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519B1 -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519B1
KR102220519B1 KR1020200055116A KR20200055116A KR102220519B1 KR 102220519 B1 KR102220519 B1 KR 102220519B1 KR 1020200055116 A KR1020200055116 A KR 1020200055116A KR 20200055116 A KR20200055116 A KR 20200055116A KR 102220519 B1 KR102220519 B1 KR 102220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lange
coupling
piping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철
Original Assignee
김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철 filed Critical 김경철
Priority to KR1020200055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양 배관용 덕트가 결합되고 양 배관용 덕트에 각각 용접형성된 플랜지부에 다수의 볼트공을 더 형성하여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용 덕트를 용이하게 연결하고 양 배관용 덕트의 플랜지부를 다수개의 볼트로 가압결합시 양 플랜지부의 사이에 삽입설치된 가스켓에 기밀성을 향시키도록한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는;
배관용 덕트와; 상기 배관용 덕트를 연이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용 덕트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하부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압홈부가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볼트가 결합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된 볼트공과; 상기 배관용 덕트가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용 덕트의 끝단과 결합공의 한쪽 끝단이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용 덕트의 끝단과 결합공의 한쪽 끝단이 용접으로 고정결합되면서, 상기 결합공의 반대편 한쪽 끝단과 배관용 덕트의 외측이 용접으로 고정결합되어 형성된 용접결합고정부와;, 양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관용 덕트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액체나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플랜지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중앙에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의 주변으로 상,하부면에는 상기 가압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가압홈부와 대응되는 갯수로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의 주변에 볼트결합공이 다수개로 형성되고, 양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개재 시 상기 용접결합고정부에 압착되어 상기 용접결합고정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가스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Flange assembly for pipe duct connection}
본 발명은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 배관용 덕트가 결합되고 양 배관용 덕트에 각각 용접형성된 플랜지부에 다수의 볼트공을 더 형성하여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용 덕트를 용이하게 연결하고 양 배관용 덕트의 플랜지부를 다수개의 볼트로 가압결합시 양 플랜지부의 사이에 삽입설치된 가스켓에 기밀성을 향시키도록한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9540호(2015년07월 20일 등록)『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관용 덕트(1)를 연이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1)의 끝단 접합부위에 서로 대응되게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1a)를 포함하는 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a)를 사이에 두고 일면이 대향되게 걸림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덕트(1)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끼움형 플랜지(110); 상기 플랜지부(1a) 사이에 개재되는 기밀유지용 가스켓(120); 및 상기 대향되게 배치된 끼움형 플랜지(110)의 타면에 양단이 제각기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걸고리(133)가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블록(131)으로 분할 형성되되, 체결부재(135)의 체결을 통해 상기 한 쌍의 끼움형 플랜지(110)를 가스켓(120) 측으로 가압 고정해주는 클램프(130);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형 플랜지(110)의 외주면에는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사분점에 클램프 체결용 평탄면(115);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클램프 체결용 평탄면(115) 중에서,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적어도 두 개의 평탄면(115)에는 상기클램프(130)의 체결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기준이 되는 마킹부(115a);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켓(120)은, 상기 가스켓 결합홈(111)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1부재(121);와 상기 제1부재(121)의 내주면에 단면이 'ㅛ'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1a) 중 어느 하나에 끼움 결합되는 제2부재(123);를 포함하되, 상기 제2부재(123)는 두 개의 돌출부 중 