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269B1 - 파이프 연결소켓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269B1
KR101422269B1 KR1020120122144A KR20120122144A KR101422269B1 KR 101422269 B1 KR101422269 B1 KR 101422269B1 KR 1020120122144 A KR1020120122144 A KR 1020120122144A KR 20120122144 A KR20120122144 A KR 20120122144A KR 101422269 B1 KR101422269 B1 KR 101422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cking hose
packing
joint pip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398A (ko
Inventor
최지호
최성덕
양명진
Original Assignee
(주)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폴리텍 filed Critical (주)폴리텍
Priority to KR102012012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26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16L21/005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made of elastic material, e.g. partly or completely surrounded by clam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4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 F16L33/06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in which the threaded pin is rigid with the hose-encircl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체형 패킹호스를 이용하여 이음관 내부로 끼워 맞춤함에 따라 파이프와의 상호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된 것으로, 특히 상기 패킹호스가 그 위치를 확고하게 유지 및 고정됨에 따라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파이프를 끼워 맞춤할 수 있게 된 중공형 이음관(1)과, 상기 이음관(1) 내주연에 밀착 구비됨에 따라 이음관(1)과 파이프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 패킹호스(2)와, 상기 패킹호스(2)를 둘러 감싼 상태로 벨트의 길이조절에 의한 패킹호스(2)의 압박을 통해 이음관(1)과 파이프 사이의 기밀을 강화하되, 상기 이음관(1) 외부에서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철밴드(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파이프 연결소켓에 있어서; 상기한 상기 패킹호스(2)는, 상기 이음관(1)의 내주연에 밀착되고 상기 파이프(p-1)(p-2) 외주연에 압착될 수 있게 된 중공형 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킹호스(2)의 양측 끝단부는, 상기 이음관(1)의 양측 선단부를 둘러 덮음은 물론 탄성적으로 압착고정할 수 있도록 된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이음관(1)의 양측 선단 외부면에 상기 패킹호스(2)의 양측 단부의 외주면이 밀착접촉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패킹호스(2)의 양측 단부를 뒤집어 체결하여 이루어진 파이프 연결소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소켓{CONNECTION SOCKET OF THE PIPE}
본 발명은 복수의 파이프를 맞대기 이음(연결)하는 파이프 연결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체형 패킹호스를 이용하여 이음관 내부로 끼워 맞춤함에 따라 파이프와의 상호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된 것으로, 특히 상기 패킹호스가 그 위치를 확고하게 유지 및 고정됨에 따라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연결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도로 등의 생활기반시설에는, 식수나 오수 혹은 배설물 등을 미리 정한 경로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파이프(Pipe)를 지중매설(地中埋設 : 땅속에 파묻음)하는 배관공사(管道工程, Piping work)를 실시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배관공사는, 주로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한 지반의 터파기(Cutting / Excavation, 掘鑿)로 매설관로를 형성한 다음, 그 매설관로 안으로 정해진 규격의 파이프를 다수 배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이들 파이프의 이음작업(Pipe joint)을 실시한 이후, 터파기한 지반을 다시 되메우기(Backfilling, 覆土)하는 것으로 최종 마무리한다.
여기서, 전술한 이음작업은, 상기 연결소켓의 이음관 내부로 끼워 맞춤하는 파이프 상호 간 연결부위의 조립성 및 내구성 증대와 더불어 기밀 유지를 통한 누설방지의 목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방편으로, 신축성을 갖는 고무패킹을 이용하여 파이프 연결부위의 기밀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소켓이 제공되고 있는바, 도 1은 통상의 파이프 연결소켓을 이용한 파이프 상호 간의 이음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로써, 도면을 통하여 종래의 파이프 연결소켓의 구성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이프 연결소켓(900)은, 복수 파이프(p-1)(p-2)를 양방향으로부터 끼워 맞춤할 수 있는 결속공(9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중공형 이음관(910)과, 상기 이음관(910)의 내주연(內周緣 : 내경 둘레) 양측 선단부에 각각 구비된 상태로 상기한 이음관(910) 내부로 끼워 맞춤한 파이프(p-1)(p-2)의 각 선단부 외주연(外周緣 : 외경 둘레)에 압착되는 패킹호스(9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패킹호스(911)에 의해 이음관(910)과 파이프(p-1)(p-2) 상호 간 밀착부위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체(流體, Fluid / 기체 및 액체)는 물론 각종 이물질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파이프(p-1)(p-2)와 이음관(910)의 제조규격이 명시되어 있다고는 하나, 각 제조회사마다의 미세한 차이로 인하여, 상기 패킹호스(911)가 헐거워지거나 또는 상술한 이음작업 도중 외력에 의한 비틀림현상으로 파이프(p-1)(p-2) 또는 이음관(910)의 형태변형이 유발될 경우, 상기 패킹호스(911)가 파이프(p-1)(p-2)의 그 외주연에 완벽한 밀착을 이루지 못하는 기밀성 저하로 이어져 앞서 언급한 유체 및 이물질 누설의 문제점이 여전할 수밖에 없는 폐단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음관의 내주연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된 패킹호스 및 그의 직경을 가변시킬 수 있는 벨트를 포함하는 철밴드를 구비하여, 상기 이음관 내부로 파이프를 끼워 맞춤한 상태하에서 상기 철밴드의 조작을 통해 상기한 패킹호스와 파이프가 상호 강한 압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파이프 연결소켓을 제안한 바 있다.
