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286U -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286U
KR20100003286U KR2020080012494U KR20080012494U KR20100003286U KR 20100003286 U KR20100003286 U KR 20100003286U KR 2020080012494 U KR2020080012494 U KR 2020080012494U KR 20080012494 U KR20080012494 U KR 20080012494U KR 20100003286 U KR20100003286 U KR 201000032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ipe
cap
pipe fitting
grip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응
Original Assignee
김동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응 filed Critical 김동응
Priority to KR2020080012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286U/ko
Publication of KR201000032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28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들이 관이음구캡에 장착되도록 하며, 또한 관이음구캡내의 합성수지관을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는 패킹이 조임캡의 볼트너트의 조임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관이음구캡내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이 성형물림돌기이 형성된 그립링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하여, 합성수지관이 관이음구캡내에서 삽입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탈할 경우, 그립링의 성형물림돌기의 끝단이 합성수지관을 물어 유지함에 따라서 합성수지관이 관이음구캡으로부터 이탈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에 관한 것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10)들이 관이음구캡(100)에 장착되도록 하며, 또한 관이음구캡(100)내의 합성수지관(10)을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는 패킹이 조임캡(200)의 볼트너트(700,710)의 조임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된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에 있어서, 원주둘레면에 촉형상의 성형물림돌기(520)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그립링(500)이 관이음구캡(100)내에 장착되는 패킹링(300)과 함께 삽입되어, 상기 그립링(500)의 성형물림돌기(520)가 합성수지관(10)의 바깥둘레면에 억지맞춤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그립링(500)은 금속재로서, 원주둘레면에 플랜지면(510)과 상기 플랜지면(510)으로부터 성형물림돌기(520)들이 둔각으로 성형되어 있다.
관이음구캡, 그립링, 플랜지면, 성형물림돌기, 합성수지관, 조임캡, 패킹링, 와셔, 볼트너트

Description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Joint tube of plastics pipe}
본 고안은 상,하수도관, 이중벽관, 오수관, 우수관 등의 합성수지관을 연결시키는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들이 관이음구캡에 장착되도록 하며, 또한 관이음구캡내의 합성수지관을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는 패킹이 조임캡의 볼트너트의 조임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관이음구캡내에 삽입되는 합성수지관이 성형물림돌기이 형성된 그립링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하여, 합성수지관이 관이음구캡내에서 삽입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탈할 경우, 그립링의 성형물림돌기의 끝단이 합성수지관을 물어 유지함에 따라서 합성수지관이 관이음구캡으로부터 이탈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관은 상,하수도관, 이중벽관, 오수관 및 우수관 등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합성수지관을 연장하여 연결하기 위하여 관이음구가 이용되고 있다.
합성수지관의 연결수단으로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외측 방향으로 점차 확개된 확개부가 형성된 합성수지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관이음구와, 또한 상기 확개부에 삽입되는 고무 링 등의 패킹과, 또한 상기 패킹을 이음구로 가압하는 합성수지 등의 연성 재질의 조임캡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관이음은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 중 한쪽의 합성수지관의 외경에 관이음구가 결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합성수지관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고무 링 등의 패킹을 설치하고, 상기 관이음구에 다른 한쪽의 합성수지관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합성수지관의 외경에 조임캡이 결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조임캡이 관이음구에 씌워져서 볼트너트에 의하여 관이음구와 조임캡이 서로 체결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이 이음부가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관이음구와 조임캡가 볼트너트의 조임력에 의하여 패킹이 이음부분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의 조임력이 강하거나 이음구 본체와 결합 캡의 결합 부위에 외부 