하나(123a)가 플랜지부(1a)의 접합면 사이에 개재되고, 나머지 하나(123b)는 상기 플랜지부(1a)와 끼움형 플랜지(110)의 일면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나머지 하나(123b)의 돌출부에는 상기 가스켓(120)의 끼움 결합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사분점에 절개홈(123c)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형 플랜지(110)의 외주면에는, 상기 덕트(1) 내부를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플랜지부(1a)의 접합부위로 누출되는지의 여부를 색상변화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해주는 누출감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누출감지수단은 아크릴수지 및 산(Acid)을 감지해주는 특수안료 재질을 포함하여 도장되는 도료이거나, 또는 상기 도료 성분을 포함하는 부착식 테이프인 것을 포함하는 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8933호(2020년03월 09일 등록)『원형 덕트 연결 구조』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원형 덕트 연결구조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원형 덕트를 서로 연결하는 각 단부에 일체로 각각 연장 형성되되, 원형 덕트의 외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각각 절곡 형성되도록 한 두 개의 절곡부; 원형 덕트 연결 시에 상기 절곡부의 내측 면 사이에 밀폐 형성되어, 원형 덕트 내부에서 이동되는 액체나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개스킷부; 평판 원형으로 형성되고, 원형 덕트가 삽입되도록 중앙에 삽입공을 각각 구비하며, 원형 덕트 연결 시에 삽입공을 통해 원형 덕트를 삽입하여 상기 절곡부의 외측 면에 각각 밀착 형성되도록 한 두 개의 플랜지부;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플랜지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절곡부의 외측 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스킷부가 상기 절곡부의 내측 면 사이에 밀폐되도록 상기 플랜지부 사이를 거치 체결하는 두 개의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절곡부의 가운데 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에 의해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플랜지부에 압력을 가할 때에 보강하기 위한 비딩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 사이를 거치 체결할 때에,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된 클램프홈에 삽입 고정되기 위한 클램프 돌기를 일측에 형성 구비하고, 관통공을 가운데 부분에 형성 구비한 두 개의
클램프; 및 상기 체결부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 사이를 거치 체결할 때에, 상기 클램프의 관통공을 관통해서 너트와 결합하여 상기 클램프 사이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는, 다른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 의해 플랜지부 사이를 거치 체결할 때에 서로 접촉되어, 상기 플랜지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거리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거리 형성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덕트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9540호(2015년07월 20일 등록)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8933호(2020년03월 09일 등록)
본 발명은 배관용 덕트의 상,하단에 용접결합고정부로 각각 고정설치된 플랜지부와, 양 플랜지부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에 결합되는 볼트로 인해 서로 결합되어 양 플랜지부의 사이에 삽입결합된 가스켓으로 구성하여서, 다수의 배관용 덕트를 연이어 구성시 배관용 덕트의 플랜지부를 다수개의 볼트들로 결합하여 다수의 배관용 덕트를 서로 신속하고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배관덕트의 하단에 용접고정된 플랜지부의 상부면에 걸림홈과 그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용 덕트의 상단에 용접고정형성된 플랜지부의 하부와, 배관용 덕트의 하단에 용접고정형성된 플랜지부의 상,하부에 가압홈부들을 각각 형성하여 상,하단의 플랜지부를 다수개의 볼트들로 가압결합고정되게 구성하여서 상,하단의 플랜지부가 다수 볼트들로 서로 가압결합되어서, 상,하단의 플랜지부의 가압홈부들이 상,하단의 플랜지부의 사이에 삽입결합된 가스켓의 상,하부를 가압하여 가압홈부들의 내부에 가스켓의 상,하부면이 삽입되어 가스켓이 상,하단의 플랜지부의 사이에서 고압의 액체 및 기체의 압력으로 인해 상,하단 플랜지부의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게 기밀하게 안정적으로 결합고정되며, 가스켓에 대한 기밀성을 한층 더 향상시켜서 배관용 덕트에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 및 기체의 누설을 원초적으로 방지하도록 한 새로운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배관용 덕트와; 상기 배관용 덕트를 연이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용 덕트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하부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압홈부가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볼트가 결합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된 볼트공과; 상기 배관용 덕트가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용 덕트의 끝단과 결합공의 한쪽 끝단이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용 덕트의 끝단과 결합공의 한쪽 끝단이 용접으로 고정결합되면서, 상기 결합공의 반대편 한쪽 끝단과 배관용 덕트의 외측이 용접으로 고정결합되어 형성된 용접결합고정부와;, 