즉, 한국특허출원 제 10-2012-113904호(명칭: 파이프 연결소켓)을 제안하여,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파이프 연결소켓은, 공보 및 도 2 내지 도 5에서 게재된 바와 같이, 파이프를 끼워 맞춤할 수 있게 된 중공형 이음관(1)과, 상기 이음관(1) 내주연에 밀착 구비됨에 따라 이음관(1)과 파이프(p-1)(p-2)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 패킹호스(2)와, 상기 패킹호스(2)를 둘러 감싼 상태로 벨트의 길이조절에 의한 패킹호스(2)의 압박을 통해 이음관(1)과 파이프(p-1)(p-2) 사이의 기밀을 강화하되, 상기 이음관(1) 외부에서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철밴드(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철밴드(3)에 의한 상기 패킹호스(2)의 직경 축소를 통해, 상기 이음관(1) 내부로 끼워 맞춤하는 파이프(p-1)(p-2)의 외경 크기는 물론이거니와 이음작업 도중의 파이프 또는 이음관 형태변형에도 상기 패킹호스(2)의 압착력이 유지됨에 따라 파이프 연결(이음)부위로부터의 유체 및 각종 이물질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 패킹호스(2)는 상기 이음관(1)의 내주연에 밀착되고 상기 파이프 외주연에 압착될 수 있게 된 중공형 관체이고, 상기 이음관(1) 내측으로의 파이프 삽입 외력에 의한 유동방지를 위해 이음관(1)의 양측 선단부를 둘러 덮도록 된 두름날개(21)가 끝단부 각각에 외향 절곡되고, 파이프 외주연과의 밀착력 증대를 위한 밀착돌기(22)가 내주연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철밴드(3)의 벨트 수용을 위한 둘레홈(23)이 양측 선단부 외주연부에 각각 내향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한국특허출원 제 10-2012-113904호의 파이프 연결소켓은, 상기 패킹호스의 양단부가 단순히 두름날개에 의해 미음과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됨에 따라,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밴드를 이용하여 가압할 경우, 패킹호스의 양단부가 철밴드의 가압지접으로 인력이 발생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두름날개가 이?관의 내부로 인입 변형되어 이?관과의 기밀상태를 해제하여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벌어진 두름날개와 이음관의 사이 공간으로 이물질(공기, 물 등)이 침투하여 이음관의 기밀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의 한국특허출원 제 10-2012-113904호의 파이프 연결소켓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출원인의 한국특허출원 제 10-2012-113904호의 파이프 연결소켓의 구조를 개량하여, 패킹호스와 이음관의 단부의 기밀성을 확고히 유지하여 장기간 사용할지라도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연결소켓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패킹호스와 상기 이음관이 결합될 때 그 외주 면들이 서로 동일 선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틈새의 발생을 더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파이프 연결소켓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소켓은, 파이프를 끼워 맞춤할 수 있게 된 중공형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 내주 연에 밀착 구비되어 상기 이음관과 상기 파이프 외주 연에 압착되는 중공형 관 체로 이루어져 사이의 기밀이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이음관의 양측 선단 외부 면에 양측 단부의 외주 면들이 밀착 접촉되어 배치되도록 뒤집어 체결하도록 된 패킹호스와, 벨트의 길이조절에 의한 상기 패킹호스의 압박을 통해 상기 패킹호스와 상기 파이프 사이의 기밀을 강화시키되, 상기 이음관 외부에서 상기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철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파이프 연결소켓에 있어서; 상기한 상기 패킹호스의 양측 단 부는, 중심 측 방향으로 수축하는 자체 탄성력을 가지어 상기 이음관의 양측 선단 부를 둘러 덮어 배치될 때 상기 이음관의 양단에 압착 고정할 수 있도록 되되; 상기한 이음관의 양측 선단 외주 면에는, 상기 패킹호스의 양단부가 수용되어 상기 패킹호스와 이음관이 결합 된 상태의 외주 면이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수용요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한 패킹호스의 외주 면에서 상기 이음관의 양 단부와 밀착되는 부위에는 상기 이음관의 양단부가 끼움 결합하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소켓은, 상기 철밴드에 의한 패킹호스의 직경 축소를 통해, 이음관 내부로 끼워 맞춤하는 파이프의 밀착 결합할 때, 상기 패킹호스의 양측 단 부가 가지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음관의 