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494Y1 -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 - Google Patents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494Y1
KR200339494Y1 KR20-2003-0034890U KR20030034890U KR200339494Y1 KR 200339494 Y1 KR200339494 Y1 KR 200339494Y1 KR 20030034890 U KR20030034890 U KR 20030034890U KR 200339494 Y1 KR200339494 Y1 KR 2003394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pipe
support means
sewag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백현
Original Assignee
최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백현 filed Critical 최백현
Priority to KR20-2003-0034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4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4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4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에 관한 것으로, 상측 중앙에 덮개(1)가 설치된 맨홀(2)의 일측 또는 양측 벽부에 일정길이를 갖는 지수단관 몸체(3)의 일단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지수단관 몸체(3)의 타측 단부에 파이프 연결구(4)를 이용하여 하수관(5)이 연결되는 지수단관(6)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맨홀(2)의 벽부에 삽입되는 상기 지수단관 몸체(3)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플랜지(7)가 일체로 형성되어 맨홀(2) 콘크리트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로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지수단관의 맨홀 조립부에 일정 높이를 갖는 플랜지 또는 압착링 및 고정링이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타설후에도 지수단관이 맨홀에 보다 견고한 상태로 고정되고, 콘크리트의 변형이나 외부 충격에 대해서도 지수단관이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맨홀의 누수현상을 차단할 수 있으며, 하수관과 지수단관의 연결시 그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맨홀에서 유출되는 하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수관에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A high density pipe for connecting a manhole and a sewage pipe}
본 고안은 맨홀에 고정되어 하수관을 연결하도록 된 지수단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맨홀을 성형하기 위한 콘크리트에 지수단관이 기밀을 유지하면서도 보다 견고하게 설치되어 맨홀의 누수를 방지함과 더불어 지수단관에 연결되는 하수관을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발생되는 빗물이나 하수도로 공급되는 물은 일단 매홀에 모인 후, 상기 맨홀의 측벽에 설치된 하수관을 통하여 하천으로 흘러가거나 혹은 정화시설로 공급되어 물이 정화된 상태에서 하천으로 흘러가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맨홀에는 지수단관이 고정되어 그 선단부에 상기 하수관이 연결되는 바, 상기 지수단관은 맨홀로부터 유출되는 물이 누수되지 않고 하수관에 전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결관으로서, 상기 맨홀을 성형할 때 맨홀의 측벽에 지수단관을 고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맨홀에 설치되는 지수단관의 종래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중앙에 덮개(101)가 설치된 맨홀(102)의 일측 또는 양측에 일정길이를 갖는 지수단관(103)이 고정설치되고, 이렇게 지수단관(103)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맨홀(102)을 이루는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맨홀(102)을 성형함과 동시에 지수단관(103)을 고정하게 되며, 상기 지수단관(103)의 타측 선단에 소켓 등과 같은 파이프 연결구(104)를 이용하여 하수관(105)을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맨홀(102)과 일체형으로 설치된 상기 지수단관(103)의 경우 일자형 관을 이루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에서 수축이 일어나 콘크리트와 지수단관(103) 사이에 틈이 생겨날 수 있고, 상기 맨홀(102)에 지수단관(103)이 견고한 상태로 조립되기 어렵기 때문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지수단관(103)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상기와 같이 맨홀(102)과 지수단관(103)이 기밀을 유지하며 조립되기 어렵기 때문에 맨홀(102)의 하수가 누수되거나 혹은 하수관(105)으로의 이송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제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맨홀을 성형하기 위한 콘크리트에 지수단관이 기밀을 유지하면서도 보다 견고하게 설치되어 맨홀의 누수를 방지함과 더불어 지수단관에 연결되는 하수관을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측 중앙에 덮개가 설치된 맨홀의 일측 또는 양측 벽부에 일정길이를 갖는 지수단관 몸체의 일단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지수단관 몸체의 타측 단부에 파이프 연결구를 이용하여 하수관이 연결되는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에 있어서, 상기 맨홀의 벽부에 삽입되는 상기 지수단관 몸체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맨홀 콘크리트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맨홀의 벽부에 삽입되는 지수단관 몸체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압착링이 고정설치되거나 혹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성형된 고정링이 상기 지수단관 몸체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융착에 의해 접합된 것이다.
