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227Y1 -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227Y1
KR200302227Y1 KR20-2002-0031739U KR20020031739U KR200302227Y1 KR 200302227 Y1 KR200302227 Y1 KR 200302227Y1 KR 20020031739 U KR20020031739 U KR 20020031739U KR 200302227 Y1 KR200302227 Y1 KR 200302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connector
jaw
pipes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율
박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명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명기계
Priority to KR20-2002-0031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2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2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 F16L47/1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maintained in place by addition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수관, 우수관과 같이 각종 액체를 이송시키는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에서 밀폐고무링을 조립한 연결구에 합성수지관을 끼워 조립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의 수밀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내부 중앙에 걸림턱(5)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홈(4, 4')이 형성된 연결구(2)와,
상기 연결구(2)의 양측에 삽입되며 외측으로 고정턱(7, 7')이 형성되고 일측선단에 돌출턱(6, 6')이 설치되며 내측에 1차돌기(8, 8')와 2차 돌기(9, 9') 및 3차 돌기(10, 10')가 형성되어 합성수지관(1, 1')이 삽입식으로 고정되는 밀폐고무링(3, 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조{a}
본 고안은 오수관, 우수관과 같이 각종 액체를 이송시키는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에서 밀폐고무링을 조립한 연결구에 합성수지관을 끼워 조립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의 수밀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합성수지관(1, 1')은 일자형으로 압출 성형하거나, 주름을 성형하면서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이중벽관, 내부에 열십자형태의 기둥이 형성되는 중공에 의하여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삼중벽관이 제공된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은 주로 지하에 매설되는 것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경우에는 일정한 간격에서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게 된다.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국내 실용신안공개번호 제1997-63186호(1997. 12. 11. 공개)는 본체의 일측으로 결합부에 다수개의 절개부와 선단에 고정턱을 설치하고 반대편의 삽입부에 고정홈과 고무링이 고정되는 링홈을 여러 개 설치하여 원터치형으로 결합되도록 하였으나 조립한 후 외부에서 금속링을 체결시켜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공개번호 제1999-11967호(1999. 3. 25. 공개)는 메쉬코일이 증착된 시트를 이용하여 수지관을 감은 후 메쉬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수지관과 시트가 용융되면서 서로 융착되도록 하는 것이 있으나, 전원을 필요로 하므로 전기가 없는 곳에서는 발전기를 준비해야 하고, 융착시간이 30분 이상 소요되므로 연결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긴 단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227733호(2001. 4. 6. 등록)는 연결링의 내부에 메탈라스가 설치되어 합성수지관의 융착면이 삽입되어서 메탈라스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양측에서 합성수지관을 연결장치로 밀어 연결시키는 것이 있으나, 전원을 필요로 하므로 전기가 없는 곳에서는 발전기를 준비해야 하고, 합성수지관을 맞대기하여 누를 수 있는 연결장치를 별도로 필요로 하게 되므로 장비의 준비와 융착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결구의 양측에서 밀폐고무링을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조립하고 양측에서 합성수지관을 멈출 때까지 밀어 넣으면 수밀이 유지되면서 간편하게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 중앙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양측에 삽입되며 외측으로 고정턱이 형성되고 일측선단에 돌출턱이 설치되며 내측에 1차돌기와 2차 돌기 및 3차 돌기가 형성되어 합성수지관이 삽입식으로 고정되는 밀폐고무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과 연결구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연결구와 밀폐고무링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상태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합성수지관 2, 2' : 연결구
3, 3' : 밀폐고무링 4, 4' : 걸림홈
5 : 걸림턱 6, 6' : 돌출턱
7, 7' : 고정턱 8, 8' : 1차 돌기
9, 9' : 2차 돌기 10, 10' : 3차 돌기
11, 11' : 1차 홈 12, 12' : 2차 홈
13, 13' : 3차 홈
본 고안은 합성수지관(1, 1')을 연결시키는 연결구(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 걸림턱(5)이 형성되어 있어서 합성수지관(1, 1')을 밀어넣을 때 정지되도록 하며, 양측으로 적어도 2줄의 걸림홈(4, 4')이 형성되어 있어서 밀폐고무링(3, 3')이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밀폐고무링(3, 3')은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걸림홈(4, 4')에 조립되는 고정턱(7, 7')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일측으로 돌출턱(6, 6')이 형성되어 연결구(2)의 외측 선단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밀폐고무링(3, 3')의 내부에는 외측에서부터 1차 돌기(8, 8')가 일직선으로 돌출된 후 내부에서 경사지게 안으로 꺾여 있으며, 그 내부에는 1차 홈(11,11')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후 안으로 일직선이 되게 돌출된 2차 돌기(9, 9')가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 2차 홈(12, 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2차 홈(12, 12')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후 안으로 일직선이 되게 돌출된 3차 돌기(10, 10')가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 3차 홈(13, 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2)의 양측에는 밀폐고무링(3, 3')이 접착제 없이 결합되어 있으며, 도 7 과 같이 내부에 고정턱(7, 7')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 과 같이 연결구(2')를 합성수지관(1)의 일측면에서 일체형이 되도록 연결한 편수관을 성형하고 한쪽에만 밀폐고무링(3)을 조립하여 합성수지관(1')을 삽입식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연결구(2)의 양측에서 밀폐고무링(3, 3')을 삽입하여 걸림홈(4, 4')에 고정턱(7, 7')이 조립되도록 한다.
