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755Y1 - 관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관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755Y1
KR200269755Y1 KR2020010036395U KR20010036395U KR200269755Y1 KR 200269755 Y1 KR200269755 Y1 KR 200269755Y1 KR 2020010036395 U KR2020010036395 U KR 2020010036395U KR 20010036395 U KR20010036395 U KR 20010036395U KR 200269755 Y1 KR200269755 Y1 KR 200269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ipe
tube
circumferential surfa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주
Original Assignee
박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주 filed Critical 박은주
Priority to KR2020010036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7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755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연속으로 관을 결합하는 관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에 일체로 형성되고 연속되는 다른 관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다른 관의 외주면과 간격을 갖도록 상기 삽입부보다 크게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되며 선단에 절개부가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다른 관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 사이에 게재된 링과; 상기 고정부의 홈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를 링측으로 밀착시키는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와 고정부가 관의 한쪽 끝부분에만 형성되어 관 및 관 성형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조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고, 상기 밴드가 링에 직접 압력을 가하여 링의 기밀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 결합장치{Pipe consolidation device}
본 고안은 오, 배수관로 등에 사용되는 관를 연결하는 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관의 일단부에만 결합을 위한 구조를 갖춰 제조비용을 저감시키고 시공이 간편하며 완벽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관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 배수관의 연결 방법은 시트 타입이나 후렌지를 이용하여 연결하므로 연결이 복잡하고, 지반 침하, 상부 하중에 의한 진동, 온도 편차에 의한 물의팽창 등의 변화로 관 연결부가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되며 토양오염의 심각성이 문제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관의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누수가 발생되지 않은 관 결합장치의 개발에 힘을 기울이고 있고, 그 중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 0201938호,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 0164483호의 관 결합장치가 있다.
상기한 고안은 관의 일단에 구형홈이 형성되고 관의 타단에 구형홈에 원터치형으로 조립되는 구형 삽입구를 형성하거나, 관의 일단에 고정턱을 갖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관의 타단에 고무링이 삽입되는 링홈 및 상기 고정턱이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삽입부를 형성하여 관을 연속적으로 연결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관 결합장치는 관의 양단 각각에 연결을 위한 구조를 성형하여야 하여야 하므로 설비투자 비용 또는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공정이 번거로우며 완벽한 수밀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관의 일단에만 관 결합을 위한 구조를 성형하여 공정을 단순화하면서 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관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 결합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 결합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관 2: 삽입부
4: 홈부 8: 고정부
20: 링 30: 밴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관 결합장치는 연속으로 관을결합하는 관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에 일체로 형성되고 연속되는 다른 관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다른 관의 외주면과 간격을 갖도록 상기 삽입부보다 크게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되며 선단에 절개부가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다른 관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 사이에 게재된 링과; 상기 고정부의 홈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를 링측으로 밀착시키는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 결합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 결합장치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관 결합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1)에 일체로 형성되고 연속되는 다른 관(10)의 단부(10a)가 삽입되는 삽입부(2)와, 상기 삽입부(2)에 삽입된 다른 관(10)의 외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상기 삽입부(2)보다 크게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홈부(4)가 형성되며 선단에 절개부(6)가 형성된 고정부(8)와, 상기 삽입부(2)에 삽입된 다른 관(10)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부(8)의 내주면 사이에 게재된 링(20)과; 상기 고정부(8)의 홈부(4)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8)를 링(20)측으로 밀착시키는 밴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관(1,10)은 폴리에틸렌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동일 직경의 것이 결합되거나 상기 삽입부(2)의 내경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의 것이 사용 가능하며, 상기 삽입부(2)와 고정부(8)가 관(1,10)의 일단에만 일체로 형성되고, 관(1,10)의 타단(1a,10a)은 결합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갖지 않는 통상의 관의 형상을 갖도록 하여 관(1,10) 및 관 성형장치(미도시)의 구조를 간단하게 함과 아울러 관(1,10) 제조 비용을 저감토록 한다.