양측 선단 부에 확고히 고정되어 이음관의 내측으로 말려들어 가거나 외 측으로 밀리는 등의 형태 변화에 따른 누설 틈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장기간 사용할지라도 외부요인(공기, 물)의 침투가 불가능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패킹호스와 상기 이음관이 결합될 때 그 외주 면들이 서로 동일 선상을 이룸에 따라, 상기 패킹호스의 단 부에 대한 압력이 줄어들어 틈새의 발생을 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통상의 파이프 연결소켓을 이용한 파이프 상호 간의 이음구조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한국특허출원 제 10-2012-113904호의 파이프 연결소켓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소켓을 보인 사용상태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소켓에 적용되는 패킹호스와 이음관의 결합과정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소켓의 일 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일부 발췌 확대 단면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소켓에 적용되는 패킹호스의 작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확대 단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소켓을 보인 사용상태 단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소켓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소켓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소켓(A)은, 파이프를 끼워 맞춤할 수 있게 된 중공형 이음관(1)과, 상기 이음관(1) 내주연에 밀착 구비됨에 따라 이음관(1)과 파이프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 패킹호스(2)와, 상기 패킹호스(2)를 둘러 감싼 상태로 벨트의 길이조절에 의한 패킹호스(2)의 압박을 통해 이음관(1)과 파이프 사이의 기밀을 강화하되, 상기 이음관(1) 외부에서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철밴드(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파이프를 상기 패킹호스의 양측부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하여 위치시킨 후, 상기 철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패킹호스를 가압하면, 상기 패킹호스가 상기 파이프를 말착하면서 가압하여, 상기 파이프를 기밀성을 가지면서 고정하여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이음관(1)은, 상기 복수 파이프의 상호 맞대기 이음 결합에 필요한 연결매체인 것으로, 복수의 파이프를 각각 양방향에서 끼워 맞춤이 가능케 된 중공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음관(1)에는 상기 철밴드(3)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출입공(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소켓(A)에서, 상기한 패킹호스(2)는, 상기 이음관(1)의 내주연에 밀착되고 상기 파이프 외주연에 압착될 수 있게 된 중공형 관체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상기 패킹호스(2)의 양측 끝단부는, 상기 이음관(1)의 양측 선단부를 둘러 덮음은 물론 탄성적으로 압착고정할 수 있도록 된 탄성력을 가진다.
즉, 상기 패킹호스(2)의 양측 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음관(1)의 양측 선단을 내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압착함으로써, 결합이 완고히 이루어진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할지라도 안정적으로 상기 이음관(1)과 상기 패킹호스(2)의 고정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긴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호스(2)는, 상기 이음관(1)의 양측 선단 외부면에 상기 패킹호스(2)의 양측 단부의 외주면이 밀착접촉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패킹호스(2)의 양측 단부가 뒤집어져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패킹호스(2)의 내측부와 양측 단부가 동일 내경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패킹호스(2)의 양측 단부가 뒤집어져 그 내경이 확장됨에 따라, 확장된 내경에 대한 탄성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가압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패킹호스(2)의 양측 단부의 내측부에 위치된 상기 이음관(1)의 양측 선단부에 상기 패킹호스(2)의 양측 단부가 확고히 고정된다.
