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439A -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439A
KR20110033439A KR1020090090935A KR20090090935A KR20110033439A KR 20110033439 A KR20110033439 A KR 20110033439A KR 1020090090935 A KR1020090090935 A KR 1020090090935A KR 20090090935 A KR20090090935 A KR 20090090935A KR 20110033439 A KR20110033439 A KR 20110033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pe
sewage
connection
connection par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원
Original Assignee
장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원 filed Critical 장동원
Priority to KR1020090090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3439A/ko
Publication of KR20110033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1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이나 오수 등의 배수경로에 설치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오수받이에 있어서는 접속관을 통해 접속관 연결부(200)에 지진 등에 의해 외부보다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접속관의 선단이 걸림단부(400)에 접촉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착되기 때문에 그 압력에 의해 접속관 연결부(200) 주변의 오수받이 본체(100)가 파손될 우려가 많게 되며, 그에 따라 지하에 매설된 오수받이의 보수나 교체는 물론 접속관의 재접속 공사 등이 필요하게 되어 막대한 복구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유입 또는 유출용의 접속관 연결부가 마련되는 합성수지제의 오수받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 연결부의 내주면 후단에 접속관의 선단이 지지되는 스톱퍼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관을 통해 오수받이 본체에 과도한 하중이 걸려 접속관 연결부가 강하게 압압 되었을 때에 스톱퍼돌기가 접속관의 선단에 의해 파손되면서 접속관이 오수받이 본체 쪽으로 돌입함으로써 오수받이 본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접속관이 스톱퍼돌기를 돌파해 한층 더 안쪽으로 진입해도 역단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오수받이, 접속관 연결부, 스톱퍼돌기

Description

오수받이 { a drain sewage }
본 발명은 빗물이나 오수 등의 배수경로에 설치되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유입, 유출용의 접속관 연결부에 특징을 가지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빗물이나 오수 등의 배수 경로에 설치되는 오수받이에 있어서는 유입, 유출용의 접속관이 접속되는 접속관 연결부의 내주면에 접속관의 삽입 깊이를 규제해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스톱퍼 돌기가 그 내주의 전체에 마련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에는 종래의 오수받이의 요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종래의 오수받이는 오수받이 본체(100)의 측벽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접속관 연결부(200)의 입구 근방의 내주에 링홈(300)이 마련되고, 이 링홈(300)에 밀폐링(400)이 설치되어 방수 씰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속관 연결부(200)의 내주의 후단에 걸림단부(400)가 마련되어 접속관의 선단이 걸림단부(400)에서 걸리게끔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와 같은 오수받이의 접속관 연결부(200)의 구조에 있어서는 삽입되는 접속관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단부(400)가 접속관 연결부(200)의 내주 전체에 걸쳐 마련되기 때문에 접속관이 위치 결정된 후 견고하게 지지되는 상태로 접속된다.
따라서 접속관을 통해 접속관 연결부(200)에 지진 등에 의해 외부보다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접속관의 선단이 걸림단부(400)에 접촉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착되기 때문에 그 압력에 의해 접속관 연결부(200) 주변의 오수받이 본체(100)가 파손될 우려가 많게 된다.
상기에서 오수받이 본체(100)가 파손되면 지하에 매설된 오수받이의 보수나 교체는 물론 접속관의 재접속 공사 등이 필요하게 되어 막대한 복구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강 지진 등에 의해 외부보다 과대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접속관 연결부 주변의 오수받이 본체가 파손, 균열 등의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하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입 또는 유출용의 접속관 연결부가 마련되는 합성수지제의 오수받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 연결부의 내주면 후단에 접속관의 선단이 지지되는 스톱퍼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수받이에 있어서는 접속관 연결부의 저부를 상기 스톱퍼돌기가 형성된 위치에서 후방으로 단차 없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수받이의 재질로는 염화 비닐 수지 등의 합성 수지가 매우 적합하며, 배수의 유입측 또는 유출측의 접속관 연결부의 내주면의 안쪽에 설치되는 스톱퍼돌기는 성형 가공 등에 의해 오수받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스톱퍼 돌기는 접속관 연결부의 내주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스톱퍼돌기의 갯수, 높이, 폭, 두께 등은 오수받이 본체의 강도, 접속관 연결부나 접속관의 강도 등을 감안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오수받이에 있어서 접속관 연결부의 내주면 안쪽에 스톱퍼돌기를 마련하는 목적은 접속관의 삽입 깊이를 규정하기 위한 스톱퍼의 역할과, 접속관을 통해 오수받이 본체에 과잉의 하중이 걸려 접속관 연결붕가 강한 압력을 받을 때에 스톱퍼돌기가 접속관의 선단에 의해 파손되어 접속관이 더욱 안쪽으로 돌입하게 함으로써 오수받이 본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오수받이의 접속관이 접속되는 유입, 또는 유출측의 접속관 연결부는 내주면 바깥쪽에 링홈이 설치되고, 이 링홈에 밀폐링이 설치되는 구조로, 그 내주가 접속관을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고착된다.
상기 접속관 연결부의 단면 형상은 그에 접속되는 접속관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며, 원형이나 계란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수받이에 있어서 접속관 연결부의 저부를 상기 스톱퍼돌기가 형성된 위치에서 후방까지 단차 없이 형성하게 되면 접속관이 스톱퍼돌기를 돌파하여 후방까지 진입하더라도 역단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수받이는 접속관 연결부의 내주면 안쪽에 접속관의 선단이 지지되는 스톱퍼돌기가 형성되어 접속관의 삽입 깊이를 규제하는 스톱퍼의 역할을 담당하면서 접속관을 통해 오수받이 본체에 과도한 하중이 걸려 접속관 연결부가 강하게 압압 되었을 때에 스톱퍼돌기가 접속관의 선단에 의해 파손되면서 접속관이 오수받이 본체 쪽으로 돌입함으로써 오수받이 본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관 연결부의 저부가 상기 스톱퍼돌기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단차 없이 형성되어 지진 등에 의해 외부에서 과대한 압력을 받아 접속관이 스톱퍼돌기를 돌파해 한층 더 안쪽으로 진입해도 역단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수받이에 의하면 지진 등에 의해 과도한 하중에 의한 압력이 접속관을 통해 작용하더라도 오수받이 본체가 파손되지 않게 되므로 수리, 보수에 필요로 하는 비용이나 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오수받이에 있어서 오수받이 본체(1)는 염화 비닐 수지가 이용되어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제이다.
상기 오수받이 본체(1)의 측면에는 원통 형상의 접속관 연결부(2)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접속관이 삽입 접속된다.
상기 접속관 연결부(2)의 내주면(21)은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어 접속관이 견고하게 밀착 삽입되도록 하는 동시에 접착제에 의해 확실한 접착되도록 한다.
상기 접속관 연결(2)의 내주면(21) 안쪽에는 4개의 스톱퍼돌기(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톱퍼돌기(3)는 접속관의 삽입 깊이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것이지만 도 3과 같이 접속관(4)을 통해 오수받이 본체(1)에 과도한 하중이 걸려 접속부위가 강한 압력을 받을 때에 스톱퍼돌기(3)가 접속관(4)의 선단(41)에 의해 파손되어 접속관(4)이 오수받이 본체(1)쪽으로 돌입함으로써 오수받이 본체(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접속관 연결부(2)의 저부가 상기 스톱퍼돌기(3)가 형성된 위치에서 후 방까지 단차 없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진 등에 의해 외부보다 과대한 압력을 받아 접속관(4)이 스톱퍼돌기(3)을 돌파하여 오수받이 본체(1) 안쪽으로 진입하더라도 역단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조는 같지만 오수받이 본체(5)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접속관 연결부(6)의 내주면(61) 바깥쪽에 링홈(62)을 형성하고, 링홈(62)에 밀폐링(7)을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접속관의 접속관 연결부(6)으로의 접속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접속관의 외주면이 밀폐링(7)에 밀착되어 확실한 방수 씰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요부 측면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오수받이의 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5 : 오수받이 본체
2, 6 : 접속관 연결부
21, 61 : 내주면
3, 8 : 스톱퍼돌기
4 : 접속관