양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관용 덕트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액체나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플랜지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중앙에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의 주변으로 상,하부면에는 상기 가압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가압홈부와 대응되는 갯수로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의 주변에 볼트결합공이 다수개로 형성되고, 양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개재 시 상기 용접결합고정부에 압착되어 상기 용접결합고정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가스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배관용 덕트의 상,하단에 용접결합고정부로 각각 고정설치된 플랜지부와, 양 플랜지부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공에 결합되는 볼트로 인해 서로 결합되어 양 플랜지부의 사이에 삽입결합된 가스켓으로 구성하여서, 다수의 배관용 덕트를 연이어 구성시 배관용 덕트의 플랜지부를 다수개의 볼트들로 결합하여 다수의 배관용 덕트를 서로 신속하고 간단하게 연결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용 덕트의 상단에 용접고정형성된 플랜지부의 하부와, 배관용 덕트의 하단에 용접고정형성된 플랜지부의 상,하부에 가압홈부들을 각각 형성하여 상,하단의 플랜지부를 다수개의 볼트들로 가압결합고정되게 구성하여서 상,하단의 플랜지부가 다수 볼트들로 서로 가압결합되어서, 상,하단의 플랜지부의 가압홈부들이 상,하단의 플랜지부의 사이에 삽입결합된 가스켓의 상,하부를 가압하여 가압홈부들의 내부에 가스켓의 상,하부면이 삽입되어 가스켓이 상,하단의 플랜지부의 사이에서 고압의 액체 및 기체의 압력으로 인해 상,하단 플랜지부의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게 기밀하게 안정적으로 결합고정되며, 가스켓에 대한 기밀성을 한층 더 향상시켜서 배관용 덕트에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 및 기체의 누설을 원초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덕트에 구비된 플랜지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압홈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부의 다른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부에 형성된 삽입관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덕트의 사각체의 실시예도.
도 12 및 도 13은 종래의 배관덕트의 플랜지조립체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이고,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덕트에 구비된 플랜지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압홈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부의 다른실시예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부에 형성된 삽입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덕트의 사각체의 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는 배관용 덕트(10)와, 플랜지부(20)와, 용접결합고정부(40)과, 가스켓(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관용 덕트(1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관용 덕트(10)는 주로 스테인리스강 이루어지고, 특히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 또는 기체의 유기성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내부면에 불소 코팅을 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배관용 덕트(10) 사이의 틈으로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유체 또는 기체의 유기성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후술되는 다수개의 볼트(b)들로 상기 배관용 덕트(10)와 상기 배관용 덕트(10)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20)는 상기 배관용 덕트(10)를 연이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용 덕트(10)가 삽입되는 결합공(21a)이 중앙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용 덕트(10)와, 상기 결합공(21a)의 서로 맞닿는 부위에 용접수단으로 용접고정하여 후술되는 용접결합고정부(40)를 형성하여 준다.
이러한 상기 플랜지부(2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20)의 하부면에 적어도 2개이상의 가압홈부(2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플랜지부(20)의 하부면에 2개의 상기 가압홈부(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플랜지부(2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가스켓(50)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플랜지부(2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상기 가압홈부(21)의 갯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가압홈부(21)들은 상기 배관용 덕트(10)에 용접설치된 상기 플랜지부(20)와 또 다른, 상기 배관용 덕트(10)에 용접설치된 상기 플랜지부(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가스켓(50)의 상,하부면을 가압하여 주는데, 이때,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상기 플랜지부(20)와 또 다른,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상기 플랜지부(20)에 다수개의 볼트들로 관통결합되어 양 상기 플랜지부(20)를 서로 가압결합하여 양 상기 플랜지부(20)의 사이의 가스켓(50)의 상,하부면을 가압하여준다.