충격 등이 전달될 경우, 합성수지 등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이음구 본체와 결합 캡의 결합 부위가 일부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의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16904호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예에서는 관이음구 본체와 결합캡의 결합 부위의 강도를 보강하여 관 이음구와 결합캡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 및 수명이 높이기 위하여, 관 이음구 본체의 체결부와 결합 캡 중 적어도 하나에 보강 부재가 인서트되어, 보강 부재가 이음구 본체의 체결부나 결합캡의 강도를 보강시키므로, 이음구 본체와 결합 캡의 결합 부위에 볼트와 너트의 조임력이 너무 강하거나 외부 충격 등이 전달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음구 본체나 결합캡의 변형시 발생될 수 있는 누수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음구 본체와 결합 캡의 결합 부위에 볼트와 너트의 조임력에 의하여 패킹이 합성수지관을 밀착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지반 침하, 온도 변화 등으로 인하여 합성수지관이 이음구 본체와 결합캡로부터 이탈되기 쉽고, 또한 이와 같은 이탈은 내용물이 누출되어 주위의 환경오염과, 경제적인 손실을 발생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들이 관이음구캡에 장착되도록 하며, 또한 관이음구캡내의 합성수지관을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는 패킹이 조임캡의 볼트너트의 조임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상기 관이음구캡내에 패킹과 함께 삽입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바깥둘레에 그립링이 억지끼워맞춤에 의하여 걸려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관이음구캡내에서 합성수지관이 패킹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하며, 또한 그립링이 합성수지관을 물고 있는 것에 의하여 관이음구캡으로부터 합성수지관이 분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합성수지관의 유통 내용물이 누수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들이 관이음구캡에 장착되도록 하며, 또한 관이음구캡내의 합성수지관을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는 패킹이 조임캡의 볼트너트의 조임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된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에 있어서, 원주둘레면에 촉형상의 성형물림돌기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그립링이 관이음구캡내에 장착되는 패킹링과 함께 삽입되어, 상기 그립링의 성형물림돌기가 합성수지관의 바깥둘레면에 억지맞춤으로 삽입 고정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그립링은 금속재로서, 원주둘레면에 플랜지면과 상기 플랜지면으로부터 성형물림돌기들이 둔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들이 관이음구캡에 장착되도록 하며, 또한 관이음구캡내의 합성수지관을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는 패킹이 조임캡의 볼트너트의 조임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상기 관이음구캡내에 패킹과 함께 삽입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의 바깥둘레에 그립링이 억지끼워맞춤에 의하여 걸려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관이음구캡내에서 합성수지관이 패킹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하며, 또한 그립링이 합성수지관을 물고 있는 것에 의하여 관이음구캡으로부터 합성수지관이 분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합성수지관의 유통 내용물이 누수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의 분리 단면도이고, 또한 도 2 는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의 결합 단면도이며, 또한 도 3 은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의 결합 사시도이고, 또한 도 4a 는 본 고안의 그립링의 가공전의 정면도이며, 또한 도 4b 는 본 고안의 그립링이 성형된 정면도이고, 또한 도 5 는 본 고안의 그립링의 사시도이며, 또한 도 6 은 본 고안의 그립링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10), 관이음구캡(100), 조임캡(200), 패킹링(300), 와셔링(400), 그립링(500), 와셔(600) 및 볼트너트(700,7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이음구캡(100)은 중공체로서 한쪽에 합성수지관(10)이 고정되고, 또한 다른 한쪽은 볼트관통구멍(110)이 형성된 플랜지(120)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120)에는 후술하는 조임캡(200)이 맞닿도록 하여 볼트너트(700,710)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이음구캡(100)내에는 합성수지관(10)들의 끝단이 맞닿아 유지될 수 있는 유지턱(130)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한쪽의 합성수지관(10)이 삽입되어 유지되는 쪽에는 2단으로 턱(140,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턱(140)에는 상기 그립링(500)이, 또한 다른 하나의 턱(150)에는 패킹링(300)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조임캡(200)은 중공체로서, 기초부에 원주턱(210)이 형성되고, 원주턱(210)에 교호방향의 플랜지에 볼트관통구멍(230)이 형성되어 있다. 조임캡(200)의 내경은 합성수지관(10)의 외경이 관통할 수 있는 칫수이다.
