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24Y1 -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24Y1
KR200300524Y1 KR20-2002-0029484U KR20020029484U KR200300524Y1 KR 200300524 Y1 KR200300524 Y1 KR 200300524Y1 KR 20020029484 U KR20020029484 U KR 20020029484U KR 200300524 Y1 KR200300524 Y1 KR 200300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manhole body
hole
pipe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중
Original Assignee
권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중 filed Critical 권혁중
Priority to KR20-2002-0029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우오수받이에 입수관 또는 배수관을 연결함에 있어 별도의 장치없이 패킹만으로도 우오수받이와 관 사이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맨홀몸체에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의 내주면에 링형의 패킹을 개재한 상태로 관을 삽입하여서 된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패킹은 그 관 접촉면과 맨홀몸체의 구멍 접촉면에 각각 다수의 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돌기가 관과 맨홀몸체의 구멍을 다단으로 패킹할 수 있게 하고, 맨홀몸체의 구멍 측면과 접촉되는 날개부위는 바깥에서 안쪽으로 모아지게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기본적으로는 강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어 아무리 오랜시간 사용하여도 우오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별도의 연결소켓없이도 관을 직접 맨홀몸체에 삽입하여 구성하여 간단한 구조를 갖는 관 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수밀성 확보를 통해 우오수 누출로 인한 토양오염을 막을 수 있음은 물론 맨홀의 재시공에 필요한 시간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Apparatus to connect tubes in rain and dirty water receiver}
본 고안은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오수받이에 입수관 또는 배수관을 연결함에 있어 별도의 장치없이 패킹만으로도 우오수받이와 관 사이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우오수받이는 우수 또는 오수를 받아 일시 저장하면서 그 내부의 찌꺼기 성분을 거른 상태에서 배수관을 통해 다시 내보내는 중간 정화조 역할을 하는 맨홀로서, 원형이나 사각함체로 된 맨홀몸체에 입수관과 배수관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배수관만 연결된 경우도 있다.
이때, 맨홀몸체와 입수관 또는 배수관 사이에 틈새가 발생될 경우에는 우수 또는 오수가 누출될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입수관 또는 배수관을 맨홀몸체에 연결할 때에는 맨홀몸체에 구멍을 형성하고, 여기에 연결소켓을 삽입시킨 후 관을 연결하게 되며, 수밀성 확보를 위해 연결소켓과 맨홀몸체의 구멍 사이에 접착제 또는 PVC재를 녹여 땜질한 후 매립하여 시공하게 되는바, 이는 정밀시공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수밀성을 잃어버리게 되므로 시공시 많은 주의를 요하게되며, 또 정밀시공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외부의 조건, 즉 계절에 따른 온도의 변화 및 외부충격에 의해 지반의 융기 및 침하작용이 발생하게 되면 땜질부가 손상되어 수밀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 242733 호에서 맨홀몸체에 우,오수를 유입 및 배출하는 관이나 연결소켓을 결합하는데 있어서, 맨홀몸체와 관 및 연결소켓 사이에 U자형의 탄력있는 패킹을 연결소켓의 내측 걸림돌기와 외측걸림돌기 사이에 장착하여 맨홀몸체 수축시 가압되어 수밀성과 탄력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맨홀몸체와 관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않아 우오수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관 연결소켓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등록실용신안 제 242733 호에 따른 배수관 연결소켓은 U자형의 패킹이 적용되므로 패킹의 내외면이 연결소켓과 맨홀몸체의 구멍에 면접촉하게 되며, 맨홀몸체의 구멍 측면에 덮이는 날개 부위 역시 별다른 탄성없이 그대로 덮여있는 구조이므로 이러한 구조를 가진 상태에서 오랜시간동안 우수 또는 오수와 접촉하게 될 경우 패킹의 탄성이 떨어지면서 그 연결소켓 또는 맨홀몸체 접촉면에 수막이 형성되어 우수 또는 오수가 누출될 수 있으며, 일단 우수 또는 오수의 누출이 시작되면 빠른 시간내에 누출되는 정도가 심해지게 되어 더 이상 수밀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이와 같이 수밀성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에는 토양오염을 일으킬 수 있고, 매립되어 있는 부위를 파내어 재시공할 수밖에 없으므로 재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비용 등 많은 제반 문제를 야기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또한, 맨홀몸체에 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소켓이 필요하므로 이를 제조하는 시간, 비용 등이 증가되고, 조립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패킹의 전후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게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패킹력을 향상시키고, 맨홀몸체의 구멍 측면과 접촉되는 날개 부위는 바깥에서 안쪽으로 모아지게 구성하여 밀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우수 또는 오수의 누출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패킹을 개재한 상태로 맨홀몸체의 구멍에 관을 직접 삽입할 수 있어 별도의 연결소켓이 필요없는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용 패킹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오수받이의 관연결용 패킹의 실시예시도로서,
(a)는 돌기가 단면상 직각삼각형이면서 강철심이 없는 경우.
