은 케이블에 있어서 절연층(13)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코로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부반도전층(14)의 외부에는 외부의 물과 같은 이물질이 침입하게 되면 절연층(13)의 절연성능이 저하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납(lead)으로 된 금속시스(metal sheath), 소위 '연피시스'(15)를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금속시스(15)의 외부에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과 같은 수지로 구성된 시스(16)와 물과 직접 접촉이 안되도록 베딩층(17)을 구비한다. 상기 베딩층(17)의 위에는 아머(amour) 또는 철선외장(1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아머(18)는 상기 케이블(10)의 외곽에 구비되어 해저의 외부환경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도록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해저케이블(10)은 해저에 부설되기 때문에 어업활동이 활발한 지역에서는 선박의 닻이나 어구 등에 의해 손상되기 쉽고 해류나 파랑에 의한 해풍사태, 해저면과의 마찰 등 자연현상에 의해서도 손상되므로 이를 막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금속 와이어 또는 테이프로 이루어진 아머(18)를 갖는다.
아머(18)는 케이블의 취급 및 설치 동안 케이블(10)의 기계적 특성과 성능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외부 손상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는 구조적 보강부이다. 일반적으로, 아머(18)는 중저 탄소 함유량을 갖는 강철, 아연도금강, 구리, 황동, 청동 등으로 이루어지고 단면 형태가 원형, 평각형 등인 와이어의 횡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머(18)의 외곽, 즉 케이블(10)의 외곽에는 케이블의 외장으로서 쟈켓(19)을 구비하게 된다. 쟈켓(19)은 케이블(10)의 외곽에 구비되어 케이블(1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해저케이블의 경우에 쟈켓(19)은 해수 등과 같은 해저환경에 견딜 수 있는 내후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성질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쟈켓(19)은 폴리프로필렌 얀(polypropylene yar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머 팟(amour pot)(100)을 구비한 해저 케이블 접속장치(1000)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는 해저 케이블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의 해저 케이블 접속장치(1000)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해저 케이블(c)이 장착된 상태의 해저 케이블 접속장치(10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머 팟(200)이 구비된 해저 케이블 접속장치(10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해저 케이블 접속장치(1000)는 양측에 본 발명에 따른 아머 팟(200)이 구비되고, 중앙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코어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유닛(5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속유닛(500)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아머 팟(200)를 체결하기 위한 플렌지 플레이트(300)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플렌지 플레이트(300)의 외측에 아머 팟(200)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해저 환경에서는 지속적인 조류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케이블의 설치, 유지 및 보수 과정에서 상기 해저 케이블 접속장치(1000)에 연결된 케이블의 연결부위는 허용 곡률반경 이하의 곡률반경으로 밴딩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머 팟(200) 외측단에 본 발명에 따른 해저 케이블 스티프너(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접속유닛(500)은 복수 개의 분할된 하우징(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분할된 복수 개의 하우징(400)은 조립상태에서 접속되는 케이블 코어의 접속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케이블 코어의 접속 공간에는 절단된 두 개의 케이블을 접속하는 중간 접속함이 위치할 수 있다. 즉 하우징(400)은 중간 접속함을 덮는 외함으로서 보호동관 코핀박스(coffin box)라고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4개의 분할된 하우징(400)이 각각 테두리에 형성된 리브가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어 조립되고, 접속 공간의 개방된 양단에 플렌지 플레이트(3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렌지 플레이트(300)에 아머 팟(200)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플렌지 플레이트(300) 및 상기 아머 팟(200)은 접속되는 케이블의 코어가 관통되는 관통홀(도면부호 미도시)이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아머 팟(200)은 하우징(400)의 양 측에 배치되며, 아머 팟(200)과 하우징(400)의 사이에는 플렌지 플레이트(300)가 배치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아머 팟(200), 플렌지 플레이트(300), 하우징(100)이 체결될 수 있다. 아머 팟(200)은 하우징(400)(코핀 박스)과 케이블(10)을 고정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아머 팟(2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아머 팟(2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아머 팟(200)은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 본체부(210), 본체부(210)의 양측에 형성된 플렌지(211, 212), 본체부(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부(210)는 하우징(코핀 박스)(400)에서 접속 대상 케이블(10)을 향하여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본체부(210)는 하우징(400)에서 케이블(10)의 길이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그 단면적의 넓이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210)의 양측에는 플렌지(211, 2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측 플렌지(211)는 하우징(400)을 향하는 본체부(210)의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 플렌지(212)는 일측 플렌지(211)와 대향하여 본체부(21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측 플렌지(211)는 하우징(400)의 일측면과의 사이에 플렌지 플레이즈(300)를 두고 체결부재에 의해 하우징(400)과 체결될 수 있다. 타측 플렌지(212)는 밴딩되는 스티프너(미도시)의 일측면을 면접촉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본체부(210)의 양측에는 케이블(1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215, 216)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접속 대상 케이블(10)의 아머(18)가 굽힘 형태로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213)를 가질 수 있다. 케이블(10)의 아머(18)의 굽힘과 수용에 대하여하는 후술한다.