Claims (2)

  1. 유입 또는 유출용의 접속관 연결부가 마련되는 합성수지제의 오수받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 연결부의 내주면 후단에 접속관의 선단이 지지되는 스톱퍼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 연결부의 저부를 상기 스톱퍼돌기가 형성된 위치에서 안쪽으로 단차 없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KR1020090090935A 2009-09-25 2009-09-25 오수받이 KR20110033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935A KR20110033439A (ko) 2009-09-25 2009-09-25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935A KR20110033439A (ko) 2009-09-25 2009-09-25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439A true KR20110033439A (ko) 2011-03-31

Family

ID=4393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935A KR20110033439A (ko) 2009-09-25 2009-09-25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34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8423A (zh) * 2021-05-17 2021-09-03 同济大学 一种模块式污水处理池体间的活动连接方法
KR20240055033A (ko) 2021-09-30 2024-04-26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수지 공급 장치,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8423A (zh) * 2021-05-17 2021-09-03 同济大学 一种模块式污水处理池体间的活动连接方法
CN113338423B (zh) * 2021-05-17 2023-02-14 同济大学 一种模块式污水处理池体间的活动连接方法
KR20240055033A (ko) 2021-09-30 2024-04-26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수지 공급 장치,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6268B1 (en) Sealing connector for pipes, such as for outlet pipes
KR100634781B1 (ko) 지중 구조물용 조립식 관로구
CN109027458A (zh) 市政排水管连接结构
KR200394863Y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 플랜지
KR20110033439A (ko) 오수받이
KR101757636B1 (ko) 맨홀의 연결관 체결구조
KR101419367B1 (ko) 배수구
KR101903469B1 (ko) 지하수 관정의 탈부착식 상부 보호공 조합체
KR101901154B1 (ko) 콘크리트 케이스 관 연결장치
KR101647280B1 (ko) 플랜지형 지수판
KR101297592B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464364Y1 (ko) 하수관과 맨홀의 연결부
KR101194158B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200424466Y1 (ko) 맨홀의 관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맨홀
KR200459984Y1 (ko) 맨홀용 관 연결구
KR20070036101A (ko) 지수단관 일체형 맨홀
JP4120547B2 (ja) 壁排水便器と排水管との接続構造
KR101464374B1 (ko) 침하방지용 맨홀
KR200411149Y1 (ko) 맨홀연결부 틈새 밀폐구조
KR20080030812A (ko) 맨홀용 고무 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KR200307687Y1 (ko) 배수관용 엘보
KR200300524Y1 (ko)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KR20100111219A (ko) 누수 방지를 위한 맨홀과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KR20020015528A (ko) 배수관 연결소켓 및 그 조립방법
KR20100030391A (ko) 침하 및 수밀방지용 연결부를 갖는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