그러므로 양 상기 플랜지부(20)의 가압결합으로 인해 상기 가스켓(50)의 일부분이 양 상기 플랜지부(20)의 가압력으로 인해 상기 가압홈부(21)에 완전히 압착삽입되어서 상기 가압홈부(21)들에 삽입압착된 상기 가스켓(50)은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끝단에 용접설치된 상기 플랜지부(20)와 또 다른, 상기 배관용 덕트(10)에 용접설치된 상기 플랜지부(20)의 사이에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밀착결합고정되게 하여준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50)이 가압압착 삽입된 상기 가압홈부(21)들에 의해 상기 배관용 덕트(10)에 용접설치된 상기 플랜지부(20)와 또 다른, 상기 배관용 덕트(10)에 용접설치된 상기 플랜지부(20)의 사이에서 고압의 유체 및 기체가 누출되지 않는 유체 또는 기체에 대한 기밀성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끝단에 후술되는 상기 용접결합고정부(40)에 의해 수평으로 용접설치된 상기 플랜지부(20)와, 또 다른,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끝단에 상기 용접결합고정부(40)에 의해 수평으로 용접설치된 상기 플랜지부(20)의 사이에 후술되는 가스켓(50)이 설치되어서, 상기 배관용 덕트(10)에 용접형성된 상기 플랜지부(20)와, 또 다른, 상기 배관용 덕트(10)에 용접형성된 상기 플랜지부(20)의 사이 유체 또는 기체의 유기성분이 누출되지 않게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배관용 덕트(10)에 용접설치된 상기 플랜지부(20)의 면적부가 넓을수록 상기 가스켓(50)의 결합면적이 넓어져서 면적부가 넓은 상기 플랜지부(20)가 상기 가스켓(50)에 보다 손쉽게 결합되어 양 플랜지부(20)의 사이에 유체 또는 기체에 대한 기밀성을 높일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볼트공(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볼트공(30)은 상기 플랜지부(20)에 볼트(31)가 결합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양 상기 플랜지부(20)의 사이에 후술되는 가스켓(50)이 설치되고 난 다음에 양 상기 플랜지부(20)가 결합되고, 이 결합된 양 상기 플랜지부(20)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30)들과 상기 가스켓(50)에 형성된 상기 볼트결합공(53)들에 볼트(31)가 각각 삽입결합되어 양 상기 플랜지부(20)를 서로 가압결합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부(20)에 다수개의 상기 볼트공(30)들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공(30)들에 결합되는 상기 볼트(31)들에 의해 양 상기 플랜지부(20)는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러므로, 양 상기 플랜지부(20)의 사이에 삽입결합된 상기 가스켓(50)과, 양 상기 플랜지부(20)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볼트공(30)들 및 상기 볼트결합공(53)들에 상기 볼트(31)가 각각 삽입결합되어 고정하여서,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상기 플랜지부(20)를 다수개의 상기 볼트(31)들로 안정 및 신속하고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용접결합고정부(40)는 상기 배관용 덕트(10)가 결합공(21a)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끝단과 결합공(21a)의 한쪽 끝단이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끝단과 결합공(21a)의 한쪽 끝단이 용접수단의 용접으로 고정결합되면서, 상기 결합공(21a)의 반대편 한쪽 끝단과 배관용 덕트(10)의 외측이 용접수단의 용접으로 고정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스켓(5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스켓(50)은 양 상기 플랜지부(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고압의 액체나 기체가 외부로 누설 또는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스켓(50)은 결합면적이 넓게형성된 상기 플랜지부(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20)와 상기 가스켓(50)의 배관용 덕트(10)에 기밀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스켓(50)의 상기 연통공(51)은 상기 배관용 덕트(10)에 형성된 연통배기공(11)과 일치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0)에 다수개로 형성된 상기 볼트공(30)들과 일치되게 상기 가스켓(50)에 볼트결합공(53)이 다수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볼트공(30)과 상기 볼트결합공(53)에는 볼트(31)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스켓(50)의 중앙에 연통공(5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통공(51)의 주변으로 상기 가스켓(50)의 상,하부면에는 상기 가압홈부(21)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가압홈부(21)와 대응되는 갯수로 결합돌기(5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압홈부(21)가 복수개로 형성되면, 상기 가압홈부(21)에 갯수에 맞춰 강기 가스켓(50)의 상,하부면에 복수개의 상기 결합돌기(5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가스켓(50)의 상,하부면에 상기 결합돌기(52)들이 형성되는 것은,
양 상기 플랜지부(20)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30)에 각각 삽입결합되는 상기 볼트(31)들에 의해 양 상기 플랜지부(20)가 서로 가압결합하여 주면, 상기 플랜지부(20)에 형성된 상기 가압홈부(21)들과 일치되어 결합되어지는 상기 가스켓(50)의 상기 결합돌기(52)들이 상기 가압홈부(21)에 각가가 삽입결합되어서 상기 배관용 덕트(10)에 용접되어 수평으로 설치된 상기 플랜지부(20)와, 또 다른, 상기 배관용 덕트(10)에 용접되어 수평으로 설치된 상기 플랜지부(20)의 사이에서 상기 가스켓(50)이 상기 가압홈부(21)들 및 상기 결합돌기(52)들로 유동없이 더욱더 안정적으로 결합고정되게 하여준다.