상기에서, 상기한 패킹호스(2)의 양측 단부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자체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음관(1)의 양측 선단부를 압착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호스(2)의 양측 단부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심재(C)가 구비되어 상기 심재(C)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음관(1)의 양측 선단부를 압착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하여 적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한 패킹호스(2)의 외주면에서 상기 이음관(1)의 양 단부와 밀착되는 부위에는 상기 이음관(1)의 양단부가 끼움결합하는 요홈(H)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음관(1)의 양측 단부면이 상기 요홈(H)에 끼움 고정하여 더욱 확고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소켓(A)에서, 상기한 이음관(1)의 양측 선단 외주면에는 상기 패킹호스(2)의 양단부가 수용되어 상기 패킹호스(2)와 이음관(1)이 결합된 상태의 외주면이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수용요홈(h)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음관(1)과 상기 패킹호스(2)의 연결부위가 단턱을 형성하지 않아, 외부요인(충격)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이다.
또한, 상기한 철밴드(3)는, 상기 패킹호스(2)의 직경을 축소시켜 상기 이음관(1)과 파이프 사이의 기밀이 강화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패킹호스(2)의 외주연을 둘러 감쌀 수 있는 길이로 된 벨트(31)와, 상기 벨트(31)의 길이조절을 통해 패킹호스(2)의 직경을 가변(축소 및 확대)시키도록 한 조임구(32)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벨트(31)의 양측 선단부에는, 상기 조임구(32)와의 연계조립을 위한 고리형 너클부(311)가 양측 선단부 각각에 절곡 중첩되되, 상기 조임구(32)의 관통체결을 위한 통공(311a)이 상기한 너클부(311)를 가로질러 연통하도록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구(32)는, 상기 너클부(311)들에 연이어 관통조립된 상태서의 정,역회전을 통해 복수의 너클부(311)를 상호 근접시키거나 원접시켜서 벨트(31)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한 조임스크류(321)와, 상기 너클부(311) 각각에 내재조립되되 조임스크류(321)의 두부(頭部 : 머리부) 지탱을 위한 지지블럭(322) 및 상기 조임스크류(321)의 나선을 따라 전,후로 이동케 된 이동블럭(323)으로 구성된다.
결국, 상기 조임스크류(321)를 정,역으로 회전시켜 상기한 이동블럭(323)과 지지블럭(322)이 상호 가깝거나 멀어지도록 함으로써 벨트(31)의 길이조절을 이룰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 패킹호스(2)의 직경 축소를 위한 압박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의한 파이프 연결소켓(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음관(1) 내측으로 상기 철밴드(3)의 벨트(31)를 삽입 결합하고, 이때 상기 너클부(311)의 양 선단부는 상기 출입공(11)을 통해 상기 이음관(1) 외부로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너클부(311) 내측에는 이동블럭(323)과 지지블럭(322)을 끼움 결합한다.
이어서, 상기 조임스크류(321)가 지지블럭(322)과 이동블럭(323)을 연이어 관통하도록 조립결합하고, 상기 패킹호스(2)를 상기 이음관(1)의 내측으로 삽입시켜서 이음관(1)과 패킹호스(2) 상호 간의 내,외주연부가 밀착되도록 한 다음, 상기 패킹호스(2)의 양측 단부를 뒤집어 상기 이음관(1)의 각 선단부의 외측으로 상기 패킹호스(2)의 양측 단부가 밀착되게 둘러 감싸도록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후, 상기 조임스크류(321)의 정,역 회전에 의한 이동블럭(323)의 전,후 이동 및 이에 따른 상기 철밴드(3)의 벨트(31) 길이조절을 통한 패킹호스(2)의 직경 축소로 이음관(1)과 파이프(P-1)(P-2) 사이의 기밀의 강화하면서 파이프들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철밴드(3)에 의한 상기 패킹호스(2)의 직경 축소를 통해, 상기 이음관(1) 내부로 끼워 맞춤하는 파이프의 밀착 결합할 때, 상기 패킹호스(2)의 양측 단부가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음관(1)의 양측 선단부에 확고히 고정되어 상기 이음관(1)의 내측으로 말려들어 가거나 외측으로 밀리는 등의 형태변화에 따른 누설틈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할지라도 외부요인(공기, 물)의 침투가 불가능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연결소켓 H : 요홈
h : 수용요홈 1 : 이음관
2 : 패킹호스 3 : 철밴드

Claims (5)

  1. 파이프를 끼워 맞춤할 수 있게 된 중공형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 내주 연에 밀착 구비되어 상기 이음관과 상기 파이프 외주 연에 압착되는 중공형 관 체로 이루어져 사이의 기밀이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이음관의 양측 선단 외부 면에 양측 단부의 외주 면들이 밀착 접촉되어 배치되도록 뒤집어 체결하도록 된 패킹호스와, 벨트의 길이조절에 의한 상기 패킹호스의 압박을 통해 상기 패킹호스와 상기 파이프 사이의 기밀을 강화시키되, 상기 이음관 외부에서 상기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철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파이프 연결소켓에 있어서;
    상기한 상기 패킹호스의 양측 단 부는,
    중심 측 방향으로 수축하는 자체 탄성력을 가지어 상기 이음관의 양측 선단 부를 둘러 덮어 배치될 때 상기 이음관의 양단에 압착 고정할 수 있도록 되되;
    상기한 이음관의 양측 선단 외주 면에는,
    상기 패킹호스의 양단부가 수용되어 상기 패킹호스와 이음관이 결합 된 상태의 외주 면이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수용요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소켓.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패킹호스의 외주면에서 상기 이음관의 양 단부와 밀착되는 부위에는 상기 이음관의 양단부가 끼움 결합하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소켓.
