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548Y1 -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 Google Patents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548Y1
KR200261548Y1 KR2020010030147U KR20010030147U KR200261548Y1 KR 200261548 Y1 KR200261548 Y1 KR 200261548Y1 KR 2020010030147 U KR2020010030147 U KR 2020010030147U KR 20010030147 U KR20010030147 U KR 20010030147U KR 200261548 Y1 KR200261548 Y1 KR 2002615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ner tube
tube body
double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빈
Original Assignee
두리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리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리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0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5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5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548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VC배수관, 수도관 등 각종 유체 배관의 용도로 사용하는 연질 합성수지재의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아파트 등의 하수관 배관시 곡각지점에서 하수가 직각방향으로 회전할 시 그 마찰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아파트 각 층의 방음(防音) 기능을 높여서 보다 조용한 주거환경을 유지토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의 통체(1) 일측 또는 양측에 나사관부(3)를 형성하여 이에 체결너트관(4)을 결합한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통체(1) 내부에 이중벽(1a)을 형성하여 방음공간(8)을 형성하고, 절곡단부(9a)를 양단에 형성한 연질 합성수지재의 내관체(9)를 내장하여 상기 방음공간(8)에 내관체(9)의 절곡단부(9a)가 끼움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내관체(9)의 중간 절곡부 외측에는 보조차단판(11)을 삽입하여 이의 결합관부(11a)가 내관체(9)의 외측에 돌설된 결합돌기(9c)와 결합되어 방음공간(8a,8b)을 형성토록 하며, 상기 내관체(9)의 양단에는 고정관체(5)와 접속관체(7)를 끼워넣어 이의 평활부(5a,7a)가 상기 내관체(9)의 절곡단부(9a)를 내향으로 접압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A pipe coupling device for the double pipe}
본 고안은 PVC배수관, 수도관 등 각종 유체 배관의 용도로 사용하는 합성수지재의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아파트 하수관의 배관시 곡각지점에서 하수가 직각방향으로 회전할 시 그 마찰 소음을 최소로 하여 아파트 각 층의 방음(防音) 기능을 높여서 보다 조용한 주거환경을 유지토록 한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근자에 들어 아파트 품질 비교에 있어서, 소음방지, 방음장치의 개선은 상당히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파트 소음발생의 원인은 아파트 외부에서 들려오는 간접소음과 아파트 자체에서 발생되는 직접소음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직접소음의 주원인은 하수 배관라인을 통하여 상층부에서 하층부로 떨어지는 낙수(落水) 소음이라 할 수 있다.
종래에도 엘보관 등 연결 접속관체를 이중 관체로 형성하여 하수의 낙하시 곡각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대한 방음할 수 있도록 한 2중관이 본인의 선등록 실용신안으로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내장된 소음방지용 패킹관체가 내관체에 단순히 밀착되어 있어서 낙수 충격이 가해질 시 곧바로 소음이 통체벽에 가하여져 방음효과가 저조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낙수 소음의 발생처가 대부분 하수관 중 이음관 역할을 하는 연결관체, 즉 엘보관(L형관), T형관, Y형관과 같은 연결관체의 곡관(曲管)부에 있음을 고려하여 연결관체에 소음(消音)기능을 월등히 높이고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연질 합성수지 내관체를 장설하는 이중 이음관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질 합성수지재의 내관체와 통체 사이로 직접 접촉시키지 않고 일정한 방음공간이 형성되도록 내장하여 2중 또는 3중의 차음공간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방음기능을 한층 더 향상시킨 것이다.
엘보관 등 곡관형의 파이프 접속관을 이중관으로 형성함에 있어서는, 경질관체를 단순히 내외 이중관체로 형성하는 경우와 경질 이중관체 내부에 연질 합성수지재로 된 내관체를 장설하는 연질관 삽입구조의 2가지 타입이 있다.
이 2가지 구성 중, 전자는 경질관 만으로 구성되어 수류 낙하시 충격소음이 공명현상을 일으켜 완전한 차음 기능이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후자는 경질관체 내부에 연질 내관체가 삽입되어 재질 자체의 완충성에 의한 차음효과가 전자보다는 월등히 우수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장점을 고려하여 연질관체 내장형의 이중이음관으로 구성하되 이의 연질 합성수지재의 내관체가 조립식으로 내장되어 안정성있는 지지상태를 유지하면서 양호한 차음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성의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를 제공코자 안출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 중 요지가 되는 연질 합성수지재의 내관체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 엘보관의 구성 중 체결너트관 플렌지를 양측으로 설치한 경우를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을 Y형관에 적용한 경우를 보인 단면도
도 6,7은 본 고안에 있어서 요부인 내관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통체 1a:이중벽
1b,1c:단부측 2:고정접속관체
3:나사관부 4:체결너트관
5:고정관체 5a,7a,9b:평활부
5b:단입부 6:패킹
7:접속관체 8,8a,8b:방음공간
9:내관체 9a:절곡단부
9c:결합돌기 9d:지지돌기
9e:환상돌조 9f:경사부
10:이중관파이프 11:보조차단판
11a:결합관부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 중 요지가 되는 연질 합성수지재의 내관체(9)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를 구성하는 통체(1)는 PVC와 같은 합성수지재를 주재로 하여 사출공정으로 성형된다.