또한, 상기 가스켓(50)은 양 상기 플랜지부(20)의 사이에 개재 시, 상기 용접결합고정부(40)에 압착되어 상기 용접결합고정부(40)가 삽입되는 삽입홈(55)이 억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홈부(21)들 및 상기 결합돌기(52)들의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가압압착된 결합력과, 상기 삽입홈(55) 및 용접결합고정부(40)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배관용 덕트(10)에 용접설치된 상기 플랜지부(20)와 또 다른 상기 배관용 덕트(10)에 용접설치된 상기 플랜지부(20)의 사이는 고압의 유체 및 기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유체 또는 기체에 대한 기밀성이 높아진다.
삭제
한편,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끝단 접합부위에 서로 대응되게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20a)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끝단이 외측으로 수평절곡 형성된 플랜지부(20a)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20a)는 결합면적이 넓게 형성되고, 이 상기 플랜지부(20a)의 결합면적과 대응되게 가스켓(40)으로 형성하여 배관용 덕트(10)에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플랜지부(20a)의 하부면에 적어도 2개이상의 가압홈부(2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0a)에 다수개의 볼트공(30)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공(30)들에 각각 삽입되는 볼트(31)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양 상기 플랜지부(20a)의 사이에 후술되는 가스켓(50)이 설치되고 난 다음에 양 상기 플랜지부(20a)는 결합되고, 이 결합된 양 상기 플랜지부(20a)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30)들 및 상기 볼트결합공(53)들에 볼트(31)가 각각 삽입결합되어 양 상기 플랜지부(20a)를 서로 가압결합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부(20a)에 다수개의 상기 볼트공(30)들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공(30)들에 결합되는 상기 볼트(31)에 의해 양 상기 플랜지부(20a)를 신속하고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볼트(31)는 양 상기 플랜지부(20a)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30)과, 양 상기 플랜지부(20a)의 사이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상기 가스켓(50)의 상기 볼트결합공(53)에 결합되고 난 다음에 양 상기 플랜지부(20a)중 하부의 상기 플랜지부(20a)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30)에 삽입되고 난 다음에 하부의 상기 플랜지부(20a)에 구비된 상기 플랜지부(20a)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30)의 하부에 노출부위에 너트(54)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끝단이 외측으로 수평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20a)와, 이 상기 플랜지부(20a)는 결합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부(20a)의 하부면에 적어도 2개이상의 가압홈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20)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상기 볼트공(30)들을 형성되는 것은,
상기 플랜지부(20a)는 상기 배관용 덕트(10)를 연이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끝단 접합부위에 서로 대응되게 직각으로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끝단에 연장되어 절곡형성된 상기 플랜지부(20a)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공(30)들에 볼트(31)를 각각 결합하여 양 상기 플랜지부(20a)를 서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플랜지부(20a)를 갖는 다수의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연결으로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양 상기 플랜지부(20a)의 상,하부에 복수개이상의 상기 가압홈부(21)들을 형성하여 양 상기 플랜지부(20a)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가스켓(50)의 상,하부면에 상기 가압홈부(21)들이 더욱 가압압착되게 하여서, 양 상기 플랜지부(20a)의 사이에 상기 가스켓(50)으로 유체 또는 기체의 유기성분이 누출되지 않게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배관용 덕트(10)가 원형체로 형성될 경우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상기 플랜지부(20a)는 원형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20a)에 결합되는 상기 가스켓(50)도 또한 원형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관용 덕트(10)가 사각체로 형성될 경우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상기 플랜지부(20)는 사각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20)에 결합되는 상기 가스켓(50)도 또한 사각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21a)의 외측둘레 상부에 수직으로 기립되어 일체로 형성된 삽입관부(60)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관부(60)의 상단과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용접결합고정부(40)가 용접수단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삽입관부(60)가 용접수단에 의해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외측둘레에 용접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결합공(21a)의 외측둘레 상부에 수직으로 기립되어 일체로 형성된 삽입관부(60)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플랜지부(20)가 상기 삽입관부(60)로 인해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외측둘레에 보다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결합고정되게 하여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관용 덕트(10)를 연이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끝단이 외측으로 수평 절곡 형성되고, 결합면적을 넓게 형성되며, 하부면에 적어도 2개이상의 가압홈부(21)가 형성된 절곡결합부(20b)로 구성된다.