또한, 상기 하수관과 연결되는 지수단관 몸체의 타측 단부에 소켓이 일체로 성형되어 이 소켓을 통해 하수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지수단관의 맨홀 조립부에 일정 높이를 갖는 플랜지 또는 압착링 및 고정링이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타설후에도 지수단관이 맨홀에 보다 견고한 상태로 고정되고, 콘크리트의 변형이나 외부 충격에 대해서도 지수단관이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맨홀의 누수현상을 차단할 수 있으며, 하수관과 지수단관의 연결시 그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맨홀에서 유출되는 하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수관에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맨홀의 지수단관을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을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수단관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수단관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수단관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수단관의 소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덮개 2 : 맨홀
3 : 지수단관 몸체 4 : 파이프 연결구
5 : 하수관 6 : 지수단관
7 : 플랜지 8 : 보울트
9 : 너트 10 : 압착링
11 : 고정링 12 : 소켓
13 : 접합압륜 14 : 고무링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수단관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수단관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수단관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수단관의 소켓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측 중앙에 덮개(1)가 설치된 맨홀(2)의 일측 또는 양측 벽부에 일정길이를 갖는 지수단관 몸체(3)의 일단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지수단관 몸체(3)의 타측 단부에 파이프 연결구(4)를 이용하여 하수관(5)이 연결되는 지수단관(6)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맨홀(2)의 벽부에 삽입되는 상기 지수단관몸체(3)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플랜지(7)가 일체로 형성되어 맨홀(2) 콘크리트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지수단관(6)은 맨홀(2)의 측벽에 고정되는 연결부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플랜지(7)가 형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바, 상기 플랜지(7) 대신에 보울트(8)와 너트(9)에 의해 압착링(10)을 지수단관(6)에 설치할 수 있고, 또한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링(11)을 지수단관(6)에 융착시켜 접합할 수 있으며, 상기 지수단관(6)과 하수관(5)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수단관(6)의 타측 선단에 소켓(12)이 일체로 성형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지수단관(6)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선단부에 하나 이상의 플랜지(7)가 형성된 상기 지수단관 몸체(3)를 맨홀(2) 거푸집의 측부에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맨홀(2) 성형과 동시에 지수단관(6)을 맨홀(2) 측벽에 고정시키는 바, 상기 플랜지(7)에 의해 지수단관(6)이 맨홀(2) 측벽에 요동없이 고정됨과 더불어 플랜지(7)의 높이를 통해 맨홀(2) 내부의 하수가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수단관(6)에 형성된 플랜지(7)는 맨홀(2) 측벽의 두께에 따라 그 수를 조절하여 누수 차단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수단관(6)의 타단에 연결되는 하수관(5)은 다양한 파이프 연결구(4)를 통해 연결하되, 소켓(12)과 접합압륜(13), 고무링(14), 보울트(8) 및 너트(9) 등을 이용하여 지수단관(6)과 하수관(5)을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조립하는 것이다.
