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785Y1 - 벨크립식 내충격 수도관 - Google Patents

벨크립식 내충격 수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785Y1
KR200235785Y1 KR2020000036569U KR20000036569U KR200235785Y1 KR 200235785 Y1 KR200235785 Y1 KR 200235785Y1 KR 2020000036569 U KR2020000036569 U KR 2020000036569U KR 20000036569 U KR20000036569 U KR 20000036569U KR 200235785 Y1 KR200235785 Y1 KR 2002357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groove
bell
rubber packing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호
Original Assignee
장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호 filed Critical 장동호
Priority to KR2020000036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7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7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785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관을 보호하기 위한 보강된 이음부를 갖는 내충격 수도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음부 내부에 고무패킹 삽치홈을 이중으로 형성하고, 그 홈에 몸체와 날개부를 갖는 패킹을 삽치한 후, 상기 삽치홈의 외주면의 이중턱상에 이중턱과 같은 형상의 홈을 갖는 벨크립 고정링을 결합하여 이음부를 보강한 벨크립이 고정링과 고무패킹을 갖는 벨크립식 내충격 수도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벨크립식 내충격 수도관{Bell-Clip Type Shockproof Water Pipe}
본 고안은 외부의 충격이나 내부 수돗물의 압력으로부터 이음부를 보호하기 위한 내충격 수도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도관 내부의 이음부에 형성되는 고무패킹 삽치홈을 이중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몸체부와 날개부로 이루어진 고무패킹을 삽치고정하며, 상기 삽치홈의 외부형태인 이중턱상에 이중턱 형상의 홈을 갖는 벨클립의 고정링을 결합시킨 내충격 수도관에 관한 것이다.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다리등을 통과하여 설치해야 하는 수도관의 경우 노출된 상태로 다리 상판의 하부나 교각 상단, 그리고 지하도나 지하철 통로의 한쪽 구석에 지지부재에 의해 매달아 설치하였다.
상기 수도관은 일반적으로 PVC 파이프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PVC 파이프의 연결부는 통상적으로 결합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외경과 결합되는 파이프의 내경을 동일하게 하거나 좀 작게하여 밀착되도록 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수도관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수 가압장과 같이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높은 지역에서는 이음부가 벌어져 공급되는 물이 누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음부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돗물 공급을 중단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충격 수도관의 연결부를 다른 내충격 수도관을 삽치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 후, 그 끝단 관내부에 고무 패킹을 삽치시킬 수 있는 이중 홈을 형성하며, 상기 고무 패킹 삽치 홈에 끝부분이 안팎으로 벌어진 날개를 갖는 고무 패킹을 삽치고정하고, 상기 삽치홈의 외형을 이루는 이중턱 상에 이중턱과 같은 형상의 이중홈을 갖는 벨클립의 고정링을 결합시킨 내충격 수도관을 제공함으로써 수도관의 이음부에 패킹이 완전히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역류되는 물의 압력에 따라 상기 고무 패킹의 날개가 안팍으로 벌어져 고무 패킹 삽치홈에 더욱 밀착되도록 하며, 공급되는 물의 압력으로부터 수도관의 이음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도관 이음부를 보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단에 다른 수도관을 연결할 수 있는 이음부를 갖는 수도관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삽입되는 수도관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가지며, 일단의 관내부에는 고무패킹을 삽치 고정하기 위한 고무패킹 삽치홈이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무패킹 삽치홈의 관 외주면은 돌출된 이중턱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중턱은 그 형상과 동일한 이중홈을 갖는 벨크립의 고정링에 의해 고정되는 벨크립과 고무패킹을 갖는 벨클립식 내충격 수도관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벨크립식 내충격 수도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벨크립식 내충격 수도관에 삽치고정되는 고무패킹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벨크립식 내충격 수도관에 결합되는 벨크립의 고정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내충격 수도관에 도4의 고정링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벨크립식 내충격 수도관에 결합되는 벨크립의 고정링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내충격 수도관에 도5의 고정링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충격 수도관 11 : 이음부
12 : 고무패킹 삽치홈 13 : 이중턱
20 : 고무패킹 21 : 몸체
22 : 연결되는 수도관 밀착돌기 23 : 외날개
24 : 내날개 30,40 : 벨크립의 고정링