상기 절곡결합부(20b)를 사이에 두고 일면이 대향되게 걸림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용덕트(10)의 외주연에 결합되게 적어도 한 쌍으로 구비된 결합삽입플랜지(30a)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삽입플랜지(30a)에는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외주연이 삽입되게 중앙에 중앙결합공(2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삽입플랜지(30a)의 외측둘레에 볼트(31)가 결합되는 볼트공(30)이 다수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볼트공(30)에 삽입되는 상기 볼트(31)는 상기 볼트공(30)에 관통삽입되어 하부에 노출되는 상기 볼트(31)의 하단에 너트(54)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양 상기 절곡결합부(20b)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내부에서이동되는 액체나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결합면적이 넓게 형성된 상기 절곡결합부(20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스켓(5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결합면적이 넓게 형성된 상기 절곡결합부(20b) 및 가스켓(50)으로 구성하여 상기 배관용 덕트(10)에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앙결합공(22)의 상부외측둘레에 수직으로 기립되어 일체로 형성된 삽입관부(6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상기 절곡결합부(20b)와, 또 다른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상기 절곡결합부(20b)의 사이에 상기 가스켓(50)이 위치하여 1차로 결합하고 난 다음에 다시 양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외측둘레에 각각 삽입결합되는 상기 결합삽입플랜지(30a)로 구성되고, 양 상기 결합삽입플랜지(30a)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30)에 상기 볼트(31) 및 상기 너트(54)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은, 상,하부의 상기 배관용 덕트(10)를 보다 유동없이 기밀하게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양 상기 배관용 덕트(10)에 형성된 상기 절곡결합부(20b)의 사이 위치하여 결합되는 상기 가스켓((50)의 액체 및 기체에 대한 기밀성의 효과를 안정적으로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중앙결합공(22)의 상부외측둘레에 수직으로 기립되어 일체로 형성된 삽입관부(60)를 더 구성하는 것은, 상기 플랜지부(20)가 상기 삽입관부(60)로 인해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외측둘레에 보다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결합고정되게 하여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배관용 덕트 20,20a: 플랜지부
20b: 절곡결합부 21: 가압홈부
21a: 결합공 22: 중앙결합공
30: 볼트공 31: 볼트
40:용접결합고정부 50: 가스켓
51: 연통공 52: 결합돌기
53: 볼트결합공 60: 삽입관부

Claims (6)

  1. 배관용 덕트(10)와;
    상기 배관용 덕트(10)를 연이어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배관용 덕트(10)가 삽입되는 결합공(21a)이 중앙에 형성되고, 하부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압홈부(21)가 형성된 플랜지부(20)와;
    상기 플랜지부(20)에 볼트(31)가 결합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된 볼트공(30)과;
    상기 배관용 덕트(10)가 결합공(21a)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끝단과 결합공(21a)의 한쪽 끝단이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끝단과 결합공(21a)의 한쪽 끝단이 용접으로 고정결합되면서, 상기 결합공(21a)의 반대편 한쪽 끝단과 배관용 덕트(10)의 외측이 용접으로 고정결합되어 형성된 용접결합고정부(40)와;,
    양 상기 플랜지부(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배관용 덕트(1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액체나 기체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플랜지부(20)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중앙에 연통공(51)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51)의 주변으로 상,하부면에는 상기 가압홈부(21)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가압홈부(21)와 대응되는 갯수로 결합돌기(5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52)의 주변에 볼트결합공(53)이 다수개로 형성되고, 양 상기 플랜지부(20)의 사이에 개재 시 상기 용접결합고정부(40)에 압착되어 상기 용접결합고정부(40)가 삽입되는 삽입홈(55)이 형성되는 가스켓(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55116A 2020-05-08 2020-05-08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KR102220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16A KR102220519B1 (ko) 2020-05-08 2020-05-08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16A KR102220519B1 (ko) 2020-05-08 2020-05-08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519B1 true KR102220519B1 (ko) 2021-02-24