(b)는 돌기가 단면상 직각삼각형이면서 강철심이 있는 경우.
(c)는 돌기가 단면상 원형이면서 강철심이 없는 경우.
(d)는 돌기가 단면상 원형이면서 강철심이 있는 경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맨홀몸체 11 : 구멍 20 : 패킹
21,22 : 돌기 23 : 날개부위 24 : 강철심
30 : 연결소켓 40 : 관 50 : 고정링
51 : 고정스크류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를 통해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홀몸체(10)에 구멍(11)을 형성하고, 구멍(11)의 내주면에 링형의 패킹(20)을 개재한 우, 오수를 유입 또는 배출하는 관(40)을 삽입하여서 된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패킹(20)은 그 관 접촉면과 맨홀몸체의 구멍 접촉면에 각각 다수의 돌기(21)(22)를 돌출 형성하여 이 돌기(21)(22)가 관(40)과 맨홀몸체(10)의 구멍(11)을 다단으로 패킹할 수 있게 하고, 맨홀몸체(10)의 구멍(11) 측면과 접촉되는 날개부위(23)는 밀착성 향상을 위해 바깥에서 안쪽으로 모아지게 구성한 것이다.
이때, 관(40)은 맨홀몸체(10)에 패킹(20)을 끼운 상태에서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하게 되므로 패킹(20)이 맨홀몸체(10)의 내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킹은 그 맨홀몸체(10) 외측에 위치되는 날개부위(23)가 고정링(50)을 통해 맨홀몸체(10)의 구멍(11) 주위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패킹(20)은 도 3과 같이 라텍스, 합성고무, 실리콘 등 패킹력을 가진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그 원래의 재질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탄성력을 가지도록 내부 전체에 강철심(24)을 삽입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패킹(20)의 연결소켓측 돌기(21)는 단면상 직각 삼각형 또는 원형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적용하도록 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51은 고정링을 맨홀몸체(10)에 고정하는 고정스크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맨홀몸체(10)의 구멍(11)에 우오수를 유입 또는 배출하기 위한 관(40)을 끼움에 있어 관(40)과 맨홀몸체(10)의 구멍 사이에 조그마한 틈새라도 있으면 이러한 부위를 통해 우수 또는 오수가 누출될 수 있어 맨홀몸체(10)에 관(40)을 끼울 때에는 수밀성 및 유연성을 갖도록 패킹(20)을 끼우고, 그 위에 관(20)을 끼우게 되며, 관(20)을 끼우는 과정에서 패킹(20)을 밀게 디지만 패킹(20)의 날개부위(23)가 고정링(50)을 통해 맨홀몸체(10)의 구멍(11) 주위에 고정되어 있어 패킹(20)은 밀리지 않고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패킹(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관 접촉면과 맨홀몸체의 구멍 접촉면에 각각 다수의 돌기(2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맨홀몸체(10)의 구멍(11) 측면과 접촉되는 날개부위(23)는 바깥에서 안쪽으로 모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패킹(20)이 관(40), 맨홀몸체(10)의 구멍(11)과 접촉할 때 이러한 다수의 돌기(21)(22)와 밀착되어 다단의 패킹이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돌기(21)(22)와 각 부재(30)(11)가 면접촉하는 것이 아니므로 수막현상도 발생되지 않아 아무리 오래토록 사용하여도 우,오수가 절대 누출되지 않는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맨홀몸체(10)의 구멍(11) 측면과 접촉되는 날개부위(23)가 바깥에서 안쪽으로 모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그 형상 자체로 강한 홀딩력을 가질 수 있어 별도의 연결소켓없이 관을 패킹(20)만을 개재한 상태로 맨홀몸체(10)의 구멍(11)에 끼우더라도 충분한 패킹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부가하여 패킹(20)의 내부 전체에 강철심(24)이 삽입될 경우에는 그 탄성력에 따라 날개부위(23)의 홀딩력을 더욱 높여줌으로써 날개부위(23)가 맨홀몸체(10)의 구멍(11) 측면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수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이를 구성하기 난해한 단점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패킹(20)의 관측 돌기(21)를 단면상 직각 삼각형으로 형성할 경우 연결소켓(30)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고 우수 또는 오수에 의해 관(40)이 외측으로 약간 밀리면서 그 패킹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이는 방향성을 갖게 되어 패킹(20)의 개재시 일일이 그 방향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 돌기(21)를 단면상 원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방향성이 없어 작업은 용이하나 관(40)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없고 패킹력이 전자보다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2가지 타입의 패킹(20)을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패킹(20)의 맨홀몸체 구멍 접촉부위는 날개부위(23)에 의해 이미 1차 패킹이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여기에 형성되는 돌기(22)는 연결소켓측 돌기(21)보다는 작은 크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 역시 기본적인 엠보싱 형태로 구성하면 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맨홀몸체(10)의 구멍(11)에 패킹(20)을 개재한 상태로 연결소켓(30)을 끼우고, 연결소켓(30)의 내측으로 관(40)을 삽입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맨홀몸체(10)의 수축현상을 이용하여 보다 패킹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맨홀몸체(10)는 통상 합성수지재와 