또한, 상기 패킹링(300)과 와셔링(400)은 상기 합성수지관(10)의 외경에 삽입되어 유지될 수 있는 칫수이다. 상기 패킹링(300)은 고무재이다.
다음, 본 고안의 그립링(500)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재로서, 원주둘레면에 플랜지면(510)과 상기 플랜지면(510)으로부터 성형물림돌기(520)들이 둔각으로 성형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립링(500)은 관이음구캡(100)내에 장착되는 패킹링(300)과 함께 삽입되어, 상기 그립링(500)의 성형물림돌기(520)가 합성수지관(10)의 바깥둘레면에 억지맞춤으로 삽입 고정된다.
상기 그립링(500)은 도 4a와 같이 대략 장방형의 철판(530)을 프레스 등의 성형에 의하여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면(510)이 절곡 성형되고, 또한 플 랜지면(510)으로부터 등간격으로 성형물림돌기(520)들이 성형되도록 한 후, 상기 플랜지면(510)의 양쪽 끝단을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하여 링형상의 그립링(500)이 성형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성형방법으로 하지 않고 바로 프레스 성형에 의하여 도 5 및 도 6과 같은 그립링(500)이 형성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그립링(500)의 성형물림돌기(520)의 끝단은 뽀족하게 하면서 끝단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삼각으로 절곡 성형하면 좋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는 오수, 우수 관로 등의 합성수지관(10)의 직경이 대구경이므로 그립링(500)의 성형에 있어서, 합성수지관(10)의 외경 등을 감안한 길이와 폭 등의 설계값에 따라서 도 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판(530)을 프레스 성형에 의하여 플랜지면(510)과 성형물림돌기(520)들이 성형되도록 한 후, 플랜지면(510)의 끝단을 맞이음하여 제조함으로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의 조립은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그립링(500), 와셔링(400) 및 패킹링(300)이 순차적으로 관이음구캡(100)내에 결합되는데, 합성수지관(10)의 끝단에 상기 그립링(500), 와셔링(400) 및 패킹링(300)을 순서대로 삽입하고, 합성수지관(10)을 관이음구캡(100)의 내경에 밀어 넣는다.
상기와 같이 밀어 넣으면, 그립링(500)의 플랜지면(510)이 관이음구캡(100)의 턱(140)에 걸려 장착되고, 또한 그립링(500)의 성형물림돌기(520)들이 합성수지관(10)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관(10)을 관이음구캡(100)의 유지턱(130)까지 밀어 넣을 수 있다.
또한, 관이음구캡(100)의 턱(150)에 패킹링(300)이 유지되도록 상태에서 조임캡(200)의 바깥둘레에 와셔(600)를 끼우고 볼트너트(700,710)를 조임으로써, 상기 패킹링(300)이 눌림에 의해 완벽한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특히, 합성수지관(10)이 수지의 특성상 수축에 의한 연결부 이탈, 지반 침하에 의한 이탈 등으로 인한 누수 문제에 대하여 그립링(500)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10)을 그립링(500), 와셔링(400) 및 패킹링(300)과 함께 관이음구캡(100)내에 삽입함에 있어서, 그립링(500)의 성형물림돌기(520)들이 합성수지관(10)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수월하게 결합할 수 있으나, 반대 방향으로 합성수지관(10)이 이탈할 경우, 오히려 그립링(500)의 성형물림돌기(520)의 끝단이 합성수지관(10)의 외경 안쪽방향으로 파고 들어가는 현상으로 합성수지관(10)이 관이음구캡(100)으로부터 이탈을 완벽히 방지하게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의 분리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의 결합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의 결합 사시도,
도 4a 는 본 고안의 그립링의 가공전의 정면도,
도 4b 는 본 고안의 그립링이 성형된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그립링의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그립링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 합성수지관 100 : 관이음구캡
110 : 볼트관통구멍 120 : 플랜지
130 : 유지턱 140,150 : 턱
200 : 조임캡 210 : 원주턱
220 : 플랜지 230 : 볼트관통구멍
300 : 패킹링 400 : 와셔링
500 : 그립링 510 : 플랜지면
520 : 성형물림돌기 600 : 와셔
700,710 : 볼트너트

Claims (2)

  1.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10)들이 관이음구캡(100)에 장착되도록 하며, 또한 관이음구캡(100)내의 합성수지관(10)을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는 패킹이 조임캡(200)의 볼트너트(700,710)의 조임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된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에 있어서,
