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293Y1 - 소음감소용 파이프 - Google Patents

소음감소용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293Y1
KR200181293Y1 KR2019990027489U KR19990027489U KR200181293Y1 KR 200181293 Y1 KR200181293 Y1 KR 200181293Y1 KR 2019990027489 U KR2019990027489 U KR 2019990027489U KR 19990027489 U KR19990027489 U KR 19990027489U KR 200181293 Y1 KR200181293 Y1 KR 200181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noise reduction
noise
pvc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태
Original Assignee
골든리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골든리버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골든리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7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2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21Rigid pipes made of sound-absorbing materials or with sound-absorb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소음감소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 파이프로 사용되는 경질 PVC 재질의 직선형 파이프나 각각의 직선형 파이프를 잇는 이음 파이프 내부에 연질 PCV 또는 고무를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여 하수의 배출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소음감소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음감소용 파이프{Pipe for decreasing noise}
본 고안은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출되는 하수의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배수 파이프와 파이프 이음관 내부에 연질의 PVC 또는 고무로 내벽을 형성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는 소음감소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 파이프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 PVC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원통형의 직선형 파이프(1)로 형성되어 있으며, 직선형 배수 파이프(1)들을 연결하는 배수 파이프 이음관(2)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되는데 그 한 예로서 파이프 이음관(2)을 도2에 도시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직선형 배수 파이프 또는 파이프 이음관들은 하수가 배출되면서 하수가 배수 파이프의 벽면에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하고, 상기와 같이 발생된 소음은 배수 파이프에 의해 공진현상을 일으켜 더욱 큰 소음이 발생하여 외부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실내에서 장시간 생활하는 거주자에게 소음공해를 유발하고 인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된다.
따라서, 배수파이프를 시공하는 업체에서는 상기와 같은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유리섬유와 같은 차음제를 이용하여 배수 파이프를 감싸 소음이 외부로 새나가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처럼 PVC 파이프의 외부에 유리섬유와 같은 차음제를 감싸 시공할 경우 차음제의 사용에 따른 추가비용이 발생하여 시공비를 증가시키며, 차음제가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시공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수 파이프의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두고다른 파이프를 형성하여 이중으로 된 소음감소용 파이프를 제조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도3은 소음감소용 이중 파이프의 한 실시예인 소음감소용 이중 이음관(3)을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PVC 파이프 이음관의 원 이음관을 내관(4)으로 하고, 상기 내관(4)의 곡관부에 일정하게 이격되어 있는 외관(5)을 형성한 후 직선형 파이프의 이음부(6)에 그 끝을 결합함으로써 파이프 이음관의 곡관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소음감소용 이중 이음 파이프는 중간에 공간이 발생하도록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어랴우며 제조비용도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이중 이음관의 경우 소음감소 효과가 별로 크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질 PVC로 제조된 종래의 배수 파이프 내부에 연질 PVC 또는 고무를 밀착되게 형성하여 연질 PVC 또는 고무 에 의해 배수 파이프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킴으로써 차음제 설치와 같은 추가 공정의 필요없이 하수가 배출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경질 PVC로 형성된 배수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배수 파이프 내부에 연질 PVC 또는 고무가 밀착 형성되어 있는 소음감소용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직선형 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의 파이프 이음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종래의 소음 감소용 이중 이음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로서 소음감소용 직선형 배수 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소음감소용 파이프 이음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소음감소용 파이프 이음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선형 파이프 2 : 파이프 이음관
3 : 소음감소용 이중 이음관 4 : 내관
5 : 외관 6 : 접속부
7 : 소음감소용 파이프 8 : 경질 PVC
9 : 연질용 합성수지 또는 고무 10 : 소음감소용 파이프 이음관
11 : 소음감소용 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소음감소용 파이프의 한 실시예인 직선형 배수 파이프(7)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경질 PVC(8)로 제조된 직선형 배수 파이프(1) 내부에 연질 PVC 또는 고무(9)를 밀착되게 형성한 것으로, 상기 경질 PVC(8)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연질 PVC 또는 고무(9)의 두께는 경질 PVC(8)의 두께와 동일하게하거나 얇게 형성한다.
다음에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소음감소용 파이프 이음관(10)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4의 소음감소용 파이프(7)와 마찬가지로 경질 PVC(8)로 제조된 파이프 이음관(2)의 내부에 연질 PVC 또는 고무(9)를 밀착되게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소음감소용 파이프 이음관(10)의 배수 파이프 접속부에는 내부에 형성되는 연질 PVC 또는 고무(9)를 이용하여 직선 파이프의 규격과 같은 삽입홈을 형성하여 파이프 접속시 극히 용이하게 직선파이프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한 소음감소용 파이프의 내부 재료로 스폰지와 같이 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스폰지나 이와 유사한 성질의 연질의 물질을 사용할 경우 하수에 섞여있는 비누물 등에 녹아 없어질 수 있으며, 그외의 충격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연질의 PVC를 사용하는 것이 물에 녹지도 않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파손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다음에 도6은 상기 도5의 소음감소용 이음 파이프(10)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음 파이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이음 파이프(10)의 곡관 내부에 연질의 PVC(9)를 이용하여 소음감소용 돌출부(11)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11)가 형성된 이음 파이프들은 이음 파이프로 흘러드는 배수의 물살을 변형시켜 파이프 몸체에 하수가 부딪치는 충격을 줄임으로써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된 소음 감소용 파이프 및 파이프 이음관을 사용한 배수관과 종래의 경질 PVC 파이프의 배수관 그리고 이중 이음관의 소음을 비교측정한 결과 상시소음이 약40db일 경우 경질 PVC 파이프의 배수소음은 약70.15db로 측정되었으며, 이중 이음관의 경우 약 69.10db로 측정되었다. 반면에 본 고안에 따른 소음 감소용 파이프와 소음 감소용 파이프 이음관을 사용한 배수관의 경우는 약 65.50db로 측정되어 종래의 배수관들에 비해 우수한 소음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음 감소용 파이프들 외부에 차음제의 설치없이도 우수한 소음감소효과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음감소용 파이프들은 배관 공사시 파이프 외부에 차음제를 매설할 필요가 없이 일반 배수 파이프에 차음제를 매설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배수 파이프 내부에 밀착되게 연질 PVC 등을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보다 항구적인 수명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Claims (4)

  1. 경질 PVC로 형성된 배수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배수 파이프 내부에 연질 PVC가 밀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감소용 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의 PVC관 내부에 밀착형성되는 것은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감소용 파이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감소용 파이프는 파이프 이음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감소용 파이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감소용 파이프 이음관은 곡관부 내에 소음감소용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감소용 파이프.
KR2019990027489U 1999-12-08 1999-12-08 소음감소용 파이프 KR200181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489U KR200181293Y1 (ko) 1999-12-08 1999-12-08 소음감소용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489U KR200181293Y1 (ko) 1999-12-08 1999-12-08 소음감소용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293Y1 true KR200181293Y1 (ko) 2000-05-15

Family

ID=1960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489U KR200181293Y1 (ko) 1999-12-08 1999-12-08 소음감소용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2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432A (ko) * 2002-05-10 2003-11-14 주식회사 코리아이엔지비지니스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KR100561621B1 (ko) * 2002-05-10 2006-03-15 이종호 배수용 곡관형 이음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432A (ko) * 2002-05-10 2003-11-14 주식회사 코리아이엔지비지니스 배수용 경사형 이음관
KR100561621B1 (ko) * 2002-05-10 2006-03-15 이종호 배수용 곡관형 이음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1293Y1 (ko) 소음감소용 파이프
KR200261548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KR100562165B1 (ko) 소음방지용 이음관
CN206637142U (zh) 一种市政用防冻降噪排水管
KR200253945Y1 (ko) 소음감소 기능을 가진 특수 수지층이 구비된 파이프 및파이프 이음관
KR200192554Y1 (ko)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CN218540896U (zh) 一种高层建筑用具有隔音功能的下水管道
KR200300720Y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100527179B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JP2002310374A (ja) 騒音減少能を有する特殊樹脂層を備えた管及び管継手
CN219755714U (zh) 一种排水管件
KR20036648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관체
KR200301101Y1 (ko) 배수이음관
CN216973616U (zh) 日常生活用下水防溢漏连接管
KR20010044523A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 및 그 제조방법
KR200234332Y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
KR200228343Y1 (ko) 배수관용 패킹
KR200351106Y1 (ko) 소음 감소용 양변기 전용엘보
CN205688759U (zh) 一种下水管道结构
KR100499195B1 (ko) 배수이음관
KR100339919B1 (ko) 물탱크 배수관 관통부의 누수방지 공법
KR200307688Y1 (ko) 배수관용 엘보
CN220247114U (zh) 一种马桶防臭密封圈
KR200310352Y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
KR200298096Y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접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