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248Y1 - 금속관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금속관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248Y1
KR200184248Y1 KR2019990030045U KR19990030045U KR200184248Y1 KR 200184248 Y1 KR200184248 Y1 KR 200184248Y1 KR 2019990030045 U KR2019990030045 U KR 2019990030045U KR 19990030045 U KR19990030045 U KR 19990030045U KR 200184248 Y1 KR200184248 Y1 KR 200184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tube
metal
gasket
retainer
fla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운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목광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6173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15985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목광플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목광플랜트
Priority to KR2019990030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2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2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pipe ends abutt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16L23/028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the shoulder not being formed from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종래에는 이러한 금속관과 금속관을 연결하기 위하여서는 용접에 의하여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화학약품을 이송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접부위가 화학약품과 반응하여 쉽게 부식이 되고, 외부적 환경등에 의하여 용접부위는 부식될 수 밖에 없어서 그 목적하는 바를 이룰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금속관을 용접하지 않으면서도 연결하면서도 연결되는 금속관과의 밀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것은 연결하고자 하는 금속관과 금속관에는 양측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외주연에 경사면을 갖는 내측 고정링과 그 외측으로 상기 경사면보다 작은 직경 치수를 갖는 동일 형상의 경사면을 내주연에 갖는 외측 가압링과, 플랜지를 각각 대향되게 내삽입하여 상기 외측 가압링을 플랜지에 체결고정하는 것에 의해 고정링이 금속관에 가압 고정하고,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금속관과 금속관의 사이로 가스켓을 삽입하여 리테이너의 양측에서 내 삽입하여서 상기 금속관과 금속관의 플랜지를 체결구로 조이는 것에 의해 금속관과 금속관을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서 상기 금속관의 양측단이 리테이너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되는 상태로 가스켓에 밀착되어 상기 금속관과 금속관을 연결함과 동시에 밀봉되게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금속관 연결 장치{METAL PIPE CONNECTION DEVICE}
본 고안은 각종 액체 또는 기체의 이송수단으로 사용하는 금속관을 용접을 행하지 않으면서 연결할 수 있도록한 금속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공장 또는 액상의 화학약품등을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금속관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금속관은 그 길이가 한정된 치수를 갖는 상태로 제조되는 것이므로 반드시 금속관과 금속관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종래에는 이러한 금속관과 금속관을 연결하기 위하여서는 용접에 의하여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금속관을 연결해서 화학약품을 이송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접부위가 화학약품과 반응하여 쉽게 부식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화학약품이 아닌 경우라도 외부적 환경등에 의하여 용접부위는 부식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부식에 의하여 결국에는 용접부위의 훼손으로 그 목적하는 바를 이룰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부분적 훼손의 경우에는 그 사실 확인이 어려워 값 비싼 원재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 및 화학약품등인 경우에는 자연환경을 오염시키는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대단위 화학공장 또는 약품공장에서 사용하는 금속관의 경우에는 상기한 용접부위의 훼손으로 인해 모든 생산 공정을 정지하여야 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금속관을 용접하지 않으면서도 금속관과 금속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되는 금속관의 밀봉상태를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가능하였다.
이러한 목적은 연결하고자 하는 금속관과 금속관에는 양측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외주연에 경사면을 갖는 내측 고정링과 그 외측으로 상기 경사면보다 작은 직경 치수를 갖는 동일 형상의 경사면을 내주연에 갖는 외측 가압링과, 플랜지를 각각 대향되게 내삽입하여 상기 외측 가압링을 플랜지에 체결고정하는 것에 의해 고정링이 금속관에 가압 고정하고,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금속관과 금속관의 사이로 가스켓을 삽입하여 리테이너의 양측에서 내 삽입하여서 상기 금속관과 금속관의 플랜지를 체결구로 조이는 것에 의해 금속관과 금속관을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서 상기 금속관의 양측단이 리테이너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되는 상태로 가스켓에 밀착되어 상기 금속관과 금속관을 연결함과 동시에 밀봉되게 함으로서 가능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금속관과 금속관이 체결구의 가압력으로 리테이터에 의해 지지되며 가스켓에 밀착됨으로서 그 연결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밀봉되기 때문에 용접없이도 금속관을 서로 연결하여 그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관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제1,2금속관 3: 가스켓
4: 리테이너 7: 체결구
11,21: 플랜지 12,22: 고정링
13,23: 가압링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대상이 되는 제1금속관(1), 제2금속관(2)과 상기 제1,2금속관(1),(2)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재의 가스켓(3)과, 상기 제1,2금속관(1),(2) 및 가스켓(3)의 외경 측면(1'),(2'),(3')이 삽입되도록 내경 측면(4')을 갖는 리테이너(4)를 구비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금속관(1),(2)의 외경 측면(1'),(2')이 삽입되도록 내경 측면(11'),(21')을 갖는 플랜지(11),(21)와, 상기 제1,2금속관(1),(2)의 외경 측면(1'),(2')이 삽입되도록 내경 측면(12'),(22')과 외주연에 일정 경사의 경사면(12'),(22')을 갖는 내측 고정링(12),(22)과, 상기 고정링(12),(22)의 외측 경사면(12'),(22')보다 작은 직경 치수를 갖는 동일 형상의 경사면(13'),(23')을 내주연에 갖는 외측 가압링(13),(23)을 구비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가압링(13),(23)을 플랜지(11),(21)에 각각 체결 고정하는 체결볼트(6)와, 상기 플랜지(11),(21)를 내측으로 조이는 체결구(7)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알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제1금속관(1)과 제2금속관(2)의 양측단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까지 플랜지(11),(21)와 내측 고정링(12),(22)을 맞닿는 상태로 대향되게 내삽입하여 준다.
