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681Y1 - 강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강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681Y1
KR200251681Y1 KR2020010023255U KR20010023255U KR200251681Y1 KR 200251681 Y1 KR200251681 Y1 KR 200251681Y1 KR 2020010023255 U KR2020010023255 U KR 2020010023255U KR 20010023255 U KR20010023255 U KR 20010023255U KR 200251681 Y1 KR200251681 Y1 KR 200251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ring
steel pipe
wing piece
rubber
b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람테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681Y1/ko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고무로 만들어진 고무링을 끼워 상기 고무링을 벤드로서 간편하게 조여주므로서 고무링과 강관 사이는 물론 고무링과 고무링 사이도 완벽하게 밀폐되도록 함에 따라 강관의 연결작업시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해지도록 함과 함께 고무링의 우수한 신축력으로 인해 두 강관의 연결부분 수밀성이 확실하게 보장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각각 끼워져 자체 신축력에 따라 강관을 향해 조임력을 갖는 고무링(11)(12)과, 상기 각 고무링(11)(12)중 어느 하나의 고무링(11)의 일측 끝단 둘레부분에 일체 형성되어 나머지 하나의 고무링(12)의 외측둘레면을 감싸는 원통형 날개편(13)과, 금속재로 만들어져 상기 각 고무링(11)(12)중 날개편(13)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링(11)의 외측둘레면 및 상기 날개편(13)의 외측둘레면을 일체로 감싸는 벤드(14)와, 상기 벤드의 양 끝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일체로 고정된 고정브라켓(15)과, 상기 벤드(14)의 양 끝단부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5)중 서로 마주보는 고정브라켓 끼리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시켜 벤드(14)가 강관(1)을 향해 조여지도록 하는 볼트(16) 및 너트(1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관 연결장치{device for coupling of steel pipe}
본 고안은 강관 연결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강판을 나선상으로 말아 일정길이로 성형한 복수개의 강관을 흄관 대용으로 사용하거나 덕트로 사용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결하는 강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steel piate)을 나선상으로 말아 성형한 강관(steel pipe)(1)은 높은 외압강도, 내구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여 각종 생활오수 등의 배출을 안내하는 흄관 대용으로 사용되거나 공기를 포함한 각종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로 사용되고 있고, 이에 따라 그 수요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한 강관은 시공될 길이에 따라 여러개를 필요로 하므로 실제 시공시에는 상기 여러개의 강관을 일단 서로 연결하여야 하는데, 상기 강관의 연결을 위해서는 하나의 강관 연결장치를 필요로 한다.
종래 강관 연결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의 연결부위인 끝부분에 합성수지재로 된 원통형의 연결부재(101)가 상기 강관(1)을 감싼상태로 끼워져 열융착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101)의 바깥쪽 끝단에는 연결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된 방향으로 빙둘러지게 플랜지(10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101)에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두 플랜지(102)는 복수개의 볼트(103) 및 너트(104)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1) 사이에는 그 마주보는 틈새를 밀폐시켜 주기 위해 링형상의 고무패킹(105)이 끼워진 구조이다.
따라서 두개의 강관을 종래의 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관(1)의 대향되는 끝부분에 합성수지재로 된 원통형의 연결부재(101)를 끼워 상기 연결부재가 강관(1)을 감싸도록 한 다음 금속재인 강관(1)의 내경부에 고온의 열을 일정시간 동안 가하면, 상기 연결부재(101)의 강관(1) 접촉부가 열에 의해 녹아 내리므로 결국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의 대향되는 끝부분에 연결부재(101)가 열융착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는 강관(1)과 연결부재(101) 사이의 틈새가 완벽하게 밀폐된다.
한편 종래 장치에 의해 연결하고자 할 강관(1)이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상의 파형을 갖는 파형강관일 경우에는 상기 강관(1)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연결부재(101)의 내경부분이 파형강관의 파형에 맞는 굴곡을 갖도록 되어 있어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관(1)의 끝부분에 연결부재(101)가 끼워져 열융착 고정되고 나면,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관(1)의 끝단부에 고정된 연결부재(101)가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두 강관(1)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위치시킨다음 계속해서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1) 사이에 링형상의 고무패킹(105)을 끼우면서 상기 두 연결부재(101)에 형성된 플랜지(102)를 복수개의 볼트(103)와 너트(104)로서 여러곳에서 서로 고정하면, 결국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1)가 고무패킹(105)을 사이에 두고 밀착되므로 상기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101) 사이의 틈새도 완벽하게 밀폐되면서 두 강관(1)이 도 2 및 도 3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결 완료된다.