그러면 걸림홈(4, 4')과 고정턱(7, 7')이 조립되면서 외측의 돌출턱(6, 6')이 연결구(2)의 양측 선단에서 걸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구(2)에 밀폐고무링(3)을 조립하면 합성수지관(1, 1')의 연결시에 연결구(2)의 밀폐고무링(3)에 합성수지관(1)을 더이상 진입이 되지 않을 때까지 밀어 넣는다.
합성수지관(1)과 연결구(2)가 조립이 완성되면 반대편에서 합성수지관(1')을 더이상 진입되지 않을 때까지 밀어 넣는다.
그러면 걸림턱(5)의 양측으로 합성수지관(1, 1')이 조립되며, 밀폐고무링(3, 3')의 내부에 형성된 2차 돌기(9, 9')와 3차 돌기(10, 10')를 통과하여 조립되면 1, 2, 3차돌기(8, 8', 9, 9', 10, 10')에 합성수지관(1, 1')의 외측면이 밀폐되면서 수밀이 보장되며 조립이 완료된다.
합성수지관(1, 1')을 삽입할 때 1, 2, 3차 돌기(8, 8', 9, 9', 10, 10')가 안으로 밀리려고 하나 걸림홈(4, 4')에서 고정턱(7, 7')이 조립되어 있으며, 돌출턱(6, 6')이 연결구(2)의 외측에서 안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합성수지관(1, 1')이 연결구(2)에 조립된 후에는 밀페고무링(3, 3')에서 1, 2, 3차 돌기(8, 8', 9, 9', 10, 10')가 안정된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누수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 과 같이 연결구(2)에 밀폐고무링(3, 3')을 조립식으로 하지 않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도 8 과 같이 합성수지관(1)과 일체형으로 연결구(2')를 성형한 편수관을 통하여 외측에서 합성수지관(1')을 밀어 넣으면 밀폐고무링(3')을 통하여 누수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연결구에 설치되는 밀폐고무링을 통하여 양측에서 합성수지관을 밀어 넣는 방법으로 조립식 연결이 가능하므로 합성수지관의 연결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밀폐고무링의 돌기에 의하여 합성수지관의 누수를 3단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안정되고 견고한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합성수지관의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차단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내부 중앙에 걸림턱(5)이 형성되며 양측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홈(4, 4')이 형성된 연결구(2)와,
    상기 연결구(2)의 양측에 삽입되며 외측으로 고정턱(7, 7')이 형성되고 일측선단에 돌출턱(6, 6')이 설치되며 내측에 1차돌기(8, 8')와 2차 돌기(9, 9') 및 3차 돌기(10, 10')가 형성되어 합성수지관(1, 1')이 삽입식으로 고정되는 밀폐고무링(3, 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합성수지관(1)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연결구(2)의 일측으로 걸림홈(4')이 형성되어 밀폐고무링(3')이 조립되어 합성수지관(1')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조.
KR20-2002-0031739U 2002-10-24 2002-10-24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조 KR200302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739U KR200302227Y1 (ko) 2002-10-24 2002-10-24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739U KR200302227Y1 (ko) 2002-10-24 2002-10-24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227Y1 true KR200302227Y1 (ko) 2003-01-29

Family

ID=4933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739U KR200302227Y1 (ko) 2002-10-24 2002-10-24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22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32B1 (ko) * 2008-05-06 2010-01-06 박환진 연결부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장치
KR101656219B1 (ko) 2015-12-17 2016-09-13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성형장치
KR101656217B1 (ko) 2015-12-17 2016-09-13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연결방법
KR101676737B1 (ko) 2015-12-17 2016-11-18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결합장치
KR101676735B1 (ko) 2015-12-17 2016-11-18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KR101676739B1 (ko) 2015-12-17 2016-11-18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32B1 (ko) * 2008-05-06 2010-01-06 박환진 연결부재 일체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장치
KR101656219B1 (ko) 2015-12-17 2016-09-13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성형장치
KR101656217B1 (ko) 2015-12-17 2016-09-13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연결방법
KR101676737B1 (ko) 2015-12-17 2016-11-18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결합장치
KR101676735B1 (ko) 2015-12-17 2016-11-18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KR101676739B1 (ko) 2015-12-17 2016-11-18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하수관 연결을 위한 이중 고정용 이음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5547A (en) Pipe couplings
KR101011018B1 (ko)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KR200302227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조
KR20100071161A (ko) 이중벽관용 일체형 소켓
KR100528714B1 (ko) 조립 연결용 합성수지관
KR100786220B1 (ko)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연결구
DE3875626D1 (de) Kunststoffrohr.
KR200355574Y1 (ko)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KR100715393B1 (ko) 관 연결을 위한 편수관 일체형 하수관
KR100902028B1 (ko) 연결구에 원터치형으로 조립하는 수밀 패킹을 설치한합성수지관
KR100806879B1 (ko) 이중벽관용 커플러
KR100540211B1 (ko) 요철관을 이용한 연결용 이중벽 하수관
KR100425279B1 (ko) 원터치형 연결구용 합성수지관
US9763429B2 (en) Pipe and siphon receptacle apparatus coupling adaptor
KR200325937Y1 (ko) 이중관 공간내에 아이형 보강부를 가진 소켓 일체형 피이이중관
KR970005740Y1 (ko) 오수 배수관 연결패킹
KR200300524Y1 (ko)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KR200318982Y1 (ko) 수지관 원터치식 연결장치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200296567Y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부 보강구조
KR100334976B1 (ko) 고리조립 접착형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하수관
KR20050102589A (ko) 원터치식 연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관
CN211145708U (zh) 厨房卫浴用三通管
KR100565954B1 (ko) 합성수지관의 편수관 연결구조
KR100396291B1 (ko) 합성수지관의 이음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