  5. 삭제
KR1020120122144A 2012-10-31 2012-10-31 파이프 연결소켓 KR101422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144A KR101422269B1 (ko) 2012-10-31 2012-10-31 파이프 연결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144A KR101422269B1 (ko) 2012-10-31 2012-10-31 파이프 연결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398A KR20140055398A (ko) 2014-05-09
KR101422269B1 true KR101422269B1 (ko) 2014-07-24

Family

ID=5088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144A KR101422269B1 (ko) 2012-10-31 2012-10-31 파이프 연결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224B1 (ko) * 2015-11-09 2016-06-22 김인환 구조물 배수관용 연결 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458B1 (ko) * 2020-03-11 2021-07-12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냉각수 유로 연결구
CN111677948B (zh) * 2020-05-15 2021-08-03 宁夏尊盈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管道内壁连接密封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8169A (en) * 1991-02-04 1993-09-28 Pont-A-Mousson S.A. Composite pipe coupling sleeve
JPH06307584A (ja) * 1993-04-27 1994-11-01 Toyoda Gosei Co Ltd ホース
US20050161947A1 (en) * 2003-10-28 2005-07-28 Skinner James W. Sealing system for pipelines
KR101178391B1 (ko) * 2012-04-13 2012-08-30 (주)폴리텍 파이프 연결소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8169A (en) * 1991-02-04 1993-09-28 Pont-A-Mousson S.A. Composite pipe coupling sleeve
JPH06307584A (ja) * 1993-04-27 1994-11-01 Toyoda Gosei Co Ltd ホース
US20050161947A1 (en) * 2003-10-28 2005-07-28 Skinner James W. Sealing system for pipelines
KR101178391B1 (ko) * 2012-04-13 2012-08-30 (주)폴리텍 파이프 연결소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224B1 (ko) * 2015-11-09 2016-06-22 김인환 구조물 배수관용 연결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398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756B1 (ko) 지관 연결장치
KR101422269B1 (ko) 파이프 연결소켓
KR100977308B1 (ko)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126728B1 (ko) 수축수지제를 이용한 파상형 전선관 방수 커플링
KR20120006296A (ko)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0881351B1 (ko) 이탈 방지구조로 이루어진 확관단부를 갖는 관
KR101422267B1 (ko) 파이프 연결소켓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101144277B1 (ko) 파이프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20130052272A (ko) 복합 배관 및 그 조립 방법
KR10048821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200368081Y1 (ko) 분기관 연결구조
KR101773392B1 (ko) 하수관용 맨홀 연결구 및 그 맨홀 연결구를 이용한 하수관 연결방법
KR200374224Y1 (ko) 합성수지관
KR101635404B1 (ko) 밀폐밀착력이 향상된 관체연결용 패킹
JP3167634B2 (ja) 分岐サドル継手
CN210510700U (zh) 用于洗衣机管路的连接件
KR100531977B1 (ko)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KR20140068406A (ko) 관 연결구
JP4596983B2 (ja) リブパイプ用管継手
KR100997533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377317Y1 (ko) 가변곡관
KR100398790B1 (ko) 관이음 플랜지 지지밴드
KR100326549B1 (ko) 플랜지부가 형성된 배수관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