한편 종래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이 그 둘레면에 나선형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파형 강관일 경우에는 상기 강관(1)에 끼워져 융착 고정될 연결부재(101)의 내경부는 파형 강관의 주름에 맞도록 굴곡지게 하여야 함이 바람직 하므로 상기 연결부재의 성형시 이를 충분히 감안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강관 연결장치는 두 강관(1)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강관의 끝부분에 연결부재(101)를 끼워 고정할 때 상기 강관(1)의 내경부에서 열을 가해 상기 연결부재(101)가 강관(1)에 융착 고정되도록 하여야 하고, 마주보는 두 연결부재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부재에 반드시 플랜지(102)를 형성하여햐 하며, 연결부재(101)와 연결부재 사이의 밀폐를 위해서는 상기 연결부재가 합성수지로 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 연결하고자 하는 두 연결부재 사이에 별도로 만들어진 링형상의 고무패킹(105)을 끼워야 하므로 작업성 저하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작업비용의 증가 및 원재료비의 증가로 인해 전체적인 시공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두 강관(1)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두 강관에 융착 고정된연결부재(101)의 플랜지(102)를 복수개의 볼트(103)와 너트(104)로서 서로 고정할 때 각 볼트(103) 및 너트(104)의 조임량이 각기 동일하여야 만 연결된 상태에서의 두 연결부재(101) 사이가 전부분 기밀 유지되지만 실제로 작업시에는 상기 각 볼트(103) 및 너트(104)의 조임량을 모두 동일하게 맞춘다는 것이 매우 어려우므로 처음 연결된 상태에서 상수관 및 하수관으로 사용하였을 때는 연결된 두 강관(1)의 연결부 사이로 누수가 일어나지 않더라도 계속적인 사용시에는 누수가 자주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고무로 만들어진 고무링을 끼워 상기 고무링을 벤드로서 간편하게 조여주므로서 고무링과 강관 사이는 물론 고무링과 고무링 사이도 완벽하게 밀폐되도록 함에 따라 강관의 연결작업시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해지도록 함과 함께 고무링의 우수한 신축력으로 인해 두 강관의 연결부분 수밀성이 확실하게 보장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강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종래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Ⅲ-Ⅲ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강관 11. 고무링
12. 고무링 13. 날개편
14. 벤드 15. 고정브라켓
16. 볼트 17. 너트
18,19. 내측 돌기 20. 외측 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각각 끼워져 자체 신축력에 따라 강관을 향해 조임력을 갖는 고무링과, 상기 각 고무링중 어느 하나의 고무링의 일측 끝단 둘레부분에 일체 형성되어 나머지 하나의 고무링의 외측둘레면을 감싸는 원통형 날개편과, 금속재로 만들어져 상기 각 고무링중 날개편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링의 외측둘레면 및 상기 날개편의 외측둘레면을 일체로 감싸는 벤드와, 상기 벤드의 양 끝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일체로 고정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벤드의 양 끝단부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중 서로 마주보는 고정브라켓 끼리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시켜 벤드가 강관을 향해 조여지도록 하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강관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5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두개의 강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Ⅲ-Ⅲ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 실시예는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자체 신축력에 따라 상기 강관을 향해 조임력을 갖도록 각각 고무링(11)(12)이 끼워지고, 상기 각 고무링중 어느 하나의 고무링(11)의 일측 둘레면에는 상기 