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348B1 - 배관연결클램프 - Google Patents

배관연결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348B1
KR102524348B1 KR1020200157602A KR20200157602A KR102524348B1 KR 102524348 B1 KR102524348 B1 KR 102524348B1 KR 1020200157602 A KR1020200157602 A KR 1020200157602A KR 20200157602 A KR20200157602 A KR 20200157602A KR 102524348 B1 KR102524348 B1 KR 102524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clamp
receiving groove
clam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0732A (ko
Inventor
강희양
Original Assignee
강희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양 filed Critical 강희양
Priority to KR1020200157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3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연결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클램프 몸체가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배관의 연결된 플랜지를 보다 견고하게 압착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관연결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클램프에 있어서, 각 배관의 연결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사이에 구비되는 패킹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클램프 몸체가 한 쌍이 구비되되, 상기 수용홈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연결클램프 {Clamp for connecting pipes}
본 발명은 배관연결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클램프 몸체가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배관의 연결된 플랜지를 보다 견고하게 압착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관연결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로는 파이프의 연결부에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플랜지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파이프를 연결할 때에는 관로를 밀봉하기 위해서 파이프 연결 부위에 플랜지를 용접 고정하고 그 플랜지의 접촉면에 합성수지나 고무 재질의 패킹을 끼우고 있다.
종래에는 패킹이 설치된 플랜지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의 패킹과 플랜지의 사이로 내부 유동하는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패킹과 플랜지의 외측면을 소정의 폭을 갖는 고무판이나 별도의 끈을 이용하여 감싸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외관이 지저분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클램핑 밴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클램핑 밴드는 원 형상의 패킹 둘레면을 감싸도록 다수개의 지지편을 힌지로 연결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었음은 물론, 기밀이 유지되도록 지지편을 견고히 결합시킬 때 상기 힌지 부분이 파손되거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적은 충격력에 의해서도 힌지 부분이 파손되어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클램핑 밴드는 패킹을 고정시키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강구되지 않았으므로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력 및 진동에 의해서 밴드가 유동되어 패킹과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과 같은 등록실용신안 제20-0337762호에는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밴드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구성은 파이프의 단부에 용접고정된 플랜지와 그 플랜지의 접촉면에 끼워진 패킹이 수용되는 수용홈(11)이 마련되고, 일단에는 힌지가 끼워지며, 타단에는 고정볼트(22)가 끼워지는 고정홈(12)이 마련된 반원 형상의 제 1 밴드(10);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용접고정된 플랜지와 그 플랜지의 접촉면에 끼워진 패킹이 수용되는 수용홈(21)이 마련되고, 일단에는 힌지(30)가 끼워지며, 타단에는 고정볼트(2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편(40)이 마련된 반원 형상의 제 2 밴드(20); 상기 결합편(40)에 회전 가능하게 핀(50)을 매개로 결합되고 선단부에는 고정부재(41)가 나사 결합된 고정볼트(22)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결합력이 약하여 더욱 결합력 및 기밀성이 우수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3776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클램프 몸체가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배관의 연결된 플랜지를 보다 견고하게 압착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관연결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 몸체의 내측에 실링부재를 구비하여 배관의 연결된 플랜지 외측부를 추가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관연결클램프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클램프에 있어서, 각 배관의 연결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사이에 구비되는 패킹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클램프 몸체가 한 쌍이 구비되되, 상기 수용홈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용홈에는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 몸체는 상기 수용홈의 폭이 넓게 형성된 단부의 플랜지의 외측에 대응되는 측면부에 연장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배관의 플랜지의 외측에서 위치하도록 제1고정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 몸체는 상기 수용홈의 폭이 좁게 형성된 단부의 양 측면부에 장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플랜지에는 상기 장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 및 볼트공을 관통하는 제2고정수단에 의해 클램프 몸체가 플랜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 몸체가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배관의 연결된 플랜지를 보다 견고하게 압착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 몸체의 내측에 실링부재를 구비하여 배관의 연결된 플랜지 외측부를 추가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밴드를 나타낸 도면.