도 1은 엘보관에 본 고안을 접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통체(1)의 내측은 이중벽(la)이 동시에 형성되어 상기 이중벽(la)을 경계로 하여 방음공간(8,8a)이 내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통체(1)에 형성되는 이중벽(la)의 단부측(1b,1c)을 통체(1)의 단부보다는 약간 내향으로 단입되도록 하여 이들 단부측(1b,1c)에 연질 합성수지재(예; 연질 PVC재 등)로 사출성형된 내관체(9)를 삽입하고, 상기 내관체(9)의 단부측 절곡단부(9a)를 이중벽(1a)의 단부측(1b,1c)에 걸림상태로 끼워 넣는다.
한편, 상기 내관체(9)의 양단부에는 평활부(9b)를 형성하여 상기 평활부(9b)에 고정관체(5)와 접속관체(7)의 내측단에 형성한 평활부(5a,7a)가 상호 접속되도록 꼭 맞게 끼워 넣는다.
이때 일측의 접속관체(7)는 통체(1) 밖으로는 노출되도록 하여 건물 등에 고정 매설되는 고정접속관체(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타측의 고정관체(5)는 통체(1)의 내측 중앙부에 꼭 맞게 삽입되어 그의 측단에 패킹(6)을 끼우고 체결너트관(4)을 통체(1)의 나사관부(3)측에 체결할 시 상기 패킹(6)이 고정관체(5)와 체결너트관(4) 사이에 협착되어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내관체(9)의 방음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엘보관의 소음발생의 주된 지점인 내관체(9)의 중간 곡면부의 외측에 결합돌기(9c)를 돌설하고, 연질 합성수지재로 된 타원형의 보조차단판(11)을 별도로 형성한 후 이의 대응 부위에 결합관부(11a)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기(9c)에 끼움결합 시키면 내관체(9)의 곡면부와 통체(1)와의 사이에는 이중의 방음공간(8a,8b)이 형성되어 방음효과가 더욱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차단판(11)의 내설구조는 유체의 충격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내관체(9)의 내측 곡면부를 배면에서 지지시켜 주게 되어 내관체(9)의 파손 등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대폭 신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은 주로 아파트 등 다층 건물의 하수관 배관용 연결관체로 사용하는 것으로 건물의 수평 슬라브에 매설된 고정접속관체(2)에 접속관체(7)부를 끼워서 수밀 상태로 접관되게하고, 반대편 고정관체(5) 측에는 단입부(5b)가 형성되어 이 부분에 이중관파이프(10)가 삽입 연결되며, 이때 체결너트관(4)을 조임하면 패킹(6)이 이중관파이프(10)와 고정관체(5) 사이에 밀폐상태로 접관된다.
이 상태에서 접속관체(7) 측에서 하수가 낙하하면 낙수는 경사부(9f)에 낙하하여 고정관체(5)쪽 즉, 이중관파이프(10) 쪽으로 회전하여 소통되는데 이때 마찰소음은 1차로 연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내관체(9) 자체에서 흡수되고 배면의 방음공간(8,8a,8b)에서 2∼3 차례에 걸쳐 차음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여러번에 걸쳐 차음이 이루어지면 실제로 통체(1)의 외벽으로는 낙하 수류(水流)에 의한 소음은 거의 차단된 상태가 되므로 아파트 등 고층 건물의 소음방지 효과가 현저히 개선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엘보관은 소음이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곡각지점의 통체(1) 내측에 여러겹의 차음실, 즉 방음공간(8,8a,8b)을 2중, 3중으로 형성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4는 엘보관의 구성 중 체결너트관(4) 플렌지를 양측으로 설치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며, 본 실시예는 동일 규격의 고정관체(5)를 양측으로 결합 내장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을 Y형관에 적용한 단면 구성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구성 중 내관체(9)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내관체(9)의 외주면에 다수의 보강 환상돌조(9e)를 돌설하여 지지력을 높인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에 있어서, 내관체(9)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외주면에 다수의 지지돌기(9d)를 돌설하여 지지력을 높인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엘보관 등 각종 유체 연결관체의 구성에 있어서, 유체 낙수소음이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부위에 연질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내관체(9)를 내장하여 방음공간(8,8a,8b)을 여러겹으로 형성하므로써, 유체 낙수 및 유통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고,
또한 상기 내관체(9)의 양단에 단입부(5b)를 갖는 고정관체(5) 및 접속관체(7)를 결합하여 3중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조립의 편의성과 견고성을 도모케 한 것으로서, 아파트 등 고층건물의 하수 배관 연결관체로서 매우 실용성이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4)

  1.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통체(1) 일측 또는 양측에 나사관부(3)를 형성하여 이에 체결너트관(4)을 결합한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에 있어서;