고무링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나머지 하나의 고무링(12)의 외측둘레면을 감싸도록 원통형상을 갖는 날개편(13)이 형성되며, 상기 각 고무링(11)(12)중 날개편(13)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링(11)의 외측둘레면 및 상기 날개편(13)의 외측둘레면에는 금속재로 만들어진 벤드(14)가 일체로 감싸여 지고, 상기 벤드의 양 끝단부에는 각각 서로 마주본 상태로 일체화되게 고정브라켓(15)이 고정되며, 상기 벤드(14)의 양 끝단부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5)중 서로 마주보는 고정브라켓은 벤드(14)가 조여지도록 볼트(16)와 너트(17)에 의해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에서 날개편(1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고무링(12)의 외측둘레면은 날개편(13)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링(11)쪽에서 그 반대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더 커지는 형태로 되고, 상기 고무링(11)에 형성된 날개편(13)의 내측둘레면은 상기 날개편이 형성된 고무링(11) 쪽에서 그 반대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더 커지는 형태로 되는데, 이는 두개의 강관(1)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때 하나의 고무링(11)에 형성된 날개편(13)의 내측둘레부분으로 나머지 하나의 고무링(12)의 외측둘레부분이 원활히 끼워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각 고무링(11)(12)의 내측둘레면인 강관(1) 접촉부분에는 그 내경부를 따라 끝단이 뾰쪽한 상태의 내측 돌기(18)(19)가 각각 복수개 형성되고, 각 고무링(11)(12)중 날개편(13)이 형성된 고무링(11)의 외측둘레면 및 상기 날개편(13)의 외측둘레면인 벤드(14) 접촉부분에는 그 외경부를 따라 끝단이 뾰쪽한 상태의 외측 돌기(20)가 복수개 형성되는데, 상기 각 고무링(11)(12)의 내측둘레면에 끝단이 뾰쪽한 상태의 내측 돌기(18)(19)가 각각 형성되는 것은, 각 고무링(11)이 벤드(14)의 조임에 의해 강관(1)으로 가압될 때 상기 고무링(11)의 가압력이 각 내측 돌기(18)(19)를 통해 집중되도록 함에 있고, 날개편(13)이 형성된 고무링(11)의 외측둘레면 및 상기 날개편(13)의 외측둘레면에 끝단이 뾰쪽한 상태의 외측 돌기(20)가 형성되는 것은, 벤드(14)의 조임력이 각 날개편(13)에 형성된 고무링(11) 및 상기 날개편(13)으로 전달될 때 그 조임력을 각 외측 돌기(20)를 통해 집중적으로 전달받도록 함에 있다.
따라서 두개의 강관(1)을 본 고안 실시예의 강관 연결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관(1)의 대향되는 끝부분중 하나의 강관에는 일측 끝단 둘레에 원통형의 날개편(13)이 일체 형성되어 있는 고무링(11)을 끼움과 함께 나머지 하나의 강관에는 날개편(1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고무링(12)을 끼우는데, 상기 고무링(11)(12)이 강관(1)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고무링(11)(12)은 재질 자체의 우수한 신축력으로 인해 강관(1)을 향해 조임력을 갖게 된다.
상기에서 고무링(11)(12)을 두 강관(1)의 대향되는 끝부분에 끼울 때는 상기 고무링(11)(12)을 별도의 기구물을 사용해 약간 벌려 그 내경이 강관(1)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한 다음 그 벌린 상태를 해제하면 되므로 상기 고무링(11)(12)의 내경이 강관(1)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형태로 만들어져 있어야 함이 바람직 하다.
한편 연결하고자 할 강관(1)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상의 파형을 갖는 파형강관일 경우에는 상기 강관(1)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고무링(11)(12)의 내경부분이 파형강관의 파형에 맞는 굴곡을 갖도록 되어 있어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강관(1)의 대향되는 끝부분에 각각 고무링(11)(12)이 끼워지고 나면, 상기 두 강관(1)을 고무링(11)(12)이 서로 마주보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위치시킨 다음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밀어 넣는데, 이때 하나의 고무링(11)에 형성된 원통형의 날개편(13) 내측둘레부분으로 나머지 하나의 고무링(12) 외측둘레부분이 끼워짐에 따라 상기 하나의 고무링(11)에 형성된 날개편(13)이 나머지 하나의 고무링(12)을 감싼상태가 된다.