31 : 이중홈 41 : 이중턱 결합부
42 : 수도관 결합부 43 : 지지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벨클립식 내충격 수도관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수도관(10)은 다른 수도관을 연결하기 위한 이음부(11)를 갖는다.
상기 이음부(11)는 연결되는 수도관(10)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이음부(11)의 개방된 단의 관 내부에는 고무패킹을 삽입하기 위한 고무패킹 삽치홈(12)이 형성되는데, 이 삽치홈(12)은 후술하는 고무패킹(20)이 삽치 고정될 수 있도록 이중홈 형태로 형성한다. 상기 삽치홈(12)은 고무패킹 몸체(21)가 삽치되며 이음부(11)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1홈과, 상기 고무패킹의 날개부가 안치되며 제1홈의 안쪽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제2홈을 가지며, 상기 삽치홈(12)의 관외주면에는 제1홈과 제2홈이 형성된 곳이 각각 돌출되어 이중턱(13)을 갖게 된다.
도2는 상기 수도관(10)의 고무패킹 삽치홈(12)에 삽치고정되는 고무패킹(20)을 나타낸 것으로, 이 고무패킹(20)은 몸체(21)와 날개부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1)는 상기 내충격 수도관(10)의 이음부(11) 내면에 형성된 이중홈의 고무패킹 삽치홈(12) 제1홈에 삽치되어 밀착 고정되고, 날개부는 상기 삽치홈(12)의 제2홈에 안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21)의 내면에는 이음부(11)로 삽입되어 고무패킹(20)을 통과하는 타 수도관의 외면을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돌기(22)가 형성되어 있어 수도관 연결시 이음부(11)로 수도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내날개(24)와 외날개(23)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높은 수압에 의해 날개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홈과 삽입된 파이프의 사이의 간격이 좁아 상기 날개들이 서로 접촉하여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고, 수압에 의해 내날개와 외날개 사이가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구형상의 구면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날개(24)는 몸체(21)로부터 안쪽으로 내경을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연결되는 타 수도관을 더욱 밀착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상기 고무패킹을 이음부의 삽치홈에 체결하는 방법은 고무패킹의 몸체부를 변형시켜 상기 삽치홈의 제1홈에 위치시킨 후, 변형을 가한 힘을 풀어 복구시킴으로써 몸체가 제1홈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날개부가 삽치홈의 제2홈에 안치되어 상기 날개부의 외날개와 내날개가 변형되지 않고 펼쳐지도록 한다.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된 고무패킹의 외날개(23)는 수도관 내부로 물이 유입디고, 수도간을 통과하는 수압에 의해 물이 역류되는 압력에 의해 외날개는 제2삽치홈이 형성된 이음부 내벽에 밀착되고, 내날개는 이어진 수도관의 외벽에 밀착되어 이음부와 이어진 수도관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킴으로써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즉 물의 압력이 증가하면 할 수록 상기 외날개(23)와 내날개(24)는 더욱 벌어져 외날개(23)는 이음부의 삽치홈(12) 벽면에, 그리고 내날개(24)는 연결된 타 수도관 외주면에 더욱 밀착함으로써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수도관과 패킹이 견딜 수 있는 압력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립의 고정링을 구성하여 이음부로의 누수나 수도관의 파열을방지할 수 있다.
도3은 상기 이음부의 결속력을 보강하고 연결된 수도관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벨크립을 구성하는 고정링(30)나타낸 것으로서, 직선으로 연결되는 수도관의 이음부(11)의 외주부에 형성된 이중턱(13)상에서 결합시키기 위해 내부에 이중턱(13)과 같은 형상의 이중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해 결합되고 결합부분에 같은 형상의 걸림돌기를 갖는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벨클립식 내충격 수도관은 상기 벨크립의 결합링을 이음부에 삽입되는 수도관에 결합 또는 삽입하여 체결하고, 결합링이 체결된 수도관이 삽입된 이음부에는 고정링을 결합링을 결합한다. 이때, 결합링의 체결과 함께 결합된 지지간을 고정링에 체결함으로써 벨클립식 내충격 수도관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벨클립식 내충격 수도관에 설치되는 벨클립의 고정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벨클립식 내충격 수도관의 이음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수도관 이음부의 이중턱(13)에 체결되는 이중턱 결합부(41)와, 상기 이음부 시단과 체결되는 수도관 결합부(42)와, 상기 이중턱 결합부(41)와, 수도관 결합부(42)를 연결하며, 이음부 전체를 부분적으로 감싸 주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지지부재(43)로 구성된다.
상기 도5의 벨클립의 고정링은 도6과 같이 설치되어 수도관 이음부가 내부 유수의 압력으로부터 벌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벨클립의 고정링은 금속제에 의해 제조되고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어 이음부의 패킹 부위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내부의 유체압력이 증가하더라도 이음부의 벌어짐이나 누수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도 수도관을 보호할 수 있데 된다.
즉, 교각이나 지하도와 같이 노출 수도관을 형성할 수 밖에 없는 위치에 사용되어 내부의 물 압력을 최대로 견딜 수 있는 견고한 내충격 수도관을 제공한다.