이때, 상기 내측 고정링(12),(22)의 외측으로는 외측 가압링(13),(23)을 삽입하여 준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링(13),(23)을 플랜지(11),(21)에 체결볼트(6)로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링(13),(23)을 플랜지(11),(21)에 가압 고정하면, 상기 가압링(13),(23)은 내측의 고정링(12),(22)을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는 상기 가압링(13),(23)의 내측 경사면(13'),(23')과 고정링(12),(22)의 경사면(12'),(22')이 맞닿아 있되, 상기 가압링(13),(23)의 경사면(13'),(23')이 고정링(12),(22)의 경사면(12'),(23')의 직경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압링(13),(23)이 플랜지(11),(21)에 체결되는 체결력에 의해 상기 고정링(12),(22)이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링(12),(22)이 반경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제1,2금속관(1),(2)에 각각 가압 고정되게 된다.
결국, 상기 제1,2금속관(1),(2)에는 플랜지(11),(21)와 가압링(13),(23)을 체결볼트(6)로 체결하는 체결력에 의해 고정링(12),(22)이 가압고정되므로 상기 제1,2금속관(1),(2)과 플랜지(11),(21), 가압링(13),(23), 고정링(12),(22)은 일체로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금속관(1),(2)의 양측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로 각각 플랜지(11),(21), 가압링(13),(23), 고정링(12),(22)이 일체로 대향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2금속관(1),(2)의 사이에 자체 탄성을 갖는 가스켓(3)을 삽입하여 리테이너(4)에 내삽입하여 준다.
이때, 상기 제1,2금속관(1),(2)의 양측단(1'),(2')은 가스켓(3)에 맞닿은 상태로 리테이너(4)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2금속관(1),(2)의 플랜지(11),(21)를 체결구(7)로 체결하여 내측으로 조여준다.
이와 같이 상기 플랜지(11),(21)를 내측으로 조이게 되면, 상기 플랜지(11),(21)와 고정링(12),(22)과 가압링(13),(23)과 일체로 된 제1,2금속관(1),(2)이 내측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제1,2금속관(1),(2)의 양측단(1'),(2')이 가스켓(3)을 가압하여 밀착하게 된다.(도 3 및 도 4의 화살표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제1,2금속관(1),(2)이 가스켓(3)을 밀착함과 함께, 상기 탄성을 갖는 가스켓(3)이 외측으로 밀리면서 리테이너(4)의 내경 측면(4')을 가압하여 밀착하게 된다.(도 3 및 도 4의 화살표 참조)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제1,2금속관(1),(2)의 양측단(1'),(2')은 가스켓(3)과 밀봉되는 상태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 제1,2금속관(1),(2)은 외측으로 리테이너(4)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되면서 그 양측이 가스켓(3)을 일정하게 가압하게 되므로 밀봉상태가 더욱 우수하게 되고,
또한, 상기 체결구(7)를 해지하지 않는 한 상기 리테이너(4)에 의해 제1,2금속관(1),(2)의 연결부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본 고안의 장치는 상기 가압링(13),(23)을 플랜지(11),(21)에 가압고정하면서 고정링(12),(22)이 제1금속관(1)과 제2금속관(2)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2금속관(1),(2)이 플랜지(11),(21)와 가압링(13),(23), 고정링(12),(22)과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1금속관(1)과 제2금속관(2)의 플랜지(11),(21)를 내측으로 조여주는 것에 의해 상기 제1금속관(1)과 제2금속관(2)이 리테이너(4)에 의해 수평으로 내측으로 가압되면서 가스켓(3)을 가압 밀착함과 함께 상기 가스켓(3)이 외측의 리테이너(4)를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1,2금속관(1),(2)은 리테이너(4)에서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1,2금속관(1),(2)이 수평으로 가스켓(3)에 압압과 밀착하므로 제1금속관(1)과 제2금속관(2)의 양끝단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밀봉이 되어 절대로 누설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상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금속관을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연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밀봉력을 극대화함으로서 기존에 금속관과 금속관을 용접이라는 수단만으로 연결하여 사용하여 옴으로서 발생되었던 모든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1)

