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155Y1 -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 - Google Patents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155Y1
KR200211155Y1 KR2020000023402U KR20000023402U KR200211155Y1 KR 200211155 Y1 KR200211155 Y1 KR 200211155Y1 KR 2020000023402 U KR2020000023402 U KR 2020000023402U KR 20000023402 U KR20000023402 U KR 20000023402U KR 200211155 Y1 KR200211155 Y1 KR 200211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coupling
spiral
tubes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덕
Original Assignee
김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덕 filed Critical 김재덕
Priority to KR2020000023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1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155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 외측면에 나선형의 돌기가 형성된 관들을 서로 연결할 때 양측 관들과 커플링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패킹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하수관은 그 외부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돌출부에 의하여 'O'링 형태의 패킹을 삽입시킬 수 없었으므로 하수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커플링과 하수관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패킹(30)의 몸체를 나선형 관(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안내홈(12)에 삽입시키면서 결합홈(31)이 나선형 돌출부(11)에 끼워지도록 하면 패킹(30)이 관(10)의 외측면을 한바퀴 둘러서 설치되는 것이므로 커플링(20)과 양측 관(10)들 사이가 완벽하게 밀폐됨에 따라 페수 및 오수가 지하로 유출되는 등의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토양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관(10)들의 연결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완료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a packing for pipe coupling}
본 고안은 그 외측면에 나선형의 돌기가 형성된 관들을 서로 연결할 때 양측 관들과 커플링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패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나 우수를 배출시키는 하수관은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있으나 주로 지하에 매설할 때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내구력이 우수하고 폐수, 오수 및 해수 등에 잘 부식되지 않는 재질의 하수관을 사용한다.
전술한 하수관들 중에는 내구성을 높이고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나선형으로 압출시켜 관의 외부에 나선형의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한 하수관들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하수관은 그 외부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돌출부에 의하여 'O'링 형태의 패킹을 삽입시킬 수 없었으므로 하수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커플링과 하수관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그 내측에 나선형 돌출부를 갖는 커플링을 이용하여 양측 하수관과 커플링을 나사 결합시켜 사용하였으나 시공시 커플링 및 하수관을 회전시켜야하므로 시공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완전한 밀폐가 어려워 결국은 페수 및 오수가 지하로 유출됨에 따라 환경이 오염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나선형의 돌출부를 갖는 하수관의 외측에 결합되어 하수관과 커플링 사이를 완벽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그 외측면에 나선형 돌출부(11)와 안내홈(12)이 연속 형성된 나선형 관(10)들이 원통형 커플링(2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O'링 형태로 이루어진 패킹(30)의 내부 일측에는 그 양측에 경사면(31a)을 갖는 결합홈(31)이 형성되어 패킹(30)의 몸체는 안내홈(12)에 삽입되고, 결합홈(31)은 돌출부(11)에 결합되어 패킹(30)이 나선형 관(10)의 외측면을 한바퀴 둘러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패킹을 예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관
11 : 돌출부
12 : 안내홈
20 : 커플링
30 : 패킹
31 : 결합홈
31a : 경사면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10)은 주로 하수관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나선형으로 압출시켜 관(10)의 외부에 나선형의 돌출부(11)와 안내홈(12)이 연속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관(10)들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커플링(2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와 같은 구성은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사상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관(10)들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패킹(30)의 구조에 있다.
즉, 상기 패킹(30)은 'O'링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부 일측에는 '??'형의 결합홈(31)이 절취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홈(31)의 양측에는 경사면(31a)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패킹(30)은 상기 결합홈(31)에 의하여 나선형 관(10)의 외측면을 한바퀴 둘러서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패킹(30)의 몸체를 나선형 관(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안내홈(12)에 삽입시키면서 결합홈(31)이 나선형 돌출부(11)에 끼워지도록 하면 패킹(30)이 관(10)의 외측면을 한바퀴 둘러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홈(31)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은 돌출부(11)의 양측면에 밀착되면서 견고하게 결합되고, 패킹(30)의 외측면은 돌출부(11) 보다 약간 돌출되어 커플링(20)의 내측면에 밀착됨에 따라 커플링(20)과 양측 관(10)들의 사이가 패킹(30)에 의하여 완벽하게 밀폐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내부에 나선형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연결관 형태의 커플링(20)을 사용하여 양측 관(10)들을 삽입시키기만 하면 관(10)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완료되는 등의 이점이 있고, 패킹(30)에 의하여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페수 및 오수가 지하로 유출되는 등의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토양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패킹(30)의 몸체를 나선형 관(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안내홈(12)에 삽입시키면서 결합홈(31)이 나선형 돌출부(11)에 끼워지도록 하면 패킹(30)이 관(10)의 외측면을 한바퀴 둘러서 설치되는 것이므로 커플링(20)과 양측 관(10)들 사이가 완벽하게 밀폐됨에 따라 페수 및 오수가 지하로 유출되는 등의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토양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관(10)들의 연결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완료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그 외측면에 나선형 돌출부(11)와 안내홈(12)이 연속 형성된 나선형 관(10)들이 원통형 커플링(2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O'링 형태로 이루어진 패킹(30)의 내부 일측에는 그 양측에 경사면(31a)을 갖는 결합홈(31)이 형성되어 패킹(30)의 몸체는 안내홈(12)에 삽입되고, 결합홈(31)은 돌출부(11)에 결합되어 패킹(30)이 나선형 관(10)의 외측면을 한바퀴 둘러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
KR2020000023402U 2000-08-18 2000-08-18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 KR200211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402U KR200211155Y1 (ko) 2000-08-18 2000-08-18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402U KR200211155Y1 (ko) 2000-08-18 2000-08-18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155Y1 true KR200211155Y1 (ko) 2001-01-15

Family

ID=7308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402U KR200211155Y1 (ko) 2000-08-18 2000-08-18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1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8319B2 (en) Self restrained pressure gasket
US4037626A (en) High strength composite pipe structure having leakproof joints
US6343623B2 (en) Sealing ring for connecting the spigot of a corrugated pipe with a pipe socket having a smooth inside wall
US5180197A (en) Pipe jointing system
US2926027A (en) Two-part union having left and right hand threads
US4643467A (en) Threaded tubing seals
KR200211155Y1 (ko)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
KR200184262Y1 (ko)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
US7104574B2 (en) Corrugated pipe connection joint
JP3688620B2 (ja) 蛇腹状可撓管
KR100616070B1 (ko) 앵커 볼트용 커플링
KR20010066120A (ko)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
FI75414C (fi) Roerkoppling.
CA2360875C (en) Sewer pipe coupling
KR100786220B1 (ko)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연결구
JP3619879B2 (ja) 管継手部の構造
KR200302227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조
JP2001208251A (ja) 螺旋波形管用パッキンとその取付け構造
KR200228343Y1 (ko) 배수관용 패킹
KR200355574Y1 (ko)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100466273B1 (ko) 홈조인트식 이중벽관
KR100466275B1 (ko) 홈조인트식 복층관
CN210141400U (zh) 多密封锁扣承插接口
KR100806879B1 (ko) 이중벽관용 커플러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