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클램프의 클램프 몸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클램프의 클램프 몸체의 수용홈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클램프를 이용한 배관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클램프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클램프의 클램프 몸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클램프의 클램프 몸체의 수용홈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클램프를 이용한 배관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클램프 몸체가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배관의 연결된 플랜지를 보다 견고하게 압착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관연결클램프(100)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배관(10)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플랜지(12)와, 상기 플랜지(12)의 사이에 구비되는 패킹(20)이 수용되는 수용홈(112)이 형성된 반원 형상의 클램프 몸체(110)가 한 쌍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클램프 몸체(110)는 수용홈(112)에 한 쌍의 배관(10)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플랜지(12)와, 상기 플랜지(12)의 사이에 구비되는 패킹(20)을 수용하도록 플랜지(12)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배관(10)을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수용홈(112)은 상기 한 쌍의 배관(10)의 플랜지(12) 및 패킹(20)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되어 패킹(20)을 가압하며 기밀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12)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A>B)되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패킹(20)을 더욱 가압하여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용홈(112)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실링부재(11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재(114)는 볼록하게 형성된 중앙부가 플랜지(12) 및 패킹(20)이 접합되는 외측부에 밀착 가압되어 기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클램프 몸체(110)는 상기 수용홈(112)의 폭이 넓게 형성된 단부의 플랜지(12)의 외측에 대응되는 측면부에 연장부(116)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12)에 제1고정수단(120)에 의해 설치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116)는 상기 플랜지(1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일측 배관(10)의 플랜지(12) 내측에서 결합되는 제1고정수단(120)의 제1볼트(122)가 결합되고, 연장부(116)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1볼트(122)의 단부에 제1너트(124)가 결합되어 클램프 몸체(110)의 일측이 플랜지(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 몸체(110)는 한 쌍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각 배관(10)의 플랜지(12)에 설치되며, 상기 양측 플랜지(12)의 전체 외주면을 커버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클램프 몸체(110)는 상기 수용홈(112)의 폭이 좁게 형성된 단부의 양 측면부에 장공(118)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배관(10)의 플랜지(12)에는 상기 장공(118)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공(14)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장공(118) 및 볼트공(14)을 관통하는 제2볼트(132) 및 제2너트(134)로 이루어지는 제2고정수단(130)에 의해 클램프 몸체(110)의 타측이 플랜지(12)에 고정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관연결클램프(100)를 배관(10) 연결부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각 배관(10)의 플랜지(12)에 제1고정수단(120)을 이용하여 클램프 몸체(110)를 결합한다.
즉, 각 배관(10)의 플랜지(12)에 각 클램프 몸체(110)의 연장부(116)가 제1고정수단(1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각 배관(10)에 결합되는 클램프 몸체(110)의 연장부(116)는 배관(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점대칭이 되도록 설치된다.
다음, 각 배관(10)의 사이에 패킹(20)을 구비하고 플랜지(12)를 서로 맞닿도록 한다.
다음, 상기 각 클램프 몸체(110)를 회동시켜 수용홈(112)에 의해 한 쌍의 플랜지(12)를 커버하도록 결합한다.
이때, 상기 클램프 몸체(110)의 수용홈(112)의 배관(10)의 플랜지(12)에 결합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에 의해 클램프 몸체(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플랜지(12) 및 패킹(20)을 보다 밀착되도록 하여 기밀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 몸체(110)의 연장부(116)가 점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어 클램프 몸체(110)를 플랜지(12)를 커버하도록 결합함에 따라 일측 클램프 몸체(110)의 연장부(116)가 설치된 방향의 플랜지(12)는 타측 클램프 몸체(110)의 폭이 좁게 형성된 단부에 의해 가압되어 기밀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 몸체(110)의 수용홈(112)에 구비되는 실링부재(114)에 의해 플랜지(12)와 패킹(20) 사이의 밀폐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상기 각 클램프 몸체(110)의 폭이 좁게 형성된 단부가 제2고정수단(130)에 의해 양 플랜지(12) 및 패킹(20)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클램프(100)에 의하면, 클램프 몸체(110)가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배관(10)의 연결된 플랜지(12)를 보다 견고하게 압착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클램프 몸체(110)의 내측에 실링부재(114)를 구비하여 배관(10)의 연결된 플랜지(12) 외측부를 추가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관연결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클램프 몸체가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배관의 연결된 플랜지를 보다 견고하게 압착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관연결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10: 배관 12: 플랜지
14: 볼트공 20: 패킹
100: 배관연결클램프 110: 클램프 몸체
112: 수용홈 114: 실링부재
116: 연장부 118: 장공
120: 제1고정수단 130: 제2고정수단