상기 과정에서 하나의 고무링(11)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날개편(13)의 내측둘레부분으로 나머지 하나의 고무링(12)의 외측둘레부분이 끼워질 때 상기 날개편(1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고무링(12)의 외측둘레부분은 날개편(13)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링(11)쪽에서 그 반대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더 커지는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고무링(11)에 형성된 날개편(13)의 내측둘레부분은 날개편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링(11) 쪽에서 그 반대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더 커지는 형태로 되어 있음에 따라 그 끼워짐이 보다 원활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 본 고안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고무링(11)(12)은 필요에 따라 폐타이어 등과 같은 재생고무를 사용하여 만들어 질 수도 있는데, 재생고무를 사용하여 고무링(11)(12)을 만들고자 할 경우에는 재생고무를 분쇄한 다음 이 분쇄된 재생고무에 적당량의 우레탄 바인더와 접착제 그리고 경화제를 혼합하고, 이후 상기 혼합물질을 금형상에서 찍어내야 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고무링(11)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날개편(13)의 내측둘레부분으로 나머지 하나의 고무링(12)의 외측둘레부분이 끼워지고 나면, 금속재로 만들어진 벤드(14)를 상기 날개편(13)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링(11)의 외측둘레면 및 상기 날개편(13)의 외측둘레면에 끼워 상기 벤드(14)가 날개편(13)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링(11) 및 상기 날개편(13)의 외측둘레면을 일체로 감싸도록 한 다음 상기 벤드(14)의 양 끝단부에 형성된 고정브라켓(15)중 서로 마주보는 고정브라켓 끼리 볼트(16)와 제1너트(17)의 나사체결에 의해 서로 고정시켜 상기 날개편(13)이 형성된 고무링(11)이 강관(1)쪽을 향해 조여지도록 함과 함께 상기 날개편(13)이 강관(1)쪽을 향해 조여지도록 한다.
즉, 벤드(14)가 강관(1)쪽을 향해 조여지게 되면, 날개편(13)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링(11)이 강관(1)으로 가압되어 결국 상기 날개편(13)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링(11)은 강관(1)에 기밀상태로 접촉됨은 물론 상기 하나의 고무링(11)에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고무링(12)을 감싸고 있는 날개편(13)이 강관(1) 쪽으로 가압되어 결국 상기 날개편(13)은 날개편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하나의 고무링(12)에 기밀상태로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다른 하나의 고무링(12)은 강관(1)에 기밀상태로 접촉되고, 이에 따라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두개의 강관이 도 6 및 도 7과 같이 연결되면서 그 연결부분의 수밀성이 보장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두개의 강관(1)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강관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고무링(11)(12)을 끼운 상태에서는 상기 각 고무링의 내측둘레면인 강관(1) 접촉부분에 그 내경부를 따라 끝단이 뾰쪽한 내측 돌기(18)(19)가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각 내측 돌기(18)(19)가 강관(1)에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벤드(14)를 볼트(16)와 너트(17)의 나사체결에 의해 조이는 과정에서 고무링(11)(12)이 강관(1)으로 가압될 때 그 가압력이 각 내측 돌기(18)(19)를 통해 강관(1)으로 집중되어 상기 강관과 고무링(11) 사이의 밀폐에 의한 기밀유지가 더욱 완벽하게 이루어짐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두개의 강관(1)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강관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끼워진 고무링(11)(12)중 날개편(13)이 형성된 하나의 고무링(11) 및 상기 날개편(13)을 벤드(14)로서 감싼 상태에서는 상기 날개편(13)이 형성된 고무링(11)의 외측둘레면인 벤드(14) 접촉부분 및 상기 날개편(13)의 외측둘레면인 벤드(14) 접촉부분에 그 외경부를 따라 끝단이 뾰쪽한 외측돌기(20)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각 외측 돌기(20)가 벤드(14)에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벤드(14)를 볼트(16)와 너트(17)의 나사체결에 의해 조일 때 그 조임력 전달이 각 외측 돌기(20)를 통해 하나의 고무링(11) 및 상기 고무링에 형성된 날개편(13)으로 집중되어 조임력이 더욱 강화됨은 이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두개의 강관(1)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강관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고무링(11)(12)을 끼울 때 상기 고무링의 내경부인 강관(1) 접촉부와 상기 강관(1)의 외경부인 고무링(11)(12) 접촉부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접착제를 도포한다면, 두개의 강관(1)이 연결 완료된 상태에서 고무링(11)(12)과 강관(1) 사이의 기밀유지가 더더욱 완벽하게 이루어질 것임은 이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 실시예의 도면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1)을 파형이 형성된 파형강관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파형의 형성과는 관계없이 모든 강관도 다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 강관 연결장치는 연결하고자 할 두 강관(1)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고무로 된 고무링(11)(12)을 각각 끼운 다음 상기 두 고무링을 벤드로서 주여주기만 하면 되므로 연결작업시 공정의 단순하여 작업 능률이 올라가고, 작업비용도 크게 줄어들게 되며, 고무링의 우수한 신축력으로 인해 두 강관의 연결부분수밀성이 확실하게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이 고무재로 된 고무링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된 상태의 강관을 사용하기 위해 특정 장소에 설치할 때 그 설치면이 수평되지 못하고 다소 굴곡져 있더라도 상기 연결된 강관의 연결부분은 어느 정도 휨이 일어나게 되어 연결된 강관의 설치작업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연결하고자 하는 강관의 마주보는 끝부분에 각각 끼워져 자체 신축력에 따라 강관을 향해 조임력을 갖는 고무링과,