    상기 통체(1) 내부에는 이중벽(1a)을 형성하여 방음공간(8)을 형성하고, 절곡단부(9a)를 양단에 형성한 연질 합성수지재의 내관체(9)를 내장하여 상기 방음공간(8)에 내관체(9)의 절곡단부(9a)가 끼움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내관체(9)의 양단에는 각각 고정관체(5)와 접속관체(7)를 끼워 넣어 이의 평활부(5a,7a)가 상기 내관체(9)의 절곡단부(9a)를 내향으로 접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체(9)의 중간 절곡부 외측에는 보조차단판(11)을 삽입하여 이의 결합관부(11a)가 내관체(9)의 외측에 돌설된 결합돌기(9c)와 결합되어 방음공간(8a,8b)을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체(9)의 외주면에는 환상돌조(9e)를 수개 돌설하여, 상기환상돌조(9e)가 통체(1)의 내벽에 지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체(9)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9d)를 돌설하여 통체(1) 내벽에 지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KR2020010030147U 2001-09-29 2001-09-29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KR2002615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47U KR200261548Y1 (ko) 2001-09-29 2001-09-29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47U KR200261548Y1 (ko) 2001-09-29 2001-09-29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548Y1 true KR200261548Y1 (ko) 2002-01-24

Family

ID=73082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147U KR200261548Y1 (ko) 2001-09-29 2001-09-29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548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179B1 (ko) * 2002-10-01 2005-11-09 박점순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100561618B1 (ko) * 2002-05-10 2006-03-15 이종호 배수용 소켓형 이음관
KR100561619B1 (ko) * 2002-05-10 2006-03-15 이종호 배수용 y형 이음관
KR100561621B1 (ko) * 2002-05-10 2006-03-15 이종호 배수용 곡관형 이음관
KR100561620B1 (ko) * 2002-05-10 2006-03-15 이종호 배수용 엘티형 이음관
KR101339788B1 (ko) * 2011-12-29 2013-12-11 한국과학기술원 진공에 의한 소음 차단 방식의 엘보우
KR101352889B1 (ko) * 2012-07-03 2014-01-20 한국과학기술원 방음용 엘보우
KR101418940B1 (ko) * 2012-12-21 2014-07-11 이종태 소음방지 이음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618B1 (ko) * 2002-05-10 2006-03-15 이종호 배수용 소켓형 이음관
KR100561619B1 (ko) * 2002-05-10 2006-03-15 이종호 배수용 y형 이음관
KR100561621B1 (ko) * 2002-05-10 2006-03-15 이종호 배수용 곡관형 이음관
KR100561620B1 (ko) * 2002-05-10 2006-03-15 이종호 배수용 엘티형 이음관
KR100527179B1 (ko) * 2002-10-01 2005-11-09 박점순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101339788B1 (ko) * 2011-12-29 2013-12-11 한국과학기술원 진공에 의한 소음 차단 방식의 엘보우
KR101352889B1 (ko) * 2012-07-03 2014-01-20 한국과학기술원 방음용 엘보우
KR101418940B1 (ko) * 2012-12-21 2014-07-11 이종태 소음방지 이음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5721C2 (ru) Гибкий сливной сифон
KR200261548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KR100562165B1 (ko) 소음방지용 이음관
DE50104198D1 (de) Rohr-Bausatz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200436876Y1 (ko) 소음방지용 배수관
KR20036648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KR200300720Y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100527179B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200226282Y1 (ko) 조립식 욕실용 보조 배수트랩
KR200181293Y1 (ko) 소음감소용 파이프
JP2004044170A (ja) 基礎貫通部材を用いた排水管の配管構造
CN114704694B (zh) 一种用于建筑室内的排水静音管道
KR200346745Y1 (ko) 오배수용 삼중 엘보우 이음관
KR200298096Y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접속구조
KR200307688Y1 (ko) 배수관용 엘보
KR0116099Y1 (ko) 배수관의 배수전
KR20080001297U (ko) 배관 조립구
KR200316765Y1 (ko) 방음용 진공파이프 및 진공패드
KR200321697Y1 (ko) 다중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
KR100561622B1 (ko) 배수용 엘보형 이음관
KR200289381Y1 (ko) 흡음관이 내설된 연결관
KR200315340Y1 (ko) 무소음 삼중벽관
KR100561618B1 (ko) 배수용 소켓형 이음관
JPH11315621A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