한편, 도 3과 도 4는 상기 지수단관(6)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맨홀(2)의 벽부에 삽입되는 지수단관 몸체(3)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압착링(10)이 보울트(8)와 너트(9)를 통해 고정설치되거나, 혹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성형된 고정링(11)이 상기 지수단관 몸체(3)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압착링(10)과 고정링(11)이 플랜지(7)를 대신하여 맨홀(2)의 콘크리트와 결합됨으로써 누수 차단 및 지수단관(6)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와 도 6은 상기 지수단관(6)의 소켓(12)과 하수관(5)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하수관(5)과 연결되는 지수단관 몸체(3)의 타측 단부에 소켓(12)이 일체로 성형되어 이 소켓(12)을 통해 하수관(5)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인 바, 상기 지수단관(6)의 소켓(12)에 하수관(5)의 연결부를 삽입시키고, 접합압륜(13)과 고무링(14)을 이용하여 소켓(12)과 결합시킨 후, 보울트(8)와 너트(9)를 이용하여 상기 소켓(12)과 접합압륜(13)을 조립합으로써 상기 지수단관(6)에 하수관(5)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지수단관(6)의 플랜지(7)나 압착링(10) 및 고정링(11)에 의해 맨홀(2)과 지수단관(6)의 결합력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하수가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지수단관(6)에 일체로 형성된 소켓(12)을 이용하여 하수관(5)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에 의하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지수단관의 맨홀 조립부에 일정 높이를 갖는 플랜지 또는 압착링 및 고정링이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타설후에도 지수단관이 맨홀에 보다 견고한 상태로 고정되고, 콘크리트의 변형이나 외부 충격에 대해서도 지수단관이 기밀을 유지함으로써 맨홀의 누수현상을 차단할 수 있으며, 하수관과 지수단관의 연결시 그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맨홀에서 유출되는 하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수관에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상측 중앙에 덮개(1)가 설치된 맨홀(2)의 일측 또는 양측 벽부에 일정길이를 갖는 지수단관 몸체(3)의 일단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지수단관 몸체(3)의 타측 단부에 파이프 연결구(4)를 이용하여 하수관(5)이 연결되는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에 있어서,
    상기 맨홀(2)의 벽부에 삽입되는 상기 지수단관 몸체(3)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플랜지(7)가 일체로 형성되어 맨홀(2) 콘크리트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2)의 벽부에 삽입되는 지수단관 몸체(3)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압착링(10)이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
  3.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재질로 성형된 고정링(11)이 맨홀(2)의 벽부에 삽입되는 상기 지수단관 몸체(3)의 일측 단부 외주면에 융착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5)과 연결되는 지수단관 몸체(3)의 타측 단부에 소켓(12)이 일체로 성형되어 이 소켓(12)을 통해 하수관(5)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
KR20-2003-0034890U 2003-11-07 2003-11-07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 KR2003394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890U KR200339494Y1 (ko) 2003-11-07 2003-11-07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890U KR200339494Y1 (ko) 2003-11-07 2003-11-07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494Y1 true KR200339494Y1 (ko) 2004-01-24

Family

ID=4934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890U KR200339494Y1 (ko) 2003-11-07 2003-11-07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4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615A (en) Branch pipe connection
JP3966904B2 (ja) プラスチックパイプ接合構造体
US77709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pipe coupling
CZ295671B6 (cs) Splachovací a kontrolní šachta pro potrubí na vedení tekutiny a šachtový úsek pro tuto splachovací a kontrolní šachtu
CA2203211C (en) Draft compensating coupling member
KR200339494Y1 (ko)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
KR100887614B1 (ko) 맨홀 구조와 맨홀을 제작하는 방법
KR100488219B1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100488218B1 (ko) 관 이음 플랜지
JP2006112541A (ja) 挿入体の設置工事における切断口防錆方法
GB2293422A (en) A method of joining a conduit to a second conduit and a seal
KR100748626B1 (ko) 상·하수관 접속구조
KR100718684B1 (ko) 주철관 연결용 플랜지 소켓 어셈블리
JP2001248774A (ja) リブ付管継手
KR20050046508A (ko) 관 접속구조
KR200276352Y1 (ko) 지중매설용 주철관
KR200388137Y1 (ko) 파형강관의 분기관 접속장치
KR200203424Y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411385Y1 (ko) 상, 하수도관 연결장치
KR200401637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100669496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252819Y1 (ko) 수질오염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하수관 연결구조
KR200269755Y1 (ko) 관 결합장치
KR100316129B1 (ko) 관 연결장치
KR200436332Y1 (ko) 고압 상수관 및 하수관용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