상기 절개부(6)는 상기 홈부(4)의 길이방향으로 70%까지 형성되어 상기 링(20)의 밀착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고, 밴드(30)에 의한 조임력을 상기 링(20)에 분산시키므로 링(20)에 균일하게 작용시키게 된다.
상기 링(20)은 상기 관(1,10)의 수밀을 위해 관(1,10)의 사이에 밀착되는 것으로, 고무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1,10)의 처짐에 의한 누수를 고무의 탄성력을 막거나, 재질이 상기 관(1,10)과 동일 재질의 폴리 에틸렌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내부에 폴리 에틸렌 합성수지를 용융시키는 절연선(미도시)이 설치되며 전원의 공급시 상기 관(1,10)에 용융 접착되어 관(1,10)의 완벽한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밴드(30)는 상기 고정부(8)의 홈부(4)에 안착되고 볼트(33)와 너트(34)를 이용하여 조임되어 상기 고정부(8)와 상기 다른 관(10)의 사이에 게재된 상기 링(20)에 직접적으로 조임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관 결합장치는 관의 일단에 다른 관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된 다른 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와 다른 관의 사이에 링이 게재되며,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 상기 링을 밀착시키는 밴드가 조립되어 관 및 관 성형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조비용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연속되는 관을 기밀하는 링이 상기 밴드에 의해 직접적으로 압력을 받으므로 링의 기밀정도가 향상됨과 아울러 지각변동에 의한 유동, 온도 편차에 의한 물의 팽창 등의 경우에도 관의 연결이 단락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링이 고정부와 다른 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절개부가 상기 고정부의 홈부에 70%이르도록 형성되어 절개부를 통해 링의 밀착 정도를 확인하면서 밴드의 조임 정도를 조절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연속으로 관을 결합하는 관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에 일체로 형성되고 연속되는 다른 관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다른 관의 외주면과 간격을 갖도록 상기 삽입부보다 크게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되며 선단에 절개부가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다른 관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부의 내주면 사이에 게재된 링과;
    상기 고정부의 홈부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를 링측으로 밀착시키는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홈부의 길이방향으로 70%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결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고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결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과 링은 폴리 에틸렌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상기 링에는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링을 용융시키는 절연선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결합장치.
KR2020010036395U 2001-11-26 2001-11-26 관 결합장치 KR200269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95U KR200269755Y1 (ko) 2001-11-26 2001-11-26 관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95U KR200269755Y1 (ko) 2001-11-26 2001-11-26 관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755Y1 true KR200269755Y1 (ko) 2002-03-25

Family

ID=7311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395U KR200269755Y1 (ko) 2001-11-26 2001-11-26 관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7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063B1 (ko) * 2006-12-11 2007-05-08 김학건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063B1 (ko) * 2006-12-11 2007-05-08 김학건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615A (en) Branch pipe connection
US20010054820A1 (en) Corrugated plastic pipe sections having flanged ends and structurally tight joints thereof
US5104159A (en) Threadless coupling for pipes and an air-tight inner cylinder therefor
KR200390447Y1 (ko) 대형 배수관 연결용 볼클립 조인트
KR200269755Y1 (ko) 관 결합장치
US5957505A (en) Branch pipe connection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200242187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러
CN219263162U (zh) 一种排水管道连接头的密封圈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KR20030060562A (ko) 일체형 플랜지 관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KR200277305Y1 (ko) 파이프와 플렌지의 연결 구조
KR200179789Y1 (ko) 관 밀봉구
KR200268456Y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KR20080037200A (ko) 수지파형강관의 연결구조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KR100433812B1 (ko) 합성수지관 융착용 분할형 연결관
KR100213407B1 (ko) 관 이음구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200339494Y1 (ko)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지수단관
KR200220068Y1 (ko) 강관 연결장치
KR200251681Y1 (ko) 강관 연결장치
KR200372741Y1 (ko) 합성수지 하수관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