    상기 각 고무링중 어느 하나의 고무링의 일측 끝단 둘레부분에 일체 형성되어 나머지 하나의 고무링의 외측둘레면을 감싸는 원통형 날개편과,
    금속재로 만들어져 상기 각 고무링중 날개편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링의 외측둘레면 및 상기 날개편의 외측둘레면을 일체로 감싸는 벤드와,
    상기 벤드의 양 끝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일체로 고정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벤드의 양 끝단부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중 서로 마주보는 고정브라켓 끼리 나사체결에 의해 고정시켜 벤드가 강관을 향해 조여지도록 하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날개편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고무링의 외측둘레부분은 날개편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링쪽에서 그 반대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더 커지는 형태로 되고, 날개편이 형성된 고무링의 상기 날개편 내측둘레부분은 날개편이 형성된 고무링 쪽에서 그 반대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더 커지는 형태로 되어 하나의 고무링에 형성된 원통형 날개편의 내측둘레부분으로 나머지 하나의 고무링의 외측둘레부분이 끼워질 때 그 끼워짐이 보다 원활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고무링의 내측둘레면인 강관 접촉부분에는 그 내경부를 따라 끝단이 뾰쪽한 상태의 내측 돌기가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각 고무링이 벤드의 조임에 의해 강관쪽으로 가압될 때 상기 고무링의 가압력이 각 내측 돌기를 통해 집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고무링중 날개편이 형성된 고무링의 외측둘레면 및 상기 날개편의 외측둘레면인 벤드 접촉부분에는 그 외경부를 따라 끝단이 뾰쪽한 상태의 외측 돌기가 복수개 형성되어 벤드의 조임력이 각 날개편에 형성된 고무링 및 상기 날개편으로 전달될 때 그 조임력을 각 외측 돌기를 통해 집중적으로 전달받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연결장치.
KR2020010023255U 2001-05-04 2001-07-31 강관 연결장치 KR20025168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990U KR200239289Y1 (ko) 2001-05-04 2001-05-04 강관 연결장치
KR2020010012990 2001-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681Y1 true KR200251681Y1 (ko) 2001-11-22

Family

ID=731007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990U KR200239289Y1 (ko) 2001-05-04 2001-05-04 강관 연결장치
KR2020010023255U KR200251681Y1 (ko) 2001-05-04 2001-07-31 강관 연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990U KR200239289Y1 (ko) 2001-05-04 2001-05-04 강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392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63Y1 (ko) * 2012-07-25 2014-03-05 고광훈 제어 스위치용 일체형 고무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63Y1 (ko) * 2012-07-25 2014-03-05 고광훈 제어 스위치용 일체형 고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289Y1 (ko) 200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5623A (en) Pipe coupling with deformable outer sleeve
US3565468A (en) Band seal pipe coupling with adjustable fastening means
US3235293A (en) Glass pipe coupling
US3341232A (en) Pipe joint
US5104159A (en) Threadless coupling for pipes and an air-tight inner cylinder therefor
KR100981919B1 (ko) 수밀성이 향상된 일체형 파형강관
US4564220A (en) Elastic gasket pipe coupling for pressurized plumbing systems
KR101545332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US3376055A (en) Coupling for beadless-end pipes
US4494780A (en) Liquid piping saddle assembly connecting a branch pipe to a main pipe
KR101663260B1 (ko) 파형강관 커플러
EP1510633B1 (en) System with prefabtricated tubular modules for an airtight modular chimney or pipe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KR200251681Y1 (ko) 강관 연결장치
KR200251682Y1 (ko) 강관 연결장치
KR102005277B1 (ko) 관 연결부 밀폐장치
KR100925867B1 (ko) 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101803903B1 (ko) 파형 강관용 커플링 밴드 클램핑장치
KR200207753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US3804439A (en) Pipe coupling
GB2191837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pe repair clamps
KR200220068Y1 (ko) 강관 연결장치
JP2012041958A (ja) 管継手
KR200184248Y1 (ko) 금속관 연결 장치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