  1. 제1금속관(1)과 제2금속관(2)을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제1,2금속관(1),(2)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재의 가스켓(3)과, 상기 제1,2금속관(1),(2) 및 가스켓(3)의 외경 측면(1'),(2'),(3')이 삽입되도록 내경 측면(4')을 갖는 리테이너(4)와,
    상기 제1,2금속관(1),(2)의 외경 측면(1'),(2')이 삽입되도록 내경 측면(11'),(21')을 갖는 플랜지(11),(21)와, 상기 제1,2금속관(1),(2)의 외경 측면(1'),(2')이 삽입되도록 내경 측면(12'),(22')과 외주연에 일정 경사의 경사면(12'),(22')을 갖는 내측 고정링(12),(22)과, 상기 고정링(12),(22)의 외측 경사면(12'),(22')보다 작은 직경 치수를 갖는 동일 형상의 경사면(13'),(23')을 내주연에 갖는 외측 가압링(13),(23)과,
    상기 외측 가압링(13),(23)을 플랜지(11),(21)에 각각 체결 고정하는 체결볼트(6)와, 상기 플랜지(11),(21)를 내측으로 조이는 체결구(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 연결 장치.
KR2019990030045U 1999-12-24 1999-12-28 금속관 연결 장치 KR200184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045U KR200184248Y1 (ko) 1999-12-24 1999-12-28 금속관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736A KR100315985B1 (ko) 1999-12-24 1999-12-24 금속관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KR2019990030045U KR200184248Y1 (ko) 1999-12-24 1999-12-28 금속관 연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1736A Division KR100315985B1 (ko) 1999-12-24 1999-12-24 금속관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248Y1 true KR200184248Y1 (ko) 2000-06-01

Family

ID=2663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045U KR200184248Y1 (ko) 1999-12-24 1999-12-28 금속관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2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3149A (zh) * 2018-04-28 2018-08-17 建湖县博奥液压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联接法兰
KR20210113724A (ko) * 2020-03-09 2021-09-17 주식회사 포스코 고온물질 이송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3149A (zh) * 2018-04-28 2018-08-17 建湖县博奥液压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联接法兰
KR20210113724A (ko) * 2020-03-09 2021-09-17 주식회사 포스코 고온물질 이송관
KR102391060B1 (ko) 2020-03-09 2022-04-28 주식회사 포스코 고온물질 이송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5661B1 (en) Device for connecting a pipe joint
US5851037A (en) Pipe coupling with gasket positioner
KR20180091049A (ko) 립 돌출부를 가지는 시일
US4927182A (en) Pipeline repair clamp
US5765876A (en) Pipe coupling requiring low closing force
KR200184248Y1 (ko) 금속관 연결 장치
JP6962729B2 (ja) 漏洩防止装置
KR100315985B1 (ko) 금속관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KR920007970B1 (ko) 소구경 관의 클램핑 장치
KR102305130B1 (ko) 그루브드 파이프 커플링장치
US10364929B2 (en) Pipe coupling encapsulation assembly
KR200209203Y1 (ko) 팽창방지 기능을 갖는 가스켓
US5360238A (en) Pipe couplings
AU771978B2 (en) Seal assembly
JPH09189361A (ja) フランジ継手の密封機構
GB216123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pe joints
KR200184491Y1 (ko) 관 연결구
JPH0583576U (ja) 管フランジ用ガスケット
KR200184247Y1 (ko) 금속관의 연결장치
KR200402964Y1 (ko) 파이프 결합장치
CN214500413U (zh) 双向防脱密封式管材连接结构
KR200299128Y1 (ko) 관이음장치
GB1579421A (en) Pipe couplings
KR200251681Y1 (ko) 강관 연결장치
JPH04244692A (ja) 可撓性管継手用相フラ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