Family

ID=7468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116A KR102220519B1 (ko) 2020-05-08 2020-05-08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790B1 (ko) * 2022-05-16 2023-06-30 주식회사인하글로텍 사일로용 빈엑티베이터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8549A (ja) * 1981-10-21 1983-04-23 Hino Motors Ltd シ−ル方法
JPS6235193A (ja) * 1985-08-07 1987-02-16 日揮株式会社 フランジ接続部の密封用ガスケツト及び密封方法
KR20030060561A (ko) * 2002-01-09 2003-07-16 강석자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200396405Y1 (ko) * 2005-07-06 2005-09-21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플랜지관
KR101539540B1 (ko) 2014-10-08 2015-07-24 주식회사 비비테크 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KR101791943B1 (ko) * 2016-12-02 2017-11-01 주식회사 아이엠디 유기배기 덕트 연결 구조
KR101805790B1 (ko) * 2016-09-01 2017-12-07 지엘테크 (주) 패킹이 구비된 파이프 이음장치
KR102088933B1 (ko) 2019-06-28 2020-03-16 (주)비산이앤씨 원형 덕트 연결 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8549A (ja) * 1981-10-21 1983-04-23 Hino Motors Ltd シ−ル方法
JPS6235193A (ja) * 1985-08-07 1987-02-16 日揮株式会社 フランジ接続部の密封用ガスケツト及び密封方法
KR20030060561A (ko) * 2002-01-09 2003-07-16 강석자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200396405Y1 (ko) * 2005-07-06 2005-09-21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플랜지관
KR101539540B1 (ko) 2014-10-08 2015-07-24 주식회사 비비테크 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KR101805790B1 (ko) * 2016-09-01 2017-12-07 지엘테크 (주) 패킹이 구비된 파이프 이음장치
KR101791943B1 (ko) * 2016-12-02 2017-11-01 주식회사 아이엠디 유기배기 덕트 연결 구조
KR102088933B1 (ko) 2019-06-28 2020-03-16 (주)비산이앤씨 원형 덕트 연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790B1 (ko) * 2022-05-16 2023-06-30 주식회사인하글로텍 사일로용 빈엑티베이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2414A (en) Joint for coaxial pipe
US9249909B2 (en) Seal structure for flow-path connection part
KR101539540B1 (ko) 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JPH05602Y2 (ko)
US4576401A (en) Leak repair clamp
US20120279601A1 (en) Pipe Repair Device
KR102220519B1 (ko)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US4184785A (en) Axially bolted flange joint
KR102088933B1 (ko) 원형 덕트 연결 구조
JP3162992U (ja) 管継手のガスケット
KR101367655B1 (ko) 무용접 플렉시블 조인트
KR102231734B1 (ko)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에 걸림홈과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US4550921A (en) Ring joint gasket
JP2016205566A (ja) 無溶接フランジ管継手
US3635503A (en) Band clamp with service outlet
CN211738331U (zh) 优良密封效果的密封圈
KR100819949B1 (ko) 원형덕트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20010000770A (ko) 플랜지관용 가스켓
KR20160128012A (ko) 내부 압력에 의한 기밀 증가형 가스켓 및 그를 위한 플랜지 배관
KR20190091172A (ko) 파이프 배관용 2단 플랜지
WO2020119655A1 (zh) 一种管道快连卡箍
CN215173036U (zh) 一种燃气接线管件
CN217207955U (zh) 密封连接结构及四通阀
CN218326681U (zh) 一种快速装拆的卡箍式管接头装置
CN217130660U (zh) 管接头组件和气体检测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