같은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구성하며, 맨홀몸체(10)의 성형시 구멍(11)도 같이 성형하게 되는데, 맨홀몸체(10)는 성형후 점차 그 온도가 낮아지면서 수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멍 역시 그 직경이 작아지게 되므로 맨홀몸체(10)의 성형 후 패킹(20)을 개재한 상태로 연결소켓(30)을 끼우고, 그 내부에 관(40)을 삽입하면 되며, 이를 적용할 경우에는 부재는 늘어나지만 맨홀몸체(10)의 수축, 패킹의 형상에 따라 완벽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우오수받이의 관을 연결하는 패킹의 전후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각 접촉면에서 다단의 패킹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패킹의 날개부위가 안쪽으로 모아지게 형성되어 있어 맨홀몸체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기본적으로는 강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어 아무리오랜시간 사용하여도 우오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별도의 연결소켓없이도 관을 직접 맨홀몸체에 삽입하여 구성하여 간단한 구조를 갖는 관 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수밀성 확보를 통해 우오수 누출로 인한 토양오염을 막을 수 있음은 물론 맨홀의 재시공에 필요한 시간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맨홀몸체(10)에 구멍(11)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11)의 내주면에 링형의 패킹(20)을 개재한 상태로 관(40)을 삽입하여서 된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패킹(20)은,
    그 관 접촉면과 맨홀몸체의 구멍 접촉면에 각각 다수의 돌기(21)(2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돌기(21)(22)가 상기 관(40)과 상기 맨홀몸체(10)의 구멍(11)을 다단으로 패킹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맨홀몸체(10)의 구멍(11) 측면과 접촉되는 날개부위(23)는 바깥에서 안쪽으로 모아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20)은, 상기 맨홀몸체(10) 외측에 위치되는 날개부위(23)가 고정링(50)을 통해 상기 맨홀몸체(10)의 구멍(11) 주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내부전체에는 형상 유지를 위한 강철심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20)의 관측 돌기(21)는 단면상 직각 삼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20)의 관측 돌기(21)는 단면상 원형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몸체(10)의 구멍(11)에는 상기 패킹(20)을 개재한 상태로 연결소켓(30)이 끼워지고, 상기 연결소켓(30)의 내측으로 관(40)이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KR20-2002-0029484U 2002-10-02 2002-10-02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KR200300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484U KR200300524Y1 (ko) 2002-10-02 2002-10-02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484U KR200300524Y1 (ko) 2002-10-02 2002-10-02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4Y1 true KR200300524Y1 (ko) 2003-01-10

Family

ID=4939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484U KR200300524Y1 (ko) 2002-10-02 2002-10-02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213B1 (ko) * 2003-08-04 2006-01-11 이선희 맨홀의 관연결구조
KR20220017223A (ko) * 2020-08-04 2022-02-11 경기건설 주식회사 집수정 연결 수밀 소켓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213B1 (ko) * 2003-08-04 2006-01-11 이선희 맨홀의 관연결구조
KR20220017223A (ko) * 2020-08-04 2022-02-11 경기건설 주식회사 집수정 연결 수밀 소켓 및 그 시공 방법
KR102417309B1 (ko) * 2020-08-04 2022-07-07 경기건설 주식회사 집수정 연결 수밀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937B1 (ko) 하수구 악취방지구
KR200300524Y1 (ko)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KR101639322B1 (ko) 원형맨홀에 부합하는 타원형 커넥터
KR100887614B1 (ko) 맨홀 구조와 맨홀을 제작하는 방법
KR100786220B1 (ko) 소켓을 갖는 이중벽관의 연결구
KR100240206B1 (ko) 주하수관과 분기하수관의 연결부재
KR101350205B1 (ko) 하수관 연결구
KR100477145B1 (ko) 배수관 연결소켓 조립방법
KR200403234Y1 (ko)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개선구조
KR200436180Y1 (ko) 오·우수받이의 관 연결구조
KR20100003286U (ko)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
KR200242733Y1 (ko) 배수관 연결소켓
KR101641114B1 (ko) 맨홀연결구를 구비한 맨홀
KR20070036101A (ko) 지수단관 일체형 맨홀
KR0120993Y1 (ko) 콘크리트관 접속링
KR200352987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실링패킹
KR970005742Y1 (ko) 지중배수관의 연결장치
CN219888970U (zh) 一种波纹管连接用可视套筒接头
KR20110033439A (ko) 오수받이
KR200429675Y1 (ko) 관 연결용 패킹
KR200358337Y1 (ko) 하수관용 분기관 연결링
KR200379091Y1 (ko) 합성수지관 이탈 방지구조
KR101798171B1 (ko) 집수정의 배수를 위한 연결구조
JP2507185Y2 (ja) 排水マス
KR100444623B1 (ko) 배수관 연결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