본체부(210)의 내측면에는 요철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아머 팟(200)의 본체부(210)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213)에는 아머(18)가 굽힘 형태로 수용되고 충진재(500)로 채워진다. 충진재(500)는 액체상으로 충진된 후 고체상으로 변하여 케이블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부(2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요철부(214)에 의해 충진재(500)와 아머 팟(200)의 접착 면적이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아머 팟(200)과 충진재(500) 사이의 접착력이 증가하여 보다 강하게 케이블(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해저 환경에서는 지속적인 조류 영향으로 케이블(10)이 흔들리게 되어 아머 팟(200)과 충진재(500)의 사이의 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틈으로 해수가 침투하여 아머 팟(200), 충진재(500) 내지 케이블 아머(18)를 부식시키고, 상기 틈을 통해 하우징(400) 내로 해수가 침투하여 케이블 접속장치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아머 팟(200)과 충진재(500)의 접착력이 약화되는 경우 케이블(10)이 지속적인 조류의 영향 등으로 인한 인장력이 증가하여 케이블(10) 접속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장치(1000)는 아머 팟(200)의 내부면에 요철부(214)를 구비하여 아머 팟(200)과 충진재(500) 사이의 접착력을 높여 아머 팟(200)과 충진재(500) 사이로의 해수 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아머 팟(200)에서 보다 강하게 케이블(10)을 고정하여 중간 접속함의 항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요철부(214)는 그 단면의 형상이 나사산일 수 있다.
아머 팟(200)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재(500)는 접착성 폴리머일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아랄다이트일 수 있다. 충진재(500)는 액상으로 아머 팟(200)의 수용부(213)에 충진된 후 고체상으로 변하여 접속 대상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아머 팟(200)의 수용부(213)에 수용되는 케이블(10)의 아머(18) 굽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력 케이블(10)의 중앙에는 도체부, 내부반도전층, 절연층, 외부반도전층 등을 포함한 케이블 코어(c)가 배치되어 있고, 케이블 코어(c) 외곽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머(18)가 낱개로 배열되는 복수의 외장 철선 형태로 배치되어 케이블 코어(c)의 손상방지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아머(18)를 구비하고 있는 전력 케이블(10)은 하우징(400)(외함)과의 접속 연결시 아머(18)에 의해 가려져 있는 케이블 코어(c)의 노출이 필요하게 된다. 케이블 코어(c)의 노출을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머(18)를 길이방향으로 젖혀서 굽히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아머(18)를 굽히기 위해 아머(18)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젖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굽혀진 아머(1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머 팟(200)의 수용부(213)에 수용되고, 수용부(213)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충진재를 충진하여 케이블을 고정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아머(18)를 굽히기 위해 굽힘 치구(600)를 이용하고 굽힘 치구(600)도 아머 팟(200)의 수용부(213)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같이 작업자가 아머(18)의 외장 철선을 손으로 파지하고 힘을 가하게 되면, 외장 철선을 파지한 부분즉, 일 지점으로만 힘이 가해지게 되어 외장 철선을 굽히는데 기본적으로 많은 힘이 요구된다. 그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 도의 급상승이 불가피하여 작업 지연과 작업 능률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외장 철선의 굽힘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조건 하에서 외장 철선의 굽힘이 이루어지는 기점(基點) 또한 일정치 않아 외장 철선의 굽힘 형태가 일정하고도 가지런히 유도되지 못하게 된다. 아머 팟(200)의 내부로 굽혀진 외장 철선을 수용 결합시킬 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굽힘형태의 불량으로 걸림과 접촉 간섭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아머 팟(200)의 결합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장 철선의 굽힘 용이성과 굽힘형태 개선을 위해 도 8에 도시된 굽힘 치구(6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외장 철선용 굽힘 치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에서와 같이 굽힘 치구(600)는, 중공 구조로 결합공(601)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602)와, 상기 몸체(602)의 일측 선단이 곡면으로 처리되는 라운드부(603)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굽힘 치구(600)의 외경은 라운드부(603)에서 경사각도(θ)를 가지고 길이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경사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10에서는 도 9의 굽힘 치구(600)를 사용하여 외장 철선을 굽히는 모습을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서는 외장 철선의 굽힘이 굽힘 치구에 의해 정형화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굽힘 치구에 의해 굽혀진 외장 철선이 아머 팟 내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하우징(400)(외함)으로 접속되는 도체부(14)의 노출을 위해 굽힘 치구(600)의 결합공(601)에는 전력 케이블(10)이 통과하는 상태로 결합 되어 있으며, 굽힘이 이루어지게 되는 외장 철선에는 굽힘용 공구(S)가 결합된다. 상기 굽힘용 공구(S)는, 굽힘을 위해 가해지는 압력이 외장 철선의 길이 영역(L)에 대해 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파이프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굽힘용 공구(S)가 반드시 파이프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굽힘을 위해 가해지는 압력이 외장 철선의 길이 영역에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다면 그 어떤 공구 또는 부재(部材)의 사용도 무방할 것이다.