    원주둘레면에 촉형상의 성형물림돌기(520)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그립링(500)이 관이음구캡(100)내에 장착되는 패킹링(300)과 함께 삽입되어, 상기 그립링(500)의 성형물림돌기(520)가 합성수지관(10)의 바깥둘레면에 억지맞춤으로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링(500)은 금속재로서, 원주둘레면에 플랜지면(510)과 상기 플랜지면(510)으로부터 성형물림돌기(520)들이 둔각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
KR2020080012494U 2008-09-16 2008-09-16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 KR201000032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494U KR20100003286U (ko) 2008-09-16 2008-09-16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494U KR20100003286U (ko) 2008-09-16 2008-09-16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286U true KR20100003286U (ko) 2010-03-25

Family

ID=44198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494U KR20100003286U (ko) 2008-09-16 2008-09-16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28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542B1 (ko) * 2011-02-22 2011-04-04 최홍 관체 연결 장치
WO2011146080A1 (en) * 2010-05-20 2011-11-24 Iii Thomas Nott Word Structural flang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CN102954909A (zh) * 2011-08-20 2013-03-06 苏州敏喆机械有限公司 一种纺丝箱体试压用密封工装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0337B2 (en) 2009-06-09 2013-07-23 Thomas Nott Word, III Structural flang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WO2011146080A1 (en) * 2010-05-20 2011-11-24 Iii Thomas Nott Word Structural flang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025542B1 (ko) * 2011-02-22 2011-04-04 최홍 관체 연결 장치
CN102954909A (zh) * 2011-08-20 2013-03-06 苏州敏喆机械有限公司 一种纺丝箱体试压用密封工装
CN102954909B (zh) * 2011-08-20 2016-08-31 苏州敏喆机械有限公司 一种纺丝箱体试压用密封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2277B2 (en) Pipe coupling device
KR100920808B1 (ko) 실링 및 그 실링을 이용한 파이프 연결소켓
KR100902886B1 (ko) 파이프와 일체로 형성된 상수관 연결구
KR20100003286U (ko) 합성수지관의 관이음구
CN210318881U (zh) 一种包塑不锈钢编织管总成
KR100891149B1 (ko) 파이프와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하수관 연결 조립체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20160086657A (ko) 관연결장치
KR100824423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지관 커넥터 결합구조를 갖는 맨홀
KR100930209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200390448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KR20190021677A (ko) 이탈 방지용 합성수지관 이음장치
KR200302163Y1 (ko) 이중수밀유지용 관
KR100240206B1 (ko) 주하수관과 분기하수관의 연결부재
JP4277286B2 (ja) 伸縮可撓管継手の仮締用スペーサ及び仮締構造
KR100743207B1 (ko) 플랜지 일체형 접속용 합성수지관
KR200395243Y1 (ko) 편수관 및 연결구 조립체
KR101188807B1 (ko) 헤드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수밀 유지용 합성수지관
KR200300524Y1 (ko)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KR101186998B1 (ko) 헤드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수밀 유지용 합성수지관
KR100639929B1 (ko) 기능성 클램프 및 방법
KR20180023341A (ko) 파형강관 구조체
KR200371982Y1 (ko) 기능성 클램프
KR920004972Y1 (ko) 관 이음쇠
KR200432883Y1 (ko) 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