Claims (4)

  1. 한 쌍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클램프에 있어서,
    각 배관의 연결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사이에 구비되는 패킹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클램프 몸체가 한 쌍이 구비되되,
    상기 수용홈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클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몸체는 상기 수용홈의 폭이 넓게 형성된 단부의 플랜지의 외측에 대응되는 측면부에 연장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배관의 플랜지의 외측에서 위치하도록 제1고정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클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몸체는 상기 수용홈의 폭이 좁게 형성된 단부의 양 측면부에 장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배관의 플랜지에는 상기 장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 및 볼트공을 관통하는 제2고정수단에 의해 클램프 몸체가 플랜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클램프.
KR1020200157602A 2020-11-23 2020-11-23 배관연결클램프 KR102524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602A KR102524348B1 (ko) 2020-11-23 2020-11-23 배관연결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602A KR102524348B1 (ko) 2020-11-23 2020-11-23 배관연결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732A KR20220070732A (ko) 2022-05-31
KR102524348B1 true KR102524348B1 (ko) 2023-04-24

Family

ID=8178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602A KR102524348B1 (ko) 2020-11-23 2020-11-23 배관연결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506B1 (ko) 2023-03-24 2023-10-10 (주)엔씨테크 알루미늄 히팅 체인 클램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8156A (ja) 2007-06-27 2009-01-15 Sumco Techxiv株式会社 ク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762Y1 (ko) 2003-10-09 2004-01-13 이동석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밴드
KR20140064256A (ko) * 2012-11-20 2014-05-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연결용 클램프
KR20170001915U (ko) * 2015-11-23 2017-06-01 (주)대영하이텍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8156A (ja) 2007-06-27 2009-01-15 Sumco Techxiv株式会社 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732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9785A (en) Mechanical pipe outlet
KR100999943B1 (ko) 조립성 및 밀봉성이 향상된 무용접 파이프 연결 조인트
US10107428B2 (en) Clamp for connecting pipe and device for connecting pipe including the same
KR101085122B1 (ko) 플레어 가공을 이용하여 체결이 용이한 무용접식 배관 조인트
US8714202B2 (en) Pipe repair device
KR102524348B1 (ko) 배관연결클램프
KR200449405Y1 (ko) 링 조인트 배관 연결구조
KR101508659B1 (ko) 배관용 조인트 장치
CA1136672A (en) Adapter for connecting plastic pipe system to cast iron pipe system
KR200474790Y1 (ko) 파이프 연결구
US2778662A (en) Axially and radially sealed divided sleeve type pipe clamp
KR101854531B1 (ko) 분기장치
KR10100329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관 연결장치
KR200407864Y1 (ko) 무용접 플랜지 관연결 조인트
WO2020033662A1 (en) Pipe coupling
KR200277297Y1 (ko) 관 연결장치
KR101805790B1 (ko) 패킹이 구비된 파이프 이음장치
KR102220519B1 (ko)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JP2009156463A (ja) ストッパーを利用した水道管の連結方法(Apipeconnectingmethodusestopper)
CN211738331U (zh) 优良密封效果的密封圈
KR20090001795U (ko) 가스켓 홈이 형성된 배관의 메탈링
CN211649483U (zh) 管道堵漏装置
KR20120020715A (ko) 관의 연결구조
US2901271A (en) Longitudinally-divided pipe coupling sleeve with fluid pressure seal
KR20200000849U (ko) 파이프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