위와 같이 굽힘용 공구(S)를 사용하여 외장 철선을 굽히게 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굽힘을 위해 가해지는 압력이 외장 철선의 길이 영역(L)에 균일하게 가해지는 되고, 라운드부(603)를 기점(基點)으로 하는 외장 철선의 굽힘 지점(P)으로 굽힘 응력이 집중되는 복합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적은 힘으로도 외장 철선을 쉽게 구부릴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모든 외피에 낱개로 구비된 모든 외장 철선의 굽힘 지점(P)도 일정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 외장 철선용 굽힘 치구를 사용하게 되면, 두들기는 공구(예를 들면, 망치)를 사용하여 이미 굽혀져 있는 외장 철선을 몸체(602)의 외면으로 밀착시키는 후속 작업을 통해 외장 철선의 굽힘 형태를 일정하면서도 가지런히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즉 몸체(602)의 외면 형상으로 외장 철선의 굽힘 형태를 정형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굽혀진 외장 철선을 수용하는 구조로 아머 팟(200)을 전력 케이블(10)에 결합시키게 될 때, 종래와 같이 외장 철선의 굽힘 복원과 가지런하지 못한 굽힘 형태 및 굽힘 불량으로 발생하는 아머 팟(200)의 내부와의 걸림 및 접촉 간섭이 방지되어 결합 상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굽혀진 외장 철선의 후단을 밴딩 부재(B)로 단단히 묶어 놓게 되면, 외장 철선의 굽힘 형태에 대한 유지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밴딩 부재(B)는 도전 또는 비도전성 관계없이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져 무방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밴딩 부재(B)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옵션 사항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0: 케이블 접속장치
200: 아머 팟
300: 플렌지 플레이트
400: 하우징
500: 접속유닛

Claims (9)

  1. 접속 대상 케이블의 코어의 접속을 위한 접속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하우징;
    상기 접속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의 코어를 상기 접속 공간으로 연결하는 아머 팟; 및
    상기 아머 팟 내부에 충진되어 상기 접속 대상 케이블의 아머를 고정시키는 충진재; 를 구비하며,
    상기 아머 팟은 상기 충진재와 접하는 면에 요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머 팟 내에서 상기 아머의 굽힘 형태를 정형화는 굽힘 치구를 더 구비하는 케이블 접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치구는,
    상기 케이블의 둘레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 될 수 있도록 중공 구조를 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선단에 형성되어 굽힘 응력이 집중되는 상기 아머의 굽힘 부분을 정형화된 곡면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곡률을 가진 라운드부; 를 포함하는 케이블 접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경은 상기 라운드부에서 길이 방향을 향해 경사각도를 가지고 줄어드는 구조로 형성되는 케이블 접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접착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접속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아랄다이트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접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그 단면의 형상이 나사산인 케이블 접속장치.
  8. 접속 대상 케이블의 코어의 접속을 위한 접속 공간을 제공하는 코핀 박스의 양측에 결합되는 아머 팟에 있어서,
    상기 코핀 박스에서 상기 접속 대상 케이블을 향하여 테이퍼진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상기 접속 대상 케이블의 아머가 굽힘 형태로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요철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머 팟.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그 단면의 형상이 나사산인 아머 팟.
KR1020150182807A 2015-12-21 2015-12-21 아머 팟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접속장치 KR20170073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807A KR20170073955A (ko) 2015-12-21 2015-12-21 아머 팟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807A KR20170073955A (ko) 2015-12-21 2015-12-21 아머 팟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955A true KR20170073955A (ko) 2017-06-29

Family

ID=5928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807A KR20170073955A (ko) 2015-12-21 2015-12-21 아머 팟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39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5029B2 (en) Vehicle electrical conduction path
US4371234A (en) Submarine optical cable
ES2929244T3 (es) Cable de alimentación submarino blindado
KR102350622B1 (ko)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KR102386729B1 (ko)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의 설치방법 및 상기 풀링아이를 구비한 해저케이블
KR101408050B1 (ko) 송배전용 해저전력케이블 계장플랜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JP6258715B2 (ja) 内側保護管及び電力ケーブルの中間接続部
KR20090081806A (ko) 해저케이블
KR101467112B1 (ko) 해저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아모어 클램프
KR10162614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KR101485450B1 (ko) 해저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아모어 클램프
KR20180001307A (ko) 해저 케이블 접속 연결방법 및 접속 연결구조
KR20240002942A (ko) 강성 해저 전력 케이블 조인트
KR20170073955A (ko) 아머 팟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접속장치
US20240177889A1 (en) Power cable system having different conductor connecting part , and power cable connection method having different conductors
EP3032673B1 (en) Power cable polymer joint
KR200467282Y1 (ko) 케이블 보호 조립체
KR20160074721A (ko) 진원도가 향상된 해저케이블
KR20170104780A (ko) 해저 케이블
JP2021013253A (ja) グロメット、グロメット止水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2481316B1 (ko) 전력 전송 케이블 및 전력 전송 케이블의 제조를 위한 프로세스
KR101829958B1 (ko) 해저케이블용 풀링아이
CN214313588U (zh) 一种电缆终端
CN216562516U (zh) 一种用于深海内的电缆
JP2019079718A (ja) 架空配電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