Claims (4)

  1. 일단에 다른 수도관을 연결할 수 있는 이음부를 갖는 수도관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삽입되는 수도관의 외경과 같은 내경을 가지며, 일단의 관 내부에는 고무패킹을 삽치고정하기 위해 이음부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1홈과, 상기 제1홈의 안쪽으로 연이어 형성된 제2홈으로 이루어진 고무패킹 삽치홈과, 상기 고무패킹 삽치홈의 관 외주면에는 돌출된 이중턱을 형성하고;
    상기 고무패킹 삽치홈의 제1홈에 삽치되는 몸체와, 삽치홈의 제2홈에 안치되는 날개부로 이루어진 고무패킹과;
    상기 이중턱 상에 결합되는 벨클립의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립의 고정링과 고무패킹을 갖는 벨클립식 내충격 수도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의 몸체는 내면에 삽입되는 수도관을 밀착시키기 위한 밀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는 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2홈의 내벽쪽으로 위치하는 외날개와, 연결되는 수도관 방향으로 위치하는 내날개와, 상기 외날개와 내날개 사이에 형성되어 외날개와 내날개가 접촉하거나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클립의 고정링과 고무패킹을 갖는 벨클립식 내충격 수도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 관 외주면의 이중턱 상에 결합되는 벨클립의 고정링은 고정링 내부의 형상이 상기 이중턱과 같은 형상의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크립의 고정링과 고무패킹을 갖는 벨클립식 내충격 수도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클립의 고정링은 수도관 이음부의 이중턱상에 체결되는 이중턱 결합부와,
    상기 수도관의 이음부가 시단에 체결되는 수도관 결합부와, 그리고
    상기 이중턱 체결부와 수도관 체결부를 연결하며 이음부를 감싸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클립의 고정링과 고무패킹을 갖는 벨클립식 내충격 수도관.
KR2020000036569U 2000-12-27 2000-12-27 벨크립식 내충격 수도관 KR2002357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569U KR200235785Y1 (ko) 2000-12-27 2000-12-27 벨크립식 내충격 수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569U KR200235785Y1 (ko) 2000-12-27 2000-12-27 벨크립식 내충격 수도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785Y1 true KR200235785Y1 (ko) 2001-09-29

Family

ID=7309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569U KR200235785Y1 (ko) 2000-12-27 2000-12-27 벨크립식 내충격 수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78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276B1 (ko) 2006-09-01 2007-03-29 주식회사 평화 벨클립식 내충격 수도관
KR101007442B1 (ko) 2010-04-02 2011-01-12 김진희 관 연결장치
CN109268614A (zh) * 2018-10-23 2019-01-25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一种拆除管道用导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276B1 (ko) 2006-09-01 2007-03-29 주식회사 평화 벨클립식 내충격 수도관
KR101007442B1 (ko) 2010-04-02 2011-01-12 김진희 관 연결장치
CN109268614A (zh) * 2018-10-23 2019-01-25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一种拆除管道用导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3530A (en) Grab rings
RU2404390C2 (ru)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муфта
CA2463004C (en) Pipe coupling device
US7552949B2 (en) Joint restraint for pipe fittings
EP1832793A2 (en) Pipe coupling with a grip washer
EP1394460B1 (en) Flexible pipe joint
US6899359B2 (en) Means for coupling conduit
EP1669658B1 (en) Connection sleeve for pipe branches
KR200235785Y1 (ko) 벨크립식 내충격 수도관
CN1973161A (zh) 与线锁系统耦合的螺纹管接头
KR100944383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KR200430628Y1 (ko) 환형케이스를 구비하는 파이프 커플링
JP4058189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継手構造
JP4162063B2 (ja) 管接続装置
KR20130008167A (ko) 파형관 연결구조
KR100665208B1 (ko) 연결관
JPH0561512B2 (ko)
JP2003097775A (ja) プラスチック管の離脱防止リング
KR200234951Y1 (ko)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JP3402171B2 (ja) 離脱防止形管継手
ES2208760T3 (es) Montaje de aseguramiento de tuerca de abocardado estanco al fluido.
KR200389223Y1 (ko) 관 연결 구조
KR200318955Y1 (ko) 관 조인트의 구조
KR200377859Y1 (ko)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