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343Y1 - 배수관용 패킹 - Google Patents

배수관용 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343Y1
KR200228343Y1 KR2020010002333U KR20010002333U KR200228343Y1 KR 200228343 Y1 KR200228343 Y1 KR 200228343Y1 KR 2020010002333 U KR2020010002333 U KR 2020010002333U KR 20010002333 U KR20010002333 U KR 20010002333U KR 200228343 Y1 KR200228343 Y1 KR 200228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drain pipe
packing
inclin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이노텍
Priority to KR2020010002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3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343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내부에 오수 및 하수가 흐르는 통로가 형성되는 배수관을 둘이상 연결하도록 연결부가 형성되는 관이음에 설치되어 누수방지 및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에 있어서, 배수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관이음 연결부의 내부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외주면과,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의 길이방향 한쪽끝부분과 만나며 외주면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내주면과, 외주면의 길이방향 반대쪽끝부분과 만나고 상기한 외주면 및 내주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한쪽끝부분이 배수관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배수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경사부의 끝부분과 상기한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한 내주면과 만나고 외주면 및 내주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배수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게 하나이상 형성되는 경사부와, 경사부의 끝부분과 내주면 사이에 하나이상 형성되는 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배수관용 패킹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수관용 패킹{Packing for water pipe}
본 고안은 배수관용 패킹에 관한 것으로, 배수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의 끝부분과 내주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배수관의 삽입이 용이하고 누수방지 및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배수관용 패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가정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나 하수 등을 하수종말 처리장이나 일정한 장소로 보내기 위해서 지하 또는 지상에 배수관을 설치한다.
상기한 배수관은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내부에 하수 및 오수가 흐르는 통로가 형성되며 주로 합성수지, 콘크리트, 금속재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한 배수관은 연결부가 형성되는 이음관이나 배수관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에 의하여 둘이상이 연결설치된다.
상기한 연결부에는 배수관 내부의 하수 및 오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패킹이 설치된다.
상기한 패킹은 상기한 연결부의 내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외주면과, 상기한 외주면과 일체로 외주면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한 배수관의 외주면 한쪽끝부분이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내주면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종래의 패킹은 신축성이 있는 고무재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패킹의 내주면을 배수관의 외주면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여 억지 끼워맞춤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패킹은 고무재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므로 배수관 외주면과의 마찰력이 증대되며 특히, 합성수지재 배수관의 경우 더욱 마찰력이 증대된다.
따라서 배수관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으며, 배수관을 삽입하기 위하여 비틀거나 회전시키므로 패킹의 일부가 꼬이거나 파손되어 누수의 원인이 된다.
특히, 외주면을 손으로 감쌀 수 없을 만큼 비교적 직경이 큰 배수관은 손에 큰 힘을 줄 수 없으므로 삽입이 어려우며, 삽입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을 깎아내야 하는 등 번거롭고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의 끝부분과 내주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배수관의 삽입이 용이하고 누수방지 및 기밀을 유지되며 특히, 직경이 큰 배수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배수관용 패킹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용 패킹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용 패킹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용 패킹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상태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용 패킹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배수관용 패킹은 내부에 오수 및 하수가 흐르는 통로가 형성되는 배수관을 둘이상 연결하도록 연결부가 형성되는 관이음에 설치되어 누수방지 및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에 있어서, 상기한 관이음 연결부의 내부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외주면과, 상기한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의 길이방향 한쪽끝부분과 만나며 외주면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내주면과, 상기한 외주면의 길이방향 반대쪽끝부분과 만나고 상기한 외주면 및 내주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한쪽끝부분이 상기한 배수관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배수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한 경사부의 끝부분과 상기한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한 내주면과 만나고 상기한 외주면 및 내주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한 배수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게 하나이상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한 경사부의 끝부분과 내주면 사이에 하나이상 형성되는 공간부를 더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용 패킹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용 패킹의 일실시예는 도1~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오수 및 하수가 흐르는 통로가 형성되는 배수관(2)을 둘이상 연결하도록 연결부(6)가 형성되는 관이음(4)에 설치되어 누수방지 및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10)에 있어서, 상기한 관이음(4) 연결부(6)의 내부(8)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외주면(18)과, 상기한 외주면(18)과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면(18)의 길이방향 한쪽끝부분에서 만나며 외주면(18)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내주면(16)과, 상기한 외주면(18)의 길이방향 반대쪽끝부분과 만나고 상기한 외주면(18) 및 내주면(16)과 일체로 형성되며 한쪽끝부분이 상기한 배수관(2)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배수관(2)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부(12)와, 상기한 경사부(12)의 끝부분과 상기한 내주면(1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14)를 포함한다.
상기한 연결부(6)에는 도1~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면(8)에 하나이상의 홈이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한 패킹(10)의 외주면(18)에도 이와 대응되도록 하나이상의 홈이나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패킹(10)의 경사부(12)에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배수관(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나선형의 홈이나 돌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패킹(10)의 내주면(16)에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수방지 및 기밀유지가 확실하도록 상기한 내주면(16)과 만나고 상기한 외주면(18) 및 내주면(16)과 일체로 형성되며 배수관(2)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게 하나이상의 경사부(12)를 더 형성하고, 상기한 경사부(12)의 끝부분과 내주면(16) 사이에 하나이상의 공간부(12)를 더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용 패킹의 설치과정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한 패킹(10)의 외주면(18)이 상기한 이음관(4) 연결부(6)의 내부(8)에 밀착되어 정확히 고정되도록 결합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다음 상기한 배수관(2)의 한쪽끝부분을 상기한 패킹(10)의 경사부(12)에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2)을 삽입하면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관(2)의 한쪽끝부분 외주면이 경사부(12)의 한쪽부분과 만나고 계속해서 배수관(2)을 삽입하면 상기한 배수관(2)이 경사부(12)의 탄력을 이기고 통과한다.
상기와 같이 통과할 때 상기한 경사부(12)의 끝부분은 상기한 배수관(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공간부(14)쪽으로 벌어지므로 상기한 배수관(2) 외주면과의 마찰력이 감소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2)이 경사부(12)를 통과하여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한 배수관(2) 및 관이음(4) 내부로 흘러들어오는 하수 및 오수 등이 상기한 공간부(14)에도 유입되므로 상기한 경사부(12) 끝부분이 상기한 배수관(2)의 외주면에 더욱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용 패킹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용 패킹에 의하면, 배수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경사부 끝부분과 내주면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배수관 삽입시 배수관 외주면과 마찰력이 감소된다.
따라서 배수관의 삽입이 용이하고 상기한 패킹의 일부가 뒤틀리거나 파손되지 않는다.
특히, 외주면을 손으로 감쌀 수 없을 만큼 비교적 직경이 큰 배수관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

  1. 내부에 오수 및 하수가 흐르는 통로가 형성되는 배수관을 둘이상 연결하도록 연결부가 형성되는 관이음에 설치되어 누수방지 및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에 있어서,
    상기한 관이음 연결부의 내부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외주면과,
    상기한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의 길이방향 한쪽끝부분과 만나며 외주면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내주면과,
    상기한 외주면의 길이방향 반대쪽끝부분과 만나고 상기한 외주면 및 내주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한쪽끝부분이 상기한 배수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한 배수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한 경사부의 끝부분과 상기한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배수관용 패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주면과 만나고 상기한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한 배수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작아지게 하나이상 더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한 경사부의 끝부분과 내주면 사이에 하나이상 더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배수관용 패킹.
KR2020010002333U 2001-02-01 2001-02-01 배수관용 패킹 KR200228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333U KR200228343Y1 (ko) 2001-02-01 2001-02-01 배수관용 패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333U KR200228343Y1 (ko) 2001-02-01 2001-02-01 배수관용 패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343Y1 true KR200228343Y1 (ko) 2001-06-15

Family

ID=7309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333U KR200228343Y1 (ko) 2001-02-01 2001-02-01 배수관용 패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3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237A (ko)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한일라바테크 배관 연결용 패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237A (ko)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한일라바테크 배관 연결용 패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3623B2 (en) Sealing ring for connecting the spigot of a corrugated pipe with a pipe socket having a smooth inside wall
KR200228343Y1 (ko) 배수관용 패킹
DE50104198D1 (de) Rohr-Bausatz
KR100933823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CA2360875C (en) Sewer pipe coupling
KR200357234Y1 (ko) 파이프 이음구조
KR101047503B1 (ko) 분기관 소켓
AU746377B2 (en) Sealing element for piping
KR200436180Y1 (ko) 오·우수받이의 관 연결구조
KR200232326Y1 (ko) 패킹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KR200332727Y1 (ko) 고정용 결합관이 구비된 관로구 삽입관
KR100240206B1 (ko) 주하수관과 분기하수관의 연결부재
KR200355574Y1 (ko)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200211155Y1 (ko)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
KR20010066120A (ko)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
KR200181891Y1 (ko) 하수관 분기 연결관
KR200283875Y1 (ko) 호스 실링구조
KR200184262Y1 (ko)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
KR20030060562A (ko) 일체형 플랜지 관
KR840000733Y1 (ko) 씽크 배수관의 커플링
KR200181293Y1 (ko) 소음감소용 파이프
KR200407702Y1 (ko) 호스 실링구조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KR